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239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239B1
KR102272239B1 KR1020197027094A KR20197027094A KR102272239B1 KR 102272239 B1 KR102272239 B1 KR 102272239B1 KR 1020197027094 A KR1020197027094 A KR 1020197027094A KR 20197027094 A KR20197027094 A KR 20197027094A KR 102272239 B1 KR102272239 B1 KR 10227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creen
user
schedul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082A (ko
Inventor
김한석
박진하
Original Assignee
김한석
나르고㈜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나르고㈜, 박진하 filed Critical 김한석
Publication of KR2019011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6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ing a service specific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7Autocues for dialog ass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상에서 구현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전화 통화를 연결하며, 상기 호 접속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통화대기 화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중 화면, 및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종료 화면을 출력하는 전화통화 모듈; 및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 복수의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을 제공하고,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대응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각각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으로 자동 복귀시키는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서 원 클릭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연계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모바일 단말의 기능이 확대되면서 단순히 전화 통화만을 위한 장치에서 진일보하여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iOS 등과 같은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 단말을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칭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사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출시 초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사용자가 모바일 마켓이나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로 입력하여야 한다. 통상 홈 화면이나 홈 화면에서 연계된 바탕화면 상에 실행 아이콘들을 배치하고, 아이콘을 원 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런데, 통화대기 화면이나 통화중 화면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자 할 때에는 통화 연결 화면에서 이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자녀를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을 당하거나, 인질범으로부터 전화를 받는 경우, 또는, 급박한 상황에 처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받는 경우, 통화중에 바로 자녀에게 확인을 하거나 위급 신고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대기 상태, 또는, 통화중 상태에서 신고 앱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통화대기 화면이나 통화중 화면에서 이탈하기 위해 홈 키를 입력하고, 홈 화면 또는 앱 상자를 실행시킨 후의 화면에서 신고 앱을 찾아 실행시키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범죄 상대방에게 들키는 것이 우려되어 포기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다른 예로서, 통화대기 화면이나 통화중 화면에서 통상 알려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과정도 매우 번거롭다. 예컨대, 통화대기 화면에서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CID: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를 통해 상대방 전화번호가 표시될 때, 상대방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갤러리 앱, 메신저 앱, 메모 앱 등을 실행시켜서 상대방의 사진, 상대방과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 상대방과 관련하여 기록한 메모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통화대기 화면에서 홈 키를 눌러 홈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앱 버튼을 입력하여 앱들이 나열된 화면으로 이동해야 한다. 대개의 경우 많은 단계의 키 입력을 거쳐 원하는 앱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확인이 끝난 후에 다시 통화대기 화면으로 복귀하여 전화를 수신해야 하는데, 통화대기 화면으로 복귀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입력으로 통화 수신이 거절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 다른 예로서,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이용할 경우 통화중인 상태에서 키패드를 통해 개인정보나 은행계좌번호 등을 입력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통화중 화면 상에는 가상 키패드를 활성화시키는 버튼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키패드를 활성화시켜 자동 응답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그런데, 개인정보나 은행계좌번호 등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주소록이나 메모 등에서 개인정보나 은행계좌번호 등을 검색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가상 키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홈 키를 입력하여 홈 화면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해야 하며, 검색이 끝나면 다시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하여 가상 키패드를 다시 실행시키는 등으로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비즈니스와 관련된 통화 중 미팅 일정을 확인하거나 새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통화중 화면에서 홈 키를 입력하여 이탈한 후에 일정관리 앱(예컨대, 캘린더와 함께 일정을 확인하고 입력하는 앱)을 실행시켜야 하며, 일정관리의 확인이나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전화 통화 앱을 실행시켜 통화중 화면으로 복귀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통화중인 상태에서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든다. 이로 인해, 통화가 종료된 후에 일정관리 앱을 실행시켜 일정관리를 확인하거나 새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은데, 통화중에 나눴던 대화 내용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여 미팅 일자를 잘못 입력하거나 미팅 일정과 관련된 중요 내용을 입력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0655호는 사용자가 통화 내용을 잊어버리기 전에 바로 일정관리를 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통화종료 후 일정관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통화종료 후 사용자로부터 일정관리 요청을 받으면 통화종료 화면에 일정관리 화면을 바로 연결하여 날짜 및 일정 내용을 입력받고 등록하는 일련의 과정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되므로, 여전히 통화했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여 일정을 잘못 입력하거나 중요 내용을 누락할 개연성이 존재한다. 나아가, 통화중에 상대방과 입력된 일정 및 중요 메모를 대조하여 확인(Cross Check)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 상에 원 클릭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킬 수 있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한 번의 입력으로 연계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은 물론 원래의 통화 관련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대기 화면이나 통화중 화면 상에서 원클릭으로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 상에서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보이스피싱을 알리거나 경찰, 소방서, 사이버안전국 등에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중인 상태에서도 상대방과의 통화를 유지하면서 미리 지정된 자녀의 휴대전화로 보이스피싱 사실을 확인하거나, 경찰에 범죄 현장을 즉시 신고하거나, 소방서에 위급 상황을 신고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유휴 공간에 광고 콘텐츠 및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에 매칭하는 명함을 검색하여 통화대기 화면 또는 통화중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상세 정보 및 발신자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등을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연계하여 통화 연결 상태의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통화와 관련된 일정을 캘린더의 연, 월, 일과 관련하여 즉시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특정 일정이나 메모를 통화 상대방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일정이나 메모를 크로스 체크(Cross Check) 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연락처나 인터넷 검색 등을 수행할 때,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 화면 상에서 원 클릭으로 수신음을 토글 방식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쉽고 빠른 음성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음성신호를 문자로 전환하여 입력 가능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전화 통화를 연결하며, 상기 호 접속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통화대기 화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중 화면, 및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종료 화면을 출력하는 전화통화 모듈; 및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 복수의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을 제공하고,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대응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각각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으로 자동 복귀시키는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 보이스피싱이나 긴급구조를 알리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대상자에게 보이스피싱 상태를 알리거나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는 보이스피싱 상태를 지정된 대상자에게 알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 항목인 보이스피싱 알림 선택 항목과,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항목인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이스피싱 알림 선택 항목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를 지정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자에게 보이스피싱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해당 대상자의 휴대전화에 호 연결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긴급구조 신고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고처에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신고처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통화대기 화면 상에 착신을 알리는 벨 소리 또는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하기 위한 무음전환 선택부를 화면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음전환 선택부가 입력되면 착신 벨 또는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하는 무음전환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무음전환 선택부는 상기 통화대기 화면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입력 형태로 화면 출력되며, 상기 무음전환 선택부가 슬라이드 입력될 때 상기 무음전환 선택부가 사라지고 해당 위치에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이 화면 출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메인 메뉴 상태에서 상기 통화대기 화면, 상기 통화중 화면, 및 상기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이 입력되면 상기 광고 콘텐츠에 연계된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로의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연계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광고 연계 모듈은, 상기 통화대기 화면 및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는 푸시형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자동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통화종료 화면 상에는 상기 통화대기 화면 및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표시되었던 광고 콘텐츠들을 수동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전화통화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통화 종료가 선택된 이후에 상기 통화종료 화면 상에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통화종료 화면을 종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광고 연계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이 입력되면 다른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상태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명함 검색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명함 검색 아이콘이 입력되는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명함을 추출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은 상기 명함이 표시되는 명함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은 상기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월력이 표시되는 캘린더 표시부와, 날짜 및 해당 날짜의 일정 제목을 표시하는 날짜 표시부와, 새로운 일정을 추가하여 기록할 수 있는 일정 추가 선택 버튼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일정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일정관리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날짜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경우, 해당 날짜의 일정들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일정 표시창을 제공하며, 상기 일정 표시창 상에서 개별 일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터치 입력 가능한 개별 일정 선택항목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별 일정 선택항목이 입력되면 해당 일정을 상세하게 표시하는 상세 일정 표시창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일정관리 모듈은 상기 상세 일정 표시창 일측에 일정 공유항목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정 공유항목이 입력되면 당해 일정의 공유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공유 수단 선택창을 제공하며, 상기 일정 공유 수단 선택창에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웹하드, 및 SNS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일정 공유 수단 선택항목이 표시되며, 상기 일정 공유 수단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항목이 입력되면 선택된 공유 수단을 통해 상기 상세 일정 표시창에 기록된 일정 정보를 전송하여 공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될 때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상시 메모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상시 메모 모듈은 상기 전화통화 모듈에 의해 상기 통화대기 화면, 상기 통화중 화면, 및 상기 통화종료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이 출력될 때, 상기 스마트폰 일측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의 인출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음성 검색 엔진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보유 포인트 및 사용 포인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포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이 입력되는 경우 수신음의 소거 및 복귀를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은, (a)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통화대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통화대기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통화 연결이 입력되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통화 종료가 입력되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종료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각각에서 복수의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을 제공하고,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대응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각각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으로 자동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은, 상기 통화대기 화면, 상기 통화중 화면, 및 상기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서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이 입력되면 상기 광고 콘텐츠에 연계된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로의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 상에 원 클릭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킬 수 있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한 번의 입력으로 연계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은 물론 원래의 통화 관련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대기 화면이나 통화중 화면 상에서 원클릭으로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 상에서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보이스피싱을 알리거나 경찰, 소방서, 사이버안전국 등에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중인 상태에서도 상대방과의 통화를 유지하면서 미리 지정된 자녀의 휴대전화로 보이스피싱 사실을 확인하거나, 경찰에 범죄 현장을 즉시 신고하거나, 소방서에 위급 상황을 신고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유휴 공간에 광고 콘텐츠 및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판촉 정보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대기 화면 또는 통화중 화면에서 명함 검색 아이콘을 입력하는 원 클릭 동작으로 발신자 정보에 매칭하는 명함 및 발신자와 주고받은 메시지를 검색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상세 정보 및 발신자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를 쉽고 빠르게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연계하여 통화 연결 상태의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통화와 관련된 일정을 캘린더의 연, 월, 일과 관련하여 즉시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중에 특정 일정이나 메모를 통화 상대방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일정이나 메모를 크로스 체크(Cross Check)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중에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연락처나 인터넷 검색 등을 수행할 때,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 화면 상에서 원 클릭으로 수신음을 토글 방식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쉽고 빠른 음성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음성신호를 문자로 전환하여 입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통화대기 화면 상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통화중 화면 상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통화종료 화면 상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전화 수신시 통화대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진행되어 보이스피싱 알림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의 정보 편집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6에서 진행되어 긴급구조 알림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명함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통화중 화면의 메인 메뉴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3은 통화 중에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4는 통화 중에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진행되어 특정 날짜의 일정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 진행되어 특정 일정의 상세 내용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진행되어 특정 일정의 공유 형태 선택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8은 통화 중에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에서 진행되어 상세 메모 내용의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0은 통화 중에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1은 통화 중에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2는 통화 중에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에서 진행되어 포인트 적립 내역을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4는 도 23에서 진행되어 포인트 사용 내역을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5는 통화종료 화면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및
도 26은 도 25에서 진행되어 통화종료 화면 이탈 선택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110)에서 통화 연결을 위한 호접속 요청이 발생되면,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호접속 요청이 수신된다. 무선통신망은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도 1에서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도시한 블록도와 갖는 구성을 갖는다.
스마트폰(10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22), 사용자 입력부(124), 감지부(126), AV 입력부(128), AV 출력부(130), 인터페이스(132), 메모리(134),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122)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다른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2)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GPS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기지국, 중계 단말, 서버 등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스마트폰(100)에 내장되거나 외부기기로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스마트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모듈로서,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모듈이다.
방송 수신 모듈은 다양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로서,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스마트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모바일 마우스,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TUI(Touch User Interface)를 이용한 터치 패널이 이용되며,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감지부(126)는 스마트폰(100)의 개폐 상태, 방위, 가속/감속, 사용자 입력수단의 근접 여부 등을 검출하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AV 입력부(128)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컨대 카메라와 마이크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서 검출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한다.
AV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및 촉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수단, 스피커, 알람 모듈,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은 스마트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수단은 통화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패널이 일체화 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32)는 스마트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 통로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100) 내부의 각 구성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선 이어잭, 무선 헤드셋 포트, 충전기 연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132)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4)는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되거나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마트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관련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운영체제,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어플리케이션,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적인 모듈의 동작과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전화통화 모듈(172), 무음전환 모듈(174), 광고 연계 모듈(176),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180), 일정관리 모듈(182), 상시 메모 모듈(184), 포인트 관리 모듈(186), 및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을 더 포함한다.
전화통화 모듈(172)은 발신자 단말기(110)의 호 접속에 기반하여 발신자 단말기(110)와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화통화 모듈(172)에 의한 착신, 통화 수신, 통화 종료에 이르기까지,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 상황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통화대기 화면'은 전화통화 모듈(172)이 발신자 단말기(110)의 호 접속에 요청 대응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릴 때 출력되는 화면이며, '통화중 화면'은 발신자 단말기(110)와 통화가 개시되어 종료될 때가지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통화종료 화면'은 발신자 단말기(110)와 통화가 종료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이다.
무음전환 모듈(174)은 통화대기 화면 상에 무음전환 선택부(220)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무음전환 선택부(220)가 입력될 때 착신 벨 또는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시키는 수단이다.
광고 연계 모듈(176)은 발신자 단말기(110)의 호 접속을 감지하여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푸시형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광고 표시부(240)를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가 푸시형 광고 콘텐츠 상에서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을 입력하면, 당해 광고와 연계되는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예컨대, 온라인 판매 사이트, 할인 쿠폰 제공 사이트, 광고 동영상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과 같은)로 자동 링크된다. 통화대기 화면 및 통화중 화면에서는 푸시형 광고 콘텐츠들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 있고, 통화종료 화면 상에는 앞서 슬라이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었던 광고 콘텐츠들을 수동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은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서 원 클릭(one-click)으로 연계 가능한 복수의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표시한다. 통화 대기 상태, 통화중인 상태, 및 통화 종료 상태 각각에서 사용자가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하나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킴으로써, 통화 연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한 번의 입력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 및 통화중에 연계되어 실행되는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180), 일정관리 모듈(182), 상시 메모 모듈(184), 포인트 관리 모듈(186), 및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은 모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것을 확인하여 원래의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180)은 CID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발신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스캔하여 저장한 명함을 검색하고, 발신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을 추출하여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또는 통화종료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일정관리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0)이 입력되는 경우, 화면 상에 캘린더를 디스플레이하고, 캘린더에서 특정 날짜가 선택되거나 일정 추가 선택 버튼(440)이 입력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일정 내용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상시 메모 모듈(184)은 사용자에 의해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50)이 입력될 때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때, 상시 메모 모듈(184)은 통화중에 스마트폰(100)의 일측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도시 안 됨)의 인출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포인트 관리 모듈(186)은 사용자에 의해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0)이 입력될 때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보유한 누적 포인트 및 사용한 사용 포인트를 화면 상에 표시하여, 광고 콘텐츠와 연계된 판매 사이트로 이동하여 구매를 하는 경우 등에 사용자가 보유 포인트 및 사용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은 사용자에 의해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5)이 입력되는 경우, 통화대기 화면 또는 통화중 화면 상에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를 디스플레이한다.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는 보이스피싱이나 긴급구조를 알리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통화대기 상태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보이스피싱을 당하는 상태를 지정된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긴급구조를 경찰서, 소방서, 사이버안전국 등에 신고하는 과정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는 각각 본 발명에서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 상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자 단말기(110)의 호 접속에 기반하여 발신자 단말기(110)와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ST210). 그리고 CI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발신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가 스마트폰(100) 상에 화면 출력된다(ST215). 전화통화 모듈(172)은 CID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가 메모리(134)에 저장된 연락처의 정보와 일치할 경우, 해당 정보를 불러와서 발신자의 이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은 통화 대기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 착신 벨이나 진동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무음 전환 모드를 제공한다. 무음 전환 모듈(174)은 통화대기 화면 상에 무음전환 선택부(220)를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무음전환 선택부(220)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T220). 만약 무음전환 선택부(22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예컨대, 슬라이드 입력)이 발생한다면 착신 벨 또는 진동을 무음 처리한다(ST225).
다음으로, 통화대기 화면 상에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 및 광고 콘텐츠를 표시한다(ST230).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은 통화대기 화면의 일측에 연계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아이콘을(예컨대, 상단의 메뉴 바를 제공하는 형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화대기 화면 상단부에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을 출력하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내에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 명함 검색 아이콘(320),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30),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0),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5),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50),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0),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70),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0), 및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을 표시한다.
광고 연계 모듈(176)은 푸시 형태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들을 통화대기 화면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하며, 광고 콘텐츠 내에는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로 이동하기 위한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내에 배치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235), 만약 어떤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입력되면 해당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T240).
또는, 광고 표시부(240) 상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245), 만약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입력되면 해당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 광고사 또는 제품 판매처의 모바일 웹페이지로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ST250).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한 통화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T255).
만약 사용자가 통화 거절 항목을 입력하면 그대로 종료된다. 반면, 사용자가 통화 연결 항목을 입력하면 단계 ST310으로 진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T310에서 통화 관련 입력 항목을 표시하는 것으로 통화중 상태가 개시된다(ST310). 이후 통화중 화면 상에 단계 ST230과 동일하게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및 광고 콘텐츠를 표시한다(ST315).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내에 배치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320), 만약 어떤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입력되면 해당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T325).
또는, 광고 표시부(240) 상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330), 만약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입력되면 해당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 광고사 또는 제품 판매처의 모바일 웹페이지로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ST335).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한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T340).
만약 사용자가 통화 종료 항목을 입력하지 않은 상태라면 단계 ST315 이후의 단계를 계속 실행하며, 사용자가 통화 종료 항목을 입력하면 단계 ST410으로 진행한다.
통상적인 스마트폰의 전화통화 모듈(172)은 사용자가 통화 종료 항목을 입력할 경우 통화 연결을 즉시 종료하고 홈 화면으로 복귀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통화종료 화면을 출력하고, 통화종료 화면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드를 이어간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종료 관련 입력항목을 표시하는 것으로 통화 종료와 관련된 프로세스가 개시된다(ST410). 통화 종료 관련 입력항목은 적어도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을 포함한다.
이후 통화종료 화면 상에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및 광고 콘텐츠를 표시한다(ST415). 다만, 통화종료 화면에서는 앞선 통화대기 화면 및 통화중 화면에서 푸시형 광고 콘텐츠들을 자동으로 슬라이드 표시하는 것과 달리, 통화대기 및 통화중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되었던 광고 콘텐츠들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내에 배치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420), 만약 어떤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입력되면 해당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T425).
또는, 광고 표시부(240) 상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430), 만약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입력되면 해당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 광고사 또는 제품 판매처의 모바일 웹페이지로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ST435).
다음으로 통화종료 화면 상에 표시된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의 입력을 판단한다(ST440). 만약 사용자가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을 입력하지 않은 상태라면 단계 ST415 이후의 단계를 계속 실행하며, 사용자가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을 입력하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통화대기 상태, 통화중 상태, 및 통화종료 상태 각각에서 한 번의 입력으로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실시예 및 광고 콘텐츠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 5 내지 2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전화 수신시 통화대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의 상단에는 배터리 상태, 현재 시간, 전파 수신 감도 등을 표시하는 상태 표시창(210)이 위치한다. 상태 표시창(210)의 아래로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무음전환 선택부(220), 발신자 번호 표시부(230), 광고 표시부(240), 푸시 알림창(250), 및 통화 연결/거절 선택부(260)가 위치한다.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은 본 발명에 따라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에서 한 번의 입력으로 바로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는 창이다. 도 5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내에는 10개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10개의 실행 아이콘은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310), 명함 검색 아이콘(320),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30),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0),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5),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50),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0),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70),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0),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이다. 각 아이콘들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활성화되며, 각 아이콘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경우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310)은 통화대기 화면, 통화중 화면, 및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서 메인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으로서, 본 발명에서 메인 메뉴라 함은 도 5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어떤 연계 어플리케이션도 실행되지 않고, 광고 표시부(240)가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은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소거시키기 위한 아이콘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통화대기 상태, 통화중 상태, 및 통화종료 상태 각각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연락처 검색이나 웹 검색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또는, 통화중에 단독으로 중요 메시지를 녹음하고자 할 경우,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을 한 번 입력하는 것으로 수신음이 마이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은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이 한 번 입력될 때,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0(zero)으로 줄이거나 수신 데이터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수신음을 소거시킨다.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이 한 번 더 입력되면 수신음은 원래대로 복귀된다.
기타 다른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입력에 대응하여 연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예시는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무음전환 선택부(220)는 슬라이드 입력 형태로 제공되며, 무음 전환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아이콘과 슬라이드 입력을 안내하는 그래픽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무음전환 선택부(220)를 우측으로(또는 좌측으로) 슬라이드 입력시킬 경우, 무음전환 모듈(174)은 착신 벨 또는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시킨다.
도 5의 예시에서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표시창(300)과 무음전환 선택부(220)가 별개의 표시부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무음전환 선택부(200)를 슬라이드 입력할 경우 무음전환 선택부(200)가 사라지면서, 사라진 자리에 연계 어플리케이션 표시창(300)이 출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발신자 번호 표시부(230)는 CI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만약 발신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가 기 저장된 연락처에 존재한다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락처에 저장된 이름과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함께 표시한다. 발신자 번호 표시부(230)의 일측에는 전화 수신 대기를 알리는 메시지가 화면 출력된다.
광고 표시부(240)는 통화대기 화면에서 통화 수신과 관련된 그래픽이나 텍스트들이 위치하지 않는 여백에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광고 콘텐츠를 표시한다. 예컨대, 광고 표시부(240)는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 중앙 부위에 표시된다.
광고 연계 모듈(176)은 발신자 단말기(110)의 호 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광고 서버와 연결되어 광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푸시형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며, 수신된 광고 콘텐츠의 프레임을 광고 표시부(240)의 크기에 맞게 변환하여 표시한다.
이때, 광고 콘텐츠들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표시되며, 각각의 광고 콘텐츠에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 광고사, 제품 판매처, 할인 쿠폰 제공자 등의 모바일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을 입력할 경우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로의 링크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고 표시부(240) 상에는 광고 표시를 중단시키기 위한 광고 표시 중단 선택항목이 화면 출력되고, 사용자가 광고 표시 중단 선택항목을 입력하는 경우 광고 표시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푸시 알림창(250)은 미확인 메시지, 메일, 부재중 전화,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 등이 표시되는 공간이다.
통화 연결/거절 선택부(260)는 슬라이드 입력으로 통화를 연결하거나 거절하는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항목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의 하단부 베젤에 홈 키(192), 메뉴 키(194), 뒤로가기 키(196)가 터치 키(touch key)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홈 키(192)는 통화대기 화면 및 통화중 화면 등에서 이탈하여 스마트폰(100)에서 지정된 홈 화면으로 이동하는 키이고, 메뉴 키(194)는 팝 업 창으로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키이고, 뒤로가기 키(196)는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키이다. 홈 키(192), 메뉴 키(194), 및 뒤로가기 키(196)는 물리적인 터치 키 형태가 아닌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함되는 소프트 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보이스피싱이나 긴급구조를 외부에 알리는 과정을 도면으로, 도 6은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하며, 도 7은 도 6에서 진행되어 보이스피싱 알림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예시하며, 도 8은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의 정보 편집 예를 보이며, 도 9는 도 6에서 진행되어 긴급구조 알림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6내지 9의 예시는 통화대기 화면에서 긴급구조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예시는 통화중 화면이나 통화종료 화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대기 화면 상태에서 도 5에 열거된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들 중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5)을 입력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에는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가 표시된다.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는 사용자가 보이스피싱을 지정된 대상자에게 알리거나 긴급구조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는 상단에 바 형태의 긴급상황 알림 표시부(651)가 배치되며, 긴급상황 알리 표시부(651)의 좌측단에는 뒤로가기 버튼(653)이 배치되고, 우측단에는 추가 버튼(655)이 배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뒤로가기 버튼(653)이 입력되는 경우 도 5에 예시된 통화대기 화면으로 복귀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추가 버튼(655)이 입력되는 경우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를 새로 지정하는 페이지, 또는, 긴급구조 신고처를 새로 지정하는 페이지가 활성화되어 알림 또는 신고 대상자의 정보를 편집하거나 입력하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의 중앙에는 보이스피싱 알림 선택 항목(657)가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659)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보이시피싱 알림 선택 항목(657)을 입력하는 경우 도 7에 예시된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660)로 전환되며, 사용자가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659)을 입력하는 경우 도 9에 예시된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680)으로 전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660)는 복수의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1, 662, 663, 664)이 나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은 사용자와 알림 대상자의 관계 및 알림 대상자의 이름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1) 및 제2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2)은 자녀관계와 자녀의 이름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3)은 부인을 나타내며, 제4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4)은 기타 다른 관계의 사람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을 입력할 경우,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은 미리 지정된 대상자의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문자메시지는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수신중에 있다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은 통화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미리 지정된 대상자의 휴대전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아들을 볼모로 하는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고 난 후에 동일한 발신자 번호로 재차 전화가 걸려온 경우, 또는, 상대방과 통화 중에 그러한 보이스피싱 사실을 인지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사용자는 통화대기 화면이나 통화중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예시된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660) 상에서 제1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1)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통화대기 상태라면,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은 착신을 정지하고 즉시 저장된 아들의 휴대전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아들의 휴대전화로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수신중입니다. 즉시 무사함을 확인할 수 있는 문자를 보내주세요." 등의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4 알림 대상자 선택 항목(664)에 사이버안전국을 미리 입력해 두고, 사이버안전국에 보이스피싱을 바로 신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의 정보를 편집하는 예를 보인 도면으로, 사용자가 도 6의 추가 버튼(655)을 입력하는 경우 도 8과 같은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 정보 편집창(670)이 활성화 된다.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 정보 편집창(670)은 상단에 정보 편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바 형태의 정보 편집 표시부(671)가 배치되며, 정보 편집 표시부(671)의 좌측 단부에는 뒤로가기 버튼(673)이 배치되고, 우측 단부에는 편집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버튼(675)과 편집 내용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버튼(677)이 배치된다.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 정보 편집창(670) 상에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하면, 화면 하단에 가상 키패드(900)가 활성화되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가상 키패드(900)를 통해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의 인적 정보(예컨대,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과 같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저장 버튼(675)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가 대상자의 이름과 매칭되어 저장된다.
도 9는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680)를 예시한 도면으로, 도 6의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 상에서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659)이 입력될 때 스마트폰(100)의 화면은 도 9의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680)로 전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680)는 상단에 긴급구조 알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바 형태의 긴급구조 알림 표시부(681)가 배치되며, 긴급구조 알림 표시부(681)의 좌측 단부에는 뒤로가기 버튼(683)이 배치되고, 우측 단부에는 긴급구조 신고 대상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버튼(685)이 배치된다.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680)의 중앙에는 범죄신고 연결 항목(687), 구조신고 연결 항목(688), 및 사이버 범죄신고 연결 항목(689)이 배치된다. 이러한 신고 연결 항목들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긴급상황 알림 모듈(188)은 사용자가 범죄신고 연결 항목(687)을 입력한 경우, 즉시 112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범죄신고와 관련된 메시지를 경찰청 서버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구조신고 연결 항목(688)을 입력한 경우라면, 119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구조신고와 관련된 메시지를 소방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사이버 범죄신고 연결 항목(689)을 입력한 경우라면, 182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사이버 범죄신고와 관련된 메시지를 사이버안전국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에서 성희롱을 당했을 경우라면, 사용자는 통화중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통화중 화면 상단의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에서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5)을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서 예시된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650) 상에서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659)을 입력한다. 그리고 도 9의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680) 상에서 범죄신고 연결 항목(687)을 입력하면, 112로 호 연결이 시도되어 범죄신고 내역을 남길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범죄신고 연결 항목(687)이 입력된 이후 경찰청 서버로 전송할 문자 메시지 항목을 입력하는 창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범죄 사실에 대하여 문자를 입력한 후 경찰청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범죄신고 연결 항목(687)이 입력된 이후 자동으로 상대방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하고,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녹음된 파일이 신고 정보와 함께 경찰청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5의 화면에서 광고 콘텐츠 링크 항목(242)이 입력되어,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만약 사용자가 도 5의 상태에서 원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열람하고자 할 경우, 또는,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즉시 광고 콘텐츠와 연결된 웹페이지로 이동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콘텐츠 링크 항목(242)을 입력할 수 있다.
광고 연계 모듈(176)은 광고 콘텐츠 링크 항목(242)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광고 콘텐츠와 연계된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로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 상에서 원하는 정보(예컨대, 광고 열람에 대한 대가로 제공되는 할인 쿠폰 등과 같은)를 열람하거나 할인 쿠폰을 다운로드 받거나 판촉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화면 상단에는 선물하기 아이콘(272) 및 공유 아이콘(274)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물하기 아이콘(272)을 입력하여 다운로드 받은 쿠폰이나 구매한 제품(예컨대, 기프티콘 등과 같은)을 저장된 연락처나 SNS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아이콘(274)을 입력하여 당해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로의 링크 정보를 저장된 연락처나 SNS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에 예시된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는 통화중 화면 또는 통화종료 화면에서 광고 콘텐츠 링크 항목(242)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화면이다.
도 11은 통화대기 화면에서 명함 검색 아이콘(320)이 입력되어 명함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상에서 명함 검색 아이콘(320)이 활성화 되며,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180)은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명함을 검색하여 명함 표시부(322)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신자와 통화 연결을 하기 전에 발신자에 대한여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명함 표시부(322)의 우측에는 다음 명함 이동항목(324)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다음 명함 이동항목(324)을 입력할 경우 발신자의 다음 명함 또는 명함 뒷면 이미지가 표시된다.
명함 표시부(322)의 하부에는 문자메시지 표시창(328)이 디스플레이 된다. 문자메시지 표시창(328)은 발신자와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문자메시지 표시창(328)의 위에는 문자메시지 표시창 펼침항목(326)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표시창 펼침항목(326)을 입력할 경우, 평함 표시부(322)의 표시 영역까지 문자메시지 표시창(328)을 펼쳐서 표시한다.
한편,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180)은 제3자의 명함을 검색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신자 매칭 명함 검색 모듈(180)은 제3자 명함을 검색할 수 있는 명함 검색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명함 검색창에 이름, 전화번호, 회사명, 기타 개인 식별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경우 입력된 정보에 매칭되는 명함을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메모리(134) 또는 웹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 안됨)로부터 추출하여 명함 표시부(3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추출되는 명함은 인쇄 형태의 명함을 스캔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나 발신자 측에서 명함 형태로 저장한 제3자 정보(이름, 전화번호, 회사명, 기타 개인 식별 정보 등과 같은)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 상에서 제3자의 명함은 발신자의 명함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발신자의 명함과 제3자의 명함이 하나의 화면에 분할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는 통화중 화면의 메인 메뉴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발신자와 통화가 개시되고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310)이 활성화 된 상태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통화대기 화면에서 통화 연결/거절 선택부(260)를 입력하여 통화를 연결할 경우, 도 12에서와 같은 통화중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화중 화면의 메인 메뉴 상태에서 화면 중앙에는 광고 표시부(240)가 표시되며, 하단부에는 통화중 메뉴 표시창(280)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가 광고 표시부(240) 상에서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을 입력할 경우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로 이동되는 것은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통화중 메뉴 표시창(28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녹음 아이콘, 추가 음량 높이기 아이콘, 블루투스 아이콘, 한뼘통화 아이콘, 키패드 아이콘, 송화음 차단 아이콘을 표시하며, 여기에 추가로 통화를 종료하고자 할 때 입력하는 통화종료 입력항목(282)이 표시된다.
도 13은 통화중 상태에서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사용자가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에서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30)을 입력한 경우,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이 스마트폰(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계 어플리케이션 표시창(300)에서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30)이 활성화 되고, 화면 중앙에는 연락처 표시창(332)이 디스플레이 된다.
연락처 표시창(332)의 상단에는 연락처를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는 연락처 검색창(334)이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처 검색창(334)에 커서를 위치시킬 경우, 화면 하단에 가상 키패드(900)가 출현되며 가상 키패드(900)를 이용하여 연락처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연락처 검색창(334)의 우측 단부에는 입력된 연락처를 검색하기 위한 연락처 검색 선택 버튼(338)이 표시되며, 그에 인접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으로 연락처를 검색하기 위한 음성검색 선택 버튼(336)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연락처를 음성 입력으로 검색하고자 할 경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을 입력하여 통화 상대방의 수신음을 차단한 후, 음성검색 선택 버튼(336)을 입력하여 음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검색이 완료된 후에는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을 한 번 더 입력하여 수신음을 정상적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화 중인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한 번의 입력으로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 중에 제3자의 연락처를 확인하거나 통화 상대방에게 제3자의 연락처를 알려주는 것이 매우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7은 통화 중에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통화 중에 상대방과의 중요한 일정을 확인하거나 새로 기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통화 중인 화면에서 이탈하여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통화중 화면 상에서 바로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일정 확인 및 기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에서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40)을 입력하는 경우, 당해 아이콘이 활성화 되면서 도 14의 캘린더 표시부(400)가 디스플레이 된다.
캘린더 표시부(400)의 상단에는 연월 표시부(410)가 위치하며, 중앙에는 월력의 각 날짜를 표시하는 날짜 표시부(420)가 위치한다. 날짜 표시부(420) 중 오늘 날짜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오늘 날짜 표시마크(430)가 표시되며, 우측 하단에는 일정을 새로 추가할 수 있는 일정 추가 선택 버튼(440)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일정을 추가하고자 하는 날짜 표시부(420)를 탭하여 선택하거나, 일정 추가 선택 버튼(440)을 탭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원하는 일정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날짜에 해당하는 날짜 표시부(420)를 선택하여 일정을 확인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새로운 일정을 입력하면, 일정관리 모듈(18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일정 정보를 메모리(134)에 저장한다.
도 15는 도 14에서 진행되어 특정 날짜의 일정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날짜 표시부(420) 중 10월 13일을 선택하여 오늘의 일정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일정 표시 상태 바(450)에 오늘 날짜와 일정 관련 제목이 표시된다. 일정 표시 상태 바(450)의 좌측에는 도 14의 캘린더 표시부(400)로 복귀하는 뒤로가기 버튼(460)이 표시되며, 우측에는 당해 날짜에 일정을 추가할 수 있는 일정 추가 선택 버튼(440)이 표시된다.
일정 표시 상태 바(450)의 아래에는 당해 날짜의 일정들이 시계열적으로 표시되는 일정 표시창(470)이 표시된다. 일정 표시창(470)에서 개별 일정들을 나타내는 텍스트들은 개별적으로 구획되어 개별 일정 선택항목(480)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개별 일정을 확인하고자 원하는 개별 일정 선택항목(480)을 입력하면, 도 16과 같이 특정 일정의 상세 내용을 표시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정 표시 상태 바(450)의 좌측에는 일정 표시창(470)으로 복귀하기 위한 뒤로가기 버튼(460)이 표시되며, 우측에는 당해 개별 일정을 편집하기 위한 일정 편집항목(492)과, 당해 개별 일정을 삭제하기 위한 일정 삭제항목(494)과, 당해 개별 일정을 공유하기 위한 일정 공유항목(496)이 표시된다.
일정 표시 상태 바(450)의 아래로는 당해 개별 일정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상세 일정 표시창(490)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일정 편집항목(492)을 입력하여 개별 일정의 상세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세 일정 표시창(490)에 커서가 활성화 되고 하면 하단부에서 가상 키패드(900)가 팝 업 되어 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개별 일정을 통화 상대방 또는 제3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일정 공유항목(496)을 입력하여 개별 일정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서 진행되어 특정 일정의 공유 형태 선택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정 공유항목(496)을 입력한 경우 도 16의 화면 하단에서 일정 공유 수단 선택창(498)이 팝 업 되어 출현된다. 일정 공유 수단 선택창(498)에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웹하드, SNS 등 일정을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포함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공유 수단을 입력하여 특정 일정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7의 화면에서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면, 상세 일정 표시창(490)에 표시된 정보가 발신자 또는 제3자의 연락처로 SMS 또는 MMS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통화 상태에서 통화 상대방 또는 제3자에게 특정 일정 정보를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크로스 체크(Cross Check) 방식으로 일정을 상호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8은 통화 중에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사용자가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상에서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50)을 입력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8을 참조하면, 발신자 번호 표시부(230)의 아래로 메모 관리 상태 바(510)가 표시된다. 메모 관리 상태 바(510)의 우측에는 신규로 메모를 추가할 수 있는 메모 추가 선택 버튼(520)이 표시되며, 메모 관리 상태 바(510)의 아래로는 저장된 메모들의 제목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메모 표시창(530)이 디스플레이 된다.
메모 표시창(530)에서 개별 메모의 제목을 나타내는 텍스트들은 각각 구획되어 개별 메모 선택항목(540)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개별 메모를 확인하고자 원하는 개별 메모 선택항목(540)을 입력하면, 도 19와 같이 특정 메모의 상세 내용을 표시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메모 관리 상태 바(510)의 좌측에는 메모 표시창(530)으로 복귀하기 위한 뒤로가기 버튼(550)이 표시되며, 우측에는 당해 메모를 편집하기 위한 메모 편집항목(572)과, 당해 메모를 삭제하기 위한 메모 삭제항목(574)과, 당해 메모를 공유하기 위한 메모 공유항목(576)이 표시된다.
메모 관리 상태 바(510)의 아래로는 당해 메모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상세 메모 표시창(560)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메모 편집항목(572)을 입력하여 개별 메모의 상세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세 메모 표시창(560)에 커서가 활성화 되고 하면 하단부에서 가상 키패드(900)가 팝 업 되어 출현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상세 메모 표시창(560) 내에 새로운 메모를 기입할 수 있다. 상시 메모 모듈(184)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모를 저장한다.
사용자는 메모 공유항목(576)을 입력하여 저장된 메모를 통화 상대방 또는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 공유항목(576)을 입력할 경우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메일, 문자메시지, 웹하드, SNS 등 메모를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활성화 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공유 수단을 선택하여 특정 메모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시 메모 모듈(184)는 스마트폰(100)의 일측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의 인출을 감지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인출되는 경우 도 18과 같이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상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50)을 입력하거나 스타일러스 펜을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곧바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통화중 화면에서 원 클릭으로 중요한 통화 내용을 메모하거나 저장된 메모를 공유하는 작업을 즉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0은 통화 중에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상에서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0)을 입력하여 음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은 음성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0)의 입력에 대응하여 음성 검색 엔진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스마트폰(100)의 화면 상으로는 음성 검색 상태 표시창(610)이 디스플레이 되다. 음성 검색 도중 수신음이 혼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음 소거 토글 아이콘(390)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중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 클릭으로 음성 검색 엔진을 호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음성 검색을 통해 저장된 정보 또는 웹 상에서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1은 통화 중에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 상에서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70)을 입력하여 인터넷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178)은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70)의 입력에 대응하여 인터넷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스마트폰(100)의 화면 상으로는 인터넷 홈페이지 표시창(700)이 디스플레이 되며, 인터넷 홈페이지 표시창(700)에는 미리 설정된 인터넷 홈페이지의 접속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통화중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 클릭으로 인터넷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통화 중에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3 및 24는 각각 포인트 적립 내역 및 사용 내역을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300)에서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0)을 입력하여 보유 포인트 및 사용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포인트 관리 모듈(186)은 포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0)의 입력에 대응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내역 표시창(800)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포인트 내역 표시창(800)에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와 같은 포인트 적립 대상과 각 적립 대상의 누적 포인트가 표시된다.
포인트 내역 표시창(800)의 상단에는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포인트 검색창(810)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포인트 검색창(810)을 입력하는 경우, 화면 하단에서 가상 키패드(900)가 팝 업 되어 표시된다. 사용자는 가상 키패드(900)를 통해 포인트 적립 대상을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포인트 검색창(810)에 형성된 음성 검색 아이콘을 선택하여 음성 입력으로 포인트 적립 대상을 검색할 수 있다.
포인트 내역 표시창(8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표 형태로 제공되며, 각각의 텍스트들은 개별 포인트 선택항목(820)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개별 포인트 선택항목(820)을 입력할 경우, 도 23으로 진행되어 해당 카드의 포인트 적립 내역이 표시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는 일자별로 포인트 적립 내역을 표시하는 포인트 적립내역 표시창(830)이 디스플레이 되고, 포인트 적립내역 표시창(830)의 하단에는 당해 카드의 총 누적 포인트를 나타내는 누적 포인트 표시부(840)가 표시된다.
포인트 적립내역 표시창(830)의 상단에는 대상 카드의 이름 및 포인트 적립 내역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며, 우측으로는 포인트 사용내역 표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내역 이동항목(850)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사용내역 이동항목(850)을 입력하는 경우 도 24로 진행되어 해당 카드의 포인트 사용 내역이 표시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는 일자별로 포인트 사용 내역을 표시하는 포인트 사용내역 표시창(860)이 디스플레이 되고, 포인트 사용내역 표시창(860)의 하단에는 당해 카드의 총 사용 포인트를 나타내는 사용 포인트 표시부(870)가 표시된다.
포인트 사용내역 표시창(860)의 상단에는 대상 카드의 이름 및 포인트 사용내역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며, 좌측으로는 포인트 적립내역 표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적립내역 이동항목(880)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적립내역 이동항목(880)을 입력하는 경우 도 23으로 진행되어 해당 카드의 포인트 적립 내역이 표시된다.
도 25는 통화종료 화면이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에서 진행되어 통화종료 화면 이탈 선택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종래 스마트폰(100)의 전화통화 모듈(172)은 사용자가 통화 종료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즉시 통화 연결을 종료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통화종료 화면을 출력하고 통화종료 화면 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제공 및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대기 상태 및 통화중 상태에서 관심을 가졌던 광고 콘텐츠를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통화와 관련된 일정 관리나 메모 기입 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의 통화종료 화면은 발신자와 통화 연결은 종료되었지만, 푸시형 광고 콘텐츠들의 디스플레이와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은 여전히 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의미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통화종료 화면 상에서 도 5 및 12에서와 같은 광고 표시부(240)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5 및 12의 예시와 다른 점은 광고 콘텐츠들을 수동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한다는 점이다.
광고 연계 모듈(176)은 통화 종료를 감지하여 통화대기 화면 및 통화중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했던 푸시형 광고 콘텐츠들을 표시하되, 광고 표시부(240)의 양측 단부에는 슬라이드 선택항목(244)을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선택항목(244)을 입력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를 전환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좌우의 슬라이드 선택항목(244)을 이용하여 통화대기 상태 및 통화중 상태에서 수신된 모든 광고 콘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 표시부(240) 상의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242)을 입력할 경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270)로 링크 서비스가 제공된다.
광고 표시부(240)의 아래로는 전술한 푸시 알림창(250)이 표시되며, 푸시 알림창(250)의 아래로 통화종료 메뉴 표시창(290)이 디스플레이 된다.
통화종료 메뉴 표시창(290)은 통화 상대방의 연락처를 확인하는 연락처보기, 재통화를 시도하기 위한 통화 버튼 및 영상통화 버튼, 메시지 전송을 위한 버튼 등이 표시되며, 여기에 추가로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이 표시된다.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통화종료 화면에서 완전히 이탈하기 위한 아이콘으로서, 사용자가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292)을 입력하는 경우 도 26으로 진행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통화종료 메뉴 표시창(290)이 비활성화 되면서, 그 위에 통화종료 화면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이탈 선택항목(294)과 이탈 취소항목(296)이 나타난다. 이탈 취소항목(296)이 입력되는 경우 다시 도 25의 통화종료 화면으로 복귀된다. 이탈 선택항목(294)이 입력되면 곧바로 통화종료 화면의 표시를 중단하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방법의 제공을 종료시킨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분야 및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OS와 어플리케이션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4)

  1.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전화 통화를 연결하며, 상기 호 접속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통화대기 화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중 화면, 및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종료 화면을 출력하는 전화통화 모듈;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 복수의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을 제공하고,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대응하는 연계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각각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으로 자동 복귀시키는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모듈; 및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메인 메뉴 상태에서 상기 통화대기 화면, 상기 통화중 화면, 및 상기 통화종료 화면 각각에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 링크항목이 입력되면 상기 광고 콘텐츠에 연계된 광고 연계 모바일 웹페이지로의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연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연계 모듈은, 상기 통화대기 화면 및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는 푸시형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자동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통화종료 화면 상에는 상기 통화대기 화면 및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표시되었던 광고 콘텐츠들을 수동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전화통화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통화 종료가 선택된 이후에 상기 통화종료 화면 상에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종료 화면 이탈 아이콘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통화종료 화면을 종료시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긴급상황 알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 화면 또는 상기 통화중 화면 상에 보이스피싱이나 긴급구조를 알리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대상자에게 보이스피싱 상태를 알리거나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 페이지는 보이스피싱 상태를 지정된 대상자에게 알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 항목인 보이스피싱 알림 선택 항목과,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항목인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이스피싱 알림 선택 항목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보이스피싱 알림 대상자를 지정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보이스피싱 알림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자에게 보이스피싱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해당 대상자의 휴대전화에 호 연결을 시도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긴급구조 알림 선택 항목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긴급구조 신고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긴급구조 알림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고처에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신고처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광고 연계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인메뉴 이동 아이콘이 입력되면 다른 연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창에는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입력되면, 월력이 표시되는 캘린더 표시부와, 날짜 및 해당 날짜의 일정 제목을 표시하는 날짜 표시부와, 새로운 일정을 추가하여 기록할 수 있는 일정 추가 선택 버튼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일정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관리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날짜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경우, 해당 날짜의 일정들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일정 표시창을 제공하며,
    상기 일정 표시창 상에서 개별 일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터치 입력 가능한 개별 일정 선택항목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별 일정 선택항목이 입력되면 해당 일정을 상세하게 표시하는 상세 일정 표시창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관리 모듈은 상기 상세 일정 표시창 일측에 일정 공유항목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정 공유항목이 입력되면 당해 일정의 공유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공유 수단 선택창을 제공하며, 상기 일정 공유 수단 선택창에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웹하드, 및 SNS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일정 공유 수단 선택항목이 표시되며, 상기 일정 공유 수단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항목이 입력되면 선택된 공유 수단을 통해 상기 상세 일정 표시창에 기록된 일정 정보를 전송하여 공유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97027094A 2017-03-22 2018-03-20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272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40 2017-03-22
KR20170036240 2017-03-22
PCT/KR2018/003210 WO2018174513A1 (ko) 2017-03-22 2018-03-20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082A KR20190115082A (ko) 2019-10-10
KR102272239B1 true KR102272239B1 (ko) 2021-07-02

Family

ID=6358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094A KR102272239B1 (ko) 2017-03-22 2018-03-20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97142A1 (ko)
JP (1) JP2020516205A (ko)
KR (1) KR102272239B1 (ko)
CN (1) CN110495158A (ko)
WO (1) WO2018174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242B2 (en) * 2007-12-07 2017-07-04 Dan Atsmon Multimedia file upload
KR102424182B1 (ko) * 2020-10-12 2022-07-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수의 연계된 액션들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600925B (zh) * 2020-12-16 2023-05-02 迪爱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消防微站智能终端及其业务处理方法、存储介质
KR102472727B1 (ko) * 2021-02-23 2022-12-01 박민규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CN118509521A (zh) * 2021-09-06 2024-08-16 解文武 一种手机被试图关机或刷机时智能报失的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570B2 (ja) * 1998-10-09 2000-07-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通信装置
JP3751927B2 (ja) * 2002-10-11 2006-03-08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機用音声情報通知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音声情報通知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1156209B1 (ko) * 2005-08-03 2012-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US8270935B2 (en) * 2007-12-05 2012-09-1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longing emergency calls
JP2011124629A (ja) * 2009-12-08 2011-06-23 Nec Corp スケジュール情報共有システム、スケジュール情報共有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655183B2 (ja) * 2011-01-21 2015-01-21 株式会社フォーバルテレコム 交換用の主装置およびip電話システム
JP2012169722A (ja) * 2011-02-10 2012-09-06 Funai Electric Co Ltd 多者通話装置および電話機
CN102131165B (zh) * 2011-03-16 2013-11-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短信的日程协同方法和移动终端
JP5755944B2 (ja) * 2011-06-10 2015-07-2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058616B2 (en) * 2011-06-15 2015-06-16 Nh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KR101121413B1 (ko) * 2011-06-29 2012-03-16 박진홍 인맥관리처리부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및 인맥관리방법
JP2013255162A (ja) * 2012-06-08 2013-12-19 Kyocera Corp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551695B1 (ko) * 2012-09-03 2015-09-09 황우원 발신자 관련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20140035681A (ko) * 2012-09-14 2014-03-24 김성수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JP2014103536A (ja) * 2012-11-20 2014-06-05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KR102051093B1 (ko) * 2013-02-01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278274B1 (ko) * 2013-03-22 2013-06-24 유엔젤주식회사 통화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428634A (zh) * 2013-08-13 2013-12-04 苏州数字地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报警主动推送位置的方法及系统
KR20150094028A (ko) * 2014-02-10 2015-08-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메모 생성 및 관리 방법 그리고 통화 메모 생성 및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418820B2 (ja) * 2014-07-07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024758A (ja) * 2014-07-24 2016-02-08 陽介 西田 ポイント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16053823A (ja) * 2014-09-03 2016-04-14 三洋テクノソリューションズ鳥取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CN105554288A (zh) * 2015-12-23 2016-05-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日程提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082A (ko) 2019-10-10
US20200097142A1 (en) 2020-03-26
JP2020516205A (ja) 2020-05-28
WO2018174513A1 (ko) 2018-09-27
CN110495158A (zh)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2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US75993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KR10192001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179281A1 (en) Mobile terminal having auto answering function and auto answering method for use in the mobile terminal
US20150207926A1 (en) Entity-linked reminder notifications
US20200279569A1 (en)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using context awareness and terminal therof
EP2326069B1 (en) Mobile terminal and incoming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JP4127833B2 (ja) 携帯端末
CN107147779A (zh) 信息提示方法及装置
CN104683562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0617756B1 (ko)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EP3076642B1 (e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939424B (zh) 应用切换方法及装置
KR101121413B1 (ko) 인맥관리처리부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및 인맥관리방법
CN107295167B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4023138A (zh) 来电显示方法及装置、去电拨号方法及装置和通讯系统
KR101888635B1 (ko) 사용자 단말에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554297A (zh) 信息提醒方法及装置、终端
KR10215760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444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0238B1 (ko) 고객정보 관리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과 그 방법
KR102192295B1 (ko) 통화 처리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18999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5750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부재중 통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