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524B1 -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 Google Patents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524B1
KR102274524B1 KR1020190060100A KR20190060100A KR102274524B1 KR 102274524 B1 KR102274524 B1 KR 102274524B1 KR 1020190060100 A KR1020190060100 A KR 1020190060100A KR 20190060100 A KR20190060100 A KR 20190060100A KR 102274524 B1 KR102274524 B1 KR 10227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ck
seaweed
grits
pelle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536A (ko
Inventor
박윤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우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우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우식품
Priority to KR1020190060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5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3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oil frying of a formed cereal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김 스낵 제조방법은, 그리츠 형태의 쌀 그리츠 100 중량부에 대해 콘 그리츠 30.2~36.2 중량부, 김 분말 13.6~18.1 중량부를 계량하는 단계, 조습수분이 20~25%가 되도록 조습하면서 쌀 그리츠, 콘 그리츠 및 김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장공 형상의 홀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 싱글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혼합된 원료를 성형 배출하는 단계(여기서, 싱글 익스트루더의 바렐 온도를 130~140℃로 유지함), 싱글 익스트루더를 통해 압출 성형된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압연 롤러를 통과시켜 0.42~0.48mm의 두께로 압연하는 단계, 압연된 성형물을 절단기에서 53~57mm 로 절단하여 스낵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스낵 펠렛을 50~60℃로 설정된 건조기에서 10~20분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스낵 펠렛을 20~30℃의 온도 및 25~35% 습도 조건 하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된 스낵 펠렛을 193~203℃의 온도에서 후라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LAVER SNACK AND METHOD OF PRODUCING LAVER SNACK}
본 발명은 김이 함유된 스낵 또는 과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쌀 및 옥수수 성분과 김의 혼합이 골고루 배합되고, 함량 증가를 통해 김의 풍미를 증대할 수 있는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홍조식물 보라털목 보라털과의 해조로서, 미역 및 다시마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는 해조류이다. 국내 해조류 생산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5년 동안 김과 미역의 생산량은 전체 해조류 생산량의 60~70%를 차지할 정도로 경제적 유용성이 높은 수산자원이다.
특히, 김은 국내 소비자 뿐만 아니라 해외 소비자에게도 그 맛이 선호되어 수출전략품목으로 선정될 정도이며, 김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김의 가장 흔한 이용 형태로는 주로 마른 김과 조미 김의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외에도 김 부각, 김 자반, 김 스프, 김 조미료 등이 개발되었으나 마른 김과 조미 김의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외에도 김을 이용한 식품으로서 김을 함유한 스낵이나 과자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07348호(2019. 1. 22. 공개)에는 "이종식품이 증착된 기능성 김"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 김은 김의 표면에 이종식품의 분말 또는 칩 형태로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식용유에 튀기거나 가열함으로써 천연스낵과자김을 제조한다. 하지만, 이 기능성 김은 판상으로 건조된 김의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제조과정이 느려서 대량 생산에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92307호(2018. 8. 17. 공개)에는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김스낵은 곡물 시트를 김과 접합시켜 얻은 이중 시트를 구워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김은 분말 형태의 쌀 가루 등과 잘 혼합되지 않고, 균일한 혼합을 형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김을 판상으로 유지하고 김 스낵을 제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김을 분말과 혼합한 후 튀기거나 굽는 과정에서 김으로 인한 결합면이 분리되어 과장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김의 함량을 증가시켜 김의 풍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김과 다른 성분의 혼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김 스낵 제조방법은, 그리츠 형태의 쌀 그리츠 100 중량부에 대해 콘 그리츠 30.2~36.2 중량부, 김 분말 13.6~18.1 중량부를 계량하는 단계, 조습수분이 20~25%가 되도록 조습하면서 쌀 그리츠, 콘 그리츠 및 김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장공 형상의 홀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 싱글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혼합된 원료를 성형 배출하는 단계(여기서, 싱글 익스트루더의 바렐 온도를 120~150℃로 유지함), 싱글 익스트루더를 통해 압출 성형된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압연 롤러를 통과시켜 0.4~0.6mm의 두께로 압연하는 단계, 압연된 성형물을 절단기에서 53~57mm 로 절단하여 스낵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스낵 펠렛을 45~65℃로 설정된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스낵 펠렛을 15~35℃의 온도 및 20~40% 습도 조건 하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된 스낵 펠렛을 193~203℃의 온도에서 후라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계량된 쌀 그리츠, 콘 그리츠 및 김 분말에 0.8~1.1 중량부의 효모 추출물을 더 추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싱글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혼합된 원료를 성형 배출하는 단계에서, 다이에 장변 10~15mm 및 단변 1.3~1.8mm을 갖는 장공 형상의 홀을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하고, 약 400~500psi의 압력을 유지하여 압출할 수 있다.
스낵 펠렛을 건조하는 단계에서 최종 수분이 11~13.5%가 되도록 조정할 수있으며, 건조된 스낵 펠렛을 숙성하는 단계를 24~7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후라잉하는 단계를 10~12초간 진행하며, 후라잉 후 김 스낵의 수분 성분을 2.5~3.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후라잉을 거친 김 스낵은 시즈닝 이후에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은 김의 함량을 10% 이상으로 증가시켜 김의 풍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자가 작은 전분이나 분말 형태의 성분보다는 그리츠 또는 분태 형태의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 스낵은 그리츠 형태의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사출이 막히는 경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낵으로서 바삭함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시 그리츠를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조습 조건의 세밀한 조정, 싱글 익스트루더의 사용, 건조 및 숙성 단계를 개선함으로써 제조성과 식감을 개선한 김 스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스낵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김 스낵의 제조방법은 계량, 조습을 통한 혼합, 싱글 익스트루더에 의한 압축 성형, 압연, 절단, 건조, 숙성 및 후라잉의 과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스낵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그리츠 형태의 쌀 그리츠 100 중량부에 대해 콘 그리츠 30.2~36.2 중량부, 김 분말 13.6~18.1 중량부, 효모추출물 0.8~1.1 중량부를 계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쌀 그리츠 100 중량부에 콘 그리츠 33.3 중량부, 김 분말 15.8 중량부, 효모추출물 1 중량부를 계량할 수 있다.
그리고, 계량된 쌀 그리츠, 콘 그리츠, 김 분말, 효모 추출물을 정량 혼합하고, 배합수를 이용하여 조습수분이 20~25%, 바람직하게는 23%가 되도록 조습하면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비를 기준으로 할 때, 배합수에는 쌀 그리츠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8~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의 정제소금이 녹아 혼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조습수분이 약 23% 정도가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습된 혼합물을 싱글 익스트루더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며, 압출 성형된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압연 롤러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그리츠 형태의 쌀 그리츠 및 콘 그리츠 형태로 혼합된 혼합물이 끊어지지 않고 압연 롤러로 공급되기 위해서 적당한 수분이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조습수분이 20%보다 작으면 배합물이 사출 과정에서 타는 현상 발생, 25%보다 크면 압출 성형물의 수분 함량이 많아 컷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가 있다.
여기서 싱글 익스트루더는 종래의 배출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렐의 온도는 130~140℃로 유지될 수 있으며, 압출 성형물이 배출되는 다이에는 장공 형상의 홀, 예를 들어 폭에 해당하는 장변이 10~15mm 및 단변에 해당하는 평균 두께가 1.3~1.8mm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이에 4개의 장공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홀의 폭 길이는 약 12mm이고 두께는 약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싱글 익스트루더에서 약 1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익혀지면서 약 400~500psi의 압력을 받도록 설계되어 압출 성형물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쌀 그리츠는 약 0.35~0.45mm의 평균 입도를 갖는 입자가 약 85~100%,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 포함되도록 제공되며, 콘 그리츠는 약 0.7~0.9mm의 평균 입도를 갖는 입자가 90~100%,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 포함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왜냐하면, 콘 그리츠가 약 0.7mm 이하의 크기로 제공되면, 싱글 익스트루더를 사용하면서 사출 압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출 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그리츠가 85% 또는 90% 이상 차지하도록 크기를 조절하여 싱글 익스트루더에서도 사출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가 있다.
싱글 익스트루더를 통해 압출 성형된 성형물은 끊어지지 않고 압연 롤러까지 이어질 수 있다. 압연 롤러에서 연속된 성형물은 약 0.42~0.48mm의 두께로 압연될 수 있으며, 압연 롤러를 통과한 성형물은 커팅기 또는 절단기를 통과하면서 약 53~57mm의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이렇게 얇은 사각형 판상의 스낵 펠렛이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판상의 스낵 펠렛은 약 50~60℃로 설정된 건조기에서 약 10~20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15분 정도 건조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된 스낵 펠렛은 최종 수분이 펠렛 무게 대비 약 12.5~13.5%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건조 온도나 건조 시간이 조금씩 수정될 수도 있다.
건조된 스낵 펠렛은 숙성 단계를 거친다. 일 예로 숙성 과정은 약 20~30℃의 온도 및 약 25~35% 습도 조건 하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숙성 시간은 24~48 시간 정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숙성된 스낵 펠렛은 후라잉 단계를 거친다. 후라잉 단계는 193~203℃의 온도의 오일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약 10~12초간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후라잉 후 김 스낵의 수분 성분은 약 2.5~3.1%를 유지하여 바삭한 과자의 식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김 스낵은 별도의 시즈닝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시즈닝 이후에 포장 단계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김 스낵 제조방법에 있어서,
    그리츠 형태의 쌀 그리츠 100 중량부에 대해 콘 그리츠 30.2~36.2 중량부, 김 분말 13.6~18.1 중량부를 계량하는 단계;
    조습수분이 20~25%가 되도록 조습하면서 상기 쌀 그리츠, 상기 콘 그리츠 및 상기 김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장공 형상의 홀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 싱글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혼합된 원료를 성형 배출하는 단계, 상기 성형 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싱글 익스트루더의 바렐 온도를 130~140℃로 유지함;
    상기 싱글 익스트루더를 통해 압출 성형된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압연 롤러를 통과시켜 0.42~0.48mm의 두께로 압연하는 단계;
    압연된 성형물을 절단기에서 53~57mm 로 절단하여 스낵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낵 펠렛을 50~60℃로 설정된 건조기에서 10~20분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스낵 펠렛을 20~30℃의 온도 및 25~35% 습도 조건 하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된 상기 스낵 펠렛을 193~203℃의 온도에서 후라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쌀 그리츠는 0.35 ~ 0.45mm의 평균 입도를 갖는 입자가 85~100%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계량된 상기 쌀 그리츠, 상기 콘 그리츠 및 상기 김 분말에 0.8~1.1 중량부의 효모 추출물을 더 추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된 원료를 성형 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이에 장변 10~15mm 및 단변 1.3~1.8mm을 갖는 장공 형상의 상기 홀을 복수개로 형성하고, 400~500psi의 압력을 유지하여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낵 펠렛을 건조하는 단계에서 최종 수분이 12.5~13.5%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건조된 상기 스낵 펠렛을 숙성하는 단계를 24~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라잉하는 단계를 10~12초간 진행하며, 상기 후라잉 후 김 스낵의 수분 성분을 2.5~3.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 그리츠는 0.7 ~ 0.9 mm의 평균 입도를 갖는 입자가 90~100%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김 스낵.
  9. 삭제
KR1020190060100A 2019-05-22 2019-05-22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KR10227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100A KR102274524B1 (ko) 2019-05-22 2019-05-22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100A KR102274524B1 (ko) 2019-05-22 2019-05-22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536A KR20200134536A (ko) 2020-12-02
KR102274524B1 true KR102274524B1 (ko) 2021-07-07

Family

ID=7379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100A KR102274524B1 (ko) 2019-05-22 2019-05-22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5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74B1 (ko) 2013-08-23 2015-03-02 김용주 김을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을 이용한 스낵
KR101778862B1 (ko) * 2015-12-21 2017-09-14 경상남도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593B1 (ko) * 1989-06-19 1991-11-23 주식회사 미원 해조류를 이용한 스낵 제조방법
KR101233345B1 (ko) * 2010-12-10 2013-02-14 주식회사 빙그레 싱글 스크류 사출 공정을 이용한 콘칩 스낵용 펠렛의 제조방법
KR101329604B1 (ko) * 2011-12-13 2013-11-15 주식회사 빙그레 매운맛 스낵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74B1 (ko) 2013-08-23 2015-03-02 김용주 김을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을 이용한 스낵
KR101778862B1 (ko) * 2015-12-21 2017-09-14 경상남도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536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05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ple grain flaked cereal
US20100021609A1 (en) Snack food product and method
US20110244088A1 (en) Multi-Color Crack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734294A (en) Process for making shredded cereals
US7897191B2 (en) Snack chip containing buckwheat hulls
CN1655690A (zh) 米类小点心薄片及其制备方法
JP2005521416A5 (ko)
CN112075581A (zh) 一种低盐低糖糯性的调味面制品及其制备方法
US5922387A (en) Method of making dried extruded gnocchi
KR102274524B1 (ko)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김 스낵
CN101969788A (zh) 制作烘焙基础快餐产品的方法以及由该方法生产的基础快餐产品
KR100644363B1 (ko) 당함량이 높은 칩상 구운과자의 제조방법
CN1457674A (zh) 一种谷物食品
KR100448648B1 (ko) 풋고추를 이용하여 부각을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고추 부각
KR20100104152A (ko) 낱개 만두피 및 그 조성물
EP3669666B1 (en) The whole grain chip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11115423A2 (en) Microwavable puffing rice sn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860555B2 (ja) スナツク食品の製造法
CN105533440A (zh) 面类休闲丸子及其制作方法
SE468194B (sv) Foerfarande foer aastadkommande av en skiva aetbar potatisdeg
RU2422047C2 (ru) Состав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рнового экструд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типа пшеничных сухариков
RU2225119C1 (ru) Хлебный сухарик
CN104255862A (zh) 一种全小米粉饼干及其生产方法
CN113796507A (zh) 一种坛紫菜虾片饼的生产工艺
AU2014100235A4 (en) Snack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