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298B1 -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298B1
KR102276298B1 KR1020200085650A KR20200085650A KR102276298B1 KR 102276298 B1 KR102276298 B1 KR 102276298B1 KR 1020200085650 A KR1020200085650 A KR 1020200085650A KR 20200085650 A KR20200085650 A KR 20200085650A KR 102276298 B1 KR102276298 B1 KR 10227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t value
cabinet
fine dust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라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라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라토
Priority to KR102020008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또는 조리 시에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흡입구 및 배출덕트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순환유로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며,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가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range hood with gas and dust detection}
본 발명은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장치로부터 유실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유출 여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실내에 발생되는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인지 후드는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를 포집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 필터, 배기팬, 및 조작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통상적인 레인지 후드는 사용자의 선택(작동 명령 입력)에 따라 팬의 작동 여부가 결정되는 수동조작 방식이 대부분으로,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5289호에는, 사용자가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부와, 레인지후드에 설치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레인지후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와, 레인지후드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레인지후드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레인지후드에 설치된 가스센서를 이용하여 레인지후드 주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감지부와, 레인지후드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구동부와, 스위치부, 조도감지부, 온도감지부, 또는 가스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팬모터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인지후드 자동제어 장치 및 자동 제어 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레인지 후드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기만 할 뿐,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유분이 레인지 후드의 내부에 점착되면서 구동 제어의 오작동을 발생시키게 되어 유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의 감지 결과와 무관하게 가스의 발생시에 팬이 구동하여 가스에 의한 오염도에 대응하는 적절한 구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음식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오염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속도로만 구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스의 제거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레인지 후드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하부로 유분이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컬럼부와, 컬럼부에 장착되어 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는 공기 청정용 팬과, 컬럼부에 설치되며, 흡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 및 유분을 1차 제거하는 AL 필터와, AL 필터를 컬럼부에 장착하는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1필터부재와, 제1필터부재의 상부에 구성되며, 1차 제거가 이루어진 가스의 잔여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부직포로 이루어진 유분 제거필터와, 잔여 유분의 제거가 이루어지기 전 상태의 유분 제거필터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공급롤러와, 잔여 유분이 흡착된 상태의 유분 제거필터의 타단부가 감기면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롤러와, 콘트롤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공급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급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수단이 구비된 공급 브라켓과, 회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수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제2필터부재와, 유분 제거필터 모두 회수롤러에 감겨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부로 전송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된 유분 제거장치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이온과 가스를 동시에 방출하거나, 또는 음이온만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이오나이저부(Ionizer)와, 가스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표시하고, 스마트 레인지 후드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유분 제거필터가 일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자동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3328호(2019년 03월 2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가스 감지 및 유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레인지 후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가스 유실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어 조리 시에 발생되는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에 의해 실내 공기가 오염되면서 사용자의 건강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조리장치로부터 유실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유출 여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실내에 발생되는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또는 조리 시에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흡입구 및 배출덕트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순환유로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며,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가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싱부는,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여 가스 농도의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위험신호를 단계적으로 송신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위험신호를 단계적으로 송신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순환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구 내측에 설치되는 순환팬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센서부가 설치되는 제1통과홀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설치되는 제2통과홀부가 구비되는 브래킷본체; 및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는, 가스 유출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조리 중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가 구비되므로 가스 유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리 시에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발생되면 이를 출력하고, 후드장치를 구동시켜 실내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실내 공기가 조리 시에 발생되는 미세먼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순환팬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센싱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고정부 및 센싱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순환팬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센싱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고정부 및 센싱부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는, 조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또는 조리 시에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흡입구(12) 및 배출덕트(14)를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순환유로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며,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30)와, 센싱부(30)를 지지하여 캐비닛(10)에 설치되어 센싱부(30)가 순환유로에 구비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50)와, 센싱부(3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센싱부(30)가 약5분 간격으로 센싱부(30)를 약20초 동안 구동시켜 실내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게 되고, 가스 농도가 제1설정치를 초과하며 파랑 경고등을 점등하고, 가스 농도가 제2설정치를 초과하면 초록 경고등을 점등하고, 가스 농도가 제3설정치를 초과하면 주황 경고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후드장치에 구비되는 배출팬(16)을 구동시키고, 가스 농도가 제4설정치를 초과하면 배출팬(16)의 구동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빨강 경고등을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의 유출 정도가 미세한 경우에는 경고등만 점등시켜 사용자로부터 환기를 유도하고, 가스의 유출 정도가 위험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출팬(16)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의 강제 환기를 진행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센싱부(30)에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량도 측정하게 되는데, 미세먼지 농도가 10~15%인 경우에는 파랑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미센먼지 농도가 16~35%인 경우에는 초록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미세먼지 농도가 36~75%인 경우에는 주황 경고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배출팬(16)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되고, 미세먼지 농도가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출팬(16)의 구동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빨강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센싱부(30)는, 순환유로를 따라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여 가스 농도의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위험신호를 단계적으로 송신하는 제1센서부(36)와, 순환유로를 따라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위험신호를 단계적으로 송신하는 제2센서부(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센서부(36)는, 고정부(50)에 설치되는 제1PCB(36a)와, 제1PCB(36a)에 설치되어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36b)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의 제2센서부(38)는, 고정부(50)에 설치되는 제2PCB(38a)와, 제2PCB(38a)에 설치되는 먼지감지센서(38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부(50)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순환구(32) 내측에 설치되어 순환구(32) 내측에 설치되는 순환팬(34)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센서부(36)가 설치되는 제1통과홀부(52a) 및 제2센서부(38)가 설치되는 제2통과홀부(52b)가 구비되는 브래킷본체(52)와, 제1센서부(36) 및 제2센서부(38)가 설치되고, 브래킷본체(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패널(54)을 포함한다.
따라서 순환팬(34)의 구동에 의해 순환구(32)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는 브래킷본체(52) 전면에 충돌된 후에 제1통과홀부(52a)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가스감지센서(36b)에 유입되고, 제2통과홀부(52b)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먼지감지센서(38b)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농도 및 먼지 농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18은, 캐비닛(10) 전면에 설치되어 후드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다수 개의 경고등 및 온도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조작부(18)이고, 미설명 부호 52c는 설치패널(54)의 배면에 설치되고, 'ㄴ'모양으로 굴곡되어 설치패널(54)과 브래킷본체(52) 연결하는 설치브래킷(52c)이다.
이로써, 조리장치로부터 유실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유출 여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실내에 발생되는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후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캐비닛 12 : 흡입구
14 : 배출덕트 16 : 배출팬
18 : 조작부 30 : 센싱부
32 : 순환구 34 : 순환팬
36 : 제1센서부 38 : 제2센서부
50 : 고정부 52 : 브래킷본체
54 : 설치패널

Claims (3)

  1. 조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또는 조리 시에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흡입구 및 배출덕트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순환유로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며,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가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여 가스 농도의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위험신호를 단계적으로 송신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위험신호를 단계적으로 송신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순환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구 내측에 설치되는 순환팬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센서부가 설치되는 제1통과홀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설치되는 제2통과홀부가 구비되는 브래킷본체; 및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부(30)가 5분 간격으로 센싱부(30)를 20초 동안 구동시켜 실내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게 되고, 가스 농도가 제1설정치를 초과하며 파랑 경고등을 점등하고, 가스 농도가 제2설정치를 초과하면 초록 경고등을 점등하고, 가스 농도가 제3설정치를 초과하면 주황 경고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후드장치에 구비되는 배출팬(16)을 구동시키고, 가스 농도가 제4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배출팬(16)의 구동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빨강 경고등을 점등하게 되고,
    가스의 유출 정도가 미세한 경우에는 상기 경고등만 점등시켜 사용자로부터 환기를 유도하고, 가스의 유출 정도가 위험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팬(16)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의 강제 환기를 진행하게 되고,
    상기 센싱부(30)에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량도 측정하게 되는데, 미세먼지 농도가 10~15%인 경우에는 파랑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미센먼지 농도가 16~35%인 경우에는 초록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미세먼지 농도가 36~75%인 경우에는 주황 경고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팬(16)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되고, 미세먼지 농도가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팬(16)의 구동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빨강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85650A 2020-07-10 2020-07-10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KR10227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650A KR102276298B1 (ko) 2020-07-10 2020-07-10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650A KR102276298B1 (ko) 2020-07-10 2020-07-10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298B1 true KR102276298B1 (ko) 2021-07-15

Family

ID=7688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50A KR102276298B1 (ko) 2020-07-10 2020-07-10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2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047A (ja) * 2003-01-09 200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壁掛け型電子レンジ
JP2008249321A (ja) * 2007-03-05 2008-10-16 Hochiki Corp レンジフードシステム
KR20180081343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8381A (ko) * 2018-01-18 2019-07-26 홍기복 환기구와 유리창이 구비된 렌지후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047A (ja) * 2003-01-09 200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壁掛け型電子レンジ
JP2008249321A (ja) * 2007-03-05 2008-10-16 Hochiki Corp レンジフードシステム
KR20180081343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8381A (ko) * 2018-01-18 2019-07-26 홍기복 환기구와 유리창이 구비된 렌지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328B1 (ko) 가스 감지 및 유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레인지 후드
KR10224277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ES2356525T3 (es) Banco de trabajo de seguridad.
US6517428B1 (en) Work station having an air flow controller
KR101320703B1 (ko) 다기능 공기순환기
KR20170093386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13599A1 (en) Safety workbench with blower performance controllable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front pane
CA3120136A1 (en) Elevator system ventilation
ES2901459T3 (es) Campana de succión de laboratorio
KR101852796B1 (ko) 주방용 후드
KR102276298B1 (ko) 가스 및 먼지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KR101285289B1 (ko) 레인지후드 자동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제어 방법
KR20180089238A (ko) 주방용 후드
KR100467855B1 (ko) 공기조화기
KR100463679B1 (ko) 배기후드의 열감응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016244B1 (ko)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을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CN105841228A (zh) 循环换气和单向排气的空气净化器
KR102364961B1 (ko) 공기청정기
JP6059606B2 (ja) 送風装置
KR20100060925A (ko) 먼지 센서와 습도 센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2047354A (ja) 空気処理機器の制御装置
KR100651306B1 (ko) 먼지센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의 방법
KR20200085172A (ko) 살균기능과 초미세 먼지포집효율이 향상된 소형 공기조화장치
KR100360427B1 (ko) 공기 정화기의 오염도 감지기구
CN213178730U (zh) 基于陶瓷光触媒的空气消毒杀菌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