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923B1 -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923B1
KR102275923B1 KR1020190018466A KR20190018466A KR102275923B1 KR 102275923 B1 KR102275923 B1 KR 102275923B1 KR 1020190018466 A KR1020190018466 A KR 1020190018466A KR 20190018466 A KR20190018466 A KR 20190018466A KR 102275923 B1 KR102275923 B1 KR 10227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ropeller
less
distanc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687A (ko
Inventor
마사야 구보타
다쿠요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63B2745/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 가능한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선박용 추진 장치는, 선미에 형성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따른 중심선을 갖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날개형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형 형상의 코드 방향이 상기 중심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5 도 이하이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SHIP PROPULSION APPARATUS AND SHIP}
본 개시는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에서는,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추력을 얻음과 동시에,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추력에 기여하지 않는 흐름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프로펠러의 후방에 발생하는 선회류 (프로펠러 회전 방향의 속도 성분을 갖는 흐름) 는 추력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선회류는 에너지 로스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지만 추력에 기여하지 않는 흐름의 에너지를 회수하여 추력을 얻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에는, 프로펠러 후류의 회전 에너지를 추력으로 하여 회수하기 위해, 프로펠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키 또는 선체에 날개형 (翼型) 형상의 핀이 장착된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핀은,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프로펠러 후류측의 회전류를 받아 힘을 발생하고, 이 힘의 추진 방향 성분이 추력이 되어,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프로펠러의 직후에 위치하도록 선체에 지지된 덕트와, 그 덕트의 내측에 고정된 정류용 고정 날개를 구비한 선박용 프로펠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박용 프로펠러에서는, 덕트 및 정류용 고정 날개에 의해, 프로펠러의 후류로서의 강한 선회 성분을 갖는 흐름을 포착하고, 이와 같이 포착한 흐름을 강제적으로 후방에 유출시킴으로써, 추력의 증대를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1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623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08890호
그런데,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선회류 외에도, 회전축선 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또한 프로펠러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축류 (縮流) 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축류는,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흐름이 프로펠러 후방에서 가속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축류도, 이대로는 선박 등의 추력에는 기여하지 않아, 에너지 로스의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하여 선박 등의 추력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 ∼ 3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선회류의 에너지를 회수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만,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하는 것이나 그것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는,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 가능한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용 추진 장치는,
선미에 형성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따른 중심선을 갖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날개형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형 형상의 코드 방향이 상기 중심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0 도 이상 5 도 이하이다.
상기 (1) 의 구성에 의하면,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덕트를 형성하고, 그 덕트의 날개형 형상 (단면 형상) 의 코드 방향이 중심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0 도 이상 5 도 이하로 했으므로, 그 코드 방향과, 덕트에 유입되는 축류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적당해져, 날개형 단면을 갖는 덕트에 있어서 추력을 얻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프로펠러의 회전에서 기인하는 에너지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R 로 했을 때,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05R 이상 0.5R 이하, 또한,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 0.95R 이하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는,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5R 이하, 또한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인 위치에 있어서, 유입각이 비교적 크고, 또,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1.0R 보다 짧은 위치에 있어서, 유속이 비교적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2) 의 구성에서는,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가,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05R 이상 0.5R 이하, 또한,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 0.95R 이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와 프로펠러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선체에 고정된 러더 혼의 전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3) 의 구성에 의하면, 선체에 고정된 러더 혼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덕트에 의해, 상기 (1) 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4)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최상부 중, 상기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위치까지의 부분은, 상기 러더 혼과의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덕트의 상기 중심선 방향의 길이를 L 로 했을 때, 상기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상기 후측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0.3L 이상 0.5L 이하인 위치이다.
상기 (4) 의 구성에 의하면, 덕트의 최상부 중, 러더 혼과의 접속부가 차지하는 중심선 방향의 길이가 0.3L 이상이므로, 덕트를 러더 혼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길이가 0.5L 이하이므로, 덕트의 최상부에 있어서, 날개형을 형성하는 부위 (즉, 덕트 최상부 중 접속부보다 전방의 부분)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덕트의 축류 에너지 회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5)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선체의 저부에 지지된다.
상기 (5) 의 구성에 의하면, 선체의 저부에 지지되는 덕트에 의해, 상기 (1) 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6)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R 로 했을 때,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05R 이상 0.2R 이하, 또한,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 0.9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는,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5R 이하, 또한,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인 위치에 있어서, 유입각이 비교적 크고, 또,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1.0R 보다 짧은 위치에 있어서, 유속이 비교적 크고, 또한,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2R 이하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축류의 유입각이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에서, 상기 (6) 의 구성에서는,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가,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05R 이상 0.2R 이하, 또한,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 0.9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와 프로펠러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선체에 대해 회동 (回動) 가능하게 형성된 타판 (舵板) 에 지지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R 로 했을 때,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3R 이상 0.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한다.
상기 (7) 의 구성에서는, 덕트는 타판과 함께 회동 가능하므로, 전타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가,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3R 이상 0.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덕트와 프로펠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7) 의 구성에 의하면, 전타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시킴과 함께, 덕트와 프로펠러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측 가장자리와, 상기 타판이 장착된 러더 혼의 전단부 사이의 최소 거리가 0.02R 이상 0.3R 이하이다.
상기 (8) 의 구성에 의하면, 덕트의 후측 가장자리와 러더 혼의 전단부 사이의 최소 거리를 0.02R 이상으로 했으므로, 덕트와 타판의 간섭을 회피 가능함과 함께, 상기 서술한 최소 거리를 0.3R 이하로 했으므로, 덕트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덕트를 타판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 또는 (8)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타판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9) 의 구성에 의하면, 타판으로부터 회전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통하여 덕트를 지지하도록 했으므로, 그 돌출부에 의해 프로펠러 보스부로부터 발생하는 허브 소용돌이의 에너지도 회수하면서, 덕트에 의해 상기 서술한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10)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R 로 했을 때,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위치와 제 3 위치 사이, 또한,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1.0R 보다 크고 1.2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잰 거리가 0.4R 의 위치이고,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상기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05R 이다.
상기 (10) 의 구성에 의하면,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가,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2 위치와 제 3 위치 사이, 또한,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1.0R 보다 크고 1.2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덕트에 의해, 프로펠러의 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로써, 프로펠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저에 작용하는 변동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11)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측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 장의 스테이터 핀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11) 의 구성에 의하면, 덕트의 내측에 적어도 1 장의 스테이터 핀을 형성했으므로, 그 스테이터 핀에 의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선회류의 에너지도 회수하면서, 덕트에 의해 상기 서술한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은,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선박용 추진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12) 의 구성에 의하면,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덕트를 형성하고, 그 덕트의 날개형 형상 (단면 형상) 의 코드 방향이 중심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5 도 이하로 했으므로, 그 코드 방향과, 덕트에 유입되는 축류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적당해져, 날개형 단면을 갖는 덕트에 있어서 추력을 얻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프로펠러의 회전에서 기인하는 에너지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 가능한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이 제공된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용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덕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를 축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1 은, 프로펠러 후류측의 축 방향 위치와, 축류의 유입각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는, 반경 방향 위치와, 축류의 유속 및 유입각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는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용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 은, 선체 (2) 와, 선체 (2) 에 추력을 부여하기 위한 추진 장치 (3) (선박용 추진 장치) 와, 선체 (2) 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키 (4)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2) 는,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선수 (2a) 와,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선미 (2b) 와, 저부 (9) 를 갖는다.
키 (4) 는, 선체 (2) 의 선미 (2b) 에 고정된 러더 혼 (6) 과, 러더 혼 (6) 에 지지된 타판 (7) 과, 타판 (7) 을 회동시키기 위한 키축 (5) 을 포함한다. 키축 (5) 은, 일단측에 있어서 타판 (7) 에 접속되어 있고, 구동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구동되고, 연직 방향을 따른 회동축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타판 (7) 은, 키축 (5) 과 함께, 선체 (2) 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추진 장치 (3) 는, 선미 (2b) 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8) 와, 프로펠러 (8) 의 후류측에 (즉 프로펠러 (8) 의 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덕트 (10) 를 포함한다. 프로펠러 (8) 는, 구동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선체 (2) 를 추진시키는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3) (선박용 추진 장치) 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3)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 덕트 (10) 의 일부는 단면으로서 나타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10) 는, 프로펠러 (8) 의 회전축 (O) 을 따른 방향의 중심선 (Q) 을 갖는 관상의 부재이고, 중심선 방향의 양단에 전측 가장자리 (12) 및 후측 가장자리 (14) 를 갖는다.
덕트 (10) 의 중심선 (Q) 을 따른 단면 (도 2 의 사선부 참조) 은 날개형 형상을 갖는다. 즉, 관상 부재인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및 후측 가장자리 (14) 는, 각각, 덕트 (10) 의 단면의 날개형 형상의 전측 가장자리 및 후측 가장자리의 집합이다.
그리고, 덕트 (10) 의 단면의 날개형 형상의 코드 방향이 중심선 (Q) 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가 5 도 이하이다.
덕트 (10) 에 있어서는, 덕트 (10) 에 대해 유입되는 흐름의 방향이 코드 방향 (전측 가장자리 (12) 와 후측 가장자리 (14) 를 연결하는 방향 ; 도 2 에 있어서의 직선 (L1) 의 방향) 에 대해 이루는 각도에 따른 양력 (揚力) (FL) (도 2 참조) 이 발생하고, 양력 (FL) 의 축 방향 성분이 추력 (FT) (도 2 참조) 으로서 선박 (1) 에 작용한다.
여기서, 프로펠러 (8) 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축류 (fc) (도 2 참조) 로부터 추력 (FT) 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덕트 (10) 의 날개형의 코드 방향과, 축류 (fc) 가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에 유입되는 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화살표 (A) 의 방향) 이 어느 정도 어긋나고, 이들 2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2) (영각 (迎角)) 가 적당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술한 코드 방향 (직선 (L1) 의 방향) 이 중심선 (Q) 의 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직선 (L0) 의 방향) 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도 2 참조) 가 지나치게 크면, 상기 서술한 영각이 과대해져, 날개면 근방에 있어서 흐름이 흐트러져 손실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코드 방향은, 중심선 (Q) 을 따른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의 날개형 형상 (단면 형상) 의 코드 방향 (직선 (L1) 의 방향) 이 중심선 (직선 (L0) 의 방향) 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를 5 도 이하로 했으므로, 그 코드 방향과, 덕트 (10) 에 유입되는 축류 (fc) 의 방향 (화살표 (A) 의 방향) 이 이루는 각도 (θ2) 가 적당한 크기가 되어, 날개형 단면을 갖는 덕트 (10) 에 있어서 추력 (FT) 을 얻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프로펠러 (8) 의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 (fc) 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프로펠러 (8) 의 회전에서 기인하는 에너지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에 있어서의 반경 (b) 과, 후측 가장자리 (14) 에 있어서의 반경 (h) 의 관계는 b > h 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반경 (b) 과 반경 (h) 은 b < h 를 만족시키고 있어도 되고, 혹은 특별히 도시되지 않지만, b = h 이어도 된다.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덕트 (10) 의 날개형 형상 (단면 형상) 의 코드 방향 (직선 (L1) 의 방향) 이 중심선 (Q) 의 방향 (직선 (L0) 의 방향) 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0°≤ θ1 ≤ 90°) 가 0 도 이상 5 도 이하이다.
또한,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덕트 (1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시하는 덕트 (10) 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는, 원통의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는, 원통을 반으로 나눈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3) 는,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4, 도 6 ∼ 도 9 는, 각각,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진 장치 (3)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추진 장치 (3)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추진 장치 (3) 를 축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4 ∼ 도 10, 및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R 은 프로펠러 (8) 의 회전 반경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10) 는, 선체 (2) 에 고정된 러더 혼 (6) 의 전단부 (6a) 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는, 접속부 (16) 에 있어서 러더 혼 (6) 과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 (16) 는, 덕트 (10) 의 최상부 (11)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덕트 (10) 와 러더 혼 (6) 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6,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10) 는, 선체 (2) 의 저부 (9) 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도 6,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럿 (18) 을 통하여, 선체 (2) 의 저부 (9) 에 장착되어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10) 는, 선체 (2) 에 대해 회동 가능한 타판 (7) 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는, 타판 (7) 으로부터 프로펠러의 회전축 (O) 방향의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22) 를 통하여 타판 (7) 에 지지되어 있다. 돌출부 (22) 의 상부 표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럿 (24) 의 하단면이 고정되어 있다. 또, 스트럿 (24) 의 상단면은, 덕트 (10) 의 상부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덕트 (10) 는, 돌출부 (22) 및 스트럿 (24) 을 통하여 타판 (7) 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중, 도 4 ∼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 (a) 가 0.05R 이상 0.5R 이하이고, 또한, 프로펠러 (8)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O) 으로부터의 거리 (b) (즉,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에 있어서의 반경 (b)) 가 0.80R 이상 0.9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도 11 은, 몇 개의 반경 방향 위치 (r/R 이 0.2 ∼ 1.0 인 범위 내의 5 점) 에 있어서의 프로펠러 후류측의 축 방향 위치 (x/R) 와, 축류의 유입각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의 가로축은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 (x) 와, 프로펠러 (8) 의 회전 반경 (R) 의 비 (x/R) 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흐름의 유입각을 나타낸다. 또한, 축 방향의 흐름의 유입각은 0°이고,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반경 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흐름의 유입각은 90°이다. 또, r 은, 프로펠러 (8) 의 회전축 (O) 으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이다.
또, 도 12 는, x/R = 0.2 의 축 방향 위치 (즉,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0.2R 후방의 위치) 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위치 (r/R) (가로축) 와, 축류의 유속 (좌측 세로축) 및 유입각 (우측 세로축) 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의 그래프로부터, 반경 방향 위치 (r/R) 가 0.2 ∼ 1.0 인 범위에서는, r/R 이 1.0 일 때, 축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축류의 유입각이 가장 크고, r/R 이 0.6 ∼ 1.0 인 범위에서는, r/R 이 클수록, 유입각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1 의 그래프로부터, 프로펠러 (8) 의 후류측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짧을수록 (즉, x/R 이 작을수록) 유입각이 크고, x/R 이 0.5 이하인 범위에서는, 유입각이 어느 정도 크고, x/R 이 0.2 이하인 범위에 있어서, 유입각이 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를 보면, 축류의 유입각이 큰 x/R = 0.2 인 축 방향 위치에서는, 반경 방향 위치가 r/R 이 1.0 미만일 때에 유속이 비교적 크고, r/R 이 1.0 을 초과하면, 유속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 로부터, 프로펠러 (8) 의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5R 이하, 또한, 프로펠러 (8)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O) 으로부터의 거리 (b) 가 0.80R 이상인 위치에 있어서, 유입각이 비교적 크고, 또,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 (a) 가 1.0R 보다 짧은 위치에 있어서, 유속이 비교적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프로펠러 (8) 의 후류측에 덕트 (10)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유입각을 어느 정도 크게 하여 덕트 (10) 의 영각을 적절한 크기로 함으로써, 덕트 (10) 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유속이 보다 큰 위치에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를 배치함으로써, 덕트 (10) 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도 4 ∼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a) 를 0.5R 이하로 하고, 또한, 프로펠러 (8)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O) 과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의 거리 (b) 가 0.80R 이상 0.95R 이하로 했으므로, 덕트 (10) 에 대한 축류의 유입각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또,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a) 를 0.05R 이상으로 했으므로,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a) 를, 더욱 짧고, 예를 들어 0.2R 이하로 설정해도 된다. 즉,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가,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 (a) 가 0.05R 이상 0.2R 이하, 또한, 프로펠러 (8)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O) 으로부터의 거리 (b) 가 0.80R 이상 0.9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 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a) 가 0.2R 이하인 위치에서는, 당해 거리 (a) 가 0.5R 인 위치에 비해, 유입각이 보다 크다. 이 때문에,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상기 서술한 거리 (a) 가 0.2R 이하가 되는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덕트 (10) 에 있어서 보다 큰 추력이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는 달리, 덕트 (10) 는, 선체 (2) 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설치되므로, 덕트 (10) 의 이동에 수반하는 프로펠러 (8) 와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는 없고, 덕트 (10) 와 프로펠러 (8) 사이의 거리 (a) 를 비교적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서술한 거리 (a) 를 0.2R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4 ∼ 도 5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같이, 덕트 (10) 의 최상부 (11) 가 러더 혼 (6) 에 접속되는 경우, 덕트 (10) 의 최상부 (11) 중, 중심선의 방향에 있어서 덕트 (10) 의 후측 가장자리 (14) 로부터, 러더 혼 (6) 과 덕트 (10) 가 접하는 제 1 위치 (P1) 까지의 부분이, 러더 혼 (6) 과의 접속부 (16) 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덕트 (10) 의 중심선 방향의 길이를 L (도 4 참조) 로 하여, 상기 서술한 제 1 위치 (P1) 는, 중심선 (Q) 의 방향에 있어서, 덕트 (10) 의 후측 가장자리 (14) 로부터의 거리 (c) 가 0.3L 이상 0.5L 이하인 위치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덕트 (10) 의 최상부 (11) 중,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후측 가장자리 (14) 측의 30 % 이상 50 % 이하의 부분이, 러더 혼 (6) 과의 접속부 (16) 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덕트 (10) 의 최상부 (11) 중, 러더 혼 (6) 과의 접속부 (16) 가 차지하는 중심선 방향의 길이를 0.3L 이상으로 함으로써, 덕트 (10) 를 러더 혼 (6) 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길이를 0.5L 이하로 함으로써, 덕트 (10) 의 최상부 (11) 에 있어서, 날개형을 형성하는 부위 (즉, 덕트 (10) 의 최상부 (11) 중 접속부 (16) 보다 전방의 부분)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덕트 (10) 의 축류 에너지 회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같이, 선체 (2)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타판 (7) 에 덕트 (10) 가 지지된 경우,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 (a) 가 0.3R 이상 0.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덕트 (10) 가 타판 (7) 과 함께 회동 가능하면, 전타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거리 (a) 를 0.3R 이상으로 함으로써, 덕트 (10) 와 프로펠러 (8) 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서술한 거리 (a) 를 0.5R 이하로 함으로써,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와 프로펠러 (8) 의 거리를 가능한 한 근접시켜, 덕트 (10) 에 대한 축류의 유입각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타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시킴과 함께, 덕트 (10) 와 프로펠러 (8) 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프로펠러 후류측에 발생하는 축류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같이, 선체 (2)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타판 (7) 에 덕트 (10) 가 지지되는 실시형태에서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덕트 (10) 의 후측 가장자리 (14) 와, 타판 (7) 이 장착된 러더 혼 (6) 의 전단부 (6a) 사이의 최소 거리 (e) (도 7 참조) 가, 0.02R 이상 0.3R 이하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덕트 (10) 의 후측 가장자리 (14) 와 러더 혼 (6) 의 전단부 (6a) 사이의 최소 거리 (e) 를 0.02R 이상으로 했으므로, 덕트 (10) 와 타판 (7) 의 간섭을 회피 가능함과 함께, 상기 서술한 최소 거리 (e) 를 0.3R 이하로 했으므로, 덕트 (10) 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덕트 (10) 를 타판 (7) 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트럿 (24)) 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타판 (7) 으로부터 프로펠러 (8) 의 회전축 (O)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22) 를 통하여 덕트 (10) 를 지지하도록 했으므로, 그 돌출부 (22) 에 의해 프로펠러 보스부 (30) 로부터 발생하는 허브 소용돌이의 에너지도 회수하면서, 덕트 (10) 에 의해 상기 서술한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돌출부 (22) 의 전측 가장자리 (23) 는, 구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출부 (22) 는, 프로펠러 (8) 로부터의 후류를 구상의 전측 가장자리 (23) 에서 받으므로, 유체 손실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선미 베어링의 단부의 위치인 제 2 위치 (P2) (도 8 참조) 와 프로펠러 보스의 선체 위치인 제 3 위치 (P3) (도 8 참조) 사이, 또한, 프로펠러 (8)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O) 으로부터의 거리 (g) 가 1.0R 보다 크고 1.2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2 위치 (P2) 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잰 거리가 0.4R 의 위치이고, 제 3 위치 (P3) 는,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프로펠러 (8)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05R 인 위치이다.
이 경우, 덕트 (10) 의 전측 가장자리 (12) 가, 프로펠러 (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2 위치 (P2) 와 제 3 위치 (P3) 사이, 또한, 프로펠러 (8)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O) 으로부터의 거리 (g) 가 1.0R 보다 크고 1.2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덕트 (10) 에 의해, 프로펠러 (8) 의 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로써, 프로펠러 (8) 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체 (2) 의 저부 (9) 에 작용하는 변동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9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진 장치 (3) 는, 덕트 (10) 의 내측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 장의 스테이터 핀 (28)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9 ∼ 도 10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10) 의 중심선 (Q) 을 따라 형성되는 허브 부재 (27) 의 외주면과, 덕트 (10) 의 내주면 사이에, 덕트 (10) 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장의 스테이터 핀 (28) 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핀 (28) 의 단면은 날개형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덕트 (10) 의 내측에 적어도 1 장의 스테이터 핀 (28) 을 형성했으므로, 그 스테이터 핀 (28) 에 의해 프로펠러 (8) 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선회류의 에너지도 회수하면서, 덕트 (10) 에 의해 상기 서술한 축류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프로펠러 (8) 의 후류측에 있어서어 선회류의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해, 덕트 (10) 를 사용하지 않고 스테이터 핀 (28) 만을 사용한 경우, 도 10 에 나타내는 파선 화살표 (f2) 와 같이, 선회 성분을 갖는 흐름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빠져나가버리기 때문에, 선회류의 회수 효과는 한정적이다. 이 점에서, 도 10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덕트 (10) 와 스테이터 핀 (28) 을 병용함을써, 덕트 (10) 에 의해 흐름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실선 화살표 (f1) 참조), 선회류의 에너지의 회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한」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면취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포함하는」, 또는 「갖는」 이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1 선박
2 선체
2a 선수
2b 선미
3 추진 장치 (선박용 추진 장치)
4 키
5 키축
6 러더 혼
6a 전단부
7 타판
8 프로펠러
9 저부
10 덕트
11 최상부
12 전측 가장자리
14 후측 가장자리
16 접속부
18 스트럿
22 돌출부
23 전측 가장자리
24 스트럿
27 허브 부재
28 스테이터 핀
30 프로펠러 보스부
A 화살표
FL 양력
FT 추력
O 회전축
P1 제 1 위치
P2 제 2 위치
P3 제 3 위치
Q 중심선
R 회전 반경
a 덕트 전측 가장자리와 프로펠러 후측 가장자리의 축 방향의 거리
b 덕트 전측 가장자리와 프로펠러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거리
e 덕트 후측 가장자리와 러더 혼의 최소 거리
fc 축류
g 덕트 전측 가장자리와 프로펠러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거리
h 덕트 후측 가장자리와 프로펠러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거리

Claims (12)

  1. 선미에 형성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후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따른 중심선을 갖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날개형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형 형상의 코드 방향이 상기 중심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5 도 이하이고,
    상기 덕트는, 선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타판에 지지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R 로 했을 때,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잰 거리가 0.3R 이상 0.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타판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측 가장자리와, 상기 타판이 장착된 러더 혼의 전단부 사이의 최소 거리가, 0.02R 이상 0.3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최상부 중, 상기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위치까지의 부분은, 상기 러더 혼과의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덕트의 상기 중심선 방향의 길이를 L 로 했을 때, 상기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상기 후측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0.3L 이상 0.5L 이하인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0.80R 이상 0.95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전측 가장자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1.0R 보다 크고 1.2R 이하인 범위 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측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 장의 스테이터 핀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박용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18466A 2018-03-08 2019-02-18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 KR102275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2154 2018-03-08
JP2018042154A JP6832304B2 (ja) 2018-03-08 2018-03-08 舶用推進装置及び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687A KR20190106687A (ko) 2019-09-18
KR102275923B1 true KR102275923B1 (ko) 2021-07-12

Family

ID=6799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66A KR102275923B1 (ko) 2018-03-08 2019-02-18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32304B2 (ko)
KR (1) KR1022759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9199A (ja) 2012-07-12 2014-02-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795U (ko) * 1977-09-17 1979-04-10
JPS60118597U (ja) * 1984-01-20 1985-08-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リアクシヨンフイン装置
JPS61171690U (ko) * 1985-04-15 1986-10-24
JPH08108890A (ja) 1994-10-07 1996-04-30 Susumu Shimazaki 整流用固定翼内蔵ダクト付き舶用プロペラ
JP4241096B2 (ja) 2003-03-03 2009-03-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フィン及びステータフィンのフィン取付角設定方法
KR20120110232A (ko) * 2011-03-29 2012-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방향타에 구비되는 추진효율 증대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9199A (ja) 2012-07-12 2014-02-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687A (ko) 2019-09-18
JP6832304B2 (ja) 2021-02-24
JP2019156002A (ja)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9025B2 (ja) ダクト付き前流固定翼体
JP5230852B1 (ja) 小型ダクト付きプロペラ及び船舶
JP5113899B2 (ja) 船舶の船尾構造
EP3098158B1 (en) Stern duct, stern attachment, method of designing stern duct, and ship equipped with stern duct
JP6422020B2 (ja) ツインスケグ船
KR102275923B1 (ko)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선박
WO2015098665A1 (ja) ダクト装置
WO2011102103A1 (ja) ダクト付きスラスタ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3842189B2 (ja) ポッドプロペラ
JP5558048B2 (ja) 舶用複合型省エネ推進装置及び一軸二舵船舶
WO2018025644A1 (ja) 船舶
JP5496563B2 (ja) 舶用推進装置
WO2013027857A1 (ja) 船舶用推進器
JP2010221976A (ja) ポッド推進器
KR101523920B1 (ko) 선박의 추진장치
KR101764400B1 (ko) 추진효율 향상을 위한 트위스트 타입 스테이터를 구비한 선박용 덕트장치
JP2020185810A (ja) 舵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2011042201A (ja) 小翼付き船尾ダクト及び船舶
WO2018139138A1 (ja) ダクト装置および船舶
KR101106709B1 (ko)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
JP2012045968A (ja) 船舶用の舵、船舶、及び船舶の設計方法
JP2024014651A (ja) ボート用加速型スクリュー
JP2000118491A (ja) 推進装置
KR101106708B1 (ko)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의 분리형 방향타
KR101422225B1 (ko) 보조 추력 장치를 갖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