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915B1 -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915B1
KR101708915B1 KR1020160131260A KR20160131260A KR101708915B1 KR 101708915 B1 KR101708915 B1 KR 101708915B1 KR 1020160131260 A KR1020160131260 A KR 1020160131260A KR 20160131260 A KR20160131260 A KR 20160131260A KR 101708915 B1 KR101708915 B1 KR 10170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or
train
automatic switching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이재두
서종원
최대식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아이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아이엔테크 filed Critical (주)씨에스아이엔테크
Priority to KR102016013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61L23/16Track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ection b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61L1/18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차가 주행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고유 식별번호인 제1 식별번호를 갖는 제1 인디케이터와,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열차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되 고유 식별번호인 제2 식별번호를 갖는 제2 인디케이터;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되고 제1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제1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부와, 열차의 후부차에 형성되고 제2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부; 그리고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되고 제1 감지부로부터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제2 감지부로부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열차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제1 자동절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열차 내 기관사가 열차의 절연구간 진입을 감지하여 수동으로 직류 스위칭 절환을 수행할 때 필요한 인력 및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 및 단일 개의 감지부를 구비하였을 때보다 절연구간 감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AUTOMATIC POWER SWITCHIGN SYSTEM IN DEAD SECTION}
본 발명은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일을 주행하는 열차가 절연구간(폐색구간, dead section)에 진입했을 때 열차의 공급전원을 교류에서 직류로 절환하고, 해당 열차가 절연구간을 벗어났을 때 열차의 공급전원을 직류에서 교류로 절환한다.
이때, 열차가 절연구간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기술로서, ATS(automaau Train Stop) 장치로부터 68kHz 신호를 수신하여 알림음을 출력함에 따라 기관사가 해당 열차가 절연구간에 진입했음을 감지하고, ADS(AC/DC change-over Switch)를 수동 절환하여 열차에 인가되는 전원을 교류에서 직류로 스위칭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기관사가 알림음을 인지하여 수동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인적 자원이 필요하다는 한계와 인적 오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열차의 절연구간 진입의 자동감지 및 직류 스위칭 절환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8792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차가 절연구간에 진입 또는 벗어남에 따라 열차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또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자동 절환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은 절연구간에 인접하는 위치에 열차가 주행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고유 식별번호인 제1 식별번호를 갖는 제1 인디케이터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열차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되 고유 식별번호인 제2 식별번호를 갖는 제2 인디케이터; 상기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열차의 후부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부; 그리고 상기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열차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제1 자동절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에서,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상기 열차가 주행하는 레일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RFID 리더이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RFID 태그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RFI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감지부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2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달받은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차의 후부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에 전달하는 제2 자동절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절환장치와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1 식별번호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수신되고, 동시에 상기 제2 식별번호가 제2 감지부에서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1 식별번호에 대한 상기 열차의 위치와 상기 제2 식별번호에 대한 상기 열차의 위치를 각각 대응시켜 정보로서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1 식별번호 및 상기 제2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에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구간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3 식별번호를 고유 식별번호로 갖는 제3 인디케이터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제3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3 식별번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열차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는 제1 및 제2 절연구간 인디케이터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여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된 차상장치로 통신결과를 전송하고, 차상장치에 위치하는 제어부에서는 전달받은 통신결과를 판단하여 열차에 공급전원을 교류에서 직류로, 또는 직류에서 교류로 절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열차 내 기관사가 열차의 절연구간 진입여부를 감지하여 수동으로 직류 스위칭 절환을 수행할 때 필요한 인력 및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절연구간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감지부를 복수 개 형성함에 따라, 단일 개의 감지부를 구비하였을 때보다 절연구간 감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에서 제1 자동절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레일을 주행하는 열차(10)의 선두차(11)에 형성된 제1 감지부(21), 열차(10)의 후부차(12)에 형성된 제2 감지부(22), 선두차(11)에 형성된 제1 자동절환장치(110), 후부차(12)에 형성된 제2 자동절환장치(120), 그리고 레일(300)에 형성된 제1 인디케이터(310) 및 제2 인디케이터(320)를 포함한다.
이때, 레일(300)을 따라 주행하는 열차(10)는 절연구간(1)에 진입하면 열차(10)에 인가 중인 교류 전원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절연구간(1) 감지를 위한 지표로서 제1 인디케이터(indicator)(310) 및 제2 인디케이터(320)를 레일(300)의 주변에 배치된다.
한 예에서, 제1 인디케이터(310)는 제1 감지부(21)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인디케이터(310)는 제1 감지부(21)와 무선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자신이 갖고 있는 식별번호를 제1 감지부(21)로 전달한다.
한 예로써, 제1 인디케이터(310)가 갖고 있는 식별번호는 제1 인디케이터(310)에 부여된 일련번호일 수 있으나, 다른 한 예로써, 제1 인디케이터(310)에 특별히 부여된 제품번호 또는 코드일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때, 제1 인디케이터(310)가 제1 감지부(21)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식별번호를 제1 감지부(21)로 전달하기 위해서, 제1 인디케이터(310)와 제1 감지부(21)는 동일한 무선통신 규격이 적용된다.
한 예에서, 제1 인디케이터(310)와 제1 감지부(21)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규격을 적용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제1 인디케이터(310)와 제1 감지부(21)가 RFID 통신을 통해 식별번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제1 인디케이터(310)는 RFID 태그(tag)이고, 제1 감지부(21)는 RFID 리더(reader)인 것이 좋다.
그러나 다른 한 예에서, 제1 인디케이터(310)와 제1 감지부(21)는 RFID 외의 다른 무선통신 규격을 적용하도록 형성되어 제1 인디케이터(310)의 식별번호가 제1 감지부(21)로 전달될 수도 있는데, 이때, 열차(10)의 주행속도로 움직이는 제1 감지부(21)가 제1 인디케이터(310)와 원활한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제1 인디케이터(310)와 제1 감지부(21) 사이의 거리에서 원활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통신 규격을 각각 적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1 인디케이터(310)는 레일(300)의 주변에 위치하되, 절연구간(1)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좀더 자세하게는, 제1 인디케이터(310)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제1 감지부(21)의 절연구간(1) 감지 시점이 결정되므로, 제1 인디케이터(310)의 위치는 열차(10)의 주행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주지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 인디케이터(320)는 제1 인디케이터(310)와 마찬가지로 레일(300)의 주변에 위치하는데, 제1 인디케이터(310)와 위치가 떨어져 형성된다.
이때, 제2 인디케이터(320)와 제1 인디케이터(310) 사이의 거리는 제1 감지부(21) 및 제2 감지부(22)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는, 열차(10)의 선두차(11)에 형성된 제1 감지부(21)가 제1 인디케이터(3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시점에서 열차(10)의 후부차(12)에 형성된 제2 감지부(22)가 제2 인디케이터(3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제1 인디케이터(31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인디케이터(320)는 제1 인디케이터(310)가 갖는 식별번호와는 다른 식별번호를 갖고 있고, 제2 감지부(22)와 무선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갖고 있는 식별번호를 제2 감지부(22)로 전달한다.
이때, 제2 인디케이터(320) 및 제2 감지부(22)는 RFID를 통해 식별번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2 인디케이터(320)는 RFID 태그이고 제2 감지부(22)는 RFID 리더인 것이 좋다.
이처럼, 제1 감지부(21)는 제1 인디케이터(3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제2 감지부(22)는 제2 인디케이터(320)와 무선통신을 각각 수행함에 있어서, 제1 감지부(21)가 선두차(11)에 형성됨에 따라 제2 인디케이터(320)가 형성된 지점을 통과한 다음 제1 인디케이터(310)가 형성된 지점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제1 감지부(21)는 제2 인디케이터(320)로부터 식별번호를 전달받은 다음 제1 인디케이터(310)로부터 식별번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이때, 제1 인디케이터(310)로부터 식별번호를 전달받는 동작이 수행될 때 제2 감지부(22)는 제2 인디케이터(320)로부터 식별번호, 즉,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감지부(21) 및 제2 감지부(22)는 레일(300) 주변에 형성되어 식별번호를 제공하는 제1 인디케이터(310) 및 제2 인디케이터(3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열차(10)가 절연구간(1)에 진입 예정임을 감지하게 된다.
제1 감지부(21)는 제1 인디케이터(31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번호를 제1 자동절환장치(110)로 전달하고, 제2 감지부(22)는 제2 인디케이터(32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식별번호를 제2 자동절환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때, 제1 자동절환장치(110)는 열차(10)의 선두차(11)에 형성된 장치로서, 선두차(11)에 형성된 차상장치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동절환장치(110)는 제1 인디케이터(31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번호인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인식하여 절연구간(1)에 진입예정임을 판단한다.
한 예에서, 제1 자동절환장치(110)는 제1 식별번호가 수신되면 절연구간(1)에 진입예정이라는 정보를 이미 갖고 있고, 제1 감지부(21)로부터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절연구간(1)에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제1 자동절환장치(1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처리부(111),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 인터페이스(113) 및 자동절환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제1 자동절환장치(110)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통신처리부(111)는 제2 자동절환장치(120)와 유선통신을 수행하여 제2 자동절환장치(120)로부터 제2 인디케이터(320)의 식별번호인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처리부(111)는 RS-485 통신을 통해 제2 자동절환장치(120)로부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2 자동절환장치(120)는 제2 감지부(22)로부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자마자 RS-485 통신을 통해 제1 자동절환장치(110)의 통신처리부(111)로 제2 식별번호를 전달한다.
이처럼, 제2 자동절환장치(120)가 RS-485 통신을 통해 제2 식별번호를 제1 자동절환장치(110)로 전달함에 따라, 빠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달에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통신처리부(111)는 제2 식별번호를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 및 인터페이스(113)에 각각 전달한다.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제1 감지부(21)로부터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통신처리부(111)로부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식별번호를 처리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가 수신하는 제1 식별번호와 제2 식별번호는 제1 감지부(21)와 제2 감지부(22)가 각각 제1 인디케이터(310) 및 제2 인디케이터(320)로부터 전달받은 RFID 태그의 식별번호이므로 이를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제1 감지부(21), 제2 감지부(22), 제1 인디케이터(310) 및 제2 인디케이터(320)가 RFID 외의 다른 무선통신 규격으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도 해당 무선통신 규격의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처리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가 RFID 통신규격을 갖는 데이터인 경우,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를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여 열차(10)가 절연구간(1)에 진입할 예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를 모두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열차(10)의 위치를 정보로서 포함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를 탐색하여 해당 열차(10)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따라 열차(10)가 절연구간(1)에 진입예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확인된 위치로부터 열차(10)의 절연구간(1) 진입예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만, 다른 한 예에서,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가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에 대해 열차(10)가 절연구간(1) 진입예정임을 대응하여 저장하였다가,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여 열차(10)의 절연구간(1) 진입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제1 식별번호가 제1 감지부(21)에서 발생된 경우 및 제2 식별번호가 제2 감지부(22)에서 발생된 경우에 대해서만 데이터베이스 탐색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제1 감지부(21)가 열차(10) 운행에 의해 제2 인디케이터(320)를 감지하여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에서 제2 식별번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절연구간(1) 인접으로 오판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제1 식별번호가 수신되더라도 해당 제1 식별번호가 제1 감지부(21)에서 감지된 경우에만 제1 식별번호를 이용한 절연구간(1) 인접여부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 형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를 모두 수신하지 않고,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 경우에도, 해당 제1 식별번호가 제1 감지부(21)로부터 수신된 신호이고 제2 식별번호가 제2 감지부(22)로부터 수신된 신호인 경우 열차(10)가 절연구간(1)에 인접예정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 및 감지부를 형성한 구조에서 어느 한 감지부에 고장이 발생하여 인디케이터로부터 식별번호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열차(10)의 절연구간(1) 진입 예정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자동절환장치(110)의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가 제2 자동절환장치(120)로부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통신처리부(111)를 통해 안정적으로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열차(10)가 제2 인디케이터(320) 및 제1 인디케이터(310)의 형성구간을 각각 진행하며 수신한 식별번호를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에서 일괄 처리 및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주행 중인 열차가 절연구간을 벗어났음을 감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추가로 더 구비하고, 감지부는 해당 인디케이터로부터 식별번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열차(10)이 절연구간(1)을 벗어났음을 판단한다.
이때, 추가로 구비되는 인디케이터는 열차가 통과하는 절연구간이 끝나는 지점 또는 절연구간이 끝난 지점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식별번호를 갖는 제3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고로 하여 제1 자동절환장치(110)를 설명하면, 인터페이스(113)는 통신처리부(111)와 연결되고 외부의 사용자조작부와 RS-232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선두차(11)에 형성된 차상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이때, 인터페이스(113)는 통신처리부(111)가 제2 자동절환장치(1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았음을 차상장치에 출력하거나, 차상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신처리부(111)로 전달하여 제2 자동절환장치(120) 또는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에 저장할 데이터베이스를 입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절환 제어부(114)는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로부터 열차(10)의 절연구간(1) 진입 예정여부를 전달받아 열차(10)가 절연구간(1)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열차(10)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절환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절환장치(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때, 자동절환 제어부(114)는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로부터 열차(10)가 절연구간(1)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받아, 열차(10)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절환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절환장치(50)로 전달한다.
한 예에서, 절환장치(50)는 열차(10)의 선두차(11)에 형성된 차상장치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표시등(51)과 수동 변환부(52)를 포함한다.
표시등(51)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절환장치(50)의 고장상태여부 또는 자동/수동 조작여부를 빛으로 온오프하는 형태로 절환장치(5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수동 변환부(52)는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 절환장치(50)가 열차(10)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절환하거나 또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한다. 이때, 수동 변환부(52)에 의해 절환장치(50)가 조작되는 경우, 표시등(51)은 절환장치(50)의 자동/수동 조작여부가 수동 조작상태인 것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자동절환 제어부(114)는 인터페이스(113)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즉, 차상장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인 수동 제어신호를 절환장치(5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자동절환 제어부(114)의 절환제어신호는 알림장치(60)로 전달되어 알림장치(60)에서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자동절환장치(110)는 신호 입력부(130)로부터 ATC(automatic train control) 구간 신호, ATS 절연구간, 전력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112)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 이용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열차(10)의 선두차(11)에 형성된 차상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예에서, 제2 자동절환장치(120)는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제1 자동절환장치(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해당 열차(10)가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주행할 때 후부차(12)가 선두차(11)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로써, 제2 자동절환장치(120)는 제1 자동절환장치(110)로부터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열차(10)의 절연구간 진입여부 또는 절연구간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절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열차(10)가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더라도, 선두차(11)에 형성된 제1 자동절환장치(110)가 주체가 되어 절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이 열차(10)의 선두차(11) 및 후부차(12)에 각각 감지부(21, 22)를 형성하여 레일(300)에 형성된 인디케이터(310, 320)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열차(10)의 절연구간(1) 인접여부 또는 절연구간(1)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 및 공급전력을 절환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열차(10)의 절연구간(1) 진입에 따른 공급전력 절환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열차(10)의 공급전력 절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절연구간 10 : 열차
11 : 선두차 12 : 후부차
21 : 제1 감지부 22 : 제2 감지부
50 : 절환장치 51 : 표시등
52 : 수동 변환부 110 : 제1 자동절환장치
111 : 통신처리부 112 : 무선통신 데이터 처리부
113 : 인터페이스 114 : 자동절환 제어부
120 : 제2 자동절환장치 130 : 신호 입력부
300 : 레일 310 : 제1 인디케이터
320 : 제2 인디케이터

Claims (11)

  1. 절연구간에 인접하는 위치에 열차가 주행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고유 식별번호인 제1 식별번호를 갖는 제1 인디케이터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열차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되 고유 식별번호인 제2 식별번호를 갖는 제2 인디케이터;
    상기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열차의 후부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인디케이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열차의 선두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열차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제1 자동절환장치; 그리고
    상기 열차의 후부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에 전달하는 제2 자동절환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상기 열차가 주행하는 레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RFID 리더이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RFID 태그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RFI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감지부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절환장치와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1 식별번호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수신되고, 동시에 상기 제2 식별번호가 제2 감지부에서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1 식별번호에 대한 상기 열차의 위치와 상기 제2 식별번호에 대한 상기 열차의 위치를 각각 대응시켜 정보로서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으로의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제1 식별번호 및 상기 제2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에 진입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구간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3 식별번호를 고유 식별번호로 갖는 제3 인디케이터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제3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제3 식별번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열차가 절연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열차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KR1020160131260A 2016-10-11 2016-10-11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KR10170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60A KR101708915B1 (ko) 2016-10-11 2016-10-11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60A KR101708915B1 (ko) 2016-10-11 2016-10-11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915B1 true KR101708915B1 (ko) 2017-02-22

Family

ID=5831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60A KR101708915B1 (ko) 2016-10-11 2016-10-11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872B1 (ko) * 2020-10-16 2021-02-19 (주)씨에스아이엔테크 Rfid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정차역 무정차통과 방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574A (ja) * 2005-07-08 2007-01-25 Kawasaki Heavy Ind Ltd プラットホーム検知システム
KR20070106072A (ko) * 2006-04-28 2007-11-01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의 절연구간 운행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6811A (ko) * 2010-04-20 2011-10-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절연구간 무접점 자동 전원절체 통과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574A (ja) * 2005-07-08 2007-01-25 Kawasaki Heavy Ind Ltd プラットホーム検知システム
KR20070106072A (ko) * 2006-04-28 2007-11-01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의 절연구간 운행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87923B1 (ko) 2006-04-28 2007-12-24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의 절연구간 운행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6811A (ko) * 2010-04-20 2011-10-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절연구간 무접점 자동 전원절체 통과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872B1 (ko) * 2020-10-16 2021-02-19 (주)씨에스아이엔테크 Rfid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정차역 무정차통과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104B2 (en) Train sensor unit for sensing radio communication based train, train position sensing system, and train position sensing method of the system
JP3421768B2 (ja) 自律移動車の進路誘導方法ならびに自律移動車の進路誘導装置および進路誘導装置を備えた自律移動車
US10864931B2 (en)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US102938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rail-side monitoring of the position of stabled rail-based vehicle
CN102007032B (zh) 车辆乘务员辅助装置
KR101708915B1 (ko) 절연구간 자동절환 시스템
KR20180064183A (ko)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무인 운송장치 및 시스템
KR101049176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장치
JP2012111400A (ja) 列車停止位置表示誘導システム
KR100985780B1 (ko) 열차의 접근 경보 장치 및 방법
CN101549702A (zh) 无线列车控制系统
KR101989797B1 (ko) 교차로에서의 무인대차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88571B1 (ko)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KR101436902B1 (ko) 자동반송시스템 및 그 주행방법
JP3746406B2 (ja) 閉そく装置
KR20150083547A (ko) 철도차량 검수차고 관리시스템
CN106536269B (zh) 列车控制装置
JP3967898B2 (ja) 自動列車制御装置
KR0131278B1 (ko) 정위치 정지 검지 장치
JP2016210381A (ja) 電気車位置検知システム
KR101027420B1 (ko) 열차 운행안내 시스템
KR101073869B1 (ko)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JPH0511841A (ja) 搬送制御方法
JP6584049B2 (ja) 列車制御装置
JPH092269A (ja) 列車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