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196B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196B1
KR102274196B1 KR1020190178223A KR20190178223A KR102274196B1 KR 102274196 B1 KR102274196 B1 KR 102274196B1 KR 1020190178223 A KR1020190178223 A KR 1020190178223A KR 20190178223 A KR20190178223 A KR 20190178223A KR 102274196 B1 KR102274196 B1 KR 10227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ide plate
horizontal
prefabricated furniture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잇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to KR102019017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식 가구가 개시된다. 상기 조립식 가구는, 한 쌍의 수직기둥들과 다른 한 쌍의 수직기둥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기둥이 결합되어 있는 측면지지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와이어형 몸체, 상기 측면지지대에 결합되는 판형의 측판 및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판형의 제 1 몸체, 상기 수평기둥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몸체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판형의 제 3 몸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측판결합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ed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가구에 간단하게 측판의 탈부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견고하게 측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구들, 예를 들어, 책상, 책장, 옷장, 장식장 등은 일정 형태로 디자인을 한 후 디자인된 형태로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정 모양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구들은 배송 및 이동이 어렵고, 구매 당시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책장을 구매하는 경우 책장의 칸 수는 제품별로 고정되어 있어 칸 수를 늘리거나 줄이고 하는 경우 종래의 제품을 버리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원인은 2012년 8월 30일 특허출원 제10-2012-0095517호(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686호, 출원인 회사의 대표이사 명의로 출원하였음)의 조립식 가구 세트를 출원하였으나, 조립부품이 너무 많고 다양하여 조립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립부품을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가구에 간단하게 측판의 탈부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견고하게 측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한 쌍의 수직기둥들과 다른 한 쌍의 수직기둥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기둥이 결합되어 있는 측면지지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와이어형 몸체, 상기 측면지지대에 결합되는 판형의 측판 및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판형의 제 1 몸체, 상기 수평기둥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몸체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판형의 제 3 몸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측판결합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몸체는 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빈 공간의 폭이 상기 수평기둥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1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몸체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양 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한 비율로 높아지도록 상기 제 3 몸체 중 상기 제 1 몸체와 대향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돌기가 형성된 부분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측판결합수단은, 상기 제 1 몸체의 두께, 상기 제 3 몸체의 두께 및 상기 수직기둥들 각각의 수평방향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측판결합수단은, 상기 수직기둥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수평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는, 판형의 몸체를 가지고, 상기 수평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선반지지대들 및 좌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지지대의 수평기둥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지지대의 몸체 및 우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지지대의 수평기둥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지지대의 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수직기둥과 수평기둥들이 결합된 와이어형 몸체에 측판을 결합함에 있어 측판을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한 경우 쉽게 상기 와이어형 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제 1 몸체, 제 2 몸체 및 제 3 몸체를 가지는 측판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측판을 와이어형 몸체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측판을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판결합수단 중 제 3 몸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형태의 수평기둥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뿐 아니라 원하지 않게 측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형 몸체에 전달되는 하중을 수평기둥을 통하여 복수의 수직기둥들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의 측판들을 체결하는 경우에도 와이어형 몸체가 견고하지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판결합수단은 상기 제 1 몸체의 두께 및 상기 제 3 몸체의 두께가 상기 수직기둥의 수평방향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측면지지대의 수평기둥을 중심으로 양 측면에 측판을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고 원하는 경우 하나의 측판에 힌지 등을 결합하여 도어 등을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가구 중 측판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측판이 결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측판결합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4의 측판결합수단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조립식 가구 중 선반지지대를 이용하여 선반이 결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가구(100) 중 측판결합수단(150)을 이용하여 측판(120)이 결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측판결합수단(1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은 도 4의 측판결합수단(15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조립식 가구(100) 중 선반지지대(180)를 이용하여 선반(170)이 결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립식 가구(100)는 와이어형 몸체, 측판(120) 및 복수의 측판결합수단(15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형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지지대(110)는 한 쌍의 수직기둥들(111, 112)과 다른 한 쌍의 수직기둥들(113, 11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기둥(115)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한 쌍의 수직기둥들(111, 112) 사이에 수평기둥(115)이 결합되고, 한 쌍의 수직기둥들(111, 112)과 반대편의 한 쌍의 수직기둥들(113, 11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기둥(115)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기둥들(111, 112 또는 113, 114) 사이에 수평기둥(115)이 결합됨에 있어서는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른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수직기둥(111, 112, 113, 114) 및 수평기둥(115)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수직기둥(111, 112, 113, 114) 및 수평기둥(115)이 반드시 원기둥 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등 다른 형상의 기둥일 수도 있다. 도 1의 경우 상기 와이어형 몸체가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의 측면지지대(11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과 우측 중 하나만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들과 상기 수평기둥이 결합된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 하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와이어형 몸체의 전면 또는 후면이 한 쌍의 수직기둥들(111, 112)과 다른 한 쌍의 수직기둥들(113, 11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기둥(115)이 결합된 형상을 가지는 측면지지대(110)일 수도 있다.
측면지지대(110)에는 측판(120)이 결합될 수 있다. 측판(120)은 판형이며 가림판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좌측 및 우측에 있는 측면지지대(110)에 측판(120)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지지대(110)가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측판(120)은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측면지지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측판결합수단(150)은 제 1 몸체(410), 제 2 몸체(420) 및 제 3 몸체(430)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몸체(410)는 측판(12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몸체(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예를 들어, 피스, 볼트 등)이 측판(120)에 결합되어 측판(120)과 측판결합수단(15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2 몸체(420)는 수평기둥(115)을 감싸면서 수평기둥(115)이 삽입되도록 제 1 몸체(410)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몸체(420)의 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빈 공간의 폭이 수평기둥(115)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기둥(115)이 원기둥인 경우 제 2 몸체(420)의 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곡률은 상기 원기둥(수평기둥(115))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즉, 고리 형상의 제 2 몸체(420)의 빈 공간의 폭이 수평기둥(115)의 폭과 동일하므로 고리 형상의 제 2 몸체(420)가 수평기둥(115)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몸체(420)의 끝단에 연장되어 제 3 몸체(4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몸체(420)는 제 1 몸체(410)와 제 3 몸체(4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몸체(420)가 구부러진 만큼 제 1 몸체(410)와 제 3 몸체(430)는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3 몸체(430)는 제 1 몸체(410)와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제 1 몸체(41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는 제 1 몸체(410)와 제 3 몸체(430)가 평행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측판결합수단(150)이 수평기둥(115)에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제 3 몸체(430)가 제 1 몸체(410)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 3 몸체(430)는 제 1 몸체(410)와 대향하는 면에 제 1 몸체(41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43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돌기(435)가 형성됨으로써 측판결합수단(150)이 수평기둥(115)에 결합되는 경우 강한 힘으로 수평기둥(115)에 측판결합수단(150)을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 있고, 수평기둥(115)이 측판결합수단(150)의 제 2 몸체(420)에 결합된 경우 돌기(435)로 인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몸체(42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돌기(435)는 돌기(435)의 양 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한 비율로 높아지도록 제 3 몸체(430) 중 제 1 몸체(410)와 대향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돌기(435)는 제 3 몸체(430)의 면에서 돌출됨에 있어 중앙으로 갈수록 서서히 높아지다가 중앙에서 다시 측면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정도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힘을 가하여 측판결합수단(150)을 수평기둥(115)에 결합시킬 수 있고, 다시 동일한 수준의 힘을 가하여 측판결합수단(150)을 수평기둥(11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몸체(420)는 돌기(435)가 형성된 부분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43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437 부분과 같이 경사진 면을 가짐으로써, 측판결합수단(150)에 수평기둥(115)이 끼워지는 첫 부분이 보다 넓게 형성되어 쉽게 수평기둥(115)이 측판결합수단(15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판결합수단(150)이 제 3 몸체(430)가 제 1 몸체(410)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437 부분의 경사진 면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수평기둥(115)이 측판결합수단(15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측판결합수단(150)은 제 1 몸체(410)의 두께, 제 3 몸체(430)의 두께 및 상기 수직기둥들(111, 112, 113, 114) 각각의 수평방향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수직기둥들(111, 112, 113, 114)은 모두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수직기둥들(111, 112, 113, 114)의 수평방향의 두께와 제 1 몸체(410)의 두께와 제 3 몸체(430)의 두께도 동일할 수 있다. 수평기둥(115)은 한 쌍의 수직기둥들(111, 112 또는 113, 114) 사이에 결합되므로, 수평기둥(115)의 우측에 제 1 몸체(410)가 오도록 측판결합수단(150)이 결합되어 측면지지대(110)의 우측에 측판(120)이 결합되고 수평기둥(115)의 좌측에 제 1 몸체(410)가 오도록 측판결합수단(150)이 결합되어 측면지지대(110)의 좌측에 측판(12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410)의 두께, 제 3 몸체(430)의 두께 및 수직기둥들(111, 112, 113, 114) 각각의 수평방향의 두께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측면지지대(110)의 양 측면에 모두 측판(120)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측판(120)과 수직기둥(111, 112, 113, 114)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판결합수단(150)은 수직기둥(111, 112, 113, 114)이 인접한 위치에서 수평기둥(11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측판결합수단(150)이 수평기둥(115) 상에서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기둥(111, 112)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고 다른 측판결합수단(150)이 수평기둥(115) 상에서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기둥(113, 114)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수평기둥(115)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할 수 있고 상기 힘을 수직기둥들(111, 112, 113, 114)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반지지대(180)는 선반(170)을 측면지지대(110)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반지지대(180)는 판형의 몸체(610)를 가지고, 몸체(610)의 일측에 삽입홈(6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홈(620)은 수평기둥(115)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몸체(610)의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몸체(610)의 하부 방향으로 삽입홈(620)에 수평기둥(115)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610)는 체결수단(예를 들어, 피스, 볼트 등)에 의하여 선반(17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지지대(180)의 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과 선반(170)에 형성된 홈 또는 관통홀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선반지지대(180)와 선반(17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좌측에 위치한 측면지지대(110)의 수평기둥(115)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지지대(180)의 몸체와 선반(170)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우측에 위치한 측면지지대(110)의 수평기둥(115)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지지대(180)의 몸체와 선반(170)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됨으로써 선반(170)의 좌측과 우측에서 측면지지대(110)와 선반(17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선반(170)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 외부테두리와 상기 외부테두리에 목재,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된 내부몸체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실시예는 조립식 가구(100)의 양 측면의 바깥쪽에 측판(120)이 측판결합수단(150)에 의하여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는 조립식 가구(100)의 양 측면의 안쪽에 측판(120)이 측판결합수단(150)에 의하여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의 실시예는 조립식 가구(100)의 양 측면의 바깥쪽과 안쪽에 모두 측판(120)이 측판결합수단(150)에 의하여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측판(120)의 측면지지대(110)의 안쪽, 바깥쪽 또는 양쪽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식 가구(100)에 서랍을 결합하고 싶은 경우, 측면지지대(110)의 안쪽에 측판(120)을 결합한 후 측판(120)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에 서랍을 끼움으로써 서랍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조립식 가구(100)의 정면에 도어를 결합하고 싶은 경우, 측면지지대(110)의 안쪽에 측판(120)을 결합한 후 측판(120)에 힌지를 설치하고 힌지에 도어를 결합함으로써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지지대(110)의 안쪽에만 측판(120)을 설치하는 경우 조립식 가구(100)의 측면에서 측판결합수단(150)이 보여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도 8과 같이 측면지지대(110)의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측판(120)을 결합하여 미관을 개선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측판결합수단(150)의 제 1 몸체(410)의 두께, 제 3 몸체(430)의 두께 및 수직기둥들(111, 112, 113, 114) 각각의 수평방향의 두께가 동일하므로 도 8과 같이 측면지지대(110)의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측판(120)을 결합하여도 빈 공간이 생기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완벽하게 측면 공간을 막아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한 쌍의 수직기둥들과 다른 한 쌍의 수직기둥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기둥이 결합되어 있는 측면지지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와이어형 몸체;
    상기 측면지지대에 결합되는 판형의 측판; 및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판형의 제 1 몸체, 상기 수평기둥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몸체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판형의 제 3 몸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측판결합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몸체는,
    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빈 공간의 폭이 상기 수평기둥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1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몸체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양 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한 비율로 높아지도록 상기 제 3 몸체 중 상기 제 1 몸체와 대향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돌기가 형성된 부분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결합수단은,
    상기 제 1 몸체의 두께, 상기 제 3 몸체의 두께 및 상기 수직기둥들 각각의 수평방향의 두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결합수단은,
    상기 수직기둥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수평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구는,
    판형의 몸체를 가지고, 상기 수평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선반지지대들; 및
    좌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지지대의 수평기둥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지지대의 몸체 및 우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지지대의 수평기둥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지지대의 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190178223A 2019-12-30 2019-12-30 조립식 가구 KR10227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23A KR102274196B1 (ko) 2019-12-30 2019-12-30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23A KR102274196B1 (ko) 2019-12-30 2019-12-30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196B1 true KR102274196B1 (ko) 2021-07-08

Family

ID=7689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23A KR102274196B1 (ko) 2019-12-30 2019-12-30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1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11Y1 (ko) *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KR200203656Y1 (ko) * 2000-06-29 2000-11-15 공간찬넬주식회사 물품 진열용 조립식 선반
JP2000325155A (ja) * 1999-05-20 2000-11-28 Om Kiki Kk 棚ユニット
JP2004332771A (ja) * 2003-04-30 2004-11-25 Iris Ohyama Inc 部材間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用いたラック
JP3215542U (ja) * 2018-01-16 2018-03-29 聯毅企業股▲分▼有限公司 組み合わせ式棚体及びその棚板結合フック
JP2018149059A (ja) * 2017-03-13 2018-09-27 榎本金属株式会社 棚板取付具およびそれを用いることにより取付けられた棚
JP2019136161A (ja) * 2018-02-07 2019-08-22 株式会社デイエムウッドラボ 壁面ラック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155A (ja) * 1999-05-20 2000-11-28 Om Kiki Kk 棚ユニット
KR200191011Y1 (ko) *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KR200203656Y1 (ko) * 2000-06-29 2000-11-15 공간찬넬주식회사 물품 진열용 조립식 선반
JP2004332771A (ja) * 2003-04-30 2004-11-25 Iris Ohyama Inc 部材間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用いたラック
JP2018149059A (ja) * 2017-03-13 2018-09-27 榎本金属株式会社 棚板取付具およびそれを用いることにより取付けられた棚
JP3215542U (ja) * 2018-01-16 2018-03-29 聯毅企業股▲分▼有限公司 組み合わせ式棚体及びその棚板結合フック
JP2019136161A (ja) * 2018-02-07 2019-08-22 株式会社デイエムウッドラボ 壁面ラックの施工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906B1 (en) Shelving structure
RU2700822C2 (ru) Шкаф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US20120298607A1 (en) Sectional rack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US4645276A (en) Angle iron for supporting plates, panels or other objects and cabinet formed using angle irons of this type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US10842263B1 (en) Combinative shelving unit
KR102274196B1 (ko) 조립식 가구
KR101712494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FI85095B (fi) Hylla.
US2700476A (en) Upright standard for shelving assemblies
US10687621B2 (en) Spacer assembly
KR101318967B1 (ko) 조립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KR102353523B1 (ko) 가구용 수납 바구니
US10045620B2 (en)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US20070108878A1 (en) Sectional cabinet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KR20210015285A (ko) 시스템 선반
KR101929319B1 (ko) 커넥터 모듈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CA3092700C (en) Combinative shelving unit
JP2021101889A (ja) 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