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84B1 -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84B1
KR102277084B1 KR1020200139147A KR20200139147A KR102277084B1 KR 102277084 B1 KR102277084 B1 KR 102277084B1 KR 1020200139147 A KR1020200139147 A KR 1020200139147A KR 20200139147 A KR20200139147 A KR 20200139147A KR 102277084 B1 KR102277084 B1 KR 10227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ive rubber
insulating coating
lea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3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접속부를 감싸고 있는 방수하우징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지지관(31)(41)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강슬리브(80)(90); 도전성 고무링(50)(51)(52)(53)에 각각 접속되는 리드핀(50p)(51p)(52p)(53p); 리드핀(50p)(51p)(52p)(53p)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보강슬리브(80)(90)에 형성되고, 리드핀(50p)(51p)(52p)(53p)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리드인출구멍(81)(82)(91)(92); 리드인출구멍(81)(82)(91)(92)과 리드핀(50p)(51p)(52p)(53p) 간의 공간을 메우는 절연충진재(81s)(82s)(91s)(92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Power Cable Waterproof Device}
본 발명은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케이블 접속부를 감싸고 있는 방수하우징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구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해 주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로는 통상 지상보다는 지중에 매설된 맨홀에 설치하여 주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를 해소하고 있으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침투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전력케이블의 접속부가 침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배전선로 접속부에 관한 종래기술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10)(11)의 단부에 위치된 절연피복부(10a)(11a)를 박피해서 심선(10b)(11b)을 노출시킨 다음 접속슬리브(12)를 이용해서 심선(10b)(11b)을 접속한 후 절연피복부(10a)(11a)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15)(16)를 갖는 하우징(17)을 이용해서 전력케이블(10)(11)의 접속부를 감싸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절연피복부(10a)(11a)와 케이블 지지부(15)(16)가 만나는 부위에 실링재(13)(14)를 도포해서 방수처리를 하고 있으나 기온변화에 의한 전력케이블(10)(11)이 수축과 팽을 반복하면 실링재(13)(14)가 박리되거나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종래기술은 장마철 전력케이블(10)(11)이 포설된 지하 공간이 침수되는 경우 하우징(17) 내부도 침수되면서 누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86308호(공고일 2019.06.0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96494호(공고일 2019.07.04.)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766호(공개일 2012.07.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케이블 접속부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는, 전력케이블의 심선접속부를 감싸고,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방수하우징; 방수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력케이블의 절연피복부 외주면에 위치되고,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멍이 중심에 형성되며,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관; 케이블 삽입구멍의 내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환형홈; 환형홈에 삽입되어 절연피복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케이블 지지관과 절연피복부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검출하는 도전성 고무링; 도전성 고무링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 케이블 삽입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환형홈 보다 심선접속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튜브삽입홈; 튜브삽입홈에 삽입되고, 절연피복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도넛 형태의 에어튜브; 에어튜브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 에어탱크로부터 에어튜브로 이어지는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 전자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부; 도전성 고무링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가 신호증폭부를 경유해서 입력되면 전자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구동신호를 밸브구동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강슬리브; 도전성 고무링에 각각 접속되는 리드핀; 리드핀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보강슬리브에 형성되고, 리드핀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리드인출구멍; 리드인출구멍과 리드핀 간의 공간을 메우는 절연충진재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전력케이블의 심선접속부를 감싸고,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방수하우징; 방수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력케이블의 절연피복부 외주면에 위치되고,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멍이 중심에 형성되며,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관; 케이블 삽입구멍의 내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환형홈; 환형홈에 삽입되어 절연피복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케이블 지지관과 절연피복부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검출하는 도전성 고무링; 도전성 고무링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 케이블 삽입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환형홈 보다 심선접속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튜브삽입홈; 튜브삽입홈에 삽입되고, 절연피복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도넛 형태의 에어튜브; 에어튜브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 에어탱크로부터 에어튜브로 이어지는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 전자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부; 도전성 고무링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가 신호증폭부를 경유해서 입력되면 전자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구동신호를 밸브구동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신호증폭부로부터 침수신호가 검출되면 외부로 침수신호를 출력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두 개씩 쌍을 이루는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을 이용해서 절연피복부(20a)(21a)와 케이블 삽입구멍(32)(42)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침투수 검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전성 고무링(50)(51)(52)(53)과 마이크로 콘트롤러(75)에 의한 침수 검출 후 전자밸브(V1)(V2) 개방을 통해 에어튜브(70)(71)를 팽창시켜서 침투수가 방수하우징(30)(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력케이블(20)(21)의 심선접속부(22)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튜브(70)(71)에 미리 주입된 압축공기가 시간이 경과되면서 조금씩 누설되어 에어튜브(70)(71)가 수축되더라도 침수가 검출되면 압축공기가 저장된 에어탱크(72)와 전자밸브(V1)(V2)를 이용해서 에어튜브(70)(71)에 압축공기를 재공급해서 팽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케이블 지지관(31)(41)의 둘레에 끼워지는 보강슬리브(80)(90)에 의해 케이블 지지관(31)(41)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의 형태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전성 고무링(50)(51)(52)(53)에 접속된 리드핀(50p)(51p)(52p)(53p)이 통과되는 리드인출구멍(81)(82)(91)(92)에 절연충진재(81s)(82s)(91s)(92s)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핀(50p)(51p)(52p)(53p)과 보강슬리브(80)(90) 간에 절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방수하우징(30)(40)을 조립하는 동안에 에어튜브(70)(71) 내부에 잔류되어 있던 공기를 배출하면 에어튜브(70)(71)와 절연피복부(20a)(21a) 간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방수하우징(30)(40)을 절연피복부(20a)(21a)를 따라 좀 더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방수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와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20)(21)의 심선접속부(22)를 감싸고,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방수하우징(30)(40); 방수하우징(30)(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력케이블(20)(21)의 절연피복부(20a)(21a) 외주면에 위치되고, 전력케이블(20)(21)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멍(32)(42)이 중심에 형성되며,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관(31)(41)을 포함한다.
방수하우징(30)(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좌우 대칭을 이루는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방수하우징(30)(40)의 단부에는 양측 방수하우징(30)(40)을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36)(46)를 형성할 수 있다.
방수하우징(30)(4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6)(46) 사이에 패킹(23)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24)와 너트(25)를 이용해서 양측의 방수하우징(30)(40)을 조립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방수하우징(30)(40)을 서로 떨어뜨려서 전력케이블(20)(21)을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한 다음 케이블 접속작업 후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방수하우징(30)(40)을 밀어서 볼트(24)와 너트(25)에 의해 조립하면 방수하우징(30)(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케이블 지지관(31)(41)은 방수하우징(30)(40)과 일체로 성형되며, 전력케이블(20)(21)의 절연피복부(20a)(21a)와 동심을 이루도록 실린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내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환형홈(33)(34)(43)(44); 환형홈(33)(34)(43)(44)에 삽입되어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케이블 지지관(31)(41)과 절연피복부(20a)(21a)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검출하는 도전성 고무링(50)(51)(52)(53); 도전성 고무링(50)(51)(52)(53)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60)(61)를 포함한다.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은 전기 전도성을 지닌 고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절연피복부(20a)(21a)와 케이블 삽입구멍(32)(42) 사이로 침투한 수분에 의해 쌍으로 구성된 두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이 통전 상태로 되면서 수분 침투를 검출하게 된다.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은 절연피복부(20a)(2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분 침투를 차단하지만 시간이 경과 되면서 절연피복부(20a)(21a)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변형되면 절연피복부(20a)(21a)와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미세한 틈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침수되면 절연피복부(20a)(21a)와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의 사이로 수분이 쉽게 침투하게 되며, 이때 두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의 사이를 침투한 수분이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로 되면서 도전성 고무링(50)(51)(52)(53)에 의해 수분침투가 검출된다.
신호증폭부(60)(61)는 도전성 고무링(50)(51)(52)(53) 사이를 흐르는 전류가 미약한 경우 이를 증폭해서 침수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 또는 오피앰프와 주변소자를 이용해서 구성한 통상의 전자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환형홈(33)(34)(43)(44) 보다 심선접속부(2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튜브삽입홈(35)(45); 튜브삽입홈(35)(45)에 삽입되고,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도넛 형태의 에어튜브(70)(71); 에어튜브(70)(7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7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하우징(30)(40)을 조립하기 전에는 에어튜브(70)(71)와 절연피복부(20a)(21a) 간의 마찰저항을 최소로 하기 위해 에어튜브(70)(71)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립작업을 진행하고, 방수하우징(30)(40)을 조립한 후에는 에어튜브(70)(7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 후 하기의 전자밸브(V1)(V2)를 닫아 에어튜브(70)(71)에 채워진 압축공기가 누설되기 전까지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에어튜브(70)(71)에는 에어니플(70n)(71n)이 설치되며, 에어니플(70n)(71n)은 케이블 지지관(31)(41)에 형성된 구멍(부호생략)과 하기의 보강슬리브(80)(90)에 형성된 관통구멍(83)(9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본 발명은 에어탱크(72)로부터 에어튜브(70)(71)로 이어지는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V1)(V2); 전자밸브(V1)(V2)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부(73)(74); 도전성 고무링(50)(51)(52)(53)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가 신호증폭부(60)(61)를 경유해서 입력되면 전자밸브(V1)(V2)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구동신호를 밸브구동부(73)(74)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75)를 포함한다.
전자밸브(V1)(V2)는 여자전류를 공급하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자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상시 닫힘형의 밸브로 구성된다.
밸브구동부(73)(74)는 기계식 접점을 갖는 릴레이 구동회로 또는 무소음 접점을 갖는 트랜지스터, 사이리스터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전자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콘트롤러(75)는 내부에 비휘발성의 프로그램 메모리(EEPROM), 휘발성의 데이터 메모리(RAM),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부, 타이머, 발진회로부 등이 내장된 온칩 또는 온보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콘트롤러(75)는 신호증폭부(60)(61)로부터 침수신호가 검출되면 외부로 침수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에 설치된 경보램프, 경보스피커 등과 같은 경보장치(도시생략)를 구동해서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관(31)(41)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강슬리브(80)(90); 도전성 고무링(50)(51)(52)(53)에 각각 접속되는 리드핀(50p)(51p)(52p)(53p); 리드핀(50p)(51p)(52p)(53p)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보강슬리브(80)(90)에 형성되고, 리드핀(50p)(51p)(52p)(53p)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리드인출구멍(81)(82)(91)(92); 리드인출구멍(81)(82)(91)(92)과 리드핀(50p)(51p)(52p)(53p) 간의 공간을 메우는 절연충진재(81s)(82s)(91s)(92s)를 포함한다.
리드핀(50p)(51p)(52p)(53p)은 전기 전도성을 지닌 강선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리드핀(50p)(51p)(52p)(53p)의 단부를 도전성 고무링(50)(51)(52)(53)에 박아서 설치할 수 있다.
보강슬리브(80)(90)는 케이블 지지관(31)(41)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금속 파이프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절연충진재(81s)(82s)(91s)(92s)는 리드핀(50p)(51p)(52p)(53p)과 보강슬리브(80)(90) 간에 절연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에폭시 접착제를 리드인출구멍(81)(82)(91)(92)에 주입한 다음 경화시켜서 설치할 수 있으며, 절연충진재(81s)(82s)(91s)(92s)는 리드핀(50p)(51p)(52p)(53p)을 보강슬리브(80)(90)에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피복부(20a)(21a)와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사이로 수분이 침투해서 두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이 수분에 의해 통전 상태로 되면, 신호증폭부(60)(61)를 통해 마이크로 콘트롤러(75)로 침수신호가 검출된다.
이때 마이크로 콘트롤러(75)는 전자밸브(V1)(V2)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구동신호를 밸브구동부(73)(74)로 출력하게 되고, 밸브구동부(73)(74)에 의해 전자밸브(V1)(V2)가 개방되면서 에어탱크(72)로부터 에어튜브(70)(71)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에어튜브(70)(71)가 팽창 된다.
이와 같이 에어튜브(70)(71)가 팽창되면 튜브삽입홈(35)(45)의 내면과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에어튜브(70)(71)가 강하게 밀착되면서 도전성 고무링(50)(51)(52)(53)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또, 마이크로 콘트롤러(75)는 출력포트를 통해 외부로 침수신호를 출력해서 전력케이블(20)(21)이 침수되었음을 원격으로 알려주게 된다.
20,21 : 전력케이블 20a,21a : 절연피복부
22 : 심선접속부 23 : 패킹
24 : 볼트 25 : 너트
30,40 : 방수하우징 31,41 : 케이블 지지관
32,42 : 케이블 삽입구멍 33,34,43,44 : 환형홈
35,45 : 튜브삽입홈 36,46 : 플랜지
50,51,52,53 : 도전성 고무링 60,61 : 신호증폭부
70,71 : 에어튜브 70n,71n : 에어니플
72 : 에어탱크 V1,V2 : 전자밸브
73,74 : 밸브구동부 75 : 마이크로 콘트롤러
80,90 : 보강슬리브 50p,51p,52p,53p : 리드핀
81,82,91,92 : 리드인출구멍 81s,82s,91s,92s : 절연충진재
83,93 : 관통구멍

Claims (3)

  1. 삭제
  2. 전력케이블(20)(21)의 심선접속부(22)를 감싸고,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방수하우징(30)(40);
    상기 방수하우징(30)(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케이블(20)(21)의 절연피복부(20a)(21a) 외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케이블(20)(21)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멍(32)(42)이 중심에 형성되며,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관(31)(41);
    상기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내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환형홈(33)(34)(43)(44);
    상기 환형홈(33)(34)(43)(44)에 삽입되어 상기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관(31)(41)과 상기 절연피복부(20a)(21a)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검출하는 도전성 고무링(50)(51)(52)(53);
    상기 도전성 고무링(50)(51)(52)(53)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60)(61);
    상기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홈(33)(34)(43)(44) 보다 상기 심선접속부(2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튜브삽입홈(35)(45);
    상기 튜브삽입홈(35)(45)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도넛 형태의 에어튜브(70)(71);
    상기 에어튜브(70)(7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72);
    상기 에어탱크(72)로부터 상기 에어튜브(70)(71)로 이어지는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V1)(V2);
    상기 전자밸브(V1)(V2)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부(73)(74);
    상기 도전성 고무링(50)(51)(52)(53)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가 신호증폭부(60)(61)를 경유해서 입력되면 상기 전자밸브(V1)(V2)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구동신호를 상기 밸브구동부(73)(74)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75);
    를 포함하는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관(31)(41)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강슬리브(80)(90);
    상기 도전성 고무링(50)(51)(52)(53)에 각각 접속되는 리드핀(50p)(51p)(52p)(53p);
    상기 리드핀(50p)(51p)(52p)(53p)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보강슬리브(80)(90)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핀(50p)(51p)(52p)(53p)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리드인출구멍(81)(82)(91)(92);
    상기 리드인출구멍(81)(82)(91)(92)과 리드핀(50p)(51p)(52p)(53p) 간의 공간을 메우는 절연충진재(81s)(82s)(91s)(92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3. 전력케이블(20)(21)의 심선접속부(22)를 감싸고,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방수하우징(30)(40);
    상기 방수하우징(30)(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케이블(20)(21)의 절연피복부(20a)(21a) 외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케이블(20)(21)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멍(32)(42)이 중심에 형성되며,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관(31)(41);
    상기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내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환형홈(33)(34)(43)(44);
    상기 환형홈(33)(34)(43)(44)에 삽입되어 상기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관(31)(41)과 상기 절연피복부(20a)(21a)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검출하는 도전성 고무링(50)(51)(52)(53);
    상기 도전성 고무링(50)(51)(52)(53)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60)(61);
    상기 케이블 삽입구멍(32)(42)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홈(33)(34)(43)(44) 보다 상기 심선접속부(2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튜브삽입홈(35)(45);
    상기 튜브삽입홈(35)(45)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피복부(20a)(21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도넛 형태의 에어튜브(70)(71);
    상기 에어튜브(70)(7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72);
    상기 에어탱크(72)로부터 상기 에어튜브(70)(71)로 이어지는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V1)(V2);
    상기 전자밸브(V1)(V2)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부(73)(74);
    상기 도전성 고무링(50)(51)(52)(53)으로부터 검출되는 침수신호가 신호증폭부(60)(61)를 경유해서 입력되면 상기 전자밸브(V1)(V2)를 개방하기 위한 밸브구동신호를 상기 밸브구동부(73)(74)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75);
    를 포함하는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75)는 상기 신호증폭부(60)(61)로부터 침수신호가 검출되면 외부로 침수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KR1020200139147A 2020-10-26 2020-10-26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KR10227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47A KR102277084B1 (ko) 2020-10-26 2020-10-26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47A KR102277084B1 (ko) 2020-10-26 2020-10-26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084B1 true KR102277084B1 (ko) 2021-07-14

Family

ID=7686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47A KR102277084B1 (ko) 2020-10-26 2020-10-26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159A (ko) * 2001-09-19 2003-03-28 류주환 에어백을 이용한 침수방지장치
KR20120078766A (ko) 2010-12-31 2012-07-11 오성산업(주) 광복합 케이블 보호함의 수분침투 시험수조와 그를 이용한 검측방법
JP2015025733A (ja) * 2013-07-26 2015-02-05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ケーブル
KR101846395B1 (ko) * 2017-12-08 2018-04-06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KR101986308B1 (ko) 2017-05-29 2019-06-07 (주)에스엠테크 침수 방지기능이 구현된 전기설비함
KR101996494B1 (ko) 2019-01-25 2019-07-04 (주)기술사사무소한빛기술단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159A (ko) * 2001-09-19 2003-03-28 류주환 에어백을 이용한 침수방지장치
KR20120078766A (ko) 2010-12-31 2012-07-11 오성산업(주) 광복합 케이블 보호함의 수분침투 시험수조와 그를 이용한 검측방법
JP2015025733A (ja) * 2013-07-26 2015-02-05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ケーブル
KR101986308B1 (ko) 2017-05-29 2019-06-07 (주)에스엠테크 침수 방지기능이 구현된 전기설비함
KR101846395B1 (ko) * 2017-12-08 2018-04-06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KR101996494B1 (ko) 2019-01-25 2019-07-04 (주)기술사사무소한빛기술단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0899C (e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KR101775128B1 (ko) 모터 인출선 방수 밀봉 구조
KR102277084B1 (ko) 건축 배전용 케이블 침수 방지장치
BR102015028806A2 (pt) tubo aquecido para o transporte de um fluido
JP2011511611A (ja) 外部スリーブ
EP2654144A2 (en) Smart bonding method for equipment including a remot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panel having a metal case for underground wells
KR101814059B1 (ko)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KR101891321B1 (ko) 수중펌프의 전원케이블 결합구조
TWI630322B (zh) Air shield for electrical machines
KR101854903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KR100904384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
KR101480781B1 (ko)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CN209786752U (zh) 一种供电电缆中间头及分接箱的防水电缆沟
CN213652656U (zh) 线状阳极组件
CN110024230B (zh) 水中马达及防水连接器
DE59102364D1 (de)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r dichtheit von im freien und im erdreich verlegten rohren und rohrleitungen und bauwerk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KR200449573Y1 (ko)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JP2010073405A (ja) 漏電検知機能付き電気コネクタ
CN112195473B (zh) 管道内壁用通电保护装置、施工方法及加工方法
KR101435932B1 (ko) 지중배전선의 배전반 접속용 커넥터
KR20190142557A (ko) 직선 접속재용 수분 침투 방지 장치
CN216362057U (zh) 一种带有气嘴的高压电缆
KR102541346B1 (ko) 지수-절연링 및 이를 이용한 절연밸브실
ITTO20090063A1 (it) Dispositivo antiallagamento di sicurezza per una macchina di lavaggio, e relativo metodo diassemblaggio
JP2018085196A (ja) 水中モータ及び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