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197B1 -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197B1
KR102276197B1 KR1020210075221A KR20210075221A KR102276197B1 KR 102276197 B1 KR102276197 B1 KR 102276197B1 KR 1020210075221 A KR1020210075221 A KR 1020210075221A KR 20210075221 A KR20210075221 A KR 20210075221A KR 102276197 B1 KR102276197 B1 KR 102276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opening
storage
control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행
Original Assignee
이수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행 filed Critical 이수행
Priority to KR102021007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상에서 저장물의 최상위 면적의 높이(레벨)를 측정하여 저장물이 점유하지 않는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입체적으로 검출하여 더욱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상에서 저장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검출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의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연산하여 저장물의 재고량을 검출하도록 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검출개구를 관통하면서 상기 저장공간으로 진입 및 퇴출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데이터를 확득하도록 된 검출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수단을 상기 검출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수단과; 상기 저장공간의 상기 검출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Storage amount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곡물탱크(사일로) 등과 같이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에 대하여 저장물의 재고량을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하도록 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저장공간상에서 저장물의 최상위 면적의 높이(레벨)를 측정하여 저장물이 점유하지 않는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입체적으로 검출하여 더욱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장공간상에서 비산 및 부유하는 저장물의 입자체들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여 검출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공장 또는 곡물저장소에서는, 저장되는 저장물(사료, 곡믈 등)을 별도의 저장탱크(Silo)에 저장하여 보관하고 있다.
이때, 각각의 저장탱크상에 저장된 저장물은, 별도의 처리공정을 수행할 때 소모되는 사용량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재고량을 파악하게 된다.
즉, 신선한 재료의 적기수급, 저장된 재료의 부패관리, 재료의 사용량 및 재료의 적용대상(가축 등)과의 상관관계파악 등을 위해, 상기 저장탱크에 대한 빈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각각의 공정(단계)에서의 공정제어 및 재고량파악을 위해 저장물의 재고량을 측정하여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이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탱크내에 저장된 저장물의 양을 측정하는 검출장치로는, 상기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저장물과 측정장비가 직접접하면서 측정하는 접촉식과; 접촉하지 않고 측정하는 비접촉식;이 있다.
상기에서 접촉식으로는, 상기 저장탱크 내에 설치된 로프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추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 내에 설치된 추가 분체원료 위에 닿았을 때 상기 저장탱크 외부에 설치된 레벨 지시기가 가리키는 레벨 표시판을 보고 저장 탱크 내의 저장물의 저장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용기와 물질 사이에 전압을 걸어 충전되는 전기 용량이 저장물의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레벨값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비접촉식으로는, 초음파, 레이더 신호,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신호를 내보낸 후에 저장물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내보내져서 돌아오는 시간과 신호의 전파속도와의 관계로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접촉식의 경우, 별도의 측정장치를 상기 저장탱크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저장물의 크기가 미세한 경우 정확한 저장량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비접촉식의 경우,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물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저장물의 적재높이가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정확한 레벨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07061호(명칭: 3차원 스캐너/2016.08.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체에서 연장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에서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체; 상기 차단판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체에 결합된 발광부; 그리고, 상기 차단판의 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체에 결합된 수광부를 포함하는 3차원 스캐너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78977호(명칭: 분체 레벨 측정 장치/2014.06.2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분체를 저장하는 사일로에 설치되어 분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장치이고, 상기 사일로의 내측벽에 상부가 고정되어 분체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 센서의 하부에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분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원추 장치; 및 상기 사일로의 외측에 상기 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원추 장치의 외표면에 가해지는 분체의 중량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한 후 외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분체 레벨측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08282호(명칭: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2002.03.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벼 등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곡물저장탱크에 해당하는 종래의 사일로에 있어서; 상기 사일로의 밑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사일로를 지지하는 하나이상의 유압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들은 파이프로 차례차례 일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유입실린더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는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유압실린더 및 상기 파이프 속에는 액체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끝부분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들중 하나는 상기 액체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구는 유출되는 액체물질의 양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무게측정장치와 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무게측정장치는 변화하는 액체물질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액체물질의 양에 관한 데이터는 재고측정장치에 전달하도록 된 곡물 자동관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33397호(명칭: 탱크 내의 분체원료의 3차원 적재측정방법/1999.08.1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탱크 내에 적재되는 분체원료의 양을 다수 개의 포인트센서로 측정하는 분체원료의 3차원 적재측정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포인트센서로 분체원료의 레벨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적재된 분체원료의 이론적인 측정레벨값들을 수식모델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식모델링한 이론적인 측정레벨값들과 상기 포인트센서를 통해 측정한 레벨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이론적인 측정레벨값들 중에 상기 포인트센서에 의해 측정한 레벨값이 일치하면, 상기 이론적인 측정레벨값을 3차원 적재형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적재측정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07061호(2016.08.2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78977호(2014.06.2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08282호(2002.03.2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33397호(1999.08.1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및 방법들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설치작업이 불편하여 비경제적임은 물론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저장공간상에서 저장물이 점유하지 않는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입체적으로 검출하지 못함에 따라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검출센서 및 설비들이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에 설치되도록 됨에 따라, 저장공간상에서 비산 및 부유하는 저장물의 입자체들에 의해 센서부들이 오염되도록 됨에 따라, 검출신뢰성이 떨어지는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검출설비들이 저장공간의 내부에서 저장물과 접촉되도록 됨에 따라, 저장물을 오염시켜 위생성 및 보관의 안전성이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탱크(사일로) 등과 같이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에 대하여 저장물의 재고량을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 저장공간상에서 저장물의 최상위 면적의 높이(레벨)를 측정하여 저장물이 점유하지 않는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입체적으로 검출하여 더욱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공간상에서 비산 및 부유하는 저장물의 입자체들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여 검출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는, 저장탱크상에서 저장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검출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의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연산하여 저장물의 재고량을 검출하도록 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검출개구를 관통하면서 상기 저장공간으로 진입 및 퇴출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데이터를 확득하도록 된 검출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수단을 상기 검출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수단과; 상기 저장공간의 상기 검출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운동수단에 의해 왕복운동하도록 된 검출몸체와; 상기 검출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저장물의 3차원레벨측정값의 검출을 통해 저장물의 재고량을 측정하도록 된 3차원측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원측정기는, 레이더센서(Radar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운동모터와; 상기 운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운동나사봉과; 상기 검출수단에 구비되며 상기 운동나사봉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운동나사봉의 정역회전시 상기 운동나사봉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너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검출개구가 회전반경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축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 상기 검출개구를 개방하도록 된 개폐공들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를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는 회전개폐판과; 상기 회전개폐판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시스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는, 사용자 및 자동제어에 의한 선택적인 운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곡물탱크(사일로) 등과 같이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에 대하여 진입되는 검출수단을 통해 저장물의 재고량을 검출하도록 됨에 따라,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레이더센서를 가지는 검출수단을 통해 저장공간상에서 저장물의 최상위 면적의 높이(레벨)를 3차원측정방식으로 측정하여 저장물이 점유하지 않는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입체적으로 검출도록 됨에 따라, 검출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검출수단의 미사용시에는 운동수단의 역구동에 따라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되고 개폐수단을 통해 검출개구를 폐쇄하여, 저장공간상에서 분진(소입자)형태로 비산 및 부유하는 저장물의 입자체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운 물론, 이물질이 저장공간으로 무단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검출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개폐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는, 곡물탱크(사일로) 등과 같이 저장물(곡물, 사료를 포함함)(10)이 저장된 저장공간(A)에 대하여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대규모 저장물(10)이 저장된 다수의 저장탱크(100)들에 대한 각각의 재고량들에 대하여 주기적 및 선택적으로 측정하여 자동제어를 통한 재고관리시스템을 구현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하도록 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는, 상기 저장탱크(100)상에서 저장공간(A)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검출개구(101)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A)에서의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연산하여 저장물(10)의 재고량을 검출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저장공간(A)에 대한 저장물(10)의 3차원레벨측정값을 검출하여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측정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외부에서 상기 검출개구(101)를 관통하면서 상기 저장공간(A)으로 진입 및 퇴출되며 전원공급부(5)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 검출데이터를 확득하도록 된 검출수단(2)과;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수단(2)을 상기 검출개구(101)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 및 자동제어에 의한 선택적인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운동수단(3)을 구동하게 되면, 상기 검출수단(2)이 상기 저장공간(A)의 내부로 진입 배치되면서,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검출수단(2)이 구동되면서 상기 저장공간(A)에 대한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검출수단(2)은, 상기 운동수단(3)에 의해 왕복운동하도록 된 검출몸체(21)와; 상기 검출몸체(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저장공간(A)에 저장된 상기 저장물(10)의 3차원레벨측정값의 검출을 통해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측정하도록 된 3차원측정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3차원측정기(22)가 상기 운동수단(3)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A) 측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면서 상기 저장공간(A)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물(10)의 3차원레벨측정값을 검출하여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명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지 저장물(10)의 재고량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운동수단(3)의 역구동을 통해 상기 검출몸체(21)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저장공간(A)에서 상기 3차원측정기(22)가 퇴출되면서 상기 저장공간(A)의 외부에 배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2)이 상기 저장공간(A)상에서 분진(소입자)형태로 비산 및 부유하는 저장물(10)의 입자체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3차원측정기(22)는, '레이더센서(Radar sensor)'(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레이더센서(221)를 통하여 상기 저장공간(A)에 대해 방출되는 전자파와 이에 대하여 상기 저장물(A)에 의한 반사파를 검출연산하여 상기 저장물(10)의 3차원레벨측정값을 검출연산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3차원측정기(22)는, 공지된 '레이더센서(Radar sensor)'(221)의 기술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는, 상기 저장탱크(100)에 구비되며 상기 검출몸체(22)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출본체(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본체(23)를 통해 상기 검출몸체(22)를 고정하여 시설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검출본체(23)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검출몸체(21)에 구비된 안내관(211)이 관통하면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검출몸체(21)의 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안내봉(23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봉(231)상에서 상기 안내관(211)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상기 검출몸체(21)의 직선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구동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운동수단(3)은, 상기 검출본체(23)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운동모터(31)와; 상기 운동모터(3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운동나사봉(32)과; 상기 검출수단(2)에 구비되며 상기 운동나사봉(32)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운동나사봉(32)의 정역회전시 상기 운동나사봉(32)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너트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 및 자동제어에 의한 선택적인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운동모터(31)가 구동되어 상기 운동나사봉(32)을 회전운동시키게 되면, 상기 검출수단(2)에 구비는 상기 운동너트관(33)이 상기 운동나사봉(32)상에서 직선운동하여 상기 검출수단(2)이 상기 저장공간(A)의 내부에 대하여 진입 및 퇴출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2)이 상기 저장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검출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저장공간(A)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공간(A)상에서 비산 및 부유하는 상기 저장물(10)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수단(2)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운동모터(31)는, 상기 검출본체(23)에 지지고정되며; 상기 운동나사봉(32)은, 상기 검출몸체(21)의 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검출본체(23)에 공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나사봉(32)이 상기 검출본체(23)상에서 상기 운동모터(3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축회전운동하면서 상기 검출몸체(21)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검출개구(101)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재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저장공간(A)에 대하여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수단(6)을 통해 상기 검출개구(101)를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수단(6)을 통해 상기 검출개구(101)를 폐쇄하여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검출개구(101)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재고관리의 신뢰성 및 저장물(10)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개폐수단(6)은, 상기 검출개구(101)가 회전반경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0)에 축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 상기 검출개구(101)를 개방하도록 된 개폐공(61)들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를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는 회전개폐판(62)과; 상기 회전개폐판(62)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부재(63)와;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저장탱크(100)상에서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상부를 주행하면서 상기 회전부재(63)를 정역방향으로 가압이동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64)가 상기 회전부재(63)를 선택적으로 정역방향으로의 직선이동운동시키면, 상기 회전부재(63)가 상기 회전개폐판(62)을 가압하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검출개구(101)에 대하여 상기 개폐공(61)을 일치 및 불일치 시키도록 됨에 따라, 상기 검출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저장공간(A)에 대하여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공(61)을 통해 상기 검출개구(101)를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개폐판(62)의 표면을 통해 상기 검출개구(101)를 폐쇄하여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검출개구(101)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전개폐판(62)은, '원형판' 또는 1회전각도값을 등각도값으로 하여 외측방향으로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에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개폐편(62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편(621)들에 상기 개폐공(61)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순차적인 스탭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편(621)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에 각각 교대로 배치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공(61)들이 상기 개폐편(621)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교대로 형성 및 미형성 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순차적인 1스탭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편(621)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에 각각 교대로 배치되면서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에 상기 개폐공(61)이 위치되거나 미위치되는 상태가 교대로 이루어져, 상기 검출개구(101)의 개폐상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개구(101)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자동화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개폐편(621)들은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90˚의 등각도를 가지는 4개 1조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공(61)들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개 1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63)는, 상기 회전개폐판(62)을 1스탭회전운동 당 90˚의 회전각도로 등각도회전운동시키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회전부재(63)는,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상부에 형성되는 종동회전체(631)들과; 상기 저장탱크(100)상에서 상기 구동부재(64)를 통해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상부를 주행하면서 상기 종동회전체(631)들중 주행궤도상에 위치되는 상기 종동회전체(631)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개폐판(62)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가동체(6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동체(632)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탱크(100)상에서 주행운동시키면 상기 종동회전체(631)가 가압되면서 상기 회전개폐판(62)이 1스탭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편(621)들이 1스탭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개폐공(61)이 새로 위치하여 개방되며;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가 상기 개폐공(61)을 통해 개방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개폐공(61)이 미형성된 상기 개폐편(621)이 새로 위치하면서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제어에 따라, 상기 검출개구(101)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종동회전체(631)는,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상부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공회전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동체(632)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동체(632)에 대하여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기 회전개폐판(62)을 가압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종동회전체(631)의 구조 및 배치는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구동부재(64)는,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개구(101)들의 상부공간에서 상기 검출본체(23)를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64)가 구동되면서 상기 검출본체(23)를 직선이동시켜 그 위치를 선택적으로 배치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저장공간(A)의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에 상기 검출수단(2)이 위치되도록 상기 검출본체(23)를 상기 저장공간(A)들의 상부에서 수직상 상하운동하여 2차원적인 좌표운동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재(64)는, 상기 저장탱크(100)에서 상기 검출본체(23)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71)과; 상기 검출본체(23)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구동모터(72)와; 상기 슬라이드레일(71)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고정랙기어(73)와; 상기 검출본체(23)에 구비된 결속축(74)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72)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되고 상기 고정랙기어(73)와 기어결합되는 구동피니언기어(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72)가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피니언기어(75)가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고정랙기어(73)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결속축(74)이 축고정되는 상기 검출본체(23)가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부에서 직선적인 좌표이동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부에서 상기 검출본체(23)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회전부재(63)의 상기 가동체(632)는, 상기 검출본체(23)에 일단이 결속되어 상기 구동부재(64)에 의해 상기 검출본체(23)가 상기 저장탱크(100)에서 주행운동할 때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상부에서 상기 종동회전체(631)의 좌표상에서 동일한 주행운동을 하여 상기 종동회전체(631)를 가압하도록 된 '판(板;plate)'형상의 가동판(63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본체(23)의 선택적인 정역방향으로의 주행운동시 상기 가동판(6321)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주행궤도상에서 정역방향으로의 1스탭주행운동하면서 상기 종동회전체(631)를 선택적인 정역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개폐판(62)을 1스탭회전의 정역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동판(6321)에는, 상기 회전개폐판(62)의 1스탭회전 후 정지상태에서 상기 개폐편(621)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된 수용요부(63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요부(6322)을 통해 상기 개폐편(621)을 수용하여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안정된 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개구(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수단(2)의 상기 3차원측정기(22)가 상기 저장공간(A)의 내부로 진입하면서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서, 상기 구동부재(64)가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개구(101)들의 상부공간에서 상기 검출본체(23)를 직선왕복운동하게 될 때, 상기 회전부재(63)의 상기 가동체(632)가 동일방향의 동일간격으로 직선이동운동하여 상기 회전개폐판(62)을 1스탭회전운동시키면서, 상기 검출개구(101)를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64)가 구동되면서 상기 검출본체(23) 및 상기 가동체(632)가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검출수단(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면서 상기 검출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저장공간(A)의 상기 검출개구(101)의 상부에 상기 검출수단(2)이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검출개구(101)가 개방되면서 상기 레이더센서(221)를 수직상 상하운동시켜 상기 저장공간(A)의 내부에 진입배치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 검출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64)가 역구동되면서 상기 검출본체(23) 및 상기 가동체(632)가 역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검출수단(2)의 위치를 상기 검출개구(101)에서 이격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가동체(632)가 역방향으로 직선이동운동하면서 상기 회전개폐판(62)을 1스탭 역회전운동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검출개구(101)가 폐쇄된다.
상기에서 종동회전체(631)는, 상기 개폐편(621)의 종단 양측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동판(6321)의 양측단부들 및 상기 수용요부(6322)의 내측단부들에 각각 접촉하면서 가압운동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는, 사용자 및 자동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개폐수단(6)에 의해 상기 검출개구(10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상기 운동수단(3)을 통해 상기 검출수단(6)을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기 저장공간(A)으로 진입 및 퇴출시켜 상기 저장공간(A)에서의 상기 저장물(10)에 대한 3차원레벨측정값의 검출에 따른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선택적으로 측정하여 재고관리시스템의 기반데이터로 적용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10 : 저장물
100 : 저장탱크 101 : 검출개구
2 : 검출수단 21 : 검출몸체
211 : 안내관 22 : 3차원측정기
221 : 레이더센서 23 : 검출본체
231 : 안내봉 3 : 운동수단
31 : 운동모터 32 : 운동나사봉
33 : 운동너트관 4 : 제어수단
5 : 전원공급부 6 : 개폐수단
61 : 개폐공 62 : 회전개폐판
621 : 개폐편 63 : 회전부재
631 : 종동회전체 632 : 가동체
6321 : 가동판 6322 : 수용요부
64 :구동부재 71 : 슬라이드레일
72 : 구동모터 73 : 고정랙기어
74 :결속축 75 : 구동피니언기어
A : 저장공간

Claims (5)

  1. 저장탱크(100)상에서 저장공간(A)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검출개구(101)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A)에서의 빈공간에 대한 체적을 연산하여 저장물(10)의 재고량을 검출하도록 된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00)의 외부에서 상기 검출개구(101)를 관통하면서 상기 저장공간(A)으로 진입 및 퇴출되며 전원공급부(5)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저장물(10)의 재고량 검출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된 검출수단(2)과;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수단(2)을 상기 검출개구(101)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수단(3)과; 상기 저장공간(A)의 상기 검출개구(101)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2)은,
    상기 운동수단(3)에 의해 왕복운동하도록 된 검출몸체(21)와; 상기 검출몸체(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저장공간(A)에 저장된 저장물(10)의 3차원레벨측정값의 검출을 통해 저장물(10)의 재고량을 측정하도록 된 3차원측정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측정기(22)는,
    레이더센서(Radar sensor)(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3)은,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운동모터(31)와; 상기 운동모터(3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운동나사봉(32)과; 상기 검출수단(2)에 구비되며 상기 운동나사봉(32)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운동나사봉(32)의 정역회전시 상기 운동나사봉(32)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너트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개구(101)가 회전반경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0)에 축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 상기 검출개구(101)를 개방하도록 된 개폐공(61)들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를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는 회전개폐판(62)과;
    상기 회전개폐판(62)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부재(63)와;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저장탱크(100)상에서 상기 회전개폐판(62)의 상부를 주행하면서 상기 회전부재(63)를 정역방향으로 가압이동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KR1020210075221A 2021-06-10 2021-06-10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KR10227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21A KR102276197B1 (ko) 2021-06-10 2021-06-10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21A KR102276197B1 (ko) 2021-06-10 2021-06-10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197B1 true KR102276197B1 (ko) 2021-07-12

Family

ID=7685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221A KR102276197B1 (ko) 2021-06-10 2021-06-10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19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97A (ko) 1997-10-24 1999-05-15 정몽규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KR20140078977A (ko) 2012-12-18 2014-06-2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JP2016040196A (ja) * 2014-08-13 2016-03-24 株式会社金星 粉体供給装置および粉体供給方法
KR20160107061A (ko) 2015-03-03 2016-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80022131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오토닉스 3차원 스캐너
KR101960866B1 (ko) * 2017-12-11 2019-07-17 홍성일 분체 레벨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139066B1 (ko) * 2020-01-22 2020-07-29 주식회사 가가 사일로 내부에 적치된 원료의 형상과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3d 레이더 센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97A (ko) 1997-10-24 1999-05-15 정몽규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KR20140078977A (ko) 2012-12-18 2014-06-2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JP2016040196A (ja) * 2014-08-13 2016-03-24 株式会社金星 粉体供給装置および粉体供給方法
KR20160107061A (ko) 2015-03-03 2016-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80022131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오토닉스 3차원 스캐너
KR101960866B1 (ko) * 2017-12-11 2019-07-17 홍성일 분체 레벨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139066B1 (ko) * 2020-01-22 2020-07-29 주식회사 가가 사일로 내부에 적치된 원료의 형상과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3d 레이더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3605B (zh) 模块化多轴超声水浸检测系统
KR102276197B1 (ko) 저장물의 재고량 검출장치
KR102370131B1 (ko) 재고량 검출 시스템을 이용한 인공지능(ai) 통합 생산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생산관리방법
KR102276194B1 (ko) 저장공간들에 대한 저장물의 재고량검출시스템
KR20150068656A (ko) 무인 사료 공급장치
CN113075083A (zh) 一种粉末松装密度及超声振实密度测定装置及测定方法
CN112942273A (zh) 一种多功能水面智能机器人
CN114803560A (zh) 智能放料系统及其控制方法
GB2557201A (en) Dosing device and system
US20120060592A1 (en) Automatic analysis of finely divided solids
CN107010335B (zh) 一种便于进行料位连续测量的料仓
CN213580544U (zh) 物料堆密度检测装置、定量仓总成及定量装车总成
CN106697351A (zh) 一种双工位量杯计量装置
CN206417465U (zh) 一种样品暂存柜
CN206827396U (zh) 一种便于进行料位连续测量的料仓
CN202153144U (zh) 一种料位探测器
CN209356352U (zh) 一种容重在线检测装置
EP3767252B1 (en) A dosing machine for dosing fluid products such as dyes for paints or the like, with a device for individually measuring the level of the fluid products
CN101629840A (zh) 一种储物仓内料位的移动式测量仪表和测量方法
CN202807115U (zh) 一种胶囊灌装自动入瓶计数装置
CN209618175U (zh) 一种螺旋输送机
CN203865607U (zh) 一种定量加料装置
CN208476605U (zh) 一种兽药水药剂生产用取样处理分析装置
CN110193446A (zh) 一种圆管自动化涂油机
CN216604809U (zh) 一种自动化的溶液配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