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90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90B1
KR102275490B1 KR1020210007208A KR20210007208A KR102275490B1 KR 102275490 B1 KR102275490 B1 KR 102275490B1 KR 1020210007208 A KR1020210007208 A KR 1020210007208A KR 20210007208 A KR20210007208 A KR 20210007208A KR 102275490 B1 KR102275490 B1 KR 10227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concrete structure
repair line
wettabilit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00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에 관련되며, 이는 균열진행 초기에 적용시 진행형 파생균열을 최소화하며 습윤성 주입제로 하자율을 낮추고 인장력을 감소시켜 균열부위 재 하자를 막아주며 강도를 높여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염수성이 우수하여 한번 시공으로 추가 비용이 절감되며 고질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과 누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수라인 형성단계(S10),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 평탄화단계(S40), 탑코팅단계(S5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Concrete structure crack and leak repair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균열 충진이 매우 단단하여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유성 부착성 및 내염수서이 우수하여 혹독한 바닥환경을 견뎌야 하는 공동주택 및 산업체 현장에서 균열 및 누수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균열 등을 통한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는 수발포성 우레탄, 수용성 에폭시 등과 같은 물과 반응성을 가진 유기 합성 고분자 수지계 지 수재나, 시멘트에 아크릴, EVA, SBR 등과 같은 수용해성 고무 혼화제를 첨가한 무 기질계 지수재, 또는 물과 반응하여 체적을 늘이는 특징을 가진 벤토나이트 광물입 자를 아스팔트, 우레탄,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유기화합물이나, 시멘트에 아크릴, EVA, SBR 등과 같은 수용해성 고무 혼화제를 첨가한 무기질 혼합물에 첨가한 지수재를 콘크리트 구조체에 강제 주입하여 경화, 발포, 또는 팽윤시키는 방법들 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발포성 우레탄, 수용성 에폭시 등과 같은 물과 반응성을 가진 유기 합성 고분자 수지계 지수재를 콘크리트 구조체 배면에 강제주입하면, 초 기에는 발포나 경화에 의하여 우수한 지수효과를 발휘하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정 해진 포용 수량이나 자체 용해성과 자체 체적수축에 의해 지수효과는 점차 떨어져 장기 내구성이 결여된다.
특히, 유기합성 고분자 제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칼리에 대한 저항성이 열 악하여, 물에 용해되어져 나오는 콘크리트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칼 륨 등과 같은 강알칼리성 용액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과 접착하고 있는 면에서의 탈락현상이 발생하여 단기간 내에 다시 누수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시멘트에 아크릴, EVA, SBR 등과 같은 수용해성 고무 혼화재를 첨가한 무기질계 지수재는,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접착성이 없으며, 경화에 필요한 수량 이 상이 존재하는 콘크리트 면에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경화되기 이전에 이미 물에 용해되어져 강도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반면에 충분히 경화하여 강도를 발휘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취성이 과도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 약간의 변형만 있으면 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건조수축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부위를 통하여 다시 누수되는 결함이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콘크리트 구조체 주입 보수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보수방법, 즉, 균열이나 누수부위를 따라 콘크리트 드릴로 콘크리트 구조체, 또는 구조체 배면에 기 설치된 방수층을 완전히 관통하는 구멍을 뚫은 다음, 개공한 입구 에 배면 주입 보수재를 주입하기 위한 패커나 파이프 등을 삽입하여 주입장치의 압력을 최대한 설정하여 강제 주입하면, 확인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구조체 배면 공극 의 상태에 따라 주입이 거의 되지 않아 보수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무한정 주입되어 공사비용이 급격하게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892712 B1 (2018.08.22.)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균열진행 초기에 적용시 진행형 파생균열을 최소화하며 습윤성 주입제로 하자율을 낮추고 인장력을 감소시켜 균열부위 재 하자를 막아주며 강도를 높여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염수성이 우수하여 한번 시공으로 추가 비용이 절감되며 고질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과 누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콘크리트 구조물(1)에 균열라인(1a)을 따라 8~15mm 깊이로 보수라인(10)을 형성하는 보수라인 형성단계(S10); 상기 보수라인(10) 깊이 기준 50~80% 높이로 습윤성주입제를 주입하여 내부 보수층(20)을 형성하는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 상기 보수층 형성단계(S20)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대비 높게 돌출되도록 보수라인(10) 내부로 습윤성 레진몰탈을 주입하여 마감 보수층(30)을 형성하는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높이와 일치되도록 마감 보수층(30)을 절삭하는 평탄화단계(S40); 및 상기 마감 보수층(3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폴리머계 모르타르를 코팅 처리하여 탑코팅층(40)을 형성하는 탑코팅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수라인 형성단계(S10)에서, 보수라인(10)은 그라인더장치(100)의 회전커터(110)에 의해 U자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커터(110)는 각도조절 모듈(120)에 의해 각도 조절되어 U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보수라인(10) 양측벽 간에 거리가 내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한 쌍의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면(12)에 의해 내, 외부 보수층(20)(30) 폭이 보수라인(10) 내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도브테일 조인트(D) 구조로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모듈(120)은,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휠(121a)이 설치되고, 중앙에 장공홀(121b)이 관통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장공홀(121b) 길이 방향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121)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22)과, 고정브라켓(122)에 힌지(123a)로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유동브라켓(123)과, 유동브라켓(123)에 설치되어 그라인더장치(100)를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124)와, 베이스플레이트(121) 상에 설치되고, 유동브라켓(123) 선회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나사식 스토퍼(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브라켓(123)을 중심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1) 양측에 배치되어 제 1축핀(132)을 중심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1) 폭방향으로 선회운동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핸들(130)이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에 일단이 제 2축핀(142)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유동브라켓(123)에 제 3축핀(144)으로 연결되는 링크바(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축핀(132)과 제 2축핀(142) 사이 거리 대비 제 3축핀(144)과 힌지(123a) 사이 거리가 짧게 형성되어, 각도조절핸들(130)의 선회각도 대비 유동브라켓(123) 선회각도가 확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경사각으로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밀면 보수라인(10)의 일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반대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도록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당기면 보수라인(10)의 다른 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에서, 습윤성주입제는 정량주입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높이로 주입되고, 상기 정량주입장치(200)는, 습윤성주입제가 수용되고, 일단에 주입노즐(212)이 형성되는 실린더본체(210)와, 실린더본체(210) 내에 설치되어 습윤성주입제를 압축하는 피스톤(220)과, 실린더본체(210)의 주입노즐(212) 측에 설치되어 조절구(232)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면서 보수라인(10) 내부 바닥면을 타고 이동되는 하부 기준편(230)과, 실린더본체(210)에 설치되어 탄성체(242)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되는 상부 기준편(240)과, 상부 기준편(24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주입노즐(212)과 대응하는 보수라인(10) 내부로 수용되어, 보수라인(10) 내부로 주입되는 습윤성주입제 높이를 상부에서 제한하는 조절판(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기준편(230)이 보수라인(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피스톤(220)을 가압하여 주입노즐(212)을 통하여 습윤성주입제를 토출시키면서 실린더본체(210) 위치를 이동하면, 보수라인(10) 내에 주입되는 습윤성주입제가 조절판(250)에 의해 소정의 높이까지 충진되고, 상기 조절판(250)은 상부 기준편(240)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 이후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에서 마감 보수층(30) 형성을 위한 공간 높이(L)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균열진행 초기에 적용시 진행형 파생균열을 최소화하며 습윤성 주입재로 하자율을 낮추고 인장력을 감소시켜 균열부위 재 하자를 막아주며 강도를 높여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염수성이 우수하여 한번 시공으로 추가 비용이 절감되며 고질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과 누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습윤성 제품으로 습기가 있어도 시공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에 습기가 있어 경화되지 않아 하자가 발생되는 하자율이 제로에 가까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늘 습기를 먹고 있는 콘크리트 바닥에 최적의 공법이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1회 시공으로 재시공으로 인한 추가 공사비를 줄여주고 단순회 균열보수와 누수보수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와 보강을 동시에 효과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바닥, 벽체는 물론 지하주차장 바닥의 콘크리트 컬링현상(굽음응력) 바닥의 들뜸으로 인해 소리 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시공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보수라인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각도조절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각도조절모듈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5 내지 도 6의 각도조절모듈을 이용하여 가공된 보수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정량주입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시공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보수라인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각도조절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각도조절모듈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 내지 도 6의 각도조절모듈을 이용하여 가공된 보수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의 정량주입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에 관련되며, 이는 균열진행 초기에 적용시 진행형 파생균열을 최소화하며 습윤성 주입제로 하자율을 낮추고 인장력을 감소시켜 균열부위 재 하자를 막아주며 강도를 높여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염수성이 우수하여 한번 시공으로 추가 비용이 절감되며 고질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과 누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수라인 형성단계(S10),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 평탄화단계(S40), 탑코팅단계(S5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1. 보수라인 형성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보수라인 형성단계(S10)는 콘크리트 구조물(1)에 균열라인(1a)을 따라 8~15mm 깊이로 보수라인(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수라인 형성단계(S10)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균열라인(1a)을 따라 그라인더장치(100)의 회전커터(110)로 보수라인(1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때 보수라인(10)은 U자형 홈으로 가공되어 후술하는 습윤성주입제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수라인 형성단계(S10)의 일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보수라인 형성단계(S10)에서, 보수라인(10)은 그라인더장치(100)의 회전커터(110)에 의해 U자형 홈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그라인더장치(100)는 통상의 핸드 그라인더를 이용하고, 회전커터(110)를 종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절삭가공하여, 보수라인(10) 폭이 회전커터(110) 두께 사이즈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수라인 형성단계(S10) 거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후술하는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수라인 형성단계(S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처럼 상기 회전커터(110)는 각도조절 모듈(120)에 의해 각도 조절되어 U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보수라인(10) 양측벽 간에 거리가 내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한 쌍의 경사면(12)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경사면(12)에 의해 후술하는 내, 외부 보수층(20)(30) 폭이 보수라인(10) 내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도브테일 조인트(D) 구조로 맞물려 결속됨에 따라 일체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5에서, 상기 각도조절모듈(120)은,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휠(121a)이 설치되고, 중앙에 장공홀(121b)이 관통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장공홀(121b) 길이 방향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121)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22)과, 고정브라켓(122)에 힌지(123a)로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유동브라켓(123)과, 유동브라켓(123)에 설치되어 그라인더장치(100)를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124)와, 베이스플레이트(121) 상에 설치되고, 유동브라켓(123) 선회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나사식 스토퍼(125)를 포함한다.
이에 도 5 (b)와 같이, 상기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경사각으로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밀면 보수라인(10)의 일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되고, 상기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반대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도록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당기면 보수라인(10)의 다른 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하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상기 유동브라켓(123)을 중심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1) 양측에 배치되어 제 1축핀(132)을 중심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1) 폭방향으로 선회운동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핸들(130)이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에 일단이 제 2축핀(142)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유동브라켓(123)에 제 3축핀(144)으로 연결되는 링크바(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축핀(132)과 제 2축핀(142) 사이 거리 대비 제 3축핀(144)과 힌지(123a) 사이 거리가 짧게 형성되어, 각도조절핸들(130)의 선회각도 대비 유동브라켓(123) 선회각도가 확장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경사각으로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밀면 보수라인(10)의 일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반대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도록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당기면 보수라인(10)의 다른 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비숙련공에 의한 정밀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2.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는, 상기 보수라인(10) 깊이 기준 50~80% 높이로 습윤성주입제를 주입하여 내부 보수층(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습윤성주입제는 시중에 유통되는 통상의 제품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보, 보강용 에폭시로 0.3mm 이하의 소균열에 쉽게 침투하여 강력한 방수 및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경화 후에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철근부식방지 및 콘크리트 강도복원에 효과가 있다. 또 관통균열까지 잡음으로 인해 진행형 파생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습윤성주입제 사용으로 습기가 있는 환경에서도 경화, 양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에서, 습윤성주입제는 정량주입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높이로 주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정량주입장치(200)는, 도 8과 같이 습윤성주입제가 수용되고, 일단에 주입노즐(212)이 형성되는 실린더본체(210)와, 실린더본체(210) 내에 설치되어 습윤성주입제를 압축하는 피스톤(220)과, 실린더본체(210)의 주입노즐(212) 측에 설치되어 조절구(232)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면서 보수라인(10) 내부 바닥면을 타고 이동되는 하부 기준편(230)과, 실린더본체(210)에 설치되어 탄성체(242)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되는 상부 기준편(240)과, 상부 기준편(24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주입노즐(212)과 대응하는 보수라인(10) 내부로 수용되어, 보수라인(10) 내부로 주입되는 습윤성주입제 높이를 상부에서 제한하는 조절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정량주입장치(200)를 이용한 습윤성주입제 주입 단계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 기준편(230)이 보수라인(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피스톤(220)을 가압하여 주입노즐(212)을 통하여 습윤성주입제를 토출시키면서 실린더본체(210) 위치를 이동하면, 보수라인(10) 내에 주입되는 습윤성주입제가 조절판(250)에 의해 소정의 높이까지 충진되고, 상기 조절판(250)은 상부 기준편(240)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 이후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에서 마감 보수층(30) 형성을 위한 공간 높이(L)가 일정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정량주입장치(200)를 위치 이동하는 중에 조절판(250)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위치 이동되고, 이와 연계되어 조절판(250)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함에 따라 마감 보수층(30) 형성을 위한 공간 높이(L)가 정밀하게 제어된다.
3.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는, 상기 보수층 형성단계(S20)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대비 높게 돌출되도록 보수라인(10) 내부로 습윤성 레진몰탈을 주입하여 마감 보수층(30)을 형성된다.
상기 습윤성 레진몰탈은 보수라인(10) 내부로 채움 시공하여 상기 내부 보수층(20)을 마감 처리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면을 다짐 처리하게 된다.
4. 평탄화단계(S40)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단계(S4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높이와 일치되도록 마감 보수층(30)을 절삭하는 단계이다.
상기 평탄화단계(S40)는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마감 보수층(30) 상면을 그라인딩하고, 이때 연마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대비 높게 돌출된 부분을 국부적으로 삭제하도록 구비된다.
5. 탑코팅단계(S50)
본 발명에 따른 탑코팅단계(S50)는, 상기 마감 보수층(3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폴리머계 모르타르를 코팅 처리하여 탑코팅층(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탑코팅단계(S50)에서 폴리머계 모르타르를 코팅 처리함에 따라 옥상바닥의 경우 기존 옥상바닥의 콘크리트와 유사한 색상으로 일치시켜 유지 보수부분의 이질감이 최소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보수라인 20: 내부 보수층
30: 마감 보수층 40: 탑코팅층
100: 그라인더장치 200: 정량주입장치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1)에 균열라인(1a)을 따라 8~15mm 깊이로 보수라인(10)을 형성하는 보수라인 형성단계(S10); 상기 보수라인(10) 깊이 기준 50~80% 높이로 습윤성주입제를 주입하여 내부 보수층(20)을 형성하는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 상기 보수층 형성단계(S20)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대비 높게 돌출되도록 보수라인(10) 내부로 습윤성 레진몰탈을 주입하여 마감 보수층(30)을 형성하는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높이와 일치되도록 마감 보수층(30)을 절삭하는 평탄화단계(S40); 및 상기 마감 보수층(3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폴리머계 모르타르를 코팅 처리하여 탑코팅층(40)을 형성하는 탑코팅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라인 형성단계(S10)에서, 보수라인(10)은 그라인더장치(100)의 회전커터(110)에 의해 U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커터(110)는 각도조절 모듈(120)에 의해 각도 조절되어 U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보수라인(10) 양측벽 간에 거리가 내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한 쌍의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면(12)에 의해 내, 외부 보수층(20)(30) 폭이 보수라인(10) 내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도브테일 조인트(D) 구조로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모듈(120)은,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휠(121a)이 설치되고, 중앙에 장공홀(121b)이 관통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장공홀(121b) 길이 방향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121)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22)과, 고정브라켓(122)에 힌지(123a)로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유동브라켓(123)과, 유동브라켓(123)에 설치되어 그라인더장치(100)를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124)와, 베이스플레이트(121) 상에 설치되고, 유동브라켓(123) 선회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나사식 스토퍼(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브라켓(123)을 중심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1) 양측에 배치되어 제 1축핀(132)을 중심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1) 폭방향으로 선회운동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핸들(130)이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에 일단이 제 2축핀(142)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유동브라켓(123)에 제 3축핀(144)으로 연결되는 링크바(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축핀(132)과 제 2축핀(142) 사이 거리 대비 제 3축핀(144)과 힌지(123a) 사이 거리가 짧게 형성되어, 각도조절핸들(130)의 선회각도 대비 유동브라켓(123) 선회각도가 확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경사각으로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밀면 보수라인(10)의 일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130)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유동브라켓(123)이 힌지(123a)를 축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라인더장치(100)와 함께 회전커터(110)가 반대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도록 선회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를 당기면 보수라인(10)의 다른 측벽에 경사면(12)이 가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수층 형성단계(S20)에서, 습윤성주입제는 정량주입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높이로 주입되고, 상기 정량주입장치(200)는, 습윤성주입제가 수용되고, 일단에 주입노즐(212)이 형성되는 실린더본체(210)와, 실린더본체(210) 내에 설치되어 습윤성주입제를 압축하는 피스톤(220)과, 실린더본체(210)의 주입노즐(212) 측에 설치되어 조절구(232)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면서 보수라인(10) 내부 바닥면을 타고 이동되는 하부 기준편(230)과, 실린더본체(210)에 설치되어 탄성체(242)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을 타고 이동되는 상부 기준편(240)과, 상부 기준편(24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주입노즐(212)과 대응하는 보수라인(10) 내부로 수용되어, 보수라인(10) 내부로 주입되는 습윤성주입제 높이를 상부에서 제한하는 조절판(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준편(230)이 보수라인(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피스톤(220)을 가압하여 주입노즐(212)을 통하여 습윤성주입제를 토출시키면서 실린더본체(210) 위치를 이동하면, 보수라인(10) 내에 주입되는 습윤성주입제가 조절판(250)에 의해 소정의 높이까지 충진되고, 상기 조절판(250)은 상부 기준편(240)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 이후 마감 보수층 형성단계(S30)에서 마감 보수층(30) 형성을 위한 공간 높이(L)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KR1020210007208A 2021-01-19 2021-01-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KR10227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08A KR102275490B1 (ko) 2021-01-19 2021-01-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08A KR102275490B1 (ko) 2021-01-19 2021-01-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90B1 true KR102275490B1 (ko) 2021-07-09

Family

ID=7686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08A KR102275490B1 (ko) 2021-01-19 2021-01-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90B1 (ko) * 2022-05-19 2022-10-27 김재학 폴리머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보강공법 및 이를 위해 사용되는 내진보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998A (ja) * 1998-06-17 2000-01-07 Asupii Giken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止水方法並びに水漏れ箇所に充填材を注入するための注入具
KR101761733B1 (ko) * 2017-03-10 2017-08-04 비봉산업 주식회사 초속경 고강도 콘스틸 씰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1892712B1 (ko) 2016-05-20 2018-08-28 주식회사 대한방수 콘크리트구조체의 균열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998A (ja) * 1998-06-17 2000-01-07 Asupii Giken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止水方法並びに水漏れ箇所に充填材を注入するための注入具
KR101892712B1 (ko) 2016-05-20 2018-08-28 주식회사 대한방수 콘크리트구조체의 균열 보수 공법
KR101761733B1 (ko) * 2017-03-10 2017-08-04 비봉산업 주식회사 초속경 고강도 콘스틸 씰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 및 보강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90B1 (ko) * 2022-05-19 2022-10-27 김재학 폴리머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보강공법 및 이를 위해 사용되는 내진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28057B (zh) 一种高铁或地铁隧道渗漏水修缮系统及其工艺
US20080257477A1 (en) Non-Shrink High Viscosity Chemical Grout
KR1022754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보수 공법
KR101760230B1 (ko) 수축저감 조강형 보수몰탈과 유동성 전단연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12179B1 (ko) 콘크리트 바닥의 비구조적 균열 보수 공법
KR10048951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CN110080550B (zh) 一种墙面结构
Chynoweth et al. Concrete repair guide
KR102058988B1 (ko) 지하주차장 바닥진동 및 소음 보수방법
KR20050075973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로드부재
CN111140263B (zh) 隧道混凝土衬砌裂缝宽度计算方法及裂缝处理方法
KR19990084102A (ko) 스프레이공법을 이용한 폴리머시멘트 모르터 단면수복보수공법
US5996304A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US20100065978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issures in concrete structures
KR101713896B1 (ko)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CN106930506A (zh) 大型纺纱车间金刚砂耐磨地坪施工方法
CN113738152A (zh) 反水梁渗漏维修施工方法
JP614495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注入材注入工法
NO137567B (no) Utvasker for "nyloprint"-klisjeer eller liknende
TWI624578B (zh) Acrylic wear-resistant waterproof lay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274012B1 (ko) 상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면 처리방법
Issa Methods of crack repair in concrete structures
KR102457896B1 (ko) 탄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9066B1 (ko) 간이도로 및 주차장 포장방법
Allen Damage occurring dur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