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16B1 -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16B1
KR102277016B1 KR1020200047332A KR20200047332A KR102277016B1 KR 102277016 B1 KR102277016 B1 KR 102277016B1 KR 1020200047332 A KR1020200047332 A KR 1020200047332A KR 20200047332 A KR20200047332 A KR 20200047332A KR 102277016 B1 KR102277016 B1 KR 102277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lock
locking pin
mai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창
Original Assignee
유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창 filed Critical 유재창
Priority to KR102020004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부에 대하여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메인걸림핀과,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메인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도어락, 및 상기 벽부에 대하여 상기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보조걸림핀과, 보조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와,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보조입력부를 포함하는 보조도어락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입력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만 마련되어, 상기 보조걸림핀의 락킹상태해제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DOOR LOCK SYSTEM WITH AUXILIARY DOOR LOCK}
본 발명은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도어에 설치된 메인도어락 이외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하여, 범죄 목적의 침입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는 보조도어락에 의해 도어의 락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불법으로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락이 설치된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를 닫은 경우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외출시 열쇠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비밀번호 입력이나 RFID 카드 접촉 등의 방식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도어락은 사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침입자가 드라이버나 노루발 못 뽑이 등을 이용하여 파손할시 그 침입을 막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특히, 디지털 도어락은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충격이 가해지면 오작동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전기충격기를 이용하여 고전압을 디지털 도어락에 인가하는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락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통상적인 도어락은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버튼이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주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침입자가 엿보고, 거주자가 실내에 입장할 때 침입자가 탈취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침입을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락이 가진 편리성에 대한 장점 이외에 위와 같은 사례의 보안 취약성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20-2013-0001749 A1
본 발명은, 비밀번호가 누설되어 침입자가 거주자를 뒤쫓아 실내 침입을 시도하더라도, 그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부에 대하여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메인걸림핀과,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메인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도어락, 및 상기 벽부에 대하여 상기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보조걸림핀과, 보조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와,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보조입력부를 포함하는 보조도어락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입력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만 마련되어, 상기 보조걸림핀의 락킹상태해제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도어락은, 외부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 또는 상기 보조제어부는, 사용자인증절차가 성공하면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보조걸림핀을 언락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도어락은,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을 감지하였을 경우,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하여, 상기 보조걸림핀을 락킹상태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제어부는,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한 경우, 스피커를 이용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입력부는, 주변의 소리 입력을 받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애완동물 울음소리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보조걸림핀을 락킹상태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도어락은, 주변에 위치한 다른 상기 보조도어락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하여 주변의 상기 다른 보조도어락에 외부침입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고요청신호를 브로드케스팅하고, 상기 다른 보조도어락은, 상기 신고요청신호에 따라 외부의 서버에 상기 보조도어락에 침입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벽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동체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동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동체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걸림핀을 언락킹상태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동체가 내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걸림핀을 락킹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메인도어락 이외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별도의 보조도어락을 포함하되, 보조도어락의 락킹/언락킹은 도어의 내부에서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누설되어 침입자가 거주자를 뒤쫓아 실내 침입을 시도하더라도 그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조도어락의 락킹/언락킹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단말기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가 보조도어락을 외력에 의한 파손을 시도할 때, 이를 감지하고 외부에 신고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 등을 통해 소리를 출력하여 침입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은 메인도어락과 함께 도어를 이중으로 잠그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그 이동방향에 따라 락킹/언락킹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충격이나 진동 감지 결과나, 애완동물의 울음소리를 이용하여 보조도어락을 락킹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시스템이 설치된 도어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도어락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동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이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하여 서버에 신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시스템이 설치된 도어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도어락 및 보조도어락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시스템은, 벽부에 대하여 도어(1)를 락킹(locking) 또는 언락킹(un-locking)시키는 메인걸림핀(115)과,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메인걸림핀(115)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14)와, 메인걸림핀(11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메인입력부(113a, 113b)를 포함하는 메인도어락(110)과, 상기 벽부에 대하여 도어(1)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보조걸림핀(125)과, 보조구동수단에 의해 보조걸림핀(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124)와, 보조걸림핀(12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보조입력부(122)를 포함하는 보조도어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도어락(120)의 본체(121) 또는 보조입력부(122)는, 도어(1)의 내측에만 마련되어, 보조걸림핀(125)의 락킹상태의 해제는 도어(1)의 내측에서만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도 1 내지 3b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도어락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도어락(110)은 통상의 도어락과 같이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으로 닫힌 도어를 언락킹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이나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여 도어를 락킹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메인도어락(110)은 도어내측면(1a)에 마련된 손잡이가 회전하거나 도어내측면(1a)에 마련된 제2 메인입력부(113b)가 작동되는 경우 벽부에 대한 메인걸림핀(115)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또 도어외측면(1b)에 마련된 제1 메인입력부(113a)를 통해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 입력을 받거나 기 등록된 RFID 카드의 접촉을 감지한 경우에도 벽부에 대한 메인걸림핀(115)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메인걸림핀(115)의 로킹 및 언로킹 동작은, 메인제어부(114)가 메인걸림핀(1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소정의 메인구동수단에 전송함으로써 웜기어 등의 전동수단을 매개로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동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도면부호 111은 도어외측면(1b)에 설치된 메인도어락(110)의 외측본체를 가리키고, 미설명도면부호 112는 도어내측면(1a)에 설치된 메인도어락(110)의 내측본체를 가리킨다.
보조도어락(12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도어락(110)과 이격 설치되어 메인도어락(110)과 별개로 작동할 수 있고, 보조도어락(120)은 도어내측면(1a)에만 본체(121)가 마련되어, 도어외측면(1b)에는 보조도어락(120)에 포함되거나 보조도어락(120)과 관련된 구성요소가 노출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메인도어락(110)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음은 물론,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 도어(1) 외부에서 침입자가 메인도어락(110)을 통해 보조도어락(120)에 간접적으로도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도어락(120)도 메인도어락(110)과 마찬가지로, 보조제어부(124)가 보조걸림핀(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소정의 보조구동수단에 전송함으로써 웜기어 등의 전동수단을 매개로 도어(1)를 로킹 또는 언로킹할 수 있다.
보조도어락(120)은 도어내측면(1a)에 마련된 보조입력부(122)가 작동되는 경우 벽부에 대한 보조걸림핀(125)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메인도어락(110)과 다르게 도어외측면(1b)에 추가로 사용자입력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도어(1)의 외부에서는 보조걸림핀(125)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다.
따라서, 도어(1) 외부에서는 메인도어락(110) 이외에 보조도어락(12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또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메인도어락(110)의 비밀번호가 누설되어 침입자가 거주자를 뒤쫓아 실내 침입을 시도하더라도 그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벽부를 항하여 배치되어 동체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센서(1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인체에서는 7㎛ ~ 14㎛ 파장의 적외선(infrared)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보조제어부(124)는 적외선센서(127)를 이용하여 전방 물체에 대한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제어부(124)는 2 이상의 적외선센서(127a, 127b)를 이용하여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동체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보조걸림핀(125)의 락킹/언락킹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동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적외선센서(127a, 127b)가 벽부를 향하여 설치되되, 도어(1)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인체가 개방된 도어(1)와 벽부 사이를 이동할 때, 제1 및 제2 적외선센서(127a, 127b) 각각이 이동하는 인체를 순차로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적외선센서(127a, 127b) 각각은 전방에 대하여 인체를 검출할 수 있는 범위 w1 및 w2를 갖으며, 일 예로 인체(또는 동체)가 w1에서 w2로 이동하거나 w2에서 w1로 이동하였을 때, 보조제어부(124)는 제1 및 제2 적외선센서(127a, 127b)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이동방향(내부→외부 또는 외부→내부)을 판단할 수 있다.
통상 적외선센서(127)가 전방에 대하여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는 방사형을 가질 수 있고, 방사형의 감지범위를 갖는 경우 인접한 두 제1 및 제2 적외선센서(127a, 127b)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감지범위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중첩부분으로 인해 인체의 이동방향을 오판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단의 전방에 렌즈나 거울 또는 격벽 따위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적외선센서(127a, 127b)가 서로 중첩되는 감지범위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w1의 범위와 w2의 범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마주하는 부분이 서로 평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제어부(124)는 적외선센서(127)를 이용하여 인체(또는 동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인체가 도어(1)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보조걸림핀(125)을 언락킹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고, 반대로 인체가 도어(1)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보조걸림핀(125)을 락킹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도어락(110)은, 종래 통상적인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도어(1)가 닫혀 있음을 감지 또는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도어(1)의 락킹/언락킹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하지만, 보조제어부(124), 이와 다르게 인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도어(1)의 락킹/언락킹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도어락(120)은 메인도어락과 함께 도어(1)를 이중으로 잠그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그 이동방향에 따라 락킹/언락킹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이 안에서 밖으로 나가는 경우 보조도어락(120)을 락킹상태로 하여 밖에서 안으로 들어올 때 도어(1)를 열기 위해 메인도어락(110)과 보조도어락(120)을 모두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반대로 사람이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보조도어락(120)을 락킹상태로 하여, 침입자가 거주자를 따라 실내 침입을 시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내 거주자가 2인 이상인 경우 등에는 그 중 1인이 도어(1) 외부로 외출하는 등의 사유로 보조도어락(120)이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고, 도어(1) 내측에서 보조도어락(120)의 락킹상태를 해제하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보조도어락(120)을 언락킹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외부단말기(2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1 통신부(12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26a)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외부단말기(200)나, 후술하는 외부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방식은 무선인터넷방식이나 이동통신방식, 또는 라디오주파수(RF)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단말기(200), 또는 외부단말기(200)와 상호 연동하는 보조제어부(124)는, 외부단말기(200)에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된 생체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외부단말기(200) 또는 보조제어부(124)는 보조걸림핀(12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보조걸림핀(125)을 언락킹할 수 있다.
결국, 외부에 있는 사용자는 외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절차를 거쳐, 락킹상태의 보조제어부(124)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도어락(110)과 보조도어락(120)의 이중잠금에 의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체가 도어(1)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왔을 때, 언락킹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내부에 있더라고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보조도어락(120)을 락킹상태로 전환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128)나, 주변의 소리 입력을 받기 위한 마이크(12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제어부(124)가 진동감지센서(128)를 통해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외부침입을 판단하여 보조걸림핀(125)을 락킹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감지센서(128)는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보조제어부(124)는 마이크(129b)를 통해 주변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고, 마이크(129b)를 통해 수집한 주변의 소리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애완동물 울음소리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외부침입을 판단하여 보조걸림핀(125)을 락킹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도어(1)의 외부에 침입자가 있는 경우 애완견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이를 경계하여 짖기 때문에, 보조제어부(124)는 애완견의 소리를 인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외부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조도어락(120)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29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외부 침입이 있음을 판단한 경우, 스피커(129a)를 통해 알람신호를 크게 출력하여, 침입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토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외부 침입이 있음을 판단한 경우, 외부침입이 있음을 알려주기 위한 신고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기관(일 예로, 경찰기관 등)에 의해 운영되는 외부의 서버(미도시)에 제1 통신부(126a)를 이용하여 상기 신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신속하게 신고신호를 외부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에 외부 침입 사실이 있음을 자동으로 알림으로써, 위험에 처한 거주자는 외부 침입으로부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침입이 발생한 긴급한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제1 통신부(126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통신장애 등의 이유로 상기 신고신호가 외부의 서버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제어부(124)는 제2 통신부(126b)를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다른 보조도어락(120a~120d)에 신고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신고요청신호를 수신한 타 보조도어락(120)이 외부 서버에 신고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을 소유한 타 거주자의 동의가 필요할 수 있어, 보조도어락(120)은 저장부(미도시)에 등록된 고유식별부호를 가진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에만 신고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이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하여 서버에 신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락(120)은 주변에 위치한 인근의 보조도어락(120a1~120a4)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2 통신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부(126b)는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과 통신하기 위한 것이면 통신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과 같인 집합건물의 경우, 보조도어락(120a1~120a4)은 근접하여 설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거리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도어락(120)은 외부 침입이 있음을 판단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126b)를 이용하여 주변의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들에 외부침입이 있음을 알려주신 신고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신고요청신호를 수신한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은 이를 외부 서버에 신고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도어락(120)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주변의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에 신고요청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신상대방으로부터의 응답(request)을 기다리지 않으며, 또 여기서 상기 신고요청신호와 상기 신고신호는, 외부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한 보조도어락(120)(또는 신고요청신호를 발송한 보조도어락(120))의 고유식별부호 또는 해당 보조도어락(120)이 설치된 곳의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서버에서 신고신호 수신시 외부 침입이 발생한 곳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신고요청신호를 수신한 타 보조도어락(120a1~120a4) 중 적어도 하나는 자신이 포함한 제1 통신부(126a)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에 상기 신고요청신호를 발신한 보조도어락(120)에 침입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고신호를 전송하되, 신고요청신호를 발신한 보조도어락의 고유식별부호 또는 주소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기관이 신속히 외부침입이 발생한 장소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도어 1a: 도어내측면
1b: 도어외측면 110: 메인도어락
111: 메인도어락외측본체 112: 메인도어락내측본체
113a: 제1 메인입력부 113b: 제2 메인입력부
114: 메인제어부 115: 메인걸림핀
120: 보조도어락 120a~120d: 인접 보조도어락
121: 보조도어락내측본체 122: 보조입력부
124: 보조제어부 125: 보조걸림핀
126a: 제1 통신부 126b: 제2 통신부
127: 적외선센서 127a: 제1 적외선센서
127b: 제2 적외선센서 128: 진동감지센서
129a: 스피커 129b: 마이크
200: 외부단말기

Claims (5)

  1. 벽부에 대하여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메인걸림핀과,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메인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도어락; 및
    상기 벽부에 대하여 상기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보조걸림핀과, 보조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와, 상기 보조걸림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보조입력부를 포함하는 보조도어락;
    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입력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만 마련되어, 상기 보조걸림핀의 락킹상태해제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도어락은,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을 감지하였을 경우,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하여, 상기 보조걸림핀을 락킹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며,
    상기 보조도어락은, 주변에 위치한 다른 상기 보조도어락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하여 주변의 상기 다른 보조도어락에 외부침입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고요청신호를 브로드케스팅하고,
    상기 다른 보조도어락은, 상기 신고요청신호에 따라 외부의 서버에 상기 보조도어락에 침입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입력부는, 주변의 소리 입력을 받기 위한 마이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애완동물 울음소리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침입이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보조걸림핀을 락킹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동체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외선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동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동체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걸림핀을 언락킹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KR1020200047332A 2020-04-20 2020-04-20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KR102277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32A KR102277016B1 (ko) 2020-04-20 2020-04-20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32A KR102277016B1 (ko) 2020-04-20 2020-04-20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016B1 true KR102277016B1 (ko) 2021-07-12

Family

ID=7685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32A KR102277016B1 (ko) 2020-04-20 2020-04-20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740A (ko) * 2005-05-23 2006-11-28 이용선 애완견의 울부짖음에 작동하는 무인 카메라 및 그 작동방법
KR20130001749U (ko) 2013-01-04 2013-03-13 노장현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KR20190092793A (ko) * 2018-01-31 2019-08-08 건축안전기술 주식회사 스마트 방범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7281A (ko) * 2018-04-06 2019-10-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740A (ko) * 2005-05-23 2006-11-28 이용선 애완견의 울부짖음에 작동하는 무인 카메라 및 그 작동방법
KR20130001749U (ko) 2013-01-04 2013-03-13 노장현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KR20190092793A (ko) * 2018-01-31 2019-08-08 건축안전기술 주식회사 스마트 방범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7281A (ko) * 2018-04-06 2019-10-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3850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JP5809386B2 (ja) 制御可能なデータ転送能力を有する金庫
US20080238669A1 (en) Door entry security device with electronic lock
US11062539B2 (en) Wireless electronic lockset user validation using comparative gesture processing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EP3149864B1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JP4665649B2 (ja) 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70527B2 (ja) 開閉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277016B1 (ko) 보조도어락을 구비한 도어락시스템
KR20210094291A (ko) Iot 스마트 도어락의 컨트롤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iot 스마트도어락 제어 시스템
JP2011094292A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2291323B1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2642A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JP4462210B2 (ja) 建物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100855125B1 (ko) 도주 방지용 방범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07034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TW201704610A (zh) 智慧型門禁裝置
TWM491703U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KR20100032609A (ko)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220114338A (ko)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