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872B1 - 대차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872B1
KR102277872B1 KR1020190153953A KR20190153953A KR102277872B1 KR 102277872 B1 KR102277872 B1 KR 102277872B1 KR 1020190153953 A KR1020190153953 A KR 1020190153953A KR 20190153953 A KR20190153953 A KR 20190153953A KR 102277872 B1 KR102277872 B1 KR 10227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light
bogie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338A (ko
Inventor
홍순호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8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 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와, 레일에 부착되고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 그리고 포토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대차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대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대차를 식별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차 식별 장치 {Carrier vehicle 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대차 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와, 레일에 부착되고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 그리고 포토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통하여 각각의 대차를 식별함으로써, 대차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대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대차를 식별 가능토록 하는 대차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창고에서 소정 화물의 입출고 시에는 루프 형태 또는 직선 형태의 레일 상에서 대차가 주행하면서 레일을 따라 배치되는 각각의 컨베이어에 화물을 이재 또는 적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대차 운영 시스템이 적용되어 운영된다.
이와 같은 대차 운영 시스템의 한 종류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대차가 레일 상을 주행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대차가 레일 상을 주행하는 방식에는 각각의 대차 하부에 모터 코일이 부착되고 레일에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방식과, 각각의 대차 하부에 영구자석이 부착되고 레일에 모터 코일이 배치되는 무빙 마그넷타입 리니어 모터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모터 코일에는 모터 드라이브가 연결되고 전원이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수의 대차를 운행하거나, 또는 장거리 레일이나 곡선 레일 및 루프 레일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대차의 주행으로 인한 케이블의 마모 및 이로 인한 단선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다수의 대차를 운행하거나, 장거리 레일, 곡선 레일, 및 루프 레일이 적용된 대차 운영 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에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케이블 연결이 필요 없는 무빙 마그넷타입 리니어 모터 방식이 적용된다. 하지만 무빙 마그넷타입 리니어 모터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하는 대차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며, 대차 내부에는 제어기 또는 통신장치 등을 탑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전원투입 또는 초기화 이후 대차의 위치만 확인 가능할 뿐 대차의 호기번호를 식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6887호 (2014.06.03)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각각의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와, 레일에 부착되고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 그리고 포토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통하여 각각의 대차를 식별함으로써, 대차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대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를 식별 가능토록 하는 대차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포토센서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형성되고 플레이트 도그에는 대차가 레일 상에서 운행될 때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광축 영역이 형성되며, 광축 영역에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 또는 통과시키는 통과부가 배치되는 식별 영역이 형성되고, 식별 영역에 배치되는 통과부와 차단부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인 식별조합이 대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식별부가 수광부에서의 빛의 수신 여부, 수신 시간 및 미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식별조합을 판단하여 대차를 식별함으로써, 비교적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대차에 대한 식별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차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도그에 각각의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 가능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준수단이 구비되고, 기준수단이 각각의 식별 영역의 중심 위치를 판단 가능토록 함으로써 대차에 대한 신뢰도 높은 식별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차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는, 하부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복수개의 대차가 모터 코일이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레일 상에서 운영되는 무빙 마그넷 타입 리니어 모터 방식의 대차 운영 시스템에서 각각의 대차를 식별하는 대차 식별 장치로, 각각의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와, 레일에 부착되고,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 그리고 포토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포함한다.
이때, 포토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와,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하고, 플레이트 도그는 대차가 레일 상에서 운행될 때 제1 발광부와 제1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1 광축 영역이 형성되며, 제1 광축 영역 상에서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도그의 식별 영역에는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는 통과부 또는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시키도록 형성되는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전체의 식별 영역에 배치되는 통과부와 차단부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인 식별조합은 부착된 대차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에는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제1 수광부에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수신 정보와, 수신 시간 정보 및 미수신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식별부는 수신 정보, 수신 시간 정보 및 미수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조합을 판단하는 조합 판단부와, 조합 판단부에서 판단된 식별조합에 기초하여 대차의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식별번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번호 생성부는 통과부와 차단부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을 0과 1의 조합으로 치환하여 이진수의 식별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도그는 각각의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 가능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는 상기 제1 발광부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수광부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제2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2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플레이트 도그는 대차가 레일 상에서 운행될 때 제2 발광부와 제2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광축 영역이 형성되며, 기준수단은 제2 광축 영역 상에서 제2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영역은 짝수개 형성되고, 기준홀은 식별 영역 개수 대비 절반의 개수로 형성되며,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기준홀의 시작단과 끝단은 각각 어느 하나의 식별 영역의 중심부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포토센서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에는 제2 수광부의 빛 수신여부에 대한 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조합 판단부는 각각의 전환 시점에서의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도그는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축 영역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측정 영역과, 간격측정 영역 및 식별 영역 사이에서 인접 배치되고 관통 형성되는 블랭크 영역이 형성되고, 조합 판단부는 식별 영역에 의해 제1 수광부에 빛이 미수신된 기준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식별 영역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간격측정 영역 및 블랭크 영역은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식별 영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조합 판단부는 블랭크 영역이 감지되고 기준 시간 대비 1.5배의 시간이 경과한 제1 시점에서의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와, 제1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한 시점마다의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식별 영역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간격측정 영역은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식별 영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블랭크 영역은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식별 영역 대비 절반의 길이로 형성되고, 조합 판단부는 블랭크 영역이 감지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한 시점마다의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와, 레일에 부착되고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 그리고 포토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통하여 각각의 대차를 식별함으로써, 대차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대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토센서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형성되고 플레이트 도그에는 대차가 레일 상에서 운행될 때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광축 영역이 형성되며, 광축 영역에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 또는 통과시키는 통과부가 배치되는 식별 영역이 형성되고, 식별 영역에 배치되는 통과부와 차단부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인 식별조합이 대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식별부가 수광부에서의 빛의 수신 여부, 수신 시간 및 미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식별조합을 판단하여 대차를 식별함으로써, 비교적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대차에 대한 식별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 도그에 각각의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 가능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준수단이 구비되고, 기준수단이 각각의 식별 영역의 중심 위치를 판단 가능토록 함으로써 대차에 대한 신뢰도 높은 식별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가 적용되는 무빙 마그넷타입 리니어 모터방식의 대차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와 포토센서가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와 포토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대차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와 포토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대차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와 포토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와 포토센서(200)가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와 포토센서(200)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로부터 대차(20)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는, 하부에 영구자석(21)이 부착된 복수개의 대차(20)가 모터 코일(31)이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레일(30) 상에서 운영되는 무빙 마그넷 타입 리니어 모터 방식의 대차 운영 시스템에서 각각의 대차를 식별하는 대차 식별 장치(10)이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10)는 각각의 대차(20)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100)와, 레일(30)에 부착되고, 플레이트 도그(100)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200), 그리고 포토센서(200)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포토센서(200)는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210)와,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1 수광부(220)를 포함하고, 플레이트 도그(100)는 대차(20)가 레일(30) 상에서 운행될 때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를 통과하는 제1 광축 영역(OA1)이 형성되며, 제1 광축 영역(OA1) 상에서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영역(IS)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도그의 식별 영역(IS)에는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는 통과부(110) 또는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시키도록 형성되는 차단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전체의 식별 영역(IS)에 배치되는 통과부(110)와 차단부(120)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인 식별조합은 부착된 대차(20)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각각의 대차(20)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100)에는 대차(20)가 레일(30) 상에서 운행될 때 포토센서(200)의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를 통과하는 제1 광축 영역(OA1)이 형성되고, 제1 광축 영역(OA1)에는 복수개의 식별 영역(IS)이 형성된다. 각 식별 영역(IS)은 제1 광축 영역(OA1)이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를 통과할 때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하여 제1 수광부(220)로 수신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통과부(110)가 형성되거나, 또는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차단되어 제1 수광부(220)로 수신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120)가 형성되는데, 이때 전체 식별 영역(IS)에 각각 배치 형성되는 통과부(110)와 차단부(120)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인 식별조합은 플레이트 도그(100)가 부착되는 대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각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100)는 고유의 식별조합을 갖는다.
그리고 포토센서(20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이 제1 수광부(220)로 수신되도록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포토센서(200)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에는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이 제1 수광부(22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수신 정보와, 수신 시간 정보 및 미수신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즉, 감지정보는 제1 수광부(220)로 언제 빛이 수신되었고 언제 빛이 수신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식별부(300)는 수신 정보, 수신 시간 정보 및 미수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조합을 판단하는 조합 판단부(310)와, 조합 판단부(310)에서 판단된 식별조합에 기초하여 대차(20)의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식별번호 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플레이트 도그는 각각의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 가능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준수단(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포토센서(200)는 제1 발광부(210)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부(230)와, 제1 수광부(220)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제2 발광부(230)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2 수광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발광부(230)와 제2 수광부(240)는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처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제2 발광부(230) 및 제2 수광부(240)는 제1 발광부(210) 및 제1 수광부(22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플레이트 도그(100)는 대차(20)가 레일(30) 상에서 운행될 때 제2 발광부(230)와 제2 수광부(240)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광축 영역(OA2)이 형성되며, 기준수단(130)은 제2 광축 영역(OA2) 상에서 제2 발광부(230)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영역(IS)은 짝수개 형성되고, 기준홀(131)은 식별 영역(IS) 개수 대비 절반의 개수로 형성되며, 대차(2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기준홀(131)의 시작단과 끝단은 각각 어느 하나의 식별 영역의 중심부(HP)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포토센서(200)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에는 제2 수광부(240)의 빛 수신여부에 대한 전환 시점(PC1,PC2)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조합 판단부는 각각의 전환 시점(PC1,PC2)에서의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에는 두 개의 광축 영역(OA1,OA2)이 형성된다. 제2 광축 영역(OA2)은 제2 발광부(230)와 제2 수광부(240) 사이를 통과하는 영역으로 복수개의 기준홀(131)이 형성된다. 이때 형성되는 기준홀(131)의 개수는 식별 영역(IS)의 개수 대비 절반의 개수로 도 4와 같이 식별 영역(IS)이 8개인 경우 4개의 기준홀(131)이 형성된다. 기준홀(131)의 시작단과 끝단은 각각 어느 하나의 식별 영역의 중심부(HP)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된다. 즉, 기준홀(131)의 시작단 또는 끝단이 제2 발광부(230)와 제2 수광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시점에서 어느 하나의 식별 영역의 중심부(HP)가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기준홀(131)의 시작단이 제2 발광부(230)와 제2 수광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시점에서 제2 수광부(240)에서는 빛이 수신되지 않다 수신되기 시작하는 전환 시점(PC1)이 되고, 기준홀(131)의 끝단이 제2 발광부(230)와 제2 수광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시점에서 제2 수광부(240)에서는 빛이 수신되다 수신되지 않은 전환 시점(PC2)이 된다. 그리고 상술한바와 같이 각각의 전환 시점(PC1,PC2)이 각 식별 영역의 중심부(HP)가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시점이므로 조합 판단부(310)는 각각의 전환 시점(PC1,PC2)에서의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를 통해 각 식별 영역(IS)에 통과부(110)가 배치되었는지 또는 차단부(120)가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 생성부(320)는 통과부(110)와 차단부(120)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을 0과 1의 조합으로 치환하여 이진수의 식별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번호 생성부(320)는 조합 판단부(310)에서 판단된 식별조합을 통해 식별 영역(IS)의 개수와 동일한 자릿수의 이진수를 생성함으로써 대차번호를 판단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광부(220)에 빛이 수신되어 통과부(110)가 배치되었다고 판단되는 식별 영역(IS)은 1로, 제1 수광부(220)에 빛이 수신되지 않아 차단부(120)가 배치되었다고 판단되는 식별 영역(IS)은 0으로 치환하여 이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식별 영역(IS)의 자릿수 배치는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를 통과한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와 포토센서(200)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로부터 대차(20)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10)는 제2 발광부(230) 및 제2 수광부(24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각 식별 영역의 중심부(HP)를 판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에는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축 영역(OA1)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제1 발광부(210)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측정 영역(132)과, 간격측정 영역(132) 및 식별 영역(IS) 사이에서 인접 배치되고 관통 형성되는 블랭크 영역(1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합 판단부(310)는 식별 영역(IS)에 의해 제1 수광부(220)에 빛이 미수신된 기준 시간(T1)에 기초하여 각각의 식별 영역(IS)의 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식별 영역(IS)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간격측정 영역(132) 및 블랭크 영역(133)은 대차(2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식별 영역과 동일한 길이(T1)로 형성되며, 조합 판단부(310)는 블랭크 영역(133)이 감지되고 기준 시간(T1) 대비 1.5배의 시간이 경과한 제1 시점에서의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와, 제1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T1)이 경과한 시점마다의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간격측정 영역(132), 블랭크 영역(133) 및 각 식별 영역(IS)은 모두 동일한 길이(T1)로 형성되고, 간격측정 영역(132)은 제1 광축 영역(OA1)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이후 블랭크 영역(133) 및 각 식별 영역(IS)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간격측정 영역(132), 블랭크 영역(133) 및 각 식별 영역(IS)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에 연속하도록 인접 형성된다. 조합 판단부(310)는 감지정보를 통해 임계 시간 이상 연속하여 제1 수광부(220)에 빛이 수신되다가 소정 시간 동안 빛이 수신되지 않으면 빛이 수신되지 않은 소정 시간에 간격측정 영역(132)이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220) 사이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시간을 기준 시간(T1)으로 설정한다. 이때 임계 시간 이상 연속하여 제1 수광부(220)에 빛이 수신되면 기준 시간(T1)의 설정 값은 초기화 된다. 그리고 조합 판단부(310)는 소정 시간 빛이 수신되지 않다 다시 수신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블랭크 영역(133)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T1)의 1.5배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첫 번째 식별 영역의 중심부(HP)가 제1 발광부(210)와 제1 수광부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시점에서의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시간(T1)의 1.5배의 시간은 블랭크 영역이 통과하는 시간(T1)과 첫 번째 식별 영역(IS)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중심부(HP)가 배치될 때까지 시간(T2)를 합산한 시간이다. 그리고 이후 다음 식별 영역의 중심부(HP)가 배치되기까지의 시간인 기준 시간(T1) 마다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측정 영역(132)과 블랭크 영역(133)을 통해 각 식별 영역(IS)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도 식별번호 생성부(320)는 조합 판단부(310)를 통해 판단된 식별조합에 기초하여 이진수의 식별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도그(100)와 포토센서(200)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식별 장치(10)와 동일하게 간격측정 영역(132)과 블랭크 영역(133)을 이용하여 식별 영역(IS)의 위치를 판단하지만, 블랭크 영역의 길이(T2)가 간격측정 영역과 각 식별 영역의 길이(T1) 대비 절반의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블랭크 영역(133)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길이(T1) 마다 첫 번째 식별 영역(IS)을 포함하는 각 식별 영역의 중심부(HP) 가 위치하도록 한다.
즉, 각각의 식별 영역(IS)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간격측정 영역(132)은 대차(2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식별 영역(IS)과 동일한 길이(T1)로 형성되며, 블랭크 영역(133)은 대차(2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식별 영역(IS) 대비 절반의 길이(T2)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조합 판단부(310)는 블랭크 영역(133)이 감지되고 기준 시간(T1)이 경과한 시점마다의 제1 수광부(220)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식별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대차 식별 장치
20: 대차 21: 영구자석
30: 레일 31: 모터 코일
100: 플레이트 도그 110: 통과부
120: 차단부 130: 기준수단
131: 기준홀 132: 간격측정 영역
133: 블랭크 영역 200: 포토센서
210: 제1 발광부 220: 제1 발광부
230: 제2 수광부 240: 제2 수광부
300: 식별부 310: 조합 판단부
320: 식별번호 생성부
HP: 중심부 IS: 식별 영역
OA1: 제1 광축 영역 OA2: 제2 광축 영역
PC1: 제1 전환 시점 PC2: 제2 전환 시점

Claims (11)

  1. 하부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복수개의 대차가 모터 코일이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레일 상에서 운영되는 무빙 마그넷 타입 리니어 모터 방식의 대차 운영 시스템에서 각각의 상기 대차를 식별하는 대차 식별 장치로,
    각각의 상기 대차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도그;
    상기 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 도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차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도그는 상기 대차가 상기 레일 상에서 운행될 때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1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1 광축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광축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도그는 각각의 상기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 가능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도그의 상기 식별 영역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는 통과부 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시키도록 형성되는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전체의 상기 식별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통과부와 상기 차단부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인 식별조합은 부착된 상기 대차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에서 생성되는 상기 감지정보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1 수광부에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수신 정보와, 수신 시간 정보 및 미수신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수신 정보, 수신 시간 정보 및 미수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조합을 판단하는 조합 판단부; 및
    상기 조합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식별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대차의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식별번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번호 생성부는 상기 통과부와 상기 차단부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을 0과 1의 개수와 위치의 조합으로 치환하여 이진수의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는
    상기 제1 발광부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2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도그는 상기 대차가 상기 레일 상에서 운행될 때 상기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광축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수단은 상기 제2 광축 영역 상에서 상기 제2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영역은 짝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준홀은 상기 식별 영역 개수 대비 절반의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홀의 시작단과 끝단은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 영역의 중심부와 동일 세로축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포토센서에서 생성되는 상기 감지정보에는 상기 제2 수광부의 빛 수신여부에 대한 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조합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전환 시점에서의 상기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조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도그는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축 영역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측정 영역과, 상기 간격측정 영역 및 상기 식별 영역 사이에서 인접 배치되고 관통 형성되는 블랭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조합 판단부는 상기 식별 영역에 의해 상기 제1 수광부에 빛이 미수신된 기준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식별 영역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식별 영역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간격측정 영역 및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 영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조합 판단부는 상기 블랭크 영역이 감지되고 상기 기준 시간 대비 1.5배의 시간이 경과한 제1 시점에서의 상기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한 시점마다의 상기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조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식별 영역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간격측정 영역은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 영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 영역 대비 절반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조합 판단부는 상기 블랭크 영역이 감지되고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시점마다의 상기 제1 수광부의 빛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조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식별 장치.
KR1020190153953A 2019-11-27 2019-11-27 대차 식별 장치 KR10227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53A KR102277872B1 (ko) 2019-11-27 2019-11-27 대차 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53A KR102277872B1 (ko) 2019-11-27 2019-11-27 대차 식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38A KR20210065338A (ko) 2021-06-04
KR102277872B1 true KR102277872B1 (ko) 2021-07-15

Family

ID=7639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953A KR102277872B1 (ko) 2019-11-27 2019-11-27 대차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48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물체 식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565B1 (ko) * 2021-06-17 2023-06-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소터의 캐리어 위치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885A (ko) * 1997-12-01 1999-07-05 유무성 위치 검출 장치
KR20040005114A (ko) * 2002-07-08 200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레트 사양 감지 장치
KR20120019298A (ko) *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져스텍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는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66887A (ko) 2012-11-23 2014-06-0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48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물체 식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38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872B1 (ko) 대차 식별 장치
EP3457559B1 (en) Method and system to characterize loads in a linear synchronous motor system
CN100431888C (zh) 位于轨道行走车辆的导轨上的用于控制站台门的装置
KR102386619B1 (ko) 분류 기계
US20070192000A1 (en) Device for the generation of reliable status of a vehicle that is movable along a given oath of travel
KR101979522B1 (ko)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CN110475737A (zh) 包括多个具有标识符的电梯轿厢的电梯系统和用于运行这种类型的电梯系统的方法
EP1396412A1 (en) Vehicle detection system, in particular for trains
CN106132864A (zh) 用于确定无绳电梯系统中磁性部件的磁场取向的系统和方法
KR102285295B1 (ko) 이송 대차의 주행 시스템
JP2018114790A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鉄道制御システム
KR101841597B1 (ko) 반송차 시스템과 반송차 시스템의 검사 방법, 및 검사 대차
CN105431342A (zh) 用于监控被引导车辆的正确复轨的方法和设备
US20210032077A1 (en) Position-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for ascertaining a car position of an elevator car
WO2017158736A1 (ja) かご位置検出装置
JP2009225494A (ja) 磁気浮上式鉄道の地上コイル異状検知センサ用電源装置
JP6491948B2 (ja) 電気車位置検知システム
CN104833356A (zh) 一种便于铺设的抗干扰型机器人引导磁条轨道
KR101834859B1 (ko) 이동체의 이동속도 및 위치 연산기능검증을 위한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1623805B1 (ko) Rfid시스템을 이용한 검수고내 철도차량 전,후두부 방향전환, 위치, 편성형태 및 진행방향 감지 시스템
US11211831B2 (en) System having primary conductor sections supplied with alternating current by respective feed-in devices, and having at least one mobile part including a frequency-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KR101708915B1 (ko)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JP4149390B2 (ja) 移動ロボットを用いた製品品質評価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CN104678228A (zh) 感应环线测试车
KR102301184B1 (ko) 단계적 정보 표현이 가능한 다중 광원 주사 및 검출을 이용한 고속 상대위치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