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367B1 -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367B1
KR102274367B1 KR1020200130109A KR20200130109A KR102274367B1 KR 102274367 B1 KR102274367 B1 KR 102274367B1 KR 1020200130109 A KR1020200130109 A KR 1020200130109A KR 20200130109 A KR20200130109 A KR 20200130109A KR 102274367 B1 KR102274367 B1 KR 10227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ction
reverse
communication cabl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배
Original Assignee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lines, e.g. needles, rods or ta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로서, 외면에 나선형 주름패턴을 형성하고, 내부관로에는 통신케이블의 신호접속단자 및 개별회선이 수용되어 견인과정에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단자보호관; 상기 단자보호관의 일측 단부에서 통신케이블의 외피가 가압링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가압링의 전방을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된 역린날개들이 형성되어 외피의 표면을 가압하되 일방향으로만 슬립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슬립이 제한되도록 작용하는 역린가압부재; 상기 역린가압부재 후방에서 단자보호관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나선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역린가압부재를 단자보호관 측으로 가압시켜 외피에 대한 압착력이 가중되도록 하는 케이블 압착캡; 및 상기 케이블 압착캡이 설치되는 반대측 단자보호관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견인고리를 형성하여 로프 등을 걸어서 견인되도록 하는 케이블 견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견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견인장치{EXTRU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용 배선관이나 통신선용 배선관에 전선 또는 통신선을 배선할 때는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를 사용하여 전선 또는 통신선을 배선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로 주로 굵기가 1mm에 불과한 피아노선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피아노선을 사용할 때는 피아노선의 일단에 전선의 일측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 고리형으로 구부려 사용하고 있으며, 피아노선의 특유의 강성 때문에 일단 휘어진 부분은 곧게 펼 수 없었고, 그로 인해 휴대할 때는 둥글게 말아 휴대해야하며, 휴대시 소홀히 다루면 바르게 펴서 재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10)과 유도케이블(20)이 접속구(30)로 연결되고 케이블과 유도케이블의 끝단에 각각 전선꽂이(40)가 결합된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는 짧게는 2m짜리부터 길게는 100m에 이르는 것도 있는 등 길이가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으나 배선관의 길이에 따라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의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통신선로를 연결하고자 견인작업하는 경우, 신호접속 단자 및 개별 회선이 통신선로 상의 장애물에 간섭되어 단락되거나 전선이 늘어나는 등의 케이블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인해 통신불량 및 오작동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1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케이블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신호접속 단자 및 개별회선이 통신선로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보호된 상태로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 여건에 맞춰서 견인장치의 길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직진성은 물론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 전선 매설용 주름관을 이용해서 단자보호관을 형성함으로써, 수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굴곡진 통신선로에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로서, 외면에 나선형 주름패턴을 형성하고, 내부관로에는 통신케이블의 신호접속단자 및 개별회선이 수용되어 견인과정에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단자보호관; 상기 단자보호관의 일측 단부에서 통신케이블의 외피가 가압링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가압링의 전방을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된 역린날개들이 형성되어 외피의 표면을 가압하되 일방향으로만 슬립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슬립이 제한되도록 작용하는 역린가압부재; 상기 역린가압부재 후방에서 단자보호관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나선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역린가압부재를 단자보호관 측으로 가압시켜 외피에 대한 압착력이 가중되도록 하는 케이블 압착캡; 및 상기 케이블 압착캡이 설치되는 반대측 단자보호관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견인고리를 형성하여 로프 등을 걸어서 견인되도록 하는 케이블 견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견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린가압부재는 가압링 중앙에 케이블 외피가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홀을 형성하고, 가압링 외주연 둘레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역린날개들을 형성하되, 상기 역린날개들은 연장되는 전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콘 형상으로 제작하여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역린날개 끝단이 케이블 외피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역린작용에 의해 케이블 외피의 슬립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역린날개의 끝단에 케이블 외피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면에는 톱니형상의 역린돌기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압착캡은 원통형의 압착캡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캡몸체의 내경에는 단자보호관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면 나선홈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캡몸체의 후단에는 역린가압부재의 가압링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하고, 그 중심에 통신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는 압착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견인캡은 원통형의 견인캡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견인캡몸체의 내경에는 단자보호관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면 나선홈을 형성하며, 상기 견인캡몸체의 상면에는 견인로프를 결박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통해서, 통신케이블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신호접속 단자 및 개별회선이 통신선로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보호된 상태로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견인과정에서의 개별회선이나 신호접속 단자의 단락이나 연신에 의한 통신선로의 신호불량이나 오작동 문제를 원초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직진성은 물론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 전선 매설용 주름관을 이용해서 단자보호관을 형성함으로써, 단자보호관의 수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굴곡진 통신선로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현장 여건에 맞춰서 적정길이로 단자보호관을 절단하여 케이블 압착캡, 케이블 견인캡과 결합시켜 견인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사용이 편리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보호관의 교체를 통해 견인장치의 길이를 무한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인로프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 견인로프의 견인력 없이도 견인장치를 밀어서 통신선로의 연결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10)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11)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13)에 신호접속 단자(15)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10)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100)이다.
이와 같은 통신케이블 견인장치(100)는 견인과정에서 신호접속 단자(15) 및 개별회선(13)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대해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견인장치(100)는 크게 단자보호관(110), 역린가압부재(120), 케이블 압착캡(130), 케이블 견인캡(1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단자보호관(110)은 외면에 나선형 주름패턴(111)을 형성하고, 내부관로(113)에는 통신케이블(10)의 신호접속단자(15) 및 개별회선(13)이 수용되어 견인과정에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자보호관(110)은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전선 매설용 주름관을 이용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 매설용 주름관은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을 외부의 간섭이나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외면에 형성된 나선형 주름패턴으로 인한 구조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지중에 매설하여 토압을 견딜수 있고, 수분이 침투하여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선 매설용 주름관은 직진성은 물론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단자보호관(110)으로 사용할 경우, 수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굴곡진 통신선로에서도 사용이 편리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현장 여건에 맞춰서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단자보호관(110)을 형성하고, 양측단부에 케이블 압착캡(130), 케이블 견인캡(140)을 결합시켜 견인장치를 완성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사용이 편리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보호관(110)의 교체를 통해 견인장치의 길이를 무한으로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견인로프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 견인로프의 견인력 없이도 견인장치를 밀어서 통신선로의 연결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역린가압부재(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역린가압부재(120)는 단자보호관(110)의 일측 단부에서 통신케이블(10)의 외피(11)가 가압링(121)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가압링(121)의 전방을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된 역린날개(123)들이 형성되어 외피(11)의 표면을 가압하되 일방향으로만 슬립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슬립이 제한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역린가압부재(120)는 가압링(121) 중앙에 케이블 외피(11)가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홀(122)을 형성하고, 가압링(121) 외주연 둘레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역린날개(123)들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역린가압부재(12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고, 역린날개(123)들은 텐션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신 케이블(10)의 진입시에는 쉽게 벌어져서 케이블(10)이 진입되는 것을 안내함과 아울러 통신 케이블(10)의 외경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역린날개(123)들은 연장되는 전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콘 형상으로 제작하여 통신 케이블(10)을 견인하기 위한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역린날개(123) 끝단이 케이블 외피(11)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역린작용에 의해 케이블 외피(11)의 슬립이 제한되며, 인장력이 커질수록 반작용에 의해 역린날개의 가압력이 증가되어 통신 케이블(10)이 역린가압부재(120)를 역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린날개(123)의 끝단에 케이블 외피(11)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면에는 톱니형상의 역린돌기(124)를 더 형성함으로써, 견인과정에서의 압착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역린날개(123)의 접촉면 즉, 역린돌기(124)들이 상대적으로 연질인 통신 케이블(10)의 외피(11)를 파고들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블 압착캡(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 압착캡(130)은 상기 역린가압부재(120) 후방에서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111)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나선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역린가압부재(120)를 단자보호관(110) 측으로 가압시켜 외피(11)에 대한 압착력이 가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압착캡(130)은 원통형의 압착캡몸체(131)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캡몸체(131)의 내경에는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111)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면 나선홈(133)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캡몸체(131)의 후단에는 역린가압부재(120)의 가압링(121)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하고, 그 중심에 통신케이블(10)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137)이 형성되는 압착플랜지(135)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블 견인캡(1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 견인캡(140)은 케이블 압착캡(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견인고리(145)를 형성하여 로프 등을 걸어서 견인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견인캡(140)은 원통형의 견인캡몸체(141)를 형성하고, 상기 견인캡몸체(141)의 내경에는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111)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면 나선홈(143)을 형성하며, 상기 견인캡몸체(141)의 상면(142)에는 견인로프(20)를 결박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고리(14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견입캡의 상면(142)을 원뿔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에 신호접속 단자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를 통해서, 통신케이블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신호접속 단자 및 개별회선이 통신선로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보호된 상태로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견인과정에서의 개별회선이나 신호접속 단자의 단락이나 연신에 의한 통신선로의 신호불량이나 오작동 문제를 원초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통신케이블 11: 외피
13: 개별회선 15: 신호접속 단자
20: 견인로프
100: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110: 단자보호관
111: 나선형 주름패턴 113: 내부관로
120: 역린가압부재 121: 가압링
122: 케이블 관통홀 123: 역린날개
124: 역린돌기
130: 케이블 압착캡 131: 압착캡몸체
133: 내면 나선홈 135: 압착플랜지
137: 케이블 관통공 140: 케이블 견인캡
141: 견인캡몸체 142: 상면
143: 내면 나선홈 145: 견인고리

Claims (5)

  1. 통신케이블(10)의 선단부 일정구간의 외피(11)를 제거하고 드러난 개별 회선(13)에 신호접속 단자(15)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작업을 완료한 후에 완료된 통신케이블(10)의 선단을 결박하여 견인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견인장치(100)로서,
    외면에 나선형 주름패턴(111)을 형성하고, 내부관로(113)에는 통신케이블(10)의 신호접속단자(15) 및 개별회선(13)이 수용되어 견인과정에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단자보호관(110); 상기 단자보호관(110)의 일측 단부에서 통신케이블(10)의 외피(11)가 가압링(121)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가압링(121)의 전방을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된 역린날개(123)들이 형성되어 외피(11)의 표면을 가압하되 일방향으로만 슬립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슬립이 제한되도록 작용하는 역린가압부재(120); 상기 역린가압부재(120) 후방에서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111)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나선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역린가압부재(120)를 단자보호관(110) 측으로 가압시켜 외피(11)에 대한 압착력이 가중되도록 하는 케이블 압착캡(130); 및 상기 케이블 압착캡(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견인고리(145)를 형성하여 로프 등을 걸어서 견인되도록 하는 케이블 견인캡(140);을 포함하고,
    상기 역린가압부재(120)는 가압링(121) 중앙에 케이블 외피(11)가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홀(122)을 형성하고, 가압링(121) 외주연 둘레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역린날개(123)들을 형성하되, 상기 역린날개(123)들은 연장되는 전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콘 형상으로 제작하여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역린날개(123) 끝단이 케이블 외피(11)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역린작용에 의해 케이블 외피(11)의 슬립이 제한되도록 하되, 상기 역린날개(123)의 끝단에 케이블 외피(11)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면에는 톱니형상의 역린돌기(124)를 더 형성하며,
    상기 케이블 압착캡(130)은, 원통형의 압착캡몸체(131)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캡몸체(131)의 내경에는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111)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면 나선홈(133)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캡몸체(131)의 후단에는 역린가압부재(120)의 가압링(121)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하고, 그 중심에 통신케이블(10)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137)이 형성되는 압착플랜지(135)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견인캡(140)은 원통형의 견인캡몸체(141)를 형성하고, 상기 견인캡몸체(141)의 내경에는 단자보호관(110)의 나선형 주름패턴(111)과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면 나선홈(143)을 형성하며, 상기 견인캡몸체(141)의 상면(142)에는 견인로프(20)를 결박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고리(1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30109A 2020-10-08 2020-10-08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KR10227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09A KR102274367B1 (ko) 2020-10-08 2020-10-08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09A KR102274367B1 (ko) 2020-10-08 2020-10-08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367B1 true KR102274367B1 (ko) 2021-07-07

Family

ID=7686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109A KR102274367B1 (ko) 2020-10-08 2020-10-08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3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712A (zh) * 2021-12-23 2022-04-12 北京朝阳隆华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线径测验装置
WO2023112370A1 (ja) * 2021-12-14 2023-06-22 株式会社フジクラ 牽引端取付構造
CN116365424A (zh) * 2023-06-01 2023-06-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谷县供电公司 一种电网施工用电线穿线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540A (ja) * 1994-10-27 1996-05-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ケーブル端末具
JPH10227680A (ja) * 1997-02-05 1998-08-25 Endress & Hauser Gmbh & Co ケーブルプローブ
KR200332734Y1 (ko) * 2003-07-31 2003-11-10 신성전기주식회사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KR200438918Y1 (ko) 2007-11-15 2008-03-11 김홍희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
JP2011019300A (ja) * 2009-07-07 2011-01-27 Mano Kogyo Kk ケーブルの埋設方法
KR20140042056A (ko) * 2012-09-27 2014-04-07 (주)럭스콤 광 가입자단 모니터링용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170009063A (ko) * 2015-07-15 2017-01-25 조미희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540A (ja) * 1994-10-27 1996-05-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ケーブル端末具
JPH10227680A (ja) * 1997-02-05 1998-08-25 Endress & Hauser Gmbh & Co ケーブルプローブ
KR200332734Y1 (ko) * 2003-07-31 2003-11-10 신성전기주식회사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KR200438918Y1 (ko) 2007-11-15 2008-03-11 김홍희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
JP2011019300A (ja) * 2009-07-07 2011-01-27 Mano Kogyo Kk ケーブルの埋設方法
KR20140042056A (ko) * 2012-09-27 2014-04-07 (주)럭스콤 광 가입자단 모니터링용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170009063A (ko) * 2015-07-15 2017-01-25 조미희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2370A1 (ja) * 2021-12-14 2023-06-22 株式会社フジクラ 牽引端取付構造
CN114322712A (zh) * 2021-12-23 2022-04-12 北京朝阳隆华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线径测验装置
CN114322712B (zh) * 2021-12-23 2024-03-08 北京朝阳隆华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线径测验装置
CN116365424A (zh) * 2023-06-01 2023-06-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谷县供电公司 一种电网施工用电线穿线器
CN116365424B (zh) * 2023-06-01 2023-09-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谷县供电公司 一种电网施工用电线穿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367B1 (ko) 통신케이블 견인장치
KR200438918Y1 (ko)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
KR20010020331A (ko) 가요성 케이블 하니스의 제조 방법
CN220358689U (zh) 一种组合式导线牵引装置
CN215298904U (zh) 一种标准厂房用预制分支电缆
KR200380346Y1 (ko) 배선관용 전선견인구
CN104752847B (zh) 一种三芯交联电缆装置式牵引线夹工艺
CN217388191U (zh) 一种应用于投捞式机组的三芯钢丝电缆紧固马笼头
KR100383429B1 (ko) 케이블 다발 견인장치
CN217506987U (zh) 一种多芯型电缆
CN218918506U (zh) 一种具有易接线结构的新能源电缆
KR200194604Y1 (ko) 입선이 용이한 배선관
KR102389971B1 (ko) 장거리 전력관로에서 전력케이블을 풀링하는 방법
CN218300460U (zh) 一种便于拼接的新型抗拉电线
CN211405330U (zh) 一种预穿线保护管
JP3858130B2 (ja) 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及び端末キャップ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CN105297508A (zh) 更换双绞车石油钻机钢丝绳时柔性连接结构的制作方法
CN113824052A (zh) 暗敷电线管道引线穿设方法
JPH11227047A (ja) 可撓管牽引具及び牽引方法
JP3815714B2 (ja) 信号線敷設方法
CN116780459A (zh) 一种用于电缆安装的接头保护铜套
KR19990022083U (ko) 케이블보호관
JPS6330172Y2 (ko)
JP2002354622A (ja) ケーブル保護用パイプの引き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