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161B1 -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161B1
KR102273161B1 KR1020190072743A KR20190072743A KR102273161B1 KR 102273161 B1 KR102273161 B1 KR 102273161B1 KR 1020190072743 A KR1020190072743 A KR 1020190072743A KR 20190072743 A KR20190072743 A KR 20190072743A KR 102273161 B1 KR102273161 B1 KR 10227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chine system
moving machine
information
mix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732A (ko
Inventor
오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킹
Priority to KR102019007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1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은,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대상 지역에 연관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몰입형 표시부;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실제로 산에 가거나 관광 명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무빙 머신 시스템의 몰입형 표시부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통하여 등산 트래킹(tracking)이나 관광 등의 활동을 원격으로 실감 있게 향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MOVING MACHINE SYSTEM USING MIXED REALITY APPLIED WITH REGENERATION OF TOURIST INFORMATION,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실시예들은 관광정보의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등산 트래킹(tracking)이나 관광 등의 활동을 MR 기능과 몰입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smartphone) 및 정보통신기술 등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관련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혼합현실이란 현실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사이에 존재하는 방식들을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서, 현실의 어떤 장면을 볼 때 실제로 장면 속에 존재하지 않으나 관련된 이미지나 정보가 덧붙여 보이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되 거기에 현실적 요소가 추가되어 상호작용이 가능한 증강가상현실(Augmented Virtuality; AV) 등을 통칭한다.
혼합현실은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통합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강화한 특성을 갖지만, 현재까지 혼합현실 기능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 최신 기술에 익숙한 사용자 계층이나 기술 종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혼합현실을 실생활에 활용하도록 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장비는 아직까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외부에서의 신체 활동이 항시 부족할 수 밖에 없는 현대인의 생활 패턴으로 인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체육관이나 가정에서 트레드밀(treadmill)과 같은 운동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운동 장치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할 경우,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복합적인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상 공간 운동 지원 장치"의 제목을 가지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5392호는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의 공간을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가상 공간 내에서 운동하는 체험을 제공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539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가상의 공간을 제시하는 것일 뿐, 실제의 공간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강화되는 혼합현실 기술의 이점은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5392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등산 트래킹(tracking)이나 관광 등의 활동을 몰입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관광정보의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은,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대상 지역에 연관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몰입형 표시부;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형 정보는 대상 지역의 각 지점의 경사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도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무작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또는 경사에 시간에 따른 편차를 발생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난수 또는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무작위 값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는 대상 지역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상응하며 하나 이상의 상품이 표시되는 상점 컨텐츠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컨텐츠에 상응하는 매장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매장 서버에 상기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도록 구성된 구매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형 정보는,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 정보와, 대상 지역의 지표면에 대한 경사도 및 거칠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형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관광정보를 재현할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를 무빙 머신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판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대상 지역에 연관된 혼합현실 컨텐츠를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설정된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형 정보는 대상 지역의 각 지점의 경사도를 포함하며, 상기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경사도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무작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또는 경사에 시간에 따른 편차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난수 또는 퍼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무작위 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컨텐츠에 상응하는 매장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매장 서버에 상기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상기 지형 정보를 무빙 머신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전에,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형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실제로 산에 가거나 관광 명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무빙 머신 시스템의 몰입형 표시부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통하여 등산 트래킹(tracking)이나 관광 등의 활동을 원격으로 향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획득된 지리 정보를 정보를 기반으로 바닥의 굴곡을 역동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산이나 여행지를 걷고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실감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에 의하면, 산이나 여행지에 위치하는 상점, 식당 등을 혼합현실에 기반하여 구현하여 사용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원격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혼합현실 내에서 실제 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의 장치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의 몰입형 표시부 상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무빙 머신(moving machine)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가 무빙 머신 시스템(3) 위에서 걷거나 뛰는 등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예컨대, 트레드밀(treadmill)(또는, 소위 러닝 머닝)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를 지지하는 발판이 포함된 지지부(32)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센서부(34)와, 이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37)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3)은 혼합현실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와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몰입형 표시부(3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측정 장치(1), 사용자 장치(2) 또는 외부 서버(4, 5)와 통신하며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무빙 머신 시스템(3)과 측정 장치(1), 사용자 장치(2) 또는 외부 서버(4, 5) 사이의 통신 과정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장치 및 서버 등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측정 장치(1), 사용자 장치(2), 외부 서버(4, 5) 및 무빙 머신 시스템(3) 각각과, 이들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 장치(2)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장치(2)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장치(2)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다른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빙 머신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0)에는, 무빙 머신 시스템(3)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체험할 수 있는 대상 지역에 연관된 지형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지형 정보는, 몰입형 표시부(33)를 통해 혼합현실 컨텐츠의 형태로 표현되어 대상 지역의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 정보와, 대상 지역의 지표면에 대한 경사도 및/또는 거칠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 정보란 촬영자가 대상 지역 내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360도 전방위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형 정보와 함께 대상 지역에 촬영된 소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30)에 더 저장될 수도 있다.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되는 혼합현실 컨텐츠에 연관된 지형 정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측정 장치(1)로부터 지형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자는 360도 카메라, 녹음 장비, 및 지표면의 경사도와 거칠기의 측정을 위한 가속도 센서 등의 측정 장치(1)를 장비한 채 대상 지역 내를 이동하면서 원격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공간에 관련된 영상, 소리 및/또는 지표면에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하고 이를 수신부(3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 측정 장치(1)는 3개의 장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무빙 머신 시스템(3)과 연관하여 동작하는 측정 장치의 실제 개수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되는 혼합현실 컨텐츠에 연관된 지형 정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서버(4)로부터 수신부(31)에 수신될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서버(4)는 특정 지역의 지도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을 제공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예컨대, 정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의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측정 장치(1) 및 외부 서버(4)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결합 및/또는 가공하여 대상 지역의 원격 체험을 위한 혼합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지지부(32)는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받침판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받침판 위에 올라선 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지지부(32)의 받침판은 사용자가 힘을 주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2)는 구동 벨트의 회전에 의해 원주 상에서 이동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트레드밀의 구조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지지부(32) 상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부(34)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이란 무빙 머신 시스템(3) 상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혼합현실 컨텐츠 상의 이동으로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사용자의 실제 이동 방향이나 속도, 이동 거리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부(34)는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일체화되며, 지지부(32)의 받침판의 이동 거리를 누적한 값을 사용자의 이동 거리로 치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32)의 받침판에 장착된 압력 센서를 센서부(34)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몸에 소지할 수 있는 센서 장치가 센서부(34)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몰입형 표시부(33)는 지지부(32) 위에서 걷거나 뛰고 있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에 기초한 혼합현실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예를 들어, 몰입형 표시부(33)는 지지부(32)의 주변을 180도, 360도 또는 다른 임의의 범위로 둘러싸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몰입형 표시부(33)는 평면 또는 다른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몰입형 표시부(33)에 의한 컨텐츠의 시각적 표시와 병행하여 소리를 사용자에게 재생하기 위한 소리 출력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출력부(35)를 통해 재생되는 소리는 대상 지역에서 촬영된 실제 소리일 수도 있고, 또는 바람 소리, 새 소리, 물 소리, 자동차 소리 등 사전에 설정된 소리일 수도 있다. 소리 출력부(35)는 통상의 텔레비전과 같이 몰입형 표시부(33)와 일체화된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7)는, 몰입형 표시부(33)에 의하여 혼합현실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상태에서, 센서부(34)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7)는, 설정된 사용자 위치에 따라 지형 정보를 기초로 지지부(32)의 받침판의 이동 속도 및/또는 경사를 동적으로 제어한다.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되는 혼합현실 컨텐츠는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움직임을 통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지역이 어느 산의 등산로라고 하면, 사용자가 받침판 상에서 앞으로 걷거나 뛰면 혼합현실 컨텐츠에 표시되는 지역도 이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지형 정보는 지표면의 경사도 및/또는 거칠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부(37)에서는 등산로를 실감 있게 재현하기 위하여 지형 정보를 토대로 지지부(32)의 받침판의 속도나 경사 등을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경사도란 지표면이 수평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고, 거칠기란 지표면의 경사도가 가지는 편차의 정도를 의미한다. 하나의 등산로 내에서도 구간 별로 지표면의 경사나 상태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7)는 사용자의 위치를 대상 지역에 가상으로 투영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에 따라 받침판의 속도 및/또는 경사를 제어함으로서 해당 지역의 지표면을 무빙 머신 시스템(3)상에 실감 있게 재현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7)는 지형에 따른 경사값을 받침판의 경사도에 반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받침판에 굴곡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굴곡이란 경사도에 시간에 따른 편차를 발생시켜 거친 표면을 자연스럽게 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어부(37)는 실제 측정된 해당 지역의 경사도에 소정의 편차를 가감하여 생성된 무작위 값을 이용하여 받침판의 이동 속도 및/또는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가감되는 편차는 시간에 따라 일정 주기로 변화될 수 있으며, 고정되지 않은 값으로서 난수 또는 퍼지 함수(fuzzy fuction)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형 정보가 지표면의 거칠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경사도에 가감될 편차는 상기 거칠기를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형 정보로서 등산로의 특정 구간의 평균 경사도가 3도이고 구간 내 거칠기에 해당하는 경사도의 표준 편차가 0.3도라는 정보가 측정 장치(1)로부터 수신부(31)에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는 3도를 경사도 값으로 하되 거칠기에 해당하는 0.3 또는 이의 배수(예컨대, 3배)의 범위 내에서 난수 또는 퍼지 함수로 생성된 편차 값을 일정 주기로 변화시키면서 경사도 3도에 가감하여 받침판의 굴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36)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36)는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는, 입력부(36)는 블투투스 등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사용자 장치(2)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장치(2) 와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입력부(36)를 통하여 자신의 나이, 신장, 성별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때 제어부(37)는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지지부(32)의 받침판의 이동 속도, 보폭, 높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되는 혼합현실 컨텐츠는 사용자가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점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점 컨텐츠는 관광지의 특산품이나 식품 등 하나 이상의 상품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대상 지역의 특정 위치(예컨대, 좌표)에 상응하여 표시되도록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 포함된다. 상점 컨텐츠는 등산로나 관광지 등 대상 지역에 실제로 존재하는 상점에 대응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전적으로 가상으로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점 컨텐츠는 등산로나 관광지의 실제 광시야각 영상 위에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컨텐츠일 수도 있다.
제어부(37)는,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 투영한 사용자의 위치가 사전에 설정된 상점 위치에 해당할 경우, 몰입형 표시부(33)를 통하여 상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등산로를 트래킹하거나 관광지를 여행하는 것을 원격으로 체험하는 도중 매점이나 식당과 같은 상점 컨텐츠가 나타나면, 상점 컨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상점에 입장하여 진열된 물건이나 먹거리 등 상품을 구경할 수 있다. 따라서, 관광지의 지역 특산품 등의 상품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광고하는 효과를 무빙 머신 시스템(3)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품에 대한 구매에 필요한 정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매 처리부(38)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가상의 상점을 구경하던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희망할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입력부(36)에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2)에 입력한 후 사용자 장치(2)와 입력부(36)의 통신을 통해 무빙 머신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처리부(38)는, 사용자의 구매 요청을 해당 상점 컨텐츠에 대응되는 매장 서버(5)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서 둘러본 상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매장 서버(5)는 등산로나 관광지에 위치하는 실제 매장에서 운영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상점 컨텐츠 운영만을 위해 마련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의 장치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2a는 무빙 머신 시스템을 뒤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의 무빙 머신 시스템의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은 받침판(320) 및 레일(321)을 포함하는 지지부(32)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이나 버튼 형태의 입력부(36) 등이 구비된 본체(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32)는 레일(321)에 연결된 구동 벨트 형태의 지지판(320)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지지판(320) 위에서 걷거나 뛰더라도 지지판(320)이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실제 위치 이동이 없이 제자리에서 걷거나 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지지부(32)의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지부(32)는 계단형 스텝을 갖거나 양발에 각각 대응되는 두 개의 받침판이 각각 별도의 암(arm)에 장착되어 움직이는 형태를 갖는 등 경사각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무빙 머신 시스템의 몰입형 표시부(33)는, 지지부(32)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배치되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혼합현실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지의 등산로나 관광지에 실제로 방문한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몰입형 표시부(33)의 크기나 배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몰입형 표시부(33)는 지지부(32)를 전 방향에서 둘러싸는 360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무빙 머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지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의 움직임과 지형 정보에 따라 혼합현실 컨텐츠 및 지지부(32)의 받침판(320)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본체(30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본체(30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와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지지부(32)의 받침판(320)이 수평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θ)를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무빙 머신 시스템의 본체(300) 내에는 제어부에 의해 지지되며 받침판(320)의 일 부분(예컨대, 사용자 진행 방향의 전단부)만을 들어올릴 수 있는 유압 펌프나 실린더(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지형 정보의 경사도를 기초로 받침판의 각도(θ)를 조절하되 시간에 따라 상기 각도(θ)에 소정의 편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굴곡이 있는 실제 지표면을 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의 몰입형 표시부 상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200)가 무빙 머신 시스템의 지지부(32) 위에서 걷거나 달리는 동안 몰입형 표시부(33)에는 혼합현실 컨텐츠가 표시된다. 혼합현실 컨텐츠란 예컨대 등산로나 관광지 등 대상 지역의 영상을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되기 위한 광시야각 영상으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이때, 무빙 머신 시스템의 제어부(37; 도 1)는 지지부(32) 위에서 사용자가 걷거나 달린 거리를 혼합현실 컨텐츠 상에 투영하여 가상 공간 내의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고, 지형 정보의 해당 위치의 지표면 경사나 거칠기 등을 기반으로 지지부(32)의 받침판(320)의 이동 속도 및/또는 경사를 제어함으로써 실감 있는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은 대상 지역에서 녹음되었거나 또는 대상 지역에 대해 설정된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소리 출력부(35)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혼합현실 컨텐츠 상에 투영된 사용자 위치에 따라 받침판(320)의 속도 및/또는 경사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센서부(34; 도 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되는 혼합현실 컨텐츠를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200)가 빠른 속도로 걷거나 달리는 경우 혼합현실 컨텐츠 역시 빠르게 전진하도록 하고, 사용자(200)가 느린 속도로 걷는 경우에는 혼합현실 컨텐츠 역시 천천히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무빙 머신 시스템(3)의 운영자 외에 하나 이상의 전문 촬영자, 여행자, 등산객, 관광지의 현지인 등 외부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지형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외부 사용자들은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등산로나 국내외의 여행지 등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지형 정보를 무빙 머신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지형 정보는,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대상 지역의 지표면의 경사도 및/또는 거칠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측정 장치(1)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해당 지역의 위치 정보(예컨대, GPS 좌표)와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정 장치(1)는 지형 정보의 측정만이 아니라 측정 위치의 위치 정보 파악을 위한 GPS 기능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측정 장치(1)로부터 지형 정보 외에 대상 지역에서 직접 녹음된 수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의 측정 장치(1)로부터 지형 정보 등을 수신하게 되면, 무빙 머신 시스템(3)의 운영자가 단독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의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고 지역적 제한 없이 전세계의 지형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지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지형 정보를 이를 제공한 사용자와 매칭시켜 저장하되, 지형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대하여 무빙 머신 시스템(3)이 제공하는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서 사용 가능한 소정의 보상(예컨대, 코인, 포인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는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의 공급자인 동시에, 해당 정보 공급에 대한 보상을 지급받고, 지급된 부상은 자신이 소비자가 되어 무빙 머신 시스템(3)이 제공하는 원격지에 대한 가상의 체험을 이용할 때 상품의 구매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무빙 머신 시스템(3)은, 무빙 머신 시스템(3)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대한 체험을 희망하는 사용자(200)가 있을 경우 지형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혼합현실 컨텐츠를 몰입형 표시부(33)상에 표시한다(S3). 동시에, 무빙 머신 시스템(3)의 지지부(32)는 사용자(200)가 받침판(320) 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받침판(320) 위에서 걷거나 달리는 사용자(200)의 움직임을 측정한다(S4). 이상의 측정 과정은 받침판(320)에 구비된 압력 센서나 무빙 머신 시스템(32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레일(321)에 결합된 구동 벨트 형태로 결합된 받침판(320)을 밟고 이동하는 경우 받침판(320)의 길이와 회전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200)는 받침판(320) 위에서 제자리 걸음이나 제자리 달리기를 하는 것이지만, 사용자(200)의 발 아래에서 이동하는 받침판(320)의 이동 거리를 사용자가 가상으로 이동한 거리로 보아 이를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의 이동 거리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는 대신 사용자 장치(2)와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200)가 쉽게 소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나, 사용자(200)의 신체에 장착되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일 수 있다.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2)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2)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이 측정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혼합현실 콘텐츠에 반영할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위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를 지형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위치의 지형 정보에 따라 지지부(32)의 받침판(320)에 굴곡을 생성할 수 있다(S5). 이때 굴곡을 생성한다는 것은, 지형 정보의 해당 지점의 경사도에 따라 받침판(320)의 각도를 제어하는 동시에, 경사도에 소정의 난수나 퍼지 함수에 의해 산출된 값을 가감하고, 또한 가감될 값을 일정한 시간 주기로 변화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그 결과, 받침판(320)의 속도 및/또는 경사도는 지형 정보의 경사도를 기준으로 하되 해당 경사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값으로 시시각각 변화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지형을 걷고 있는 듯한 실감 있는 체험이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혼합현실 컨텐츠에 투영된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상점 컨텐츠(380)를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한다(S6). 상점 컨텐츠(380)는 사용자가 이에 입장하거나 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상품을 둘러보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등산로나 관광지에 위치하는 실제 매장에 대응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가상으로 생성되어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서 광시야각 영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일 수도 있다.
상점 컨텐츠를 둘러본 사용자(200)는, 무빙 머신 시스템(3)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무빙 머신 시스템(3)과 통신함으로써, 둘러본 상품 중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무빙 머신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7).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200)가 상점 컨텐츠에 도달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부(36; 도 1)에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부의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구매할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200)가 상점 컨텐츠에 도달할 경우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페이지나 상품 소개 페이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매 페이지나 상품 소개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무빙 머신 시스템(3)으로부터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등의 형태로 사용자 장치(2)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200)가 상품 구매를 요청할 경우, 무빙 머신 시스템(3)에서는 사용자(200)의 상품 구매 요청을 상점 컨텐츠에 상응하는 매장 서버(5)에 전송함으로써 전자상거래를 통한 상품의 구매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S8). 일 실시예에서,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로부터 카드 정보나 계좌 이체 정보 등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의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무빙 머신 시스템(3)에서는 상품 구매에 필요한 정보만을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하고, 결제 과정은 사용자 장치(2)상에서 사용자(200)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무빙 머신 시스템(3)은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상품 가격을 결제할 수 있는 코드(예컨대,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를 몰입형 표시부(33)상에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몰입형 표시부(33)에 표시된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2)상에서 사용자의 인증 정보(카드 또는 계좌 번호, 비밀번호, 공인인증서)나 생체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슨템의 구현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으로서,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외부 서버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측정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지형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사용자의 나이, 신장 및 성별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대상 지역에 연관되고,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 정보 및 대상 지역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상응하며 대상 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상품이 표시되는 상점 컨텐츠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몰입형 표시부;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보폭 및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 위에서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상에 투영함으로써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부에서 사용자의 진행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받침판의 일 부분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받침판의 경사를 동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몰입형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의 전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형 정보는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하여 획득된 대상 지역의 각 지점의 경사도 및 지표면의 거칠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거칠기 정보는 대상 지역 내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경사도의 표준 편차로 정의되고,
    상기 제어부는, 난수 또는 퍼지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된 무작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경사에 시간에 따른 편차를 발생시키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무작위 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의 평균 경사도에 상기 경사도의 표준 편차의 미리 설정된 배수를 가감한 범위 내의 값이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컨텐츠에 상응하는 매장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매장 서버에 상기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도록 구성된 구매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형 정보를 상기 지형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와 매칭시켜 저장하며, 상기 지형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서 사용 가능한 미리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무빙 머신 시스템이 외부 서버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측정 장치로부터 각각 관광정보를 재현할 대상 지역의 지형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지형 정보를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나이, 신장 및 성별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받침판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받침판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대상 지역에 연관되고, 대상 지역의 광시야각 영상 정보 및 대상 지역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상응하며 대상 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상품이 표시되는 상점 컨텐츠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컨텐츠를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 위에서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상에 투영함으로써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의 사용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에 입력된 상기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받침판의 이동 속도, 보폭 및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설정된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진행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받침판의 일 부분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받침판의 경사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에 표시되는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의 전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형 정보는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하여 획득된 대상 지역의 각 지점의 경사도 및 지표면의 거칠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거칠기 정보는 대상 지역 내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경사도의 표준 편차로 정의되고,
    상기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난수 또는 퍼지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된 무작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경사에 시간에 따른 편차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작위 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의 평균 경사도에 상기 경사도의 표준 편차의 미리 설정된 배수를 가감한 범위 내의 값이고,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형 정보를 상기 지형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지형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혼합현실 컨텐츠 내에서 사용 가능한 미리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빙 머신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컨텐츠에 상응하는 매장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매장 서버에 상기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8항에 따른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72743A 2019-06-19 2019-06-19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43A KR102273161B1 (ko) 2019-06-19 2019-06-19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43A KR102273161B1 (ko) 2019-06-19 2019-06-19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32A KR20200144732A (ko) 2020-12-30
KR102273161B1 true KR102273161B1 (ko) 2021-07-05

Family

ID=7408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43A KR102273161B1 (ko) 2019-06-19 2019-06-19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503B1 (ko) 2023-05-12 2023-07-20 주식회사 엘엑스디 행사 및 공연 관련 ar 기반 몰입형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76B1 (ko) * 2021-01-19 2023-06-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를 위한 전방향 vr 운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392A (ko) 1999-06-30 2001-01-15 이영수 가상 공간 운동 지원 장치
KR20000049801A (ko) * 2000-05-01 2000-08-05 조문배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쇼핑몰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8682A (ko) * 2001-02-22 2002-08-28 이민규 3차원 가상 현실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업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1017664B1 (ko) * 2008-06-12 2011-02-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가상 현실 운동 시스템
KR101082387B1 (ko) * 2009-03-31 2011-11-10 강병욱 트레드밀을 이용한 가상 등산 시스템
KR101233861B1 (ko) * 2011-05-25 2013-02-15 임강준 가상주행 영상장치를 갖는 런닝머신 및 런닝머신의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503B1 (ko) 2023-05-12 2023-07-20 주식회사 엘엑스디 행사 및 공연 관련 ar 기반 몰입형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32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6281A1 (en) Generating collectible item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663503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761299A (zh) 使用便携式电子设备记录产生三维模型
KR101854402B1 (ko) Vr 시공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9962939B (zh) 位置推荐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CN104598504A (zh) 电子地图的信息显示控制方法和装置
KR102273161B1 (ko) 관광정보 재현이 적용된 혼합현실을 이용한 무빙 머신 시스템과 이의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9857177B1 (en) Personalized points of interest for mapping applications
US20140067624A1 (en) Accessing a shopping service through a game console
US202200665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ailored advertisements based on detected features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US11625743B2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to track user activity and redeem promotions
US20220253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ailored advertisements based on detected features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JP6025280B1 (ja) 3次元画像生成サーバ、電子カタログ表示装置、3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3次元画像表示方法および3次元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2304091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nteractions with visual content presented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Winkler et al. Navibeam: indoor assistance and navigation for shop-ping malls through projector phones
KR102443016B1 (ko) 증강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JPH11249779A (ja) 見学者案内支援装置および方法
US11282132B2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and utilisation of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US117982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geofencing-based content
JP2019532379A (ja) ロケーションベースのサービスのためのデバイス
US105999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 Schepper et al. A virtual reality-based multiplayer game using fine-grained localization
KR101806427B1 (ko)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1568616B1 (en)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location-based virtual content
JP7192749B2 (ja) 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