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584B1 -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584B1
KR102276584B1 KR1020200107142A KR20200107142A KR102276584B1 KR 102276584 B1 KR102276584 B1 KR 102276584B1 KR 1020200107142 A KR1020200107142 A KR 1020200107142A KR 20200107142 A KR20200107142 A KR 20200107142A KR 102276584 B1 KR102276584 B1 KR 102276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rainer
backwashing
measuring devic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디아이엔바이로
주식회사 합동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아이엔바이로, 주식회사 합동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20010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1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및 휴대 가능한 공기측정기를 활용하여 여과지의 공기 역세척시 스트레이너 블록 및 스트레이너를 통해 분출되는 역세 공기홀의 막힘이나 스트레이너 블록의 레벨 상태, 스트레이너 손상 유무 등을 사전 점검하도록 하여 불량 시공을 방지하고 균등한 공기 역세척을 통해 세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는, 스트레이너 블록에 구비된 스트레이너로부터 분출되는 역세 공기가 유입 및 이동되는 역세 공기 이동관과;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A movable apparatus for measuring back washing air and check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of strainer block type lower watercoll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집수장치의 한 종류인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레이너 블록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 스트레이너 블록들 간의 수평 레벨 불량 및 시공불량으로 인한 역세 공기홀의 막힘이나 스트레이너의 손상 유무 등을 이동 가능한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스트레이너 블록의 각 구역별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여재 포설 등의 후속 공정이 진행되기 이전에 시공불량이 발생된 부분에 대한 후속 보완 조치를 취하여 불량시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균등한 공기 역세척을 통해 세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시설의 중력식 여과지에서는 물의 여과 후 주기적으로 여재에 붙어 있는 탁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역세척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재에 붙어 있는 탁질의 역세척 여부에 따라 여과 성능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여과층 전체가 균등하고 유효하게 세척될 수 있는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균등하고 유효한 세척이라 함은 여과층의 전체 표면과 여과층의 전체 깊이에서 가능한 한 청정한 형태의 여과지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종래의 역세척 방법 중 공기세척 방식은 여과층의 하부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여재에 부착된 탁질을 박리시키는 방법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물 역세척과 병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와 물을 병용하여 역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collapse-pulsing 현상을 일으켜 역세척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데, 이 경우 여과층의 팽창 유무에 따라 역세척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공기세척 방식을 채택할 경우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여과지 전체에 공기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작업이다. 공기는 물에 비하여 점성이 작고 약간의 압력차가 있더라도 분출 공기량이 크게 달라지므로 공기를 여과층 전체에 균등하게 분산(분출공의 간격을 좁게 하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시공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여과지 전체에 걸쳐 균등한 역세척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하부집수장치의 분배실(집수실)에 균등유속(균등압력)으로 압력공기를 공급해야 하지만, 이렇게 하부집수장치의 분배실에 압력공기를 공급하더라도 스트레이너 블록들 간의 레벨 차이로 인하여 스트레이너 블록 내의 분배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홀(Air hole, 공기 세척용 오리피스)의 수평레벨이 틀어지거나 시공불량으로 공기홀이 막히는 등의 상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스트레이너 블록 분배실에 역세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여과지 전체에 대한 균등한 역세척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스트레이너 블록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의 파손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균등한 역세척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었는바, 기존에는 이러한 균등한 역세척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에 여재(모재 또는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등)를 포설하기 이전에 검수자가 역세 공기 시운전 테스트를 통해 검수자의 육안으로 시공불량 요인들을 일일이 확인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었다.
일반적인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분배실(집수실) 높이는 여과지 바닥으로부터 약 900~1000mm 정도의 낮은 높이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분배실의 공기홀 상태 점검을 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고, 이 때문에 보통은 지상에서 검수자의 육안검사를 통해 검수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공기분출상태(Air scouring)를 판단하여 시공상태를 점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여과지 바닥으로부터 4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한 지상에서 검수자의 육안으로만 상태 검증이 이루어지는 만큼 정확한 검증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검수자가 지상에서 육안검사만을 통해 공기분출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전체 분배실에 걸쳐 얼마 정도의 균등압력(유속)으로 공기가 분출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분배실 공기홀의 부분적인 막힘과 스트레이너의 국부적인 파손 등은 육안검사 만으로는 사실상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5149호(2007.06.2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트레이너 블록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 역세 공기가 분출되는 스트레이너 상부에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국부적으로 이동 설치하면서 각 분배실별로 유입되는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고 그 편차를 비교하여 시공불량이 발생된 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시공불량이 발생된 부분을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시공보완 및 부품교체 등을 통해 사전 조치하도록 함으로써 시공불량이 없는 한층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질 수 있고 시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는, 스트레이너 블록에 구비된 스트레이너로부터 분출되는 역세 공기가 유입 및 이동되는 역세 공기 이동관과;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일측에는 역세 공기 이동관의 용이한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하단에는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부에서 하나 이상의 스트레이너를 감쌀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함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체부는 서로 이웃하는 4개의 스트레이너를 한 묶음으로 동시에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체부의 하단에는 역세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면과 함체부 사이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은, (a) 시공 완료된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의 역세 공기 측정 대상 구역에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하는 단계와; (b) 스트레이너 블록으로 역세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c) 스트레이너에서 분출되는 역세 공기량을 역세 공기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와; (d) 각 측정 대상 구역에서 측정된 역세 공기량의 편차를 비교하여 시공불량 구역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의 함체부가 서로 이웃하는 4개의 스트레이너를 한 묶음으로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위치 상에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시공불량 구역의 역세 공기홀 막힘이나 스트레이너 블록의 레벨 상태, 스트레이너 손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에 따르면, 스트레이너 블록 시공이 완료된 이후, 역세 공기가 분출되는 스트레이너 상부에 이동형 계측장비인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국부적으로 이동 설치하면서 각 분배실별로 유입되는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각 구역별 역세 공기량 편차를 비교하여 시공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는 구역에 대한 분배실 공기홀의 막힘 등의 시공상태 불량, 스트레이너의 부분 파손 등의 하자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후속 공정(여재 포설 및 고르기 등)을 진행하기 전에 상기 시공불량이 발생된 부분을 시공보완 및 부품교체를 통해 사전에 보완 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지고 시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 검수자의 육안검사 방식으로 알 수 없었던 시공불량 상태 및 스트레이너의 부분 막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을 계측장비(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불량시공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과 같이 스트레이너 블록이 시공된 후 여재 포설 등의 후속 시공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뒤늦게 시공불량이 파악됨으로써 스트레이너 블록 위에 포설된 여재를 다시 철거하고, 하자 발생 부분을 보완 조치한 이후 다시 여재를 재포설하는 등의 시간적, 경제적 낭비요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가 시공 완료된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에 국부적으로 설치된 구역을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와, 이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에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트레이너(110)를 감싸며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면에 안착되는 함체부(140), 상기 함체부(140) 상단에 결합되는 역세 공기 이동관(120), 역세 공기 이동관(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된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 및 손잡이(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역세 공기 이동관(120)은 역세 공기가 이동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스트레이너 블록(100)에 설치된 스트레이너(110)로부터 분출되는 역세 공기가 역세 공기 이동관(120) 내부로 유입된 후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역세 공기 이동관(120)은 함체부(140)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역세 공기 이동관(121)과, 'L'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역세 공기 이동관(12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역세 공기 이동관(122)을 포함한다.
제2 역세 공기 이동관(122)의 최상단에는 스트레이너(110)로부터 분출되어 함체부(140), 제1 역세 공기 이동관(121), 및 제2 역세 공기 이동관(122) 내부를 따라 유입되는 역세 공기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가 설치된다.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는 제2 역세 공기 이동관(122) 내부를 통과하는 역세 공기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flow meter)로서, 용적 유량계, 질량 유량계, 전자 유량계, 초음파 유량계 등 다양한 측정 방식의 유량계가 적용될 수 있다.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는 측정된 유량 데이터를 LTE, 5G 등의 무선 전송망을 통해 외부의 메인 서버(main server)로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송신장치를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를 통해 측정된 역세 공기량 데이터는 무선 송신장치를 통해 외부의 메인 서버로 실시간 전송되며, 메인 서버에서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역세 공기량 정보를 무선 송신장치를 통해 제공받아 각 측정 개소의 유량 데이터 값의 차이(편차)를 비교 및 연산하여 각 측정 개소 유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역세 공기 이동관(121)의 최상단에는 손잡이(Handle; 12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검수자는 손잡이(124) 부분을 잡고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측정 대상 구역에 용이하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함체부(140)는 제1 역세 공기 이동관(121)의 하단에 연결 형성되고, 스트레이너 블록(100)의 상부에서 하나 이상(실시 예에서는 4개)의 스트레이너(110)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체부(140)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체 형상의 내부공간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4개의 스트레이너(110)가 한 묶음 형태로 동시에 감쌀 수 있는 크기(20×20cm)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함체부(140)는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력에 의해 쉽게 이동 가능하면서,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쉽게 유동되지 않을 수 있는 자체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검수자는 손잡이(124) 부분을 잡고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설치 대상 구역까지 용이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대상 구역에 이동 설치된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는 스트레이너 블록(10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다.
또한, 함체부(140)의 하단부 외곽 테두리에는 스트레이너 블록(100)의 상면과 함체부(140) 사이를 밀봉(sealing)할 수 있는 밀봉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밀봉부재(15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계의 소재로 구성되어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면에 안착된 함체부(140) 사이의 틈새로 역세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밀봉부재(150)는 자동차의 도어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형태와 같이 역세 공기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이중, 또는 다중 밀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시공 완료된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에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가 국부적으로 설치된 구역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부의 (A)~(D) 구역에 다수 개가 동시에 설치되거나, 또는 하나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A)~(D) 구역별로 순차적으로 이동 설치하면서 여과지 전면적에 걸쳐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은, 시공 완료된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부의 역세 공기 측정 대상 구역에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하는 단계(S210)와, 스트레이너 블록(100)으로 역세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220)와, 스트레이너(110)에서 분출되는 역세 공기량을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S230)와, 각 측정 대상 구역에서 측정된 역세 공기량의 편차를 비교하여 시공불량 구역을 파악하는 단계(S240)와, 시공불량으로 파악된 구역에 대한 시공보완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시공함에 있어, 스트레이너 블록(100)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스트레이너 블록(100) 위에 여재(여과사 등)를 포설한 후 포설된 여재를 고르는 작업 등의 후속 공정이 수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작업은 상기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록(1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여재가 포설되기 이전에 수행되는 작업이며, 검수자는 시공 완료된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부의 역세 공기 측정 대상 구역에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할 수 있다.(S210)
이 경우,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의 함체부(140)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4개의 스트레이너(110)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위치로 이동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과지 1지에 18장의 스트레이너 블록(100)이 설치된 경우 스트레이너 블록(100) 한 블록당 스트레이너(110) 4개를 한 묶음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측정 개소별로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하면서 18장의 모든 블록의 역세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세 공기 측정 대상 구역의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부에 본 발명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스트레이너 블록(100)으로 역세 공기를 공급(S220)하고, 함체부(140)로 감싸진 복수의 스트레이너(110)에서 분출되는 역세 공기량을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S230)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를 이용한 역세 공기량 측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스트레이너 블록(100) 상부의 (A)~(D) 구역에 동시에 설치하여 각 구역별로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거나, 또는 하나의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A)~(D) 구역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가며 역세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를 통해 측정된 역세 공기량 데이터 정보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 내에 구비된 무선 송신장치를 통해 외부의 메인 서버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상기 역세 공기량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역세 공기량 데이터 정보를 제공 받아 각 측정 개소에서 측정된 유량 데이터 값의 차이(편차)를 비교 및 연산한 후, 각 측정 개소의 유로로부터 분출된 유량이 정상값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유로의 막힘, 파손 등이 발생한 시공불량 구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S240)
이렇게 시공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구역에서는 스트레이너 블록(100)들 간의 시공 레벨(level)이 맞지 않아 스트레이너 블록 내부의 분배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홀(Air hole, 공기 세척용 오리피스)들 간의 레벨이 틀어지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하부집수장치의 분배실(집수실)에 일정 압력의 역세 공기를 공급하더라도 일부 분배실에 역세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해당 시공불량 구역의 스트레이너(110)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 역세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공불량으로 판단된 구역의 공기홀의 틀어짐이나 막힘, 스트레이너 블록의 레벨 상태, 스트레이너의 손상 유무 등을 정확히 점검하고, 이에 대한 시공 보완 조치를 할 수 있고, 일부의 스트레이너(110)가 파손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이들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사전 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록(100) 시공 후 후속 공정(여재 포설 등)을 진행하기 이전에 시공불량이 발생된 부분에 대한 시공보완 및 부품교체 등의 해당 조치를 취함으로써 시공불량이 발생된 구역을 정상 시공상태로 되돌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2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과지 전체 면적에 대하여 균등한 역세척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육안검사 방법이 아닌 계측장비, 즉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트레이너 블록의 각 구역별로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고 그 편차를 비교 분석한 후, 시공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파악된 구역의 공기홀의 시공상태, 스트레이너 블록들 간의 레벨 불량, 스트레이너의 파손 여부 등을 후속 공정(여재 포설 및 고르기 등)이 진행되기 이전 단계에서 쉽고 정확하게 사전 파악할 수 있고, 시공불량이 발생된 해당 구역에 대한 시공보완 및 부품교체 등의 적절한 보수 조치를 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불량시공이 발생하지 않는 정밀 시공을 구현할 수 있고, 경제적 낭비가 없는 효율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스트레이너 블록 110 : 스트레이너
120 : 역세 공기 이동관 124 : 손잡이
130 : 역세 공기량 측정부 140 : 함체부
150 : 밀봉부재

Claims (8)

  1. 스트레이너 블록에 구비된 스트레이너로부터 분출되는 역세 공기가 유입 및 이동되는 역세 공기 이동관;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역세 공기량을 측정하는 역세 공기량 측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일측에는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이동 설치가 가능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부에서 하나 이상의 스트레이너를 감쌀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역세 공기 이동관의 하단에 연통 결합되는 함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는 서로 이웃하는 4개의 스트레이너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면과 함체부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6. (a) 시공 완료된 스트레이너 블록 상부의 역세 공기 측정 대상 구역에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하는 단계;
    (b) 스트레이너 블록으로 역세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c) 스트레이너에서 분출되는 역세 공기량을 역세 공기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d) 각 측정 대상 구역에서 측정된 역세 공기량의 편차를 비교하여 시공불량 구역을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의 함체부가 서로 이웃하는 4개의 스트레이너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위치로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동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불량 구역을 파악하는 단계(d) 이후, 시공불량 구역의 역세 공기홀 막힘이나 스트레이너 블록의 레벨 상태, 스트레이너 손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불량 점검방법.

KR1020200107142A 2020-08-25 2020-08-25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KR102276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42A KR102276584B1 (ko) 2020-08-25 2020-08-25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42A KR102276584B1 (ko) 2020-08-25 2020-08-25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584B1 true KR102276584B1 (ko) 2021-07-13

Family

ID=7685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42A KR102276584B1 (ko) 2020-08-25 2020-08-25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908A (ja) * 1993-02-12 1994-08-23 Nisshin Steel Co Ltd バグフィルターの逆洗異常の検出方法
KR100735149B1 (ko) 2006-05-30 2007-07-03 (주) 디아이엔바이로 여과지의 역세척수 균등분배시스템
JP5932272B2 (ja) * 2011-09-15 2016-06-08 株式会社東芝 膜ろ過装置、運転方法及び損傷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908A (ja) * 1993-02-12 1994-08-23 Nisshin Steel Co Ltd バグフィルターの逆洗異常の検出方法
KR100735149B1 (ko) 2006-05-30 2007-07-03 (주) 디아이엔바이로 여과지의 역세척수 균등분배시스템
JP5932272B2 (ja) * 2011-09-15 2016-06-08 株式会社東芝 膜ろ過装置、運転方法及び損傷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1791B (zh) 一种分析管道淤积分布的方法
US94987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and repairing shaker screens
JP6359688B2 (ja) ホースフィルタ設備における加圧ガスベース洗浄プロセスの監視
CN107677727A (zh) 自动超声探伤及耦合剂喷涂清理设备
US20100133204A1 (en) Reusable filters for fluid loss measurements of drilling fluids
KR102276584B1 (ko) 이동형 역세 공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이너 블록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불량 점검방법
CN105880502A (zh) 一种连铸二冷区喷嘴工作状态的实时检测装置及方法
JPH1114528A (ja) タンクに入った液体のレベルおよび密度を測定する設備および方法
CN111579429A (zh) 一种用于保证电网安全运行的智能检测设备
CN109643335A (zh) 用于建模、分析、检测和监测流体网络的系统和方法
CN109506743A (zh) 流量计在线标定装置及标定方法
CN205927044U (zh) 一种二冷区喷嘴的高效检测装置
CN210982390U (zh) 一种厂区用环境工业气体监测装置
KR102033874B1 (ko) 쿨링젯 어셈블리의 노즐분사 방향과 압력의 자동검사장치
JPH11319140A (ja) 水噴霧計量装置
CN216815376U (zh) 超声波探头组合测厚装置
KR20060124087A (ko) 파이프 누설 검사장치
CN216665612U (zh) 一种盾构盾尾油脂的抗水冲刷性测试试验装置
KR100855447B1 (ko) 펌프의 성능검사장치
CN108840381A (zh) 高精度污水自动监控装置
JP7054140B2 (ja) ノズル詰まり検査方法と装置
CN104132961B (zh) 换热器热交换性能实时评价方法、装置和热交换系统
JP2022016832A (ja) ろ過装置、及びろ過装置の運転方法
CN217738310U (zh) 一种喷丝板检孔装置
CN111795206B (zh) 一种管道防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