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582B1 -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582B1
KR102661582B1 KR1020230056058A KR20230056058A KR102661582B1 KR 102661582 B1 KR102661582 B1 KR 102661582B1 KR 1020230056058 A KR1020230056058 A KR 1020230056058A KR 20230056058 A KR20230056058 A KR 20230056058A KR 102661582 B1 KR102661582 B1 KR 10266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ink
joint
female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석
Original Assignee
전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석 filed Critical 전광석
Priority to KR102023005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관절접속구가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암접속부와 수접속부가 서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관절접속구를 필요한 만큼 서로 적층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복수개의 관절접속구가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되면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 기존 배관이나 호스에 닿지 않도록 복수개 관절접속구의 위치를 가변시켜 설치함에 따라, 기존 주름관을 구부렸을 때 발생되는 구부려짐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관에 대한 설치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꺾여짐과 부러지지 않음에 따라 꺾여진 틈새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싱크대 하부 공간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체결구와 하부체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나사체결하여 연결하거나 끼움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연결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articulating plumbing device for sink-mounted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설치되고 분쇄가 이루어지는 1차처리부와 건조가 이루어지는 2차처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장치를 복수개의 관절접속구로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함에 따라,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작업성과 편의성 및 배관연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찢어지거나 훼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의 주방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식사 후 남겨진 음식물찌꺼기를 설거지 또는 세척할 수 있는 싱크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싱크대는 중앙에 배수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에는 설거지 또는 식품 세척시 발생 된 음식물찌꺼기 또는 식품이 배수관을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찌꺼기와 식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설거지 및 식품 세척 후 싱크대의 배수관에 구비된 거름망으로 걸러진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찌꺼기 및 식품이 쌓이게 되고, 거름망에 쌓여 진 음식물찌꺼기 및 식품에 의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을 할 수 없게 되거나,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찌꺼기 또는 식품은 수분에 의해 세균 번식에 필요한 각종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부패 내지는 세균 번식의 온상은 물론 악취를 발생하여 주변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서는 음식물찌꺼기 또는 식품이 쌓인 거름망을 배수관으로부터 인출하여 거름망에 쌓인 음식물찌꺼기 또는 식품을 쓰레기통으로 버려 폐기하게 되는데, 이렇게 폐기되는 음식물찌꺼기 또는 식품은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여 부피도 크고, 양도 많아 폐기처리에 따른 비용도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거나 압착하여 물기를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가 싱크대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대개 싱크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거나 탈수시키는 1차처리부와, 1차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미생물로 분해하도록 하는 2차처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1차처리부와 2차처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음식물찌거기의 배관장치들은 대개,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 다양한 각도로 구부리도록 하기 위해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배관 연결시공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름관의 부피에 의해 구부러지는 범위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주름관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좁은 싱크대에서의 주름관을 구부려주면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연결하는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싱크대 하부에는, 싱크대의 수전과 연결된 수도관이나 또는 정수기와 연결되는 정수기호스 또는 배수관과 보일러콘트롤러 등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싱크대의 하부 공간이 매우 비좁고 복잡할 수 밖에 없는 바, 이와 같이 비좁고 복잡한 싱크대 하부 공간에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배관장치를 주름관으로 연결할 때, 기존 설치되어 있는 배관이나 호스를 피하면서 주름관을 구부리면서 설치해야 하는 바, 주름진 주름관의 펼쳐지고자 하는 복원성에 의해 주름관의 구부림 동작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배관을 연결하는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여 작업효율성은 물론 작업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주름관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리하게 주름관을 구부릴 경우, 주름관의 꺾임 현상이 발생되고 꺾여진 주름관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꺾인 주름관이 그대로 잘라지면서 훼손되고 잘라진 틈새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싱크대 하부공간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934015호인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배관 연결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하방향으로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단 및 하단의 외주 일정 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관, 수직관의 중간부 일측으로 수평 방향의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한편 끝단의 외주 일정 구간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수평관, 수평관의 끝단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되 끝단에는 환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보조 연결구, 보조 연결구의 걸림턱 외주에 끼워지게 환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 및 보조 연결구의 걸림턱에 장착된 패킹을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가압하는 한편 보조 연결구가 본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보조 연결구의 외주를 감싼 채 본체에 나사체결되는 금속 재질의 마운팅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위해서 싱크대의 하측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및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통로와 싱크대에서 오버 플로우가 된 폐수가 흐르는 통로가 싱크대의 하측에서 합류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 하측의 구조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수직관과 수평관이 'ㅓ' 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싱크대와 연결되는 오버플로우라인과 하수관을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거나 탈수시키는 1차처리부와, 1차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미생물로 분해하도록 하는 2차처리부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존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오버플로우라인과 하수관은 전혀 개선되지 않음에 따라, 주름관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관을 연결 시공하는데 따른 문제점은 전혀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34015호(2009.12.17.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54622호(2019.12.04. 등록)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을 분쇄하거나 탈수시키는 1차처리부와, 1차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미생물로 분해하도록 하는 2차처리부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의 1차처리부와 2차처리부를 서로 연결하되, 복수개의 관절접속구를 이용하여 서로 적층하여 연결하도록 함에 따라,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관절접속구가 각각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각도로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여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찢어짐과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는, 싱크대의 수조 하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처리부와, 상기 1차처리부의 하단에 위치되어 1차처리부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건조하는 2차처리부를 갖는 음식물처리기의 1차처리부와 2차처리부를 연결하는 배관장치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암접속부와 수접속부가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적층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복수개 관절접속구와,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관절접속구에 연결되는 상부체결구와,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관절접속구에 연결되는 하부체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는 각각, 상기 암접속부가 상측에 연장 구비되고 수접속부가 하측에 연장 구비되며 내측을 관통하는 제1배수구멍을 갖는 관절접속구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접속구몸체의 상측에 연장 구비되는 암접속부는, 서로에 대해 적층 연결되는 관절접속구의 수접속부가 끼워지고, 내측에 제1단턱면과 상기 제1단턱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1하향경사면을 갖는 제1체결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접속구몸체의 하측에 연장 구비되는 수접속부는, 상기 관절접속구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에 대해 적층 연결되는 관절접속구몸체의 암접속부에 끼워져 상기 암접속부의 제1체결돌기에 걸어져 체결되되, 상기 수접속부가 암접속부의 내측에 끼워질 때 상기 제1체결돌기의 제1하향경사면을 따라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제1상향경사면을 갖는 제1체결면과, 상기 제1체결면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암접속부의 제1단턱면 내측에 위치되고 암접속부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는 제1끼움밀착면과, 상기 제1끼움밀착면의 둘레부에 끼움 구비되어 상기 암접속부의 제1단턱면과 수접속부의 제1끼움밀착면을 밀폐시키는 제1밀폐링으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체결구 및 하부체결구는 각각, 상기 관절접속몸체의 제1배수구멍과 연통되는 제2배수구멍을 갖는 체결구몸체와; 상기 체결구몸체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구비되되, 상기 체결구몸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에 제2단턱면과 상기 제2단턱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2하향경사면을 갖는 제2체결돌기가 구비된 암체결부와; 상기 체결구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구비되고 제2상향경사면이 구비되며, 둘레부에 제2밀폐링이 끼워진 수체결부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관절접속구가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암접속부와 수접속부가 서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관절접속구를 필요한 만큼 서로 적층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복수개의 관절접속구가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되면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 기존 배관이나 호스에 닿지 않도록 복수개 관절접속구의 위치를 가변시켜 설치함에 따라, 기존 주름관을 구부렸을 때 발생되는 구부려짐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관에 대한 설치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꺾여짐과 부러지지 않음에 따라 꺾여진 틈새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싱크대 하부 공간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체결구와 하부체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나사체결하여 연결하거나 끼움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연결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관절접속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관절접속구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상부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상부체결구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관절접속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복수개 관절접속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관절접속구와 상부체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관절접속구의 회전 위치가변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의 연결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대의 수조 하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처리부와, 상기 1차처리부의 하단에 위치되어 1차처리부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건조하는 2차처리부를 갖는 음식물처리기의 1차처리부와 2차처리부를 연결하는 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암접속부와 수접속부가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적층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복수개 관절접속구(10)와,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관절접속구(10a)에 연결되는 상부체결구(20)와,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관절접속구(10b)에 연결되는 하부체결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체결구(20)와 하부체결구(30)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연결커넥터(101)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연결커넥터(101)는, 나사식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연결되거나 또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는,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되면서 수평상으로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싱크대 하부 공간에 따라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회전시키면서,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시공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복수개 관절접속구(10)는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를 서로 끼워주면서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연결하면 된다.
즉,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는 각각, 암접속부(11)가 상측에 연장 구비되고 수접속부(12)가 하측에 연장 구비되며 내측을 관통하는 제1배수구멍(13)을 갖는 관절접속구몸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상측에 연장 구비되는 암접속부(11)는, 서로에 대해 적층 연결되는 관절접속구(10)의 수접속부(12)가 끼워지고, 내측에 제1단턱면(11a)과 상기 제1단턱면(11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1하향경사면(11b)을 갖는 제1체결돌기(11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하측에 연장 구비되는 수접속부(12)는,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에 대해 적층 연결되는 관절접속구몸체(14)의 암접속부(11)에 끼워져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체결돌기(11c)에 걸어져 체결되되, 상기 수접속부(12)가 암접속부(11)의 내측에 끼워질 때 상기 제1체결돌기(11c)의 제1하향경사면(11b)을 따라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제1상향경사면(12a)을 갖는 제1체결면(12b)과, 상기 제1체결면(12b)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단턱면(11a) 내측에 위치되고 암접속부(11)의 내측 바닥면(11d)에 밀착되는 제1끼움밀착면(12c)과, 상기 제1끼움밀착면(12c)의 둘레부에 끼움 구비되어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단턱면(11a)과 수접속부(12)의 제1끼움밀착면(12c)을 밀폐시키는 제1밀폐링(12d)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서로 끼움방식으로 연결하여 접속하면 된다.
즉,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서로 적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대응되게 위치되는 암접속부(11)의 내측에 수접속부(12)를 끼워주면 되는 것으로, 상기 수접속부(12)의 제1상향경사면(12a)을 갖는 제1체결면(12b)이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체결돌기(11c)에 닿더라도, 상기 수접속부(12)를 암접속부(11) 측으로 강하게 밀어주면, 수접속부(12)의 제1상향경사면(12a)이 체결돌기(11c)에 구비된 제1하향경사면(11b)을 타고 암접속부(11)의 내측으로 끼워진다.
이 후, 암접속부(11)의 체결돌기(11c)에 수접속부(12)의 제1체결면(12b)이 끼워지면서 걸리기 때문에, 수접속부(12)와 암접속부(11)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서로 대응되는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를 각각 끼워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는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 복수개 적층된 관절접속구(10)를 각각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키면 되는 것으로, 복수개 적층된 관절접속구(10)를 각각 회전시켜주면, 서로에 대해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가 끼워진 관절접속구(10)와 관절접속구(10)가 수평상으로 회전되어 위치가 틀어지면서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위치가 가변된다.
이에 따라, 싱크대 하부에 기존 설치된 배관이나 호스를 피하면서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가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서로 끼워진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가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 관절접속구(10)를 서로 적층하여 연결한 다음, 상기 상부체결구(20)를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최상측에 위치된 관절접속구(10a)에 연결하고 하부체결구(30)를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최하측에 위치된 관절접속구(10b)에 연결한 후, 상부체결구(20)와 하부체결구(30)에 각각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1차처리부(미도시)와 2차처리부(미도시)를 연결하면 된다.
상기 상부체결구(20) 및 하부체결구(30)는 각각, 상기 관절접속몸체(14)의 제1배수구멍(13)과 연통되는 제2배수구멍(21)(31)을 갖는 체결구몸체(22)(32)와, 상기 체결구몸체(22)(32)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구비되되, 상기 체결구몸체(22)(32)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에 제2단턱면(23)(33)과 상기 제2단턱면(23)(33)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2하향경사면(24)(34)을 갖는 제2체결돌기(25)(35)가 구비된 암체결부(26)(36)와, 상기 체결구몸체(22)(32)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구비되고 제2상향경사면(27)(37)이 구비되며, 둘레부에 제2밀폐링(28)(38)이 끼워진 수체결부(29)(39)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부체결구(20) 및 하부체결구(30)는, 각각 경사각도를 갖는 암체결부(26)(36)에 수체결부(29)(39)를 각각 연결하여, 필요한 설치각도로 상기 체결커넥터(101)가 각각 위치되도록 하면 된다.
즉, 상부체결구(20)와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최상측에 위치된 관절접속구(10a)의 암접속부(11)와 상부체결구(20)의 수체결부(29)를 끼움 연결한 다음, 상부체결구(20)의 암체결부(26)에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부체결구(20)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암체결부(26)와 수체결부(29)를 각각 끼움 연결한 후, 끝단부에 위치된 상부체결구(20)의 암체결부(26)에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면 된다.
이 때, 상기 상부체결구(20)의 암체결부(26)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각도에 따라, 상부체결구(20)의 개수를 달리하여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면 된다.
또한, 하부체결구(30)와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최하측에 위치된 관절접속구(10b)와 하부체결구(30)의 수체결부(39)를 끼움 연결한 다음, 하부체결구(30)의 암체결부(36)에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거나 또는 하부체결구(20)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암체결부(36)와 수체결부(39)를 각각 끼움 연결한 후, 끝단부에 위치된 하부체결구(30)의 암체결부(36)에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면 된다.
이 때, 상기 하부체결구(30)의 암체결부(36)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각도에 따라, 하부체결구(20)의 개수를 달리하여 체결커넥터(101)를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관절접속구(10)가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가 서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관절접속구(10)를 필요한 만큼 서로 적층시켜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관절접속구(10)가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되면서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좁은 싱크대 하부 공간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 기존 배관이나 호스에 닿지 않도록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위치를 가변시켜 설치함에 따라, 기존 주름관을 구부렸을 때 발생되는 구부려짐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에는 각각 전원을 접속 연결하는 제1전원접속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접속부(40)는 각각,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암접속부(11) 바닥면(11d)에 밀착 구비되되 상기 암접속부(11)의 내측 바닥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밀착되는 제1접지편(41)과, 상기 제1접지편(41)과 일측이 연결되고 이중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전원접속연장편(42)과, 상기 제1전원접속연장편(4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접속부(1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접지편(43)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접지편(41)을 암접속부(11)의 내측 바닥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암접속부(11)와 수접속부(12)가 서로에 대해 수평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수접속부(1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제2접지편(43)이 상기 원형으로 구비된 제1접지편(41)에 계속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구(20)와 하부체결구(30)에는 각각 전원을 접속 연결하는 제2전원접속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전원접속부(50)는 각각, 상기 체결구몸체(22)(32)의 암체결부(26)(36) 바닥면에 밀착 구비되되 상기 암체결부(26)(36)의 내측 바닥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밀착되는 제3접지편(51)과, 상기 제2접지편(51)과 일측이 연결되고 이중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체결구몸체(22)(32)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전원접속연장편(52)과, 상기 제2전원접속연장편(5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체결부(29)(39)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접지편(53)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접지편(51)을 암체결부(26)(36)의 내측 바닥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상부체결구(20)와 하부체결구(30)가 각각 서로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수체결부(29)(39)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제4접지편(53)이 상기 원형으로 구비된 제3접지편(51)에 계속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 관절접속구(10)에 제1전원접속부(40)가 구비되고, 상부체결구(20)와 하부체결구(30)에 각각 제2전원접속부(5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 관절접속구(10)의 제1전원접속부(40)와 상부체결구(20)와 하부체결구(30)의 제2전원접속부(50)가 각각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1차처리부와 2차처리부에 필요한 전원을 별도의 전선 시공없이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관절접속구 11 : 암접속부
11a : 제1단턱면 11b : 제1하향경사면
11c : 제1체결돌기 11d : 암접속부 바닥면
12 : 수접속부 12a : 제1상향경사면
12b : 제1체결면 12c : 제1끼움밀착면
12d : 제밀폐링 13 : 제1배수구멍
14 : 관절접속구몸체 20 : 상부체결구
21,31 : 제2배수구멍 22,32 : 체결구몸체
23,33 : 제2단턱면 24,34 : 제2하향경사면
25,35 : 제2체결돌기 26,36 : 암체결부
27,37 : 제2상향경사면 28,38 : 제2밀폐링
29,39 : 수체결부 30 : 하부체결구
40 : 제1전원접속부 41 : 제1접지편
42 : 제1전원접속연장편 43 : 제2접지편
50 : 제2전원접속부 51 : 제3접지편
52 : 제2전원접속연장편 53 : 제4접지편
101 : 체결커넥터

Claims (4)

  1. 싱크대의 수조 하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처리부와, 상기 1차처리부의 하단에 위치되어 1차처리부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건조하는 2차처리부를 갖는 음식물처리기의 1차처리부와 2차처리부를 연결하는 배관장치에 있어,
    서로에 대해 암접속부와 수접속부가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적층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복수개 관절접속구(10)와,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관절접속구(10a)에 연결되는 상부체결구(20)와,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관절접속구(10b)에 연결되는 하부체결구(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는 각각,
    암접속부(11)가 상측에 연장 구비되고 수접속부(12)가 하측에 연장 구비되며 내측을 관통하는 제1배수구멍(13)을 갖는 관절접속구몸체(14)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상측에 연장 구비되는 암접속부(11)는, 서로에 대해 적층 연결되는 관절접속구(10)의 수접속부(12)가 끼워지고, 내측에 제1단턱면(11a)과 상기 제1단턱면(11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1하향경사면(11b)을 갖는 제1체결돌기(11c)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하측에 연장 구비되는 수접속부(12)는,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에 대해 적층 연결되는 관절접속구몸체(14)의 암접속부(11)에 끼워져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체결돌기(11c)에 걸어져 체결되되, 상기 수접속부(12)가 암접속부(11)의 내측에 끼워질 때 상기 제1체결돌기(11c)의 제1하향경사면(11b)을 따라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제1상향경사면(12a)을 갖는 제1체결면(12b)과, 상기 제1체결면(12b)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단턱면(11a) 내측에 위치되고 암접속부(11)의 내측 바닥면(11d)에 밀착되는 제1끼움밀착면(12c)과, 상기 제1끼움밀착면(12c)의 둘레부에 끼움 구비되어 상기 암접속부(11)의 제1단턱면(11a)과 수접속부(12)의 제1끼움밀착면(12c)을 밀폐시키는 제1밀폐링(12d)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관절접속구(10)에는 각각 전원을 접속 연결하는 제1전원접속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접속부(40)는 각각,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암접속부(11) 바닥면(11d)에 밀착 구비되되 상기 암접속부(11)의 내측 바닥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밀착되는 제1접지편(41)과;
    상기 제1접지편(41)과 일측이 연결되고 이중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관절접속구몸체(14)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전원접속연장편(42)과;
    상기 제1전원접속연장편(4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접속부(1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접지편(4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56058A 2023-04-28 2023-04-28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KR10266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058A KR102661582B1 (ko) 2023-04-28 2023-04-28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058A KR102661582B1 (ko) 2023-04-28 2023-04-28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582B1 true KR102661582B1 (ko) 2024-04-26

Family

ID=9088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058A KR102661582B1 (ko) 2023-04-28 2023-04-28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5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845A (ja) * 1995-03-30 1996-10-15 Smc Corp 導体を配設した流体用チューブおよびその接続構造
JPH09296889A (ja) * 1996-05-02 1997-11-18 Riken Corp 管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7743A (ko) * 2003-04-08 2004-10-15 이삼주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JP2007138674A (ja) * 2005-11-16 2007-06-07 Nippon Alpha:Kk 配管に係る接続継手
KR100934015B1 (ko) 2008-10-30 2009-12-28 주식회사 바이온텍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배관 연결구
KR101814059B1 (ko) * 2017-05-25 2018-01-30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KR102054622B1 (ko) 2019-06-26 2019-12-10 민욱영 배관 굴절 연결 조인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845A (ja) * 1995-03-30 1996-10-15 Smc Corp 導体を配設した流体用チューブおよびその接続構造
JPH09296889A (ja) * 1996-05-02 1997-11-18 Riken Corp 管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7743A (ko) * 2003-04-08 2004-10-15 이삼주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JP2007138674A (ja) * 2005-11-16 2007-06-07 Nippon Alpha:Kk 配管に係る接続継手
KR100934015B1 (ko) 2008-10-30 2009-12-28 주식회사 바이온텍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배관 연결구
KR101814059B1 (ko) * 2017-05-25 2018-01-30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KR102054622B1 (ko) 2019-06-26 2019-12-10 민욱영 배관 굴절 연결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15500Y (zh) 食品废物处理机
KR102661582B1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처리기용 관절 접속식 배관장치
KR101126336B1 (ko) 싱크대 배수유닛
CN203755402U (zh) 排水系统
JP5616685B2 (ja) 横主管用掃除口構造
CN210002495U (zh) 一种后置式排水管及洗涤模块
KR100934015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배관 연결구
CN208533656U (zh) 一种同层排水结构
CN107663876A (zh) 一种新型结构的同层积水排除器
CN210300908U (zh) 一种厨余垃圾处理器的排水排气结构
CN2623753Y (zh) 防非典多用卫生排水地漏
KR101705126B1 (ko) 집수 배수장치
CN206916915U (zh) 一种防溢水地漏盖板
CN210300909U (zh) 一种水槽洗碗机的排水排气结构
CN210887464U (zh) 一种垃圾处理器研磨仓用双螺纹式排污组件
CN207046882U (zh) 双进水口污水处理水箱
CN219671543U (zh) 一种防臭防堵下水器
CN205500845U (zh) 一种新型采用液位控制方式的隔油设备
CN212129406U (zh) 一种易清洁的侧排水地漏
CN211774246U (zh) 一种新型节水型下水装置
CN212246467U (zh) 一种餐厨垃圾首次分离的污水处理机构
CN211621886U (zh) 一种止水节用地漏
CN210917588U (zh) 一种管道排污结构
CN211646600U (zh) 一种带排渣口的下水器
CN209975682U (zh) 一种整体卫浴底盘侧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