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961B1 - 쓰레기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961B1
KR102277961B1 KR1020180171176A KR20180171176A KR102277961B1 KR 102277961 B1 KR102277961 B1 KR 102277961B1 KR 1020180171176 A KR1020180171176 A KR 1020180171176A KR 20180171176 A KR20180171176 A KR 20180171176A KR 102277961 B1 KR102277961 B1 KR 10227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cabin
passenger seat
garbag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067A (ko
Inventor
강성주
김동근
Original Assignee
강성주
김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주, 김동근 filed Critical 강성주
Priority to KR102018017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9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vehi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 객실부 구조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한 객실부 구조로서,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차량용 운전석 객실부에 있어서, 상기 객실부의 골조를 구성하는 슬리퍼 캡 형상의 객실부 프레임; 전방에는 객실부 프레임과 연결된 정면유리창, 좌측에 운전석도어가 구성되어 있고 우측은 폴딩도어, 객실부 내부에는 1개의 운전석과 복수 개의 입상이 가능한 보조석과 좌측에 운전석도어와 우측은 정면유리창 쪽으로 열리는 폴딩도어, 우측인 폴딩도어 쪽의 바닥면은 저상화 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차량{A GARBAGE CAR}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량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이용하여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단거리 반복된 잦은 정차에 속하는 업종은 음식물, 폐기물, 쓰레기수거 등이 있다.
통상 트럭 후면에 매달려 이동하거나 탑승공간이 높고 순서에 의한 탑승이 요구되는 일반트럭의 특성 하에 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상차 작업자는 계절의 자연환경과 위험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고 차량 탑승공간의 높이로 인하여 신체적 피로도 및 직업병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면, 혹한기에 쓰레기 수거차량 뒤에 작업자가 매달릴 경우, 동상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도로에 쌓인 눈이나 도로 표면에 형성된 얼음에 의해 쓰레기 수거차량이 미끄러지게 될 경우, 작업자들에게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른 주변 쓰레기 수거가 가능하면서도,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기술적 배경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패기물 및 생활 쓰레기 수거차량 쓰레기 수거 작업자들의 승하차가 보다 용이하여, 작업자들이 짧은 거리를 차량 내부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전단에 위치하는 객실부; 및 상기 적재부와 상기 객실부 하단에 위치하는 리어휠과 프론트휠을 포함하고, 상기 객실부는, 내부에 운전석과 복수개의 보조석이 위치하며, 상기 보조석 전단에 위치하는 입상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부는, 상기 입상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프론트휠의 중심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석은, 상기 운전석과 이격된 제1 보조석; 및 상기 운전석과 상기 제1 보조석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보조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부는, 상기 제1 보조석 전단에 제1 입상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석 전단에 제2 입상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석과 상기 보조석은, 상기 프론트휠 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부에는, 양측의 A필러를 덮으면서,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부는, 상기 보조석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유리를 향하여 접히는 폴딩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부는, 상기 제1 보조석 및 상기 제2 보조석 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보조석 뒤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보조석 뒤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석 뒷면에 형성된 지지부는 경사져 접촉되는 경사프레임; 및
상기 경사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보조석 및 상기 제2 보조석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지지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 수거 작업자들의 승/하차가 보다 용이하여, 작업자들이 짧은 거리를 차량 내부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프레임부와 객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부와 바닥면의 연결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부와 바닥면의 연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객실부와 수거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탄성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조석과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100)은, 객실부(10), 적재부(20) 및 휠(30)을 포함할 수 있다.
객실부(10)는 루프면(18)과 바닥면(17) 그리고 측면부(11, 12)로 이뤄질 수 있다. 측면부(11, 12)는 운전석(103, 도 2 참조)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측면부(11)와 제1 보조석(101, 도 2 참조) 측면으로 위치하는 제2 측면부(12, 도 2 참조)로 이뤄질 수 있다.
제2 측면부(12, 도 2 참조)에는 폴딩도어(19, 도 2 참조)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1)에는 운전석(103)에 탑승할 수 있도록 도어(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a)에는 측면유리(11b)가 위치할 수 있다. 운전자는 쓰레기 수거차량(100)의 이동 및 적재부(20)에 적재된 쓰레기를 압축기 위한 압축장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객실부(10)와 적재부(20) 사이에는 사이드바디(4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바디(40) 내부로 엔진 또는 모터와 같은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객실부(10), 적재부(20) 및 사이드바디(40) 하단으로, 쓰레기 수거차량 메인프레임(110)이 위치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과 적재부(20) 및 객실부(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에는 객실부(10)가 프론트휠(30a) 전단에 위치하게 되어 발생되는 모멘트를 보다 완화하기 위한 제1 탄성부(111) 및 제2 탄성부(7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적재부(20)는 객실부(10) 뒤쪽으로 위치하며 수거된 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재부(20)는 프레임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재부(20)에 적재된 쓰레기들의 부피를 보다 줄일 수 있는 압축장치(미도시)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재부(20) 후방에는 사다리(미도시)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들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높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한 쓰레기를 적재함 안쪽으로 이송하는 레일을 두어 안쪽부터 쓰레기를 쌓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들은 적재부(20) 후방에 위치한 사다리에 매달려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도 있다.
휠(30)은 프론트휠(30a)과 리어휠(30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휠(30a)은 객실부(10) 하단에 위치하며, 리어휠(30b)은 적재부(20)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휠(30a)과 리어휠(30b)은 쓰레기 수거차량(100)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프레임부와 객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객실부(10) 내부에는 탑승공간이 형성되며, 리어플레이트(13), 루프면(18), 바닥면(17),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객실부(10)는 적재부(20) 전단에 위치하며, 내부에 운전자 및 작업자들이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객실부(10)는 전면유리(14) 및 프론트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객실부(10)는 루프면(18)과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및 프론트바디(15)가 연결되어 내부의 탑승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유리(14)는 객실부(10) 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전면유리(14)는 객실부(10) 전면에 위치하며,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유리(14)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A필러 위치를 덮으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객실부(10)에 탑승한 운전자와 작업자의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프론트바디(15)는 제1 측면부(11)와 제2 측면부(12)를 매개로 루프면(18)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공간에 있는 탑승자들은 루프면(18)과 프론트바디(15)로 형성된 공간에서 운전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보다 안전한 운전이 가능하고, 쓰레기 수거 작업자는 동네 주변에 적치되어 있는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객실부(10)는 전체적으로 프론트휠(30a) 보다 돌출되어 있다. 객실부(10)의 좌석은 프론트휠(30a)보다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객실부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객실부(10) 내부에 입상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3)는 객실부(10)와 사이드바디(40)사이에 위치하며, 사이드바디(40)에 위치하는 모터 등의 소음이 객실부(10)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면(17)에는 돌출프레임(16)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프레임(16) 위로 운전석(103)이 연결될 수 있다. 운전석(103) 전면에는 조향장치(50) 및 계기판(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계기판(미도시)은 프론트바디(15)의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기판(미도시)과 프론트바디(15) 사이로 각종 전기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운전석 하부에는 브레이크 및 엑셀과 같은 제동장치 및 조정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적재부(20) 및 객실부(10)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은 바닥면(17)과 제1 탄성부(111)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탄성부(111)는, 탄성판(117)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판(117)은 일측이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판(117)은 중간부분(117c)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판(117)은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117a)과. 메인프레임(110)과 이격된 제2 부분(117b) 및 제1 부분(117a)과 제2 부분(117b)을 연결하는 중간부분(117c)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제2 부분(117b)과 메인프레임(110) 사이에는 제1 스프링(114)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서포트(112)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112)는 메인프레임(110) 측면에서 제1 탄성부(111)의 제2 부분(117b) 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포트(112)에는 서포트바(113)가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바(113)는 탄성판(117)의 제2 부분(117b)의 단부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117b)의 단부는 제2 부분(117b) 내측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바(113)는 만곡면(117d)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112)는 제2 부분(117b) 상면으로 서포트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핀(112a)으로 제1 연결부(116)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석은 제1 보조석(101)과 제2 보조석(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석(101)은 운전석(103)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운전석은 자동차를 전면으로 마주 봤을 때, 우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보조석(101)은 좌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운전석(103)은 객실부(10) 내부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제1 보조석(101)은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운전석(103)과 제1 보조석 (101)사이로 제2 보조석(102)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석(103)과 제2 보조석(102)은 돌출프레임(16)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조석(101)은 제2 보조석(102) 및 운전석(103)보다 객실부(10) 리어플레이트(13)와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석(101) 전단의 바닥면(17a)에는 제1 입상공간(S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상공간(Sa)로 폴딩도어(19)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입상공간(Sa)
제1 측면부(11)는 운전석(103) 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1)에는 도어(11a) 측면유리(11b)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1)는 리어플레이트(13)와 프론트바디(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측면부(11)는 좌측하단에 프론트휠(30a)이 위치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부분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2)는 제1 보조석(101) 측면으로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제1 측면부(11)와 외형이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2 측면부(12)에는 폴딩도어(19)가 연결되는 도어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부(12a)는 프론트바디(15)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부(12a)는 리어플레이트(13)와 이격되어 제1 보조석(101)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부(12a)는 리어플레이트(13)와 이격되어 제1 보조석(101)의 우측에 형성되어 제2 측면부(12) 내부에 폴딩도어(19)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바닥면(17)과 루프면(18) 사이로 입상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면(17)과 루프면(18) 사이의 높이는 약 1.8M ~ 2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면(17)과 루프면(18) 사이로 입상공간(S)이 형성되며, 작업자는 객실부(10) 내부에서 서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폴딩도어(19)가 전면유리(14)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전면유리(14)는 프론트바디(15),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전면유리는 제1 측면부(11)로부터 시작하여 제2 측면부(12)로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유리(14)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5)는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론트바디(15)는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 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계기판(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즉, 프론트바디(15)는 제1 측면부(11)와 연결되는 제1 측부(15a)와 제2 측면부(12)와 연결되는 제2 측부(15b)를 포함하고, 제1 측부(15a) 및 제2 측부(15b)와 연결되는 전면부(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15a) 및 제2 측부(15b)와 전면부(15c)는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범퍼(15d)는 프론트바디(15)의 전면부(15c)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범퍼(15d)를 통해, 객실부(10)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폴딩도어(19)는 제2 측면부(12)의 도어부(12a)에 연결될 수 있다. 폴딩도어(19)는 제1 도어(19a)와 제2 도어(1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19a)가 도어부(12a)에 연결되며, 제1 도어(19a)와 제2 도어(19b)는 힌지 등의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도어(19)는 객실부(10) 내부를 향해 폴딩될 수 있다.
전면유리(14)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유리(14)는 루프면(18), 프론트바디(15),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5)의 전면부(15c)는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로부터 제1 측부(15a) 및 제2 측부(15b)의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루프면(18)은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와 프론트바디(15)의 전면부(15c) 사이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면유리(14)는 프론트바디(15) 전면부(15c)에서 루프면(18)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면유리(14)는 경사지게 부착될 수 있다. 전면유리(14)는 프론트바디(15)의 제1 측부(15a) 및 제2 측부(15b)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면유리(14)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실부(10) 탑승자들은 제1 측부(15a) 및 제2 측부(15b)에도 전면유리(14)가 위치하게 되어 보다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일반차량의 A 필러 위치에 전면유리(14)가 형성되므로, 보다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부와 바닥면의 연결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부와 바닥면의 연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메인프레임(110)은 객실부(10) 하부에 위치하며, 객실부(10)와 제1 탄성부(111)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탄성부는, 탄성판(117), 제1 서포트(112) 및 제1 스프링(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11)는 객실부(10) 하부와 메인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탄성판(117)은 제1 부분(117a), 제2 부분(117b) 및 중간부분(117c)으로 이뤄져 있으며, 제1 부분(117a)은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제2 부분(117b)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 부분(117b)과 메인프레임(110) 사이에 제1 스프링(114)이 위치하며, 도로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 측면으로 제1 서포트(112)가 연결되며, 제1 서포트(112)는 탄성판(117)의 제2 부분(117b)보다 객실부(10)의 바닥면(17)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서포트바(113)는 제1 서포트(112) 및 제2 부분(117b)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분(117b)의 단부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트바(113)는 제2 부분(117b) 단부의 만곡면(117d)에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촉면적을 넓혀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포트바(113)는 양측으로 형성된 제1 서포트(112) 및 탄성판(117)을 서로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서포트(112)는 객실부(10) 바닥면(17)에 연결되는 바닥지지부(115)와 제1 연결부(116)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닥지지부(115)는, 바닥면(17)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지지부(115)는 내부에 공간을 두고 바닥면(17)과 연결되며, 바닥면(17)과 연결되는 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6)는 바닥지지부(115)와 면으로 접촉되며 연결되고, 제1 서포트(112)의 서포트핀(112a)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객실부와 수거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탄성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프론트휠(30a)은 객실부(10)와 사이드바디(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객실부(10)의 바닥면(17)은 프론트휠(30a)의 중심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바닥면(17)은 수평하게 형성되며, 일부분에 돌출프레임(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면으로부터 도로면(B)에 이르는 높이는 프론트휠(30a)의 중심에서 도로면(B)에 이르는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객실부(10)에 승/하차할 수 있으며, 바닥면(17)과 루프면(18) 사이의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제1 보조석(101) 전단의 바닥면(17a)에는 제1 입상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12a)는 제1 보조석 우측에 형성되고, 바닥면(17)은 프론트휠(30a)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바닥면(17)에서 루프면(18)까지의 높이는 약 1.8m ~ 2m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보조석(101)에 착석하지 않고, 제1 보조석(101) 전단에 서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보조석(102) 전단의 바닥면(17b)에는 제2 입상공간(S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보조석(102)과 프론트바디(15) 내측 사이에는 바닥면(17)이 이어져 바닥면(17)과 루프면(18) 사이로 형성된 제2 입상공간(S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상공간(Sb)은 제1 입상공간(Sa)과 연결되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입상공간(Sa)은 제2 입상공간(Sb)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입상공간(Sa)에 폴딩도어(19)의 이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사이드바디(40)는 적재부(20)와 객실부(10) 사이에 위치하며, 메인프레임(110)과 제2 탄성부(7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부(70)는 전면으로 돌출된 객실부(10)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지턱 등을 넘게 되면, 객실부(10)가 상하로 크게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된 제1 탄성부(111)와 제2 탄성부(70)는 메인프레임(110)에 객실부(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하면서도 객실부(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객실부(10)가 메인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전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 탄성부(70)는, 제2 서포트(71) 및 지지플레이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포트(71)는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로 서로 이격된 메인프레임(110)에 제2 서포트(71)는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포트(71)의 상면에는 보호핀(71a)이 돌출될 수 있다. 보호핀(71a)은 제2 서포트(71) 양측으로 돌출되며, 제2 서포트(71)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73)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특히, 제2 서포트(71)와 지지플레이트(7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스프링(72)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전면으로 돌출된 객실부(1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73)는 상면에 제2 연결부(73a, 73b, 73c)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연결부(73a, 73b, 73c)는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73b)는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2 연결부(73a, 73c)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제2 연결부(73a, 73b, 73c)는 사이드바디(40)에 용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면으로 돌출된 객실부(10)가 기울어지면서 사이드바디(40)를 통해 전달되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제2 스프링(7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장력과 압축력은 제2 서포트(71)로 전달되며, 메인프레임(110)에서 이를 견디게 된다. 지지플레이트(73)는 양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조석과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객실부(10)는 제1 보조석(101) 및 제2 보조석(102) 뒤에 보조석에 착석한 작업자들을 지탱하는 지지프레임(60)이 형성되어 있다. 이‹š, 지지프레임(60)는 제1 보조석(101) 및 제2 보조석(102)의 뒷면에 경사져 접촉되는 경사프레임(61)과 경사프레임(61)과 연결되며, 제1 보조석(101) 및 제2 보조석(102)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프레임(62)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프레임(60)은 제1 보조석(101)의 제1 지지부(60a)가 제2 보조석(102)의 제2 지지부(60b)보다 리어플레이트(13)와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60)은 안전벨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어플레이트(13)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제1 보조석(101) 및 제2 보조석(102)이 뒤로 넘어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착석한 작업자를 시트와 차량에 고정시켜주는 안전벨트가 형성되어 차량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를 줄일 수 있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쓰레기 수거차량 110: 메인프레임
111: 제1 탄성부 117: 탄성판
117a: 제1 부분 117b: 제2 부분
117c: 중간부분 117d: 만곡면
112: 제1 서포트 112a: 서포트핀
113: 서포트바 114: 제1 스프링
115: 바닥지지부 116: 제1 연결부
10: 객실부
11: 제1 측면부 11a: 도어
11b: 측면유리
12: 제2 측면부 12a: 도어부
101: 제1 보조석 102: 제2 보조석
103: 운전석 13: 리어플레이트
14: 전면유리 15: 프론트바디
15a: 제1 측부 15b: 제2 측부
15c: 전면부 15e: 프론트범퍼
16: 돌출프레임 17: 바닥면
18: 루프면 19: 폴딩도어
19a: 제1 도어 19b: 제2 도어
20: 적재부 30: 휠
30a: 프론트휠 30b: 리어휠
40: 사이드바디 60: 지지프레임
60a: 제1 지지부 60b: 제2 지지부
61: 경사프레임 62: 수직프레임
50: 조향장치 70: 제2 탄성부
71: 제2 서포트 71a: 보호핀
72: 제2 스프링 73: 지지플레이트
73a, 73b, 73c: 제2 연결부
S: 입상공간
Sa: 제1 입상공간 Sb: 제2 입상공간
B: 도로

Claims (9)

  1. 쓰레기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전단에 위치하고, 내부에 운전석과 복수개의 보조석이 위치하며, 상기 보조석 전단에 위치하는 입상공간이 형성되는 객실부;
    상기 적재부와 상기 객실부 하단에 위치하는 리어휠;
    상기 리어휠의 전방에 상기 리어휠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론트휠;
    상기 객실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객실부와 복수개의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안착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 단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중간부분 및 상기 중간부분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만곡면이 형성된 제2 부분을 갖는 탄성판;
    일단부가 상기 제2 부분 하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상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객실부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만곡면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상기 탄성판을 연결하는 서포트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일측은 상기 서포트바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단에는 연장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부분 상면에 위치하는 서포트핀을 갖는 제1 서포트;
    상기 객실부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바닥지지부;
    상단은 상기 바닥지지부에 면으로 접촉하여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서포트핀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적재부와 상기 객실부 사이에 연결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제2 서포트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서포트의 상부에 제2 스프링이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실부에는,
    양측의 A필러를 덮으면서, 전면에 부착되고, 양측면이 만곡지게 형성된 전면유리를 포함하는 쓰레기 수거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부는,
    상기 입상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프론트휠의 중심보다 낮게 형성된 쓰레기 수거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석은,
    상기 운전석과 이격된 제1 보조석; 및
    상기 운전석과 상기 제1 보조석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보조석을 포함하는 쓰레기 수거차량.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부는,
    상기 제1 보조석 전단에 제1 입상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석 전단에 제2 입상공간이 형성된 쓰레기 수거차량.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보조석은,
    상기 프론트휠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쓰레기 수거차량.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부는,
    상기 보조석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유리를 향하여 접히는 폴딩도어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수거차량.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부는,
    상기 제1 보조석 뒤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보조석 뒤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쓰레기 수거차량.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석 뒷면에 형성된 지지부는 경사져 접촉되는 경사프레임; 및
    상기 경사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보조석 및 상기 제2 보조석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지지부을 포함하는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180171176A 2018-12-27 2018-12-27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7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76A KR102277961B1 (ko) 2018-12-27 2018-12-27 쓰레기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76A KR102277961B1 (ko) 2018-12-27 2018-12-27 쓰레기 수거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67A KR20200081067A (ko) 2020-07-07
KR102277961B1 true KR102277961B1 (ko) 2021-07-15

Family

ID=7160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176A KR102277961B1 (ko) 2018-12-27 2018-12-27 쓰레기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9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013A (ja) * 2005-12-08 2007-06-21 Heiwa Kikai Kk 消防用車両の車両ヘッド部の構造
JP2011000956A (ja) * 2009-06-18 2011-01-06 Mazda Motor Corp 車両の下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258B1 (ko) * 2004-05-13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캡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013A (ja) * 2005-12-08 2007-06-21 Heiwa Kikai Kk 消防用車両の車両ヘッド部の構造
JP2011000956A (ja) * 2009-06-18 2011-01-06 Mazda Motor Corp 車両の下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67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3348C (zh) 车辆端部构造
WO2013187112A1 (ja) 車体後部構造
KR102440606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EP1723020B1 (en) Deformable frame for a vehicle cabin
CN109204513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1052559A (zh) 用于车辆驾驶室的装置
JP4599017B2 (ja) 重なり合いを防止する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自動車
JP2021075089A (ja) 車両下部構造
KR102277961B1 (ko) 쓰레기 수거차량
KR20220086891A (ko) 차체 결합 구조
CN109204518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13183992B (zh) 一种机车司机室装置及车体
CN112141215B (zh) 车辆的框架
KR20110058181A (ko) 차량 엔진룸 대쉬 패널의 보강구조
CN210235101U (zh) 电动车的车体前部结构
JP2018108787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保護装置
KR20220085231A (ko) 후방 차체 구조
CN109204514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38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68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37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66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03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25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87B (zh) 车身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