KR102278622B1 - 불판용 집게꽂이 - Google Patents

불판용 집게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622B1
KR102278622B1 KR1020190171905A KR20190171905A KR102278622B1 KR 102278622 B1 KR102278622 B1 KR 102278622B1 KR 1020190171905 A KR1020190171905 A KR 1020190171905A KR 20190171905 A KR20190171905 A KR 20190171905A KR 102278622 B1 KR102278622 B1 KR 10227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late
tongs
cookware
fi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577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ublication of KR2021005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해물, 야채 등 음식물들을 익혀서 취식하기 위한 요리용불판의 통공이나 간격에 불판용 집게꽂이의 앞고정대를 를 꽂거나 불판의 가장자리를 집게로 집어서 불판용 집게꽂이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불판용 집게꽂이에 집게를 꽂으면 집게의 음식에 접촉되는 쪽이 요리 중의 열로서 소독되게 하여 취식 중 교차오염의 영향을 덜 받게 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 아랫판의 전면부 쪽에 앞고정대를 형성하고, 집게의 윗판에는 꽂이부와 꽂이걸림턱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불판용 집게꽂이{tong holder for roast grill}
본 발명은 육류, 해물, 야채 등 음식물들을 익혀서 취식하기 위한 요리용불판에 불판용 집게꽂이를 위치시켜 집게를 꽂을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판용 집게꽂이에 꽂혀진 집게가 요리 중의 열로서 소독되게 하기 위하여 집게꽂이가 집게형상을 포함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형상의 불판에 거치 가능토록 한 것이며, 이로서 공용취식 중 교차오염의 영향을 덜 받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 중인 불판에서는, 생 음식을 집은 집게로 익은 음식을 집어서 꺼낼 때, 만일 생 음식이 오염되어 있다면 익은 음식이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다수인이 한 불판에서 집게를 사용할 때, 타인의 질병이 전염되거나, 타액이 섞이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비위생적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구제역, 조류독감, 광우병 등 바이러스 및 세균과 기타 오염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문제점인 바, 이는 음식을 열을 가해 먹으면 괜찮다는 통념과 배치되는 취식절차 상의 문제로서, 특히 우리나라의 공용 식습관에서 이러한 비위생적 상황을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가 절실한 것이다.
식약청에서는 2010년5월 식중독 예방 국민행동요령을 발표하였는데, 고기를 구워먹을 경우 집게나 가위 등은 생고기용과 익힌고기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매우 조심성 있는 사람도 조리 현장에서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이 통상적인 인간의 습성이다.
이와같이 평소 많이들 사용하는 불판조리 방식의 적지않은 문제점이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되지 못한 이유는, 조리상 비위생적인 문제점의 인식이 부족했고, 해결책에 대한 접근도 부족했기 때문이다.
본원은 불판의 바닥에 간격이나 통공이 형성된 곳에 꽂거나 불판의 테두리에 집게로 집어 불판용 집게꽂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매우 간편하게 다양한 불판의 형상에 집게, 젓가락, 가위 등 조리용구를 불판에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20-0489038((2019.04.04.) 불판용 집게꽂이는 불판에 조리용구를 꽂아 조리간의 열로서 소독하는 것으로서, 본원은 집게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0984397 (010.09.20) 주방용품 수납기구는 주방용품의 수납 및 인출이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이는 본원의 집게 등 조리 및 취식용구를 조리간의 열로서 소독하는 본원과는 상이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20-0343870 (2004.02.24) 주방용 조리기구 살균소독기는 주방용 칼, 가위, 집게 등과 같은 조리기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 전용의 살균소독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벽걸이형 본체에 자외선살균램프가 설치된 살균소독실을 사용하는 것이다. 역시 본원의 집게 등 조리 및 취식용구를 조리간의 열로서 소독하는 본원과는 상이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20-0379236 (2005.03.09) 필기구 꽂이를 갖는 클립은 펜 등의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필기구 꽃이수단을 구비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역시 본원의 집게 등 조리 및 취식용구를 조리간의 열로서 소독하는 본원과는 상이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20-0481100 (2016.08.08) 위생집게꽂이가 구비된 요리용불판은 육류, 해물, 야채 등 음식물들을 익혀서 취식하기 위한 요리용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는, 요리용불판의 일측에 집게를 넣을 수 있게 하고, 요리에 사용되는 열이 집게의 음식을 집는 부분을 가열하여 소독되게 한 것이다. 이는 불판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된 손잡이에 집게를 위치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본원이 착탈식으로서 불판위에 올려놓고 사용케 한 것과는 구성이 상이하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20-0484863 (2017.10.26) 불판용 집게꽂이는 불판 위에 불판용 탈착식 집게꽂이를 위치시키고, 이곳 집게꽂이에 집게를 꽂을 수 있는 1개소의 하우징을 형성한 것으로서, 본원이 판상형 집게 위에 집게와 젓가락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구성한 것과 구성이 상이할 뿐 아니라, 제작단가를 저감, 세척 등 위생관리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요리용불판 위에서 조리중의 열로 집게를 계속 소독될 수 있게 하되, 뜨거워서 집게를 집지 못하거나 차가워서 소독이 안되는 현상이 저감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손으로 집게를 잡을 때마다 손잡이의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없게 하며, 또한 식탁에서 추가적인 면적을 차지하지도 않게 하고, 착탈식으로 하여 사용 및 저장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세척하기가 쉽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면서, 젓가락, 집게, 가위 등 다양한 조리용구를 간편하게 꽂을 수 있게 한 것이며, 다양한 불판의 형상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집게, 조리용구가 올려지는 상기 집게의 윗판, 불판에 닿는 상기 집게의 아랫판과, 상기 아랫판의 전면쪽 일측이 아래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하향연장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수평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수평연장부 및, 상기 윗판의 좌우측에서 소정길이가 돌출되어 위쪽이 이어진 형상으로 된 내측에 윗판의 후면쪽에서 전면쪽으로 조리용구의 음식을 집는 부분을 꽂아서 거치할 수 있게 된 꽂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아랫판의 하향연장부 및 수평연장부로 된 고정대를 불판바닥의 통공이나 간격에 꽂아서 위치시키거나 또는 불판의 일측을 집게로 집어서 위치시키면 집게의 꽂이부에 넣어진 조리용구가 조리중의 열로 소독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집게꽂이이다.
상기 꽂이부는 제2꽂이부와, 제2꽂이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작은 조리용구를 꽂아서 거치할 수 있게 된 제1꽂이부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1꽂이부는 제2꽂이부의 내측에 위치된 것이다.
상기 꽂이부는 윗판의 전면쪽에서 후면쪽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져 돌출된 형상으로 된 것이다.
상기 꽂이부는 윗판의 위쪽에 결착된 것이다.
상기 꽂이부는 윗판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이 위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아랫판은 조리중의 열기가 윗판에 소통되게 하기 위한 열기통공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아랫판은 후면쪽 일측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후면고정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불판용 집게꽂이는 꽂이부에서 소정거리의 전면쪽에 위쪽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조리용구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구걸림턱은 조리용구를 윗판의 후면쪽에서 꽂이부에 넣었을 때 조리용구걸림턱의 전면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케 된 것이다.
상기 꽂이부는 윗판의 좌우측에서 소정길이의 상향돌출부와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돌출부로 된 것이다
상기 꽂이부는 윗판의 좌우측에서 소정길이의 상향돌출부와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돌출부로 된 것이다.
상기 앞고정대는 아랫판의 전면에 2개를 구비한 것이다.
도1은 불판용 집게꽂이(100)의 사시도이다.
불판용 집게꽂이의 집게(10)는 윗판(110)과 아랫판(120)이 집게연결부(40)에서 집게연결핀(41)으로 결착되고, 집게스프링(42)으로 집게가 기능한다.
윗판(110)의 전면(11)쪽에서 절개된 부분이 위쪽으로 절곡되고 다시 후면(12)쪽으로 완만하게 상승되는 각도로 절곡되어 꽂이부(20)가 형성된 곳에 후면(12)쪽에서 전면(11)쪽으로 조리용구를 꽂아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윗판(110)의 꽂이부(20)가 돌출된 곳에서 소정거리가 이격된 전면쪽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꽂이걸림턱(60)이 형성되어, 조리용구를 꽂이부(20)에 꽂으면 꽂이걸림턱(60)보다 전면(11)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아랫판(120) 전면(11)쪽의 앞고정대(50)는 아랫판(120)의 전면쪽에서 아래쪽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하향연장부(51), 하향연장부의 아래쪽에서 전면(11)쪽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수평연장부(52)가 형성된 것이다.
도2는 불판용 집게꽂이(100)의 아랫판(120)이다.
아랫판(120)의 전면(11)쪽에 앞고정대(50)가 형성되고, 아랫판(120)의 전면쪽 일부면적이 제거되어 불판의 열기가 윗판(110)에 잘 전달되게 한 것이다.
도3은 불판용 집게꽂이(100)의 윗판(110)이다.
꽂이부(20)와 꽂이걸림턱(60)이 형성된 것이다.
도4는 윗판(110)에 꽂이부(20) 2개가 형성된 것이다.
제2꽂이부(22) 내측에 제1꽂이부(21)가 작게 형성되고 그 전면 쪽에 꽂이걸림턱이 형성된 것이다.
도5는 앞고정대(50)로 불판에 위치시킨 불판용 집게꽂이(100)이다.
앞고정대를 불판의 통공에 위에서 아래쪽으로 꽂아서 불판용 집게꽂이(100)가 앞고정대(5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좋아진다.
도6은 집게(10)로 불판의 테두리를 집어서 위치시킨 것이다.
앞고정대(50)을 불판에 꽂지 않고 집게만 활용하여 불판용 집게꽂이를 불판에 위치시킨 것이다.
조리용 불판을 집게로 집거나 앞고정대를 꽂는 것 중 선택하여, 다양한 형상의 불판에 매우 용이하게 불판용 집게꽂이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젓가락, 집게, 가위, 칼 등 여러 가지의 조리용구를 1개 이상 꽂아서 동시에 사용하는 편의성/융통성이 증진될 수 있다.
불판의 바닥에 통공이나 간격이 형성된 그릴에 매우 간편하게 꽂아서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불판용 집게꽂이를 탈착식으로 하여 세척/관리하기 쉽게 할 뿐만 아니라, 불판 위에서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회전시켜서 열을 받는 수준과 요리범위 등을 고려하여 올려놓은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꽂이부에 조리용구를 넣으면 조리용구의 손잡이 쪽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음식의 습기가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형성되지 않으며,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열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공용의 요리용 집게를 꽂아서 취식용 개인집게와 별도로 사용하게 하고, 공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질병이나 타액 등 교차오염의 비위생적 상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로서, 식탁에서의 교차오염의 문제점에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한국적 식습관의 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불판용 집게꽂이(100)의 사시도이다.
도2는 불판용 집게꽂이(100)의 아랫판(120)이다.
도3은 불판용 집게꽂이(100)의 윗판(110)이다.
도4는 윗판(110)에 꽂이부(20) 2개가 형성된 것이다.
도5는 앞고정대(50)를 불판에 꽂아서 위치시킨 불판용 집게꽂이(100)이다.
도6은 집게(10)로 불판의 테두리를 집어서 위치시킨 불판용 집게꽂이(100)이다.
본원은 불판용 집게꽂이이다.
불판은 채소, 해물, 고기, 기타 다양한 식재료를 올려놓고 열을 가해 요리할 수 있게 한 조리용기로서, 금속/비금속, 도자기, 세라믹, 유리, 기타 통상적인 그릇의 형태일 수 있고, 그물망이나 판상형이나 후라이팬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원의 불판용 집게꽂이는 판상의 재질을 레이저로 절개한 후에 절곡/프레스 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이캐스팅이나 주물로 하거나, 불판용 집게꽂이(100)에 꽂이부(20), 꽂이걸림턱(60), 앞고정대(50) 등을 용접하는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착시켜서 제작하거나, 철사를 구부려서 제작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원 도면의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더라도 조리용구를 엊어놓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원의 권리에 포함된다.
요리용 불판 바닥의 간격이나 통공에 앞고정대(50)를 끼워 넣은 후 아랫판을 불판 바닥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조리용구를 올려놓은 후에 꽂이부에 조리용구를 넣어서 요리중의 열로서 집게의 음식에 접촉하는 부분 위주로 소독되게 한 것이다.
앞고정대는 불판바닥의 통공이나 간격에 꽂을 수 있는 두께와 크기와 길이로 로 제작되어야 한다. 하향연장부는 불판바닥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유격을 두고 끼워져서 유동될 수 있는 길이로 하고, 수평연장부는 통상적인 사용 중에는 유동이 되더라도 가급적 불판용집게꽂이가 불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쯤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사용간 불판용 집게꽂이의 후면이 상하좌우로 유동이 되는 상황에서도 위쪽으로 들려서 탈거되지 않을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불판용 집게꽂이의 후면쪽을 들어올려서 통상의 불판 통공이나 간격에서 탈거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와 유격을 유지할 수 있다. 수평연장부는 필요시 도1에서와 같이 전면으로만 형성되지 않고 예로서 후면으로도 5mm쯤 연장시키거나 또는 좌우측면으로도 소정의 길이로 연장시킨다면 요망하지 않을 때에는 더욱 탈거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앞고정대를 1개만 형성하고 수평연장부(52)가 얇게 형성된다면 수평연장부를 중심으로 불판용 집게꽂이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좋아질 수 있으며, 한 개만 형성된 앞고정대는 가급적 아랫판 전면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고정대(50)를 도면1에서와 같이 아랫판의 전면에 위치하지 않고 약간 후면쪽으로 위치시켜도 앞고정대를 중심으로 불판용 집게꽂이가 회동하는 기능에 제한이 발생되지 않으며, 좌우로 치우친 곳에 위치해도 역시 그러하지만, 가급적 더 아랫판의 전면쪽에 위치케 할 때 끼우거나 활용하기에 용이하고, 모두 본원의 권리에 속함은 자명하다.
집게는 U자형 집게 및 다양한 집게류 뿐 아니라 임시로 음식을 집거나 담거나 자를 수 있는 가위 및 젓가락 등을 포함한 불판 근처에서 물건을 집기 위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조리용구들을 포함한다.
불판바닥의 간격이나 통공은, 불판의 바닥에 원형이나 긴 줄 형상의 간격이 형성된 불판이나 가로세로 줄이 교차된 철망형 불판 또는 와이어 형 불판, 그리고 통상의 그릴이나 석쇠에 형성된 불판 위쪽의 음식이 열기에 직접 노출되거나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뚫려있는 형상을 포함한다.
도1에서 꽂이부(20)가 소정폭의 면 형상으로 위로 돌출된 외측부분을 불판용 집게꽂이의 중앙부쪽으로 휘게 한다면, 이는 꽂이부가 전면에 대비하여 후면쪽을 소정의 면적으로 넓게 확장하는 효과가 발생되게 한 것으로서, 이렇게 하면 조리용구를 꽂을 때 정확한 위치로 꽂지 않더라도 미끄러져 들어가서 더 잘 꽂아지게 할 수 있다.
도1의 꽂이부는 판상의 재질을 레이저커팅 후에 절곡/프레스 한 것으로서, 만일 금형/다이캐스팅/주물로 한다면 윗판의 좌우측 끝부분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꽂이부는 윗판의 좌우측에서 돌출되어 위쪽이 이어져 내부가 폐쇄된 둘레를 형성할 수 있으며, 편의성과 내구성과 미감 등을 고려한 두께의 폭으로서 면상이거나 철사형이거나 기타 통상의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시키는 형상은 장방형이거나 반원형이나 기타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고 집게가 꽂히는 제2꽂이부는 집게의 음식을 집는 부분의 폭을 고려하여 타원형보다는 장방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꽂이부는 윗판의 좌우측에서 돌출된 위쪽이 이어져 폐쇄되지 않고 양쪽의 돌출된 위쪽이 이격되어 서로 간격이 있으면 집게류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꽂는 것도 가능하며, 집게의 물건을 집는 쪽이 벌어진 상태에서 이러한 형상의 꽂이에 더 용이하게 집게류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꽂이부(20)는 1개만 형성하거나, 크기가 다른 2개의 꽂이부를 형성하거나, 2개의 꽂이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서로 1~2cm쯤 앞쪽에 형성하거나 반대로 앞뒤에 위치케 할 수 있다. 만일 서로 약간 앞뒤에 위치를 하더라도 제1꽂이부에 꽂는 조리용구가 제2꽂이부를 통해서 들어가는 형상이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다면 제1꽂이부는 제2꽂이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꽂이부의 내측 크기는 통상의 U자형집게나 젓가락이나 가위 등을 넣었을 때 상하유동이 크지 않게 하는 정도쯤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꽂이부는 젓가락 위주로 사용하거나, 제2꽂이부는 U자형 집게위주로 사용하거나, 가위는 아무 곳에나 꽂게 할 수 있다.
제1꽂이부가 젓가락 위주로 사용되도록 한 주된 목적은 윗판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낮으므로 젓가락을 꽂으면 음식을 집는 부분이 꽂이부에 닿을 때 손잡이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높이가 작으므로 식탁면 등에 닿을 가능성이 적고 손잡이쪽이 후면쪽으로 흘러내리지 않아서 사용이 편리해질 수도 있는 것이며, 불판과 식탁의 높이가 비슷한 경우에는 훌러내리지 않을 것이므로 이와같은 경우 등 아무 조리용구나 아무 꽂이부에 꽂아도 가능할 수 있다.
꽂이부(20)의 형상은 윗판의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도 가능하지만, 도면1, 도면4에서와 같이 윗판의 전면쪽에서 후면쪽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상으로 한다면 가능할 때 사용자가 높이를 조정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꽂이부의 가장자리 쪽으로 조리용구를 넣어도 미끌어져 더 잘 꽂아질 수 있고, 조리용구가 꽂이부에 걸리는 부분이 꽂이걸림턱(60)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집게의 상하 유동을 더 잘 저감시킬 수 있다. 만일 윗판의 위쪽으로 90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한다면, 윗판으로부터 더 후면쪽에 구비하는 것이 조리용구가 더 잘 걸리게 할 수 있다.
아랫판(120)의 중간쪽이나 후면(12)쪽 일측을 아래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절곡 절곡해주면, 아랫판의 후면(12)이 전면(11)보다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조리용구의 손잡이쪽이 아래로 쳐져서 이탈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고, 조리용구의 손잡이쪽이 식탁이나 다른 음식물 등에 닿지 않게 하는데 더 유리하며, 불판위에서 불판용 집게꽂이가 좌우로 회전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유동이 저감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점진적으로 후면을 높게 형성할 수도 있고 후면부만 높게 형성할 수도 있고, 주물이나 다이캐스팅 등을 포함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이와같이 후면쪽을 전면쪽보다 높게 하는 후면고정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면고정대는 아랫판의 중간쪽이나 후면(12)쪽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한 것이다. 앞고정대(50)를 중심으로 후면(12)쪽이 취식 간 다소 움직여질 때 전후좌우 유동의 적정한 유격을 유지하거나 전후좌우 유동을 다소 제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예로서 긴 줄의 형상이나 작은 점 형상으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으며, 수개소 이상 형성하여 기능발휘가 원활케 할 수도 있다.
후면고정대는 아랫판 후면의 아래쪽에서 좌우측에 치우친 위치, 중앙부, 후면의 끝부분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고, 아랫판의 좌우로 돌출되게 한 후 아래쪽으로 돌출시켜도 아랫판의 아랫면이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고 이때에는 아랫판의 후면 쪽이 높게 된 것 후면고정대를 형성한 것이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후면고정대의 돌출되는 높이는 불판의 간격에 걸려 질 수 있는 정도쯤이면 족하고, 필요시 길고 넓게 하여 열을 더욱 잘 받게 하거나, 휘어지게 하여 이탈의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조리용구걸림턱은 꽂이부에 조리용구를 넣을 때 앞으로 끼워지는 깊이를 정해줄 수 있고, 예로서 젓가락을 집을 때에는 끝부분이 나란히 정렬된 상태이므로 편의성이 증진될 수도 있다. 조리용구걸림턱의 좌우 폭과 높이는 꽂이부에 넣어진 조리용구가 좌우상하로 유동이 되더라도 전면쪽으로 전진하지 못하는 정도쯤으로 작게하면 족할 수 있다.
100 불판용 집게꽂이 10 집게 11 전면
12 후면 20 꽂이부 21 제1꽂이부
22 제2꽂이부 40 집게연결부 41 집게연결핀
42 집게스프링 60 꽂이걸림턱 50 앞고정대
51 하향연장부 52 수평연장부 110 윗판
120 아랫판

Claims (12)

  1. 윗판과 아랫판에 각각 형성된 중앙쪽의 집게연결부에서 집게연결핀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탄지됨으로서 앞쪽은 좁아져서 물건을 집을 수 있게 되고 뒷쪽은 벌어져 손잡이가 형성된 집게꽂이장치로서,
    상기 아랫판의 물건을 집는쪽 일측이 아래쪽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하향연장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수평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수평연장부; 및,
    상기 윗판의 좌우측에서 소정길이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어진 형상으로 된 내측에 뒷쪽에서 앞쪽으로 조리용구의 음식을 집는 부분을 꽂아서 거치할 수 있게 된 조리용구꽂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용구꽂이부에 조리용구를 꽂았을 때 집게의 뒷쪽에서 앞쪽으로 형성되는 하향경사각에 의하여 조리용구의 손잡이쪽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상기 아랫판의 하향연장부 및 수평연장부로 된 앞고정대를 불판바닥의 통공이나 간격에 꽂거나 또는 불판의 테두리부를 집게로 집어서 불판에 용이하게 위치시키면, 조리용구꽂이부에 넣어진 조리용구의 음식을 집는 부분이 조리중의 열로 소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판은, 조리용구꽂이부와 그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조리용구꽂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꽂이부는 그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조리용구꽂이부가 더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꽂이부는 윗판의 전면쪽에서 후면쪽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져 돌출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꽂이부는 윗판의 위쪽에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꽂이부는 윗판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이 위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판은 조리중의 열기가 윗판에 소통되게 하기 위한 열기통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8.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판은 후면쪽 일측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후면고정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9. 청구항 제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부는 조리용구꽂이부에서 소정거리의 전면쪽에 위쪽으로 소정거리가 연장된 조리용구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구걸림턱은 조리용구를 윗판의 후면쪽에서 꽂이부에 넣었을 때 조리용구걸림턱의 전면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10. 청구항 제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꽂이부는 윗판의 좌우측에서 소정길이의 상향돌출부와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돌출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11.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꽂이부는 윗판의 좌우측에서 소정길이의 상향돌출부와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돌출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1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고정대는 아랫판의 전면에 2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용 조리용구 꽂이.

KR1020190171905A 2019-11-15 2019-12-20 불판용 집게꽂이 KR102278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6710 2019-11-15
KR1020190146710 201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77A KR20210059577A (ko) 2021-05-25
KR102278622B1 true KR102278622B1 (ko) 2021-07-16

Family

ID=7614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05A KR102278622B1 (ko) 2019-11-15 2019-12-20 불판용 집게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0Y1 (ko) 2003-12-16 2004-03-1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 조리기구 살균소독기
WO2012024219A1 (en) 2010-08-16 2012-02-23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Grill toll holder
KR200481100Y1 (ko) 2016-02-29 2016-08-18 김형준 위생집게꽂이가 구비된 요리용불판
KR200489038Y1 (ko) * 2018-11-05 2019-04-22 김형준 불판용 집게꽂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796U (ja) * 1991-12-05 1995-11-28 貞夫 古川 紙ばさみ用クリップ
KR200379236Y1 (ko) 2004-12-17 2005-03-17 손동춘 필기구 꽂이를 갖는 클립
KR100984397B1 (ko)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KR200484863Y1 (ko) 2017-02-12 2017-11-01 김형준 불판용 집게꽂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0Y1 (ko) 2003-12-16 2004-03-1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 조리기구 살균소독기
WO2012024219A1 (en) 2010-08-16 2012-02-23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Grill toll holder
KR200481100Y1 (ko) 2016-02-29 2016-08-18 김형준 위생집게꽂이가 구비된 요리용불판
KR200489038Y1 (ko) * 2018-11-05 2019-04-22 김형준 불판용 집게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77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427B1 (en) Chopping board accessory with waste receptacle
US7975857B2 (en) Cooking utensil support apparatus
US20120298807A1 (en) Utensil holding kit
KR101534025B1 (ko) 조리도구 받침대
KR200484863Y1 (ko) 불판용 집게꽂이
KR102278622B1 (ko) 불판용 집게꽂이
KR200481100Y1 (ko) 위생집게꽂이가 구비된 요리용불판
KR200489038Y1 (ko) 불판용 집게꽂이
US7228792B2 (en) Cooker with latching drip tray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grease dispensing apertures in cooking pan
WO2012174702A1 (en) Cooking appliance
US5560288A (en) Sink bridge
KR100909072B1 (ko) 식탁용 조리기
US20150265103A1 (en) Cooking Utensil Holding Device
US9943191B1 (en) Apparatus for holding an object in a liquid bath
US8495952B2 (en) Skewered food removal device
CN215128218U (zh) 层架和清洁器具
CN213158080U (zh) 消毒柜
CN211797861U (zh) 一种碗架及消毒柜
CN215740711U (zh) 层架和清洁器具
CN2186015Y (zh) 带挂钩的火锅涮勺
KR200277712Y1 (ko) 수저 살균 소독장치
CN210540943U (zh) 一种分体式烫菜装置
JP2006198140A (ja) 蓋の立て掛け支持金具
KR20170002864U (ko) 냄비에 부착 가능한 체
KR200183439Y1 (ko) 주방용품 보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