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059B1 -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059B1 KR101814059B1 KR1020170064721A KR20170064721A KR101814059B1 KR 101814059 B1 KR101814059 B1 KR 101814059B1 KR 1020170064721 A KR1020170064721 A KR 1020170064721A KR 20170064721 A KR20170064721 A KR 20170064721A KR 101814059 B1 KR101814059 B1 KR 101814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oupling
- piping
- main body
- me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1—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alising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two pipe ends of the joint or between part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인 통전을 위한 금속선이 내부에 설치되어 별도의 금속선 연결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배관의 연결부에 금속선이 노출되어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은 비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배관 본체; 상기 배관 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선; 및 상기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금속선이 노출되도록 상기 배관 본체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배관 및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탐지가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기름, 상/하수, 화학약품 등과 같은 각종 유체를 연속적으로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 배관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사용되는 목적이나, 설치 환경 등에 적합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되고 있으며, 일례로 금속이나, 콘크리트, 합성수지 재질의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 중 금속 재질의 배관은 고가의 소재 비용으로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 무게가 무거워 보관과 운반이 어렵고, 연결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금속 재질의 배관은 운용하는 유체가 화학약품일 경우, 부식 등의 우려가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배관을 대체하기 위해 콘크리트 배관 또는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소재의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배관은 설치 장소에 따라 건물 또는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은 손상이나 교체주기 등이나, 주변에 매설된 다른 배관 또는 전기, 통신 케이블 등 매설 작업 등을 위한 굴착 작업이 빈번하게 진행된다.
통상 건물 또는 지하에 매설되는 배관은 정해진 시방서 등에 맞추어 설치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현장상황에 맞춰 시방서와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배관의 굴착 작업시, 배관이 매설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굴착 작업 과정에서 배관을 손상시키거나, 잘못된 위치를 굴착 작업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배관의 굴착 작업시, 배관에 고압 케이블, 가스 배관이 주변에 매설되어 있거나, 화학 약품이나, 오, 폐수가 통과할 경우 배관의 파손시 큰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굴착 작업전에 배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관의 굴착 작업전에 매설된 배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전기를 통전시키거나 자성 등을 이용하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관이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전기가 통하지 않고 자성에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배관의 위치 검출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배관이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배관의 주위에 금속선을 감거나 금속선을 부착하여 함께 매설하고 있으나, 매설 또는 굴착과정에서 금속선이 끊어지거나 이탈될 수 있고, 배관의 연결부에서는 금속선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어려워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적인 통전을 위한 금속선이 내부에 설치되어 별도의 금속선 연결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배관의 연결부에 금속선이 노출되어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은 비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배관 본체; 상기 배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배관 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선; 상기 배관 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금속선이 다른 배관 본체의 금속선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관 본체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의 둘레에 제공되어 상기 금속선을 연결하는 전도성 금속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배관 본체를 피복하는 배관 피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배관 본체에는 상기 금속선이 수용되는 홈이 상기 배관 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는 동일 축선상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전술된 다수의 배관; 상기 배관들의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관들을 연결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내측에 제공되어 상기 배관들의 연결부 사이를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금속선과 접촉하는 단부에 설치되는 전도성 접촉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접촉패드는 상기 금속선과 접촉하는 면이 굴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의 단부와 상기 접촉패드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의 단부와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연결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비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배관들의 금속선을 연결하는 금속 연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금속선과 접촉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 연결선과 연결되는 전도성 접촉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의 단부와 상기 접촉패드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연결선과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연결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은 전기적인 통전을 위한 금속선이 내부에 설치되어 별도의 금속선 연결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배관의 연결부에 금속선이 노출되어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작업이 이루어져 매설 또는 굴착시 배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성업 및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커플링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커플링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과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100)은 배관 본체(110), 금속선(120) 및 요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본체(110)는 물, 기름, 상/하수, 화학약품 등과 같은 각종 유체가 통과하는 중공부(112)가 형성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 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배관 본체(11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외에도 사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관 본체(110)는 비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PVC(PolyVinyl Chloride), PP(Ppoly Propylene), PE(Poly Ethylen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거나,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배관 본체(110)의 매설 또는 굴착과정에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전기적 설비에 의해 위치 검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설비에 의한 탐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100)은 배관 본체(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선(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선(120)은 철,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이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금속소재일 수 있다.
또한, 금속선(120)은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선(120)은 4개로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금속선(120)의 수 또는 소재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 금속선(120)은 배관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금속선(120)은 다른 형상, 예컨대 배관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금속선(120)은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면이 사각인 박판 등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되는 커플링(210)이 체결과정에서 압착되며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배관 본체(110)는 적어도 일측 단부가 다른 배관 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긴 길이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관 본체(110)는 적어도 일측 단부에 다른 배관 본체(11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본체(110)는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요홈부(groove)(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홈부(130)는 배관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금속선(1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관 본체(110)의 둘레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금속선(120)은 배관 본체(110)에 수용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배관 본체(110)에 매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선(120)은, 배관 본체(110)의 제조과정에서 함께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금속선(120)은 배관 본체(110)가 제조된 후, 배관 본체(11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배관 본체(110)에는 금속선(120)이 수용되는 홈이 배관 본체(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관 본체(110)는 내부가 빈 홈이 배관 본체(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미리 형성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홈에 금속선(120)을 삽입하여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100)은 일정 길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절단 또는 다른 배관(100')과 연결하여 배관 조립체(200)로 사용될 수 있다.
배관 조립체(200)는 다수의 배관(100)과 이들을 연결하는 커플링(2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조립체(200)는 동일 축선상에 다른 배관(100')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배관(100) 및 다른 배관(1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배관(100')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배관(100)은 비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관(100)은 내부에 중공부(112)가 형성된 배관 본체(110)를 포함하고, 이 배관 본체(1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금속선(12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배관(100)은 다른 배관(100')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요홈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요홈부(130)는 배관 본체(110)에 수용된 금속선(120)이 노출되도록 배관 본체(110)의 외주면 둘레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100)은 다른 배관(100)'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커플링(21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210)은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되어 두 배관(100, 100') 사이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제공된 것으로, 배관(1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단면의 형태가 두 배관(100, 100')의 요홈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210)은 인접하게 배열된 두 배관(100, 100')들의 요홈부(130)에 각각 밀착되며 두 배관(100, 100')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커플링(210)은 요홈부(13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요홈부(130)에 노출된 금속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배관 조립체(200)에서, 인접하게 배열된 두 배관(100, 100')들은 커플링(210)이 금속선(120)과 접촉되는 것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210)은, 내경의 직경이 배관(100, 100')의 요홈부(13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한 쌍의 반원형 고리부재(210a, 210b)일 수 있다.
또한, 커플링(210)은 한 쌍의 고리부재(210a, 210b)의 양단부에 체결부재의 의해 결합되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로는 볼트(B), 너트 또는 클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210)은 한 쌍의 반원형 고리부재(210a, 210b)의 양단부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커플링(210)은 한 쌍의 고리부재(210a, 210b)의 일단은 힌지부재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플링(210)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210)은 배관(100, 100')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배관(100, 100')들의 연결부에 휨 변형이나 수축 또는 팽창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금속선(120)과는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조립체의 커플링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커플링(210)은 금속선(120)과 접촉되는 단부에 전기적 전도성을 증가시키는 접촉패드(212)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패드(212)는 커플링(210)의 단부 내경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접촉패드(212)는 커플링(210)의 단부 내경에 대응하는 하나의 원형띠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회전방향으로 다수로 분절되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접촉패드(212)는 금속선(120)과 접촉하는 면이 배관(100, 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굴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플링(210)은 두 배관(100, 100')들의 연결부에 휨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고하면, 커플링(210)의 단부와 접촉패드(212) 사이에는 탄성부재(214)가 제공될 수 있다. 탄성부재(214)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14)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소재를 예시하고 있으나, 스프링과 같은 물리적인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214)는 커플링(210)이 두 배관(100, 100')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접촉패드(212)가 금속선(12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더불어, 탄성부재(214)는 비전도성 소재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214)의 내부에는 커플링(210)의 단부와 접촉패드(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도성 연결선(216)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214)에는 커플링(210)의 단부와 접촉패드(212) 사이를 통과하는 관통홀(215)이 형성될 수 있고, 전도성 연결선(216)은 관통홀(215)을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 연결선(216)은 탄성부재(214)의 압축, 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210)은 금속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커플링(210)은 비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커플링(210)은 PVC, PP, P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c)를 참고하면, 커플링(210)이 비금속소재로 형성될 경우, 커플링(210)의 내부에는 배관(100, 100')들의 금속선(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연결선(211)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 연결선(211)은 금속선(120)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커플링(210)의 단부에는 금속선(120)과 접촉되는 전도성 접촉패드(21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접촉패드(212)는 전도성 연결선(216)을 매개로 금속 연결선(21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210)의 단부와 접촉패드(212) 사이에는 탄성부재(214)가 제공될 수 있다. 탄성부재(214)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14)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소재를 예시하고 있으나, 스프링과 같은 물리적인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214)는 커플링(210)이 두 배관(100, 100')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접촉패드(212)가 금속선(12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더불어, 탄성부재(214)는 비전도성 소재일 수 있으며, 전도성 연결선(216)은 탄성부재(214)에 형성되는 관통홀(215)를 통과하여 금속 연결선(211)와 접촉패드(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210)의 내측에는 인접하여 배열된 두 배관(100, 100')의 연결부 사이를 밀봉하는 씰링부재(220)가 제공될 수 있다.
씰링부재(220)는 커플링(210)이 배관(100, 100')들의 요홈부(13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배관(100, 100')들의 단부와 발생하는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커플링(210)은 통상적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배관(100, 100')들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 커플링(210)의 구체적인 형태나 구성 및 그 내측에 제공되는 씰링부재(220)의 형태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인접하게 배열된 두 배관(100)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배관(100)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2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비금속소재를 이용하여 배관 본체(110)를 제조한다. 배관 본체(110)는 거푸집 또는 사출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배관 본체(110)의 제조과정에서 내부에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금속선(120)을 배치할 수 있다.
금속선(120)은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관 본체(110)의 내부에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금속선(120)은 배관 본체(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로 설치하거나 배관 본체(110)를 감싸도록 나선형으로 꼬인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본체(110)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요홈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요홈부(130)는 배관 본체(1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배관 본체(110)를 제조한 후 내부의 금속선(120)이 노출되도록 배관 본체(11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요홈부(130)는 배관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금속선(120)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배관(100)은 현장 상황 등에 맞추거나, 긴 길이에 설치하기 위해 다른 배관(100')을 연결하여 배관 조립체(200)로 제조한다.
배관 조립체(200)는 배관(100)을 배치하고, 이 배관(100)과 동일한 축선상에 다른 배관(100')을 인접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이들 배관(100, 100')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부에 커플링(210)이 결합되며, 이들 배관(100, 100')을 연결한다.
이때, 커플링(210)을 결합할 때, 커플링(210) 사이에 이들 배관(100, 100')의 단부를 밀봉 연결하는 씰링부재(220)를 삽입한다.
씰링부재(220)는 커플링(210)의 내측과 연결부재 사이를 밀봉하여 유체의 누설을 차단한다.
커플링(210)은 씰링부재(220)가 개재된 상태에서 두 배관(100)의 요홈부(130)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두 배관(100, 100')을 연결한다.
한편, 커플링(210)은 요홈부(130)에 맞물리는 과정에서 요홈부(130)에 노출된 금속선(120)과 접촉되며 두 배관(100, 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배관(100, 100')은 단일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배관(100, 100')은 성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배관 본체(110)의 요홈부(130)는 둘레에 금속선(120)과 연결되는 전도성 금속띠(15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도성 금속띠(150)는 금속선(120)과 연결되어 전기적인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금속띠(150)는 커플링(210)에 의해 다른 배관 본체(1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전도성 금속띠(150)를 매개로 배관 본체(110)에 수용된 금속선(120)이 커플링(210)과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100) 연결구조에서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도성 금속띠(150)는 철,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선(120)과는 체결부재 등에 의해 연결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배관 본체(110)와 금속선(120)이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배관 본체(110)은 제조과정에서 금속선(120)이 수용되는 홈(114)이 배관 본체(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선(120)는 배관 본체(110)의 홈(1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배관(300)은 배관 본체(310)와, 금속선(320), 요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본체(310)는 물, 기름, 상/하수, 화학약품 등과 같은 각종 유체가 통과하는 중공부(312)가 형성된 부재이다. 이러한 배관 본체(310)의 외주면에는 배관 본체(310)를 피복하는 배관 피복부(3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배관 피복부(340)는 배관 본체(3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배관 피복부(340)의 보호를 위해 조성비 등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배관 피복부(340)는 PVC, PP, P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외에도 우레탄(urethane)이나, 고무 등의 내충격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관 본체(310) 및 배관 피복부(3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전도성 향상을 위해 카본(carbon), 흑연 등과 같은 성분이 다량 함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배관 110: 배관 본체
112: 중공부 120: 금속선
130:요홈부 200: 배관 조립체
210:커플링 220: 씰링부재
112: 중공부 120: 금속선
130:요홈부 200: 배관 조립체
210:커플링 220: 씰링부재
Claims (12)
- 비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배관 본체;
상기 배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배관 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선;
상기 배관 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금속선이 다른 배관 본체의 금속선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관 본체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의 둘레에 제공되어 상기 금속선을 연결하는 전도성 금속띠;
를 포함하는 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배관 본체를 피복하는 배관 피복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본체에는 상기 금속선이 수용되는 홈이 상기 배관 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관.
- 동일 축선상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배관;
상기 배관들의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관들을 연결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내측에 제공되어 상기 배관들의 연결부 사이를 밀봉하는 씰링부재;
을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배관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금속선과 접촉하는 단부에 설치되는 전도성 접촉패드를 더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접촉패드는 상기 금속선과 접촉하는 면이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배관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단부와 상기 접촉패드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의 단부와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는 배관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비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배관들의 금속선을 연결하는 금속 연결선이 배치되는 배관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금속선과 접촉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 연결선과 연결되는 전도성 접촉패드를 더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단부와 상기 접촉패드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연결선과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는 배관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721A KR101814059B1 (ko) | 2017-05-25 | 2017-05-25 |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721A KR101814059B1 (ko) | 2017-05-25 | 2017-05-25 |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4059B1 true KR101814059B1 (ko) | 2018-01-30 |
Family
ID=6107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721A KR101814059B1 (ko) | 2017-05-25 | 2017-05-25 |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05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631B1 (ko) * | 2018-04-24 | 2018-11-30 | 김상문 |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
KR102189341B1 (ko) * | 2020-06-23 | 2020-12-09 | 황선태 |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
KR20210000469A (ko) * | 2019-06-25 | 2021-01-05 | 백승학 | 필터센서를 구비한 녹 제거 장치 |
KR102661582B1 (ko) * | 2023-04-28 | 2024-04-26 | 전광석 |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10970B2 (ja) * | 1999-12-24 | 2002-08-05 | 東京瓦斯株式会社 | 配管埋設用樹脂管及びその施工方法 |
US20030094298A1 (en) * | 2001-11-20 | 2003-05-22 | Commscope Properties, Llc | Toneable conduit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
WO2010013114A2 (en) * | 2008-07-31 | 2010-02-04 | Eaton Corporation | Electrical bonding device for telescoping fluid line assembly |
KR101567748B1 (ko) * | 2015-07-24 | 2015-11-09 | 현대파이프(주) |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
-
2017
- 2017-05-25 KR KR1020170064721A patent/KR1018140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10970B2 (ja) * | 1999-12-24 | 2002-08-05 | 東京瓦斯株式会社 | 配管埋設用樹脂管及びその施工方法 |
US20030094298A1 (en) * | 2001-11-20 | 2003-05-22 | Commscope Properties, Llc | Toneable conduit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
WO2010013114A2 (en) * | 2008-07-31 | 2010-02-04 | Eaton Corporation | Electrical bonding device for telescoping fluid line assembly |
KR101567748B1 (ko) * | 2015-07-24 | 2015-11-09 | 현대파이프(주) |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631B1 (ko) * | 2018-04-24 | 2018-11-30 | 김상문 |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
KR20210000469A (ko) * | 2019-06-25 | 2021-01-05 | 백승학 | 필터센서를 구비한 녹 제거 장치 |
KR102258613B1 (ko) * | 2019-06-25 | 2021-05-28 | 백승학 | 필터센서를 구비한 녹 제거 장치 |
KR102189341B1 (ko) * | 2020-06-23 | 2020-12-09 | 황선태 |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
KR102661582B1 (ko) * | 2023-04-28 | 2024-04-26 | 전광석 |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059B1 (ko) |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 |
CA2804367C (en) | Electrical wiring for drill pipe, casing, and tubing | |
US20230324010A1 (en) | Real time integrity monitoring of on-shore pipes | |
CA2666930C (en) | Splice for down hole electrical submersible pump cable | |
EP2923134A1 (en) | Sealing system | |
US11848121B2 (en) | High voltage electric power feed-through apparatus | |
NO20012071D0 (no) | Elektrisk kontaktsystem | |
US2706495A (en) | Spacing device for concentric tubular units | |
CN206619431U (zh) | 无卤无烟生态环保电缆 | |
US3454287A (en) | Insulated coupling for grooved end pipe | |
BR112018006023B1 (pt) |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 oleoduto revestido com um sistema de monitoramento de integridade, método para monitorar a integridade de um oleoduto revestido, encaixe de eletrofusão e oleoduto revestido | |
CN107025957A (zh) | 一种防裂无卤阻燃聚烯烃电缆 | |
CN110257834B (zh) | 套管内管道阴极保护检测装置及其安装方法 | |
US10738920B2 (en) | Composite fluid conduit assembly | |
WO2020122761A1 (ru) | Трубчатый кабелепровод | |
JP5787814B2 (ja) | 保護部材およびダクトスリーブ | |
KR101851175B1 (ko) | 탐색이 가능한 지중배관 | |
RU2811225C1 (ru) | Способ защиты токоизолирующе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участков трубопровода от внутренней коррозии | |
KR101304994B1 (ko) | 탐지능동형 합성수지관 | |
US20240071653A1 (en) | High voltage electric power feed-through apparatus | |
WO2021107821A1 (ru) | Кабелепровод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 |
KR101117141B1 (ko) | 이탈방지용 링 조인트 | |
US20160061351A1 (en) | Tone Carrier Locatable Cond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