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969B1 - 자세 유도기 - Google Patents

자세 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969B1
KR102271969B1 KR1020200152387A KR20200152387A KR102271969B1 KR 102271969 B1 KR102271969 B1 KR 102271969B1 KR 1020200152387 A KR1020200152387 A KR 1020200152387A KR 20200152387 A KR20200152387 A KR 20200152387A KR 102271969 B1 KR102271969 B1 KR 10227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nd
upper arm
coupling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20015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969B1/ko
Priority to PCT/KR2021/014529 priority patent/WO20221030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자세 유도를 위한 자세 유도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운동 자세 유도기는, 몸통 밴드부, 상완 밴드부 및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고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일 영역인 제2 결합부위에서 결합되고, 제2 결합부위에서 시작하여 사용자의 어깨 중 적어도 한 부분을 걸쳐 넘어 사용자의 등쪽에서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다른 일 영역인 제3 결합부위와 결합되어, 흉부 전면에 위치한 제1 결합부위의 이동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세 유도기{Body swing inducer}
본 발명은 골프나 테니스 등의 스윙 연습 시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자세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등의 운동 시 스윙을 했을 때 팔 위주의 스윙으로는 타격 스윙을 할 수가 없고 반드시 하체와 몸통회전이 먼저 나타나야 타격 스윙이 위주의 스윙이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게 해주는 신체 움직임에 대한 자세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골프 등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나 이미 비효율적인 스윙 모션이 몸에 배인 사용자들의 모션을 교정하고 바른 자세로 유도하기 위한 자세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신체는 약 200개의 뼈와 수많은 관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신체 움직임의 형태가 셀 수 없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각각의 뼈마다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으므로 각 뼈마다 움직이는 방향의 경우의 수를 두 가지라고 본다면, 200개의 뼈의 움직임 조합, 즉 방향 위치 조합은 결국 셀 수 없이 많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전 세계 각 운동 선수들의 모션을 보면 조금씩 다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계 수 천만 명의 골퍼들도 각각 서로 다른 모션을 보여주고 있다.
신체의 모션은 신체 각 부분의 움직임의 조합이다. 신체 각 부분의 순차적 움직임이 바로 하나의 모션을 이루게 된다. 약 200개의 뼈들이 순차적으로 움직여서 하나의 모션을 이루기 때문에 인간의 이성적 판단으로 그 움직임의 순서를 원하는 순서대로 바꾸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스윙 연습을 할지라도, 결국 각자의 타고난 운경신경대로 각자 고유의 모션을 나타낼 수 밖에 없다.
골프스윙 모션은 아주 짧은 순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각자 타고난 선천적인 스윙 모션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모션을 이성적 판단으로 바꾸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골프 레슨을 받을 때 일반적으로 부분 동작을 느리게 끊어서 움직임을 익히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결국 실제로 통합된 전체 움직임은 아주 짧은 사이에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골프 레슨 동안 교정 받았던 부분 동작의 움직임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결국 원래 행하던 기존 모션이 나오게 된다. 이는 전 세계 거의 모든 골퍼들에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신체에 이롭고 효과적인 골프 스윙을 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개인교습을 받고 있지만 각자 타고난 선천적인 모션을 바꾸지 못하고 약간의 개선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단지 직관적인 우세 팔 위주의 스윙을 하거나 비 우세 팔 위주의 스윙을 하다가 어깨나 무릎, 발목 등에 손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 출시된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나 보조기를 살펴보면 오른팔과 왼팔을 인위적으로 동시에 고정하는 형태이거나 오른팔의 형태를 일정한 모양으로 고정하는 형태, 왼팔의 형태를 일정한 모양으로 고정하는 형태, 팔꿈치의 모양을 고정하는 형태, 손목의 모양을 고정하는 형태만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즉, 우세 팔(dominant arm)의 상완이 몸통에 밀접히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팔과 몸통이 따로따로 자유롭게 움직여서 팔 위주의 스윙을 해도 원활한 타격이 가능한 형태들이다. 이런 교정 형태들은 스윙 전체 모션을 효율적으로 바꿔주지는 못하고 전체 스윙 과정 중 일부 과정만을 교정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팔 위주의 스윙이 아닌 하체와 몸통회전에 의한 전신 스윙으로 스윙 자세를 교정해주는 자세 교정기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골프 자세 교정기 중에는 팔을 몸통의 옆구리에 붙이는 탄성 밴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https://www.golfonline.co.uk/callaway-connect-easy-swing-trainer 또는 https://www.amazon.com/Callaway-C30325-Swing-Easy/dp/B006YTYM8W 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윙 연습보조기구는 팔을 흉부 전상부가 아닌 옆구리에만 붙이게 하는 기능을 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스윙 시 밴드가 회전하여 팔이 몸통에 붙는 위치가 계속 변화되어 고정된 스윙 동작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Callaway Connect Easy Swing Trainer (https://www.golfonline.co.uk/callaway-connect-easy-swing-trainer) 2. Callaway Swing-Easy, Full Swing Training Aid (https://www.amazon.com/Callaway-C30325-Swing-Easy/dp/B006YTYM8W)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프 등의 운동 스윙 과정 중에서 팔 위주의 스윙으로는 타격을 할 수가 없고, 반드시 하체와 몸통회전이 먼저 나타나야 타격 스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형태로 교정하는 즉, 전신 스윙이 가능한 형태로 전체 스윙 과정을 교정하는 자세 유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자세 유도를 위한 자세 유도기는, 소정의 폭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 흉부에 두르고 상기 자세 유도기를 상기 사용자의 몸통에 고정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몸통 밴드부, 상기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일부인 제1 결합부위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우세 팔의 상완에 두르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상완 밴드부로, 상기 제1 결합 부위는 상기 몸통 밴드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통 상부에 두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세 팔 측 흉부 전면에 밀착하여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상완 밴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일 영역인 제2 결합부위에서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위에서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의 어깨 중 적어도 한 부분을 걸쳐 넘어 상기 사용자의 등쪽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다른 일 영역인 제3 결합부위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부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위를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완 밴드부가 착용된 상완이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옆구리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몸통 밴드부가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옆구리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완 밴드부가 흉부 전면에서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1 결합부위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우세 팔 상완을 상기 흉부 전면으로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합부위와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 위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부위, 상기 제2 결합부위 및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사용자의 양 팔 중 상기 상완 밴드부를 착용하는 팔에 따라 대칭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완 밴드부를 사용자의 오른쪽 상완에 두른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위 및 상기 제2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흉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등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완 밴드부를 상기 사용자의 왼쪽 상완에 두른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위 및 상기 제2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흉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등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양 끝단에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위 및 상기 제3 결합부위에서 상기 고정 고리를 통해 상기 몸통 밴드부와 탈착 가능하고, 길이 조절 가능한 이중 밴드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는 길이 조절 가능한 이중 밴드이며, 양 끝단에 한 쌍의 암수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암수 고정 고리를 통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가 제1 결합부위는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완 밴드부와 상기 몸통 밴드부는 하나의 밴드부로 형성되며, 상기 상완 밴드부는 상기 제1 결합부위의 상기 링을 통해 상기 몸통 밴드부에서 연장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완 밴드부는 양 끝단에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위에서 상기 고정 고리를 통해 상기 몸통 밴드부와 탈착 가능하고, 길이 조절 가능한 이중 밴드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서로 다른 제2 결합부위 및 서로 다른 제3 결합부위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와 결합되되,제1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2개의 제2 결합부위 중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흉부 전면에 배치된 제2 결합부위 및 2개의 제3 결합부위 중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등에 배치된 제3 결합부위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와 결합되고, 제2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2개의 제2 결합부위 중 상기 사용자의 왼쪽 흉부 전면에 배치된 제2 결합부위 및 2개의 제3 결합부위 중 상기 사용자의 왼쪽 등에 배치된 제3 결합부위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완 밴드부 또는 상기 몸통 밴드부는 다수의 밴드가 병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이용하면, 우세 팔의 상완이 흉부 전면에 들어올려진 상태로 흉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흉부가 먼저 움직여져야 상완이 함께 움직여지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런고로 팔 위주의 스윙을 할 수 없고, 몸통이 먼저 회전해야 왼팔과 오른팔이 딸려나와 골프클럽이 뿌려지는 전신스윙(몸통스윙)이 가능해지는 교정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상완 밴드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우세 팔의 상완의 이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완의 과도한 움직임 즉, 팔의 과도한 움직임을 막아주어 오른팔 또는 왼팔 위주의 스윙을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우세 팔의 상완을 흉부 몸통에 탄력적으로 고정하여 팔꿈치가 몸통 바깥쪽으로 멀어지는 자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골프스윙 백스윙 탑에서 우세 팔의 상완이 과도하게 하늘 방향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편안하고 근육 긴장 없이 깊은 백스윙이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테니스의 발리 스윙 연습 시 라켓을 잡고 있는 손이 몸보다 먼저 나아가는 것을 막아주어 전신을 이용한 발리 스윙이 되도록 발리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 스윙 연습을 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골프스윙은 하체의 힘이 골반과 허리, 어깨를 통해 팔로 전달되어야 신체 손상 없이 효율적이 강력한 타격이 가능하다. 이런 모션은 발가락과 발, 다리, 골반, 허리, 팔, 손 등 수많은 신체 부분이 순차적으로 움직여서 이루어지는데, 이런 순차적 움직임 중에서 모션을 결정 짓는 결정적인 움직임 순서는 하체와 골반, 몸통 어깨, 팔의 움직임 순서이다. 즉 우세 팔 위주의 비효율적인 스윙의 경우 몸통의 회전이 시작되기 전에 우세 팔이 더 먼저 움직인다. 만약 우세 팔의 상완이 흉부 전면에 고정되어 있으면, 몸통의 회전이 일어나야 우세 팔도 따라서 움직여지므로 전체 스윙 모션이 몸통의 회전에 좌우되는 전신 스윙으로 바뀌게 된다.
우세 팔의 상완 중간부분을 탄력 밴드를 이용해서 흉부 전면에 들어 올려 고정하면 우세 팔 상완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우세 팔이 몸통의 움직임에 동반해야만 움직여지게 된다. 즉, 우세 팔만 따로 움직여서는 스윙 타격이 원활히 발생할 수 없고 반드시 몸통의 회전이 일어나야만 양팔이 함께 회전하며 스윙 타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100)는 상술한 목적을 위해 우세 팔이 몸통의 움직임에 동반해서 피동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도록 자세를 유도하는 기구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100)는 몸통 밴드부(110), 상완 밴드부(120) 및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를 포함한다. 몸통 밴드부(110)는 소정의 폭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 흉부에 두고 상기 자세 유도기(100)를 사용자의 몸통에 고정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몸통 밴드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 밴드이며, 양 끝단에 한 쌍의 고정 고리(111)를 포함하고, 이 한 쌍의 고정 고리(111)를 통해 몸통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흉부에서 고정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몸통 밴드부(110)는 상완 밴드부(120)와의 고정을 위한 왈(曰)자고리(1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왈자고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고리(111)를 통해 몸통 밴드부(110)이 반전하여 상완 밴드부(120)를 형성하는 지점에서 몸통 밴드부(110)의 일부와 상완 밴드부(120)의 일부를 상호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완 밴드부(120)와 몸통 밴드부(110)은 하나의 밴드가 아닌 분리된 2개의 밴드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위(121)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몸통 밴드부(110)는 길이 조절을 위해 왈(曰)자고리(112)를 더 포함하고, 몸통 밴드부(110)는 암수 고정 고리(111)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암수 고정 고리(111)의 다른 끝단에서 방향이 반전되어 왈자고리(112)에서 그 길이가 고정되게 된다.
상완 밴드부(120)는 도 1에서 몸통 밴드부(110)에서 제1 결합부위(121)에서 몸통 밴드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우세 팔 상완에 두르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1 결합부위(121)에서 한 쌍의 고정 고리로 몸통 밴드부(110)와 상완 밴드부(120)가 연결되는 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완 밴드부(120)는 제1 결합부위(121)를 형성하는 고정 고리를 통해 방향이 반전된 후, 왈자 고리(112)에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완 밴드부(120)는 왈자 고리(122)를 통해 그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완 밴드부(120)가 몸통 밴드부(110)과 분리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완 밴드부(120)는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일부인 제1 결합부위(121)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완 밴드부(120)의 제1 결합 부위(121)는 상기 몸통 밴드부(110)가 상기 사용자의 몸통 상부에 두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세 팔측 흉부 전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즉, 우세 팔(dominant arm)이 오른팔인 경우에는 몸통 밴드부(110)와 상완 밴드부(120)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위(121)는 사용자의 오른쪽 흉부 전면이 되며, 우세 팔(dominant arm)이 왼팔인 경우에는 몸통 밴드부(110)와 상완 밴드부(120)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위(121)는 사용자의 왼쪽 흉부 전면이 될 것이다.
도 1의 일 실시예에서 상완 밴드부(120)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아울러 길이 조절을 위한 왈자고리(122)를 더 포함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몸통 밴드부(110)에서 방향이 바뀌어 형성되고, 이는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제2 결합부위(131)에서 방향이 어깨 위쪽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제2 결합부위(131)는 제1 결합부위(111)와 동일한 위치일 수 있고, 제1 결합부위(111)을 형성하는 연결 고리 중 하나가 사각 링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제2 결합부위(131)에서 몸통 밴드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여기에 왈자고리(133)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제2 결합부위(131)에서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의 어깨 중 적어도 한 부분을 걸쳐 넘어 상기 사용자의 등쪽에서 몸통 밴드부(110)의 적어도 다른 일 영역인 제3 결합부위(132)와 결합된다. 이때,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사각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제3 결합부위(132)를 통해 방향이 반전된 후 왈자고리(134)에서 그 길이가 조절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제1 결합부위(121)의 위치가 사용자의 스윙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완 밴드부(120)가 착용된 우세 팔의 상완이 사용자의 흉부 전면로부터 옆구리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결합부위(121)를 잡아당겨 상기 몸통 밴드부(110)가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몸통 밴드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옆구리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몸통 밴드부(110)과 상완 밴드부(120)의 결합위치인 제1 결합부위(121)의 위치를 흉부 전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여 몸통 밴드부(110)가 길이 방향으로 옆구리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완 밴드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상완이 사용자의 몸통에서 멀어지거나 사용자의 옆구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등의 움직임을 차단하며 상완을 흉부 전면에서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도 길이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길이 조절을 위한 이중 밴드 구조를 갖고 왈자고리(134)를 통해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도 몸통 밴드부(110)에서 이어진 밴드가 아닌 서로 고정 고리를 통해 탈부착할 수 있는 독립된 밴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몸통 밴드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인 제2 결합부위(131)에서 결합되고, 제2 결합부위(131)에서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의 어깨 중 적어도 한 부분을 걸쳐 넘어 상기 사용자의 등쪽에서 몸통 밴드부(110)의 적어도 다른 일 영역인 제3 결합부위(132)와 결합된다.
이때,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는 양 끝단에 고정 고리를 더 포함하고, 각각 의 양 고정 고리를 통해 제2 결합부위(131) 및 제3 결합부위(132)에서 몸통 밴드부(110)과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몸통 밴드부(110)과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위(131) 및 제3 결합부위(132)는 사용자의 몸통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위(131)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오른쪽 가슴 부분에 위치한다면, 제3 결합부위(132)는 사용자의 왼쪽 등 부분에 위치하고, 제2 결합부위(131)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왼쪽 가슴 부분에 위치한다면, 제3 결합부위(132)는 사용자의 오른쪽 등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의 목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위(121), 제2 결합부위(131) 및 제3 결합부위(132)는 사용자의 양 팔 중 상완 밴드부를 착용하는 팔의 위치에 따라 대칭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완 밴드부(120)를 사용자의 오른쪽 상완에 두른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위(121) 및 상기 제2 결합부위(131)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흉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결합부위(132)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등에 배치된다. 만일 사용자가 상완 밴드부(120)를 상기 사용자의 왼쪽 상완에 두른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위(121) 및 상기 제2 결합부위(131)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흉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결합부위(132)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등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자세 유도기(100)의 몸통 밴드부(110), 상완 밴드부(120) 및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은 서로 독립된 밴드가 아닌 하나의 길게 이어진 밴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몸통 밴드부(110)와 상완 밴드부(120)만 하나의 길게 이어진 밴드로 구성되고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은 연결 고리를 통해 몸통 밴드부(110)에 탈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몸통 밴드부(110)와 어깨 걸이 밴드부(130)만 하나의 길게 이어진 밴드로 구성되고 상완 밴드부(120)가 연결 고리를 통해 몸통 밴드부(110)에 탈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며, 몸통 밴드부(110)의 제1 결합부위(121)는 하나의 사각형 링 또는 원형 링으로 구성되고, 몸통밴드부(110)는 암수 고정 고리(111)의 일 끝단에서 시작하여 제1 결합부위(121)의 사각형 링을 통과하여 상완 밴드부(120)를 형성한 후, 다시 제1 결합부위(121)의 사각형 링을 통과하여 다시 몸통 밴드부(110)을 형성한 후, 암수 고정 고리(111)의 다른 끝단까지 이어진다. 그리고 몸통 밴드부(110)의 탄성 밴드는 제2 연결 고리(131)의 또 다른 사각형 또는 연결 각도 조절을 위한 다른 형상의 링을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을 형성하고, 이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은 제3 결합 부위(132)에서 연결 고리를 통해 몸통 밴드부(110)의 일 영역과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몸통 밴드부(110)은 왈자 고리(112)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 밴드이고, 몸통 밴드부(110), 상완 밴드부(120) 및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이 하나의 길 밴드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된 길이 조절용 하나의 왈자 고리(112) 만으로도 각각의 몸통 밴드부(110), 상완 밴드부(120) 및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130)의 길이를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결합부위(121)가 탈부착되어 상완 밴드부(120)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세 유도기와 달리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가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에서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걸치는 용도의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 및 사용자의 왼쪽 어깨에 걸치는 용도의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 한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서로 다른 제2 결합부위 및 서로 다른 제3 결합부위에서 몸통 밴드부와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 스윙 연습을 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오른 상완의 중간부분을 오른쪽 흉부 전면에 밴드를 이용해 고정해서 움직임을 제한하면 오른팔이 몸통의 움직임에 동반해서 움직여질 수밖에 없다. 즉, 몸통은 움직이지 않고 오른팔만 따로 움직여서는 골프 스윙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오른 상완을 흉부 전면에 고정하면 오른팔이나 왼팔 위주의 스윙으로는 타격이 성공하지 못하고 반드시 몸통의 회전이 일어나야만 스윙 타격이 성공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오른 상완이 몸통에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골프클럽의 스윙궤도는 몸통의 움직임에 의해 좌우되게 된다. 결국 몸통의 움직임은 단순하기 때문에 골프클럽의 스윙궤도가 아주 쉽게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한 상태에서 골프 스윙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상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오른쪽 흉부 전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해 있으며, 상완이 흉부 전면에서 많이 떨어지거나 옆구리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윙을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골프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스윙을 할 때마다 우세 팔의 상완 위치가 조금씩 달라져서 일관적인 스윙 모션을 갖추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본 발명의 자세 유도기를 착용하면 우세 팔의 상완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쉽게 일관된 모션을 익힐 수 있고, 추후 자세 유도기를 제거하더라도 몸에 익숙해진 올바른 모션이 나타나게 되어 쉽게 골프에 입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신의 골프 스윙에 불만족을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스윙을 바꾸고자 시도할 때 이와 같은 자세 유도기를 착용하면 우세 팔의 상완 위치에 따른 스윙 형태 변화 등을 몸으로 느낄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스윙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게 됨으로 아주 빨리 올바른 스윙 메커니즘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를 이용하면, 우세 팔의 상완이 흉부 전면에 들어올려진 상태로 흉부 전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흉부가 먼저 움직여져야 상완이 함께 움직여지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런고로 몸통이 먼저 회전해야 양팔이 몸통 회전에 딸려나와 골프클럽이 뿌려지는 전신스윙(몸통스윙)이 가능해지는 교정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상완 밴드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완의 이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제한할 수 있기때문에 상완의 과도한 움직임 즉, 팔의 과도한 움직임을 막아주어 오른팔 또는 왼팔 위주의 스윙을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상완을 흉부 전면에 탄력적으로 고정하여 팔꿈치가 몸통 바깥쪽으로 멀어지는 자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골프스윙 백스윙 탑에서 상완이 과도하게 하늘 쪽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편안하고 근육 긴장 없이 깊은 백스윙이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도기는 테니스의 발리 스윙 연습 시 라켓을 잡고 있는 손이 몸보다 먼저 나아가는 것을 막아주어 전신을 이용한 발리 스윙이 되도록 발리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운동 자세 유도를 위한 자세 유도기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 흉부에 두르고 상기 자세 유도기를 상기 사용자의 몸통에 고정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몸통 밴드부;
    상기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일부인 제1 결합부위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우세 팔 상완에 두르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상완 밴드부로, 상기 제1 결합 부위는 상기 몸통 밴드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통 상부에 두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세 팔측 흉부 전면에 밀착하여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상완 밴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일 영역인 제2 결합부위에서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위에서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의 어깨 중 적어도 한 부분을 걸쳐 넘어 상기 사용자의 등쪽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의 적어도 다른 일 영역인 제3 결합부위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부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완 밴드부가 착용된 상완이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옆구리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부위를 잡아당겨 상기 몸통 밴드부가 상기 사용자의 흉부 전면에서 상기 몸통 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옆구리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결합부위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우세 팔의 상완을 흉부 전면으로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위, 상기 제2 결합부위 및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사용자의 우세 팔 위치에 따라 대칭적으로 변경가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완 밴드부를 사용자의 오른쪽 상완에 두른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위 및 상기 제2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흉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등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완 밴드부를 상기 사용자의 왼쪽 상완에 두른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위 및 상기 제2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흉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등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위와 상기 제3 결합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걸이 고정 밴드부는 양 끝단에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위 및 상기 제3 결합부위에서 상기 고정 고리를 통해 상기 몸통 밴드부와 탈착 가능하고, 길이 조절 가능한 이중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밴드부는 길이 조절 가능한 이중 밴드이며, 양 끝단에 한 쌍의 암수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암수 고정 고리를 통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가 제1 결합부위는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완 밴드부와 상기 몸통 밴드부는 하나의 밴드부로 형성되며,
    상기 상완 밴드부는 상기 제1 결합부위의 상기 링을 통해 상기 몸통 밴드부에서 연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완 밴드부는 양 끝단에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위에서 상기 고정 고리를 통해 상기 몸통 밴드부와 탈착 가능하고, 길이 조절 가능한 이중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완 밴드부 또는 상기 몸통 밴드부는 다수의 밴드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도기.
KR1020200152387A 2020-11-14 2020-11-14 자세 유도기 KR10227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387A KR102271969B1 (ko) 2020-11-14 2020-11-14 자세 유도기
PCT/KR2021/014529 WO2022103000A1 (ko) 2020-11-14 2021-10-19 자세 유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387A KR102271969B1 (ko) 2020-11-14 2020-11-14 자세 유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969B1 true KR102271969B1 (ko) 2021-07-02

Family

ID=7689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387A KR102271969B1 (ko) 2020-11-14 2020-11-14 자세 유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1969B1 (ko)
WO (1) WO20221030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000A1 (ko) * 2020-11-14 2022-05-19 김영식 자세 유도기
KR20240046814A (ko) 2022-10-02 2024-04-09 홍재명 바디스윙 연습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6554A (en) * 1998-10-23 2000-10-03 Swing Jacket International Corporation Swing training device
US6196931B1 (en) * 1999-02-17 2001-03-06 David B. Wilt Apparatus for developing golf swing
US6767290B1 (en) * 2003-02-28 2004-07-27 Christopher K. Tan Golf training aid
KR101222325B1 (ko) * 2011-12-21 2013-01-15 김태섭 다기능 골프 스윙 연습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969B1 (ko) * 2020-11-14 2021-07-02 김영식 자세 유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6554A (en) * 1998-10-23 2000-10-03 Swing Jacket International Corporation Swing training device
US6196931B1 (en) * 1999-02-17 2001-03-06 David B. Wilt Apparatus for developing golf swing
US6767290B1 (en) * 2003-02-28 2004-07-27 Christopher K. Tan Golf training aid
KR101222325B1 (ko) * 2011-12-21 2013-01-15 김태섭 다기능 골프 스윙 연습 기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Callaway Connect Easy Swing Trainer (https://www.golfonline.co.uk/callaway-connect-easy-swing-trainer)
2. Callaway Swing-Easy, Full Swing Training Aid (https://www.amazon.com/Callaway-C30325-Swing-Easy/dp/B006YTYM8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000A1 (ko) * 2020-11-14 2022-05-19 김영식 자세 유도기
KR20240046814A (ko) 2022-10-02 2024-04-09 홍재명 바디스윙 연습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3000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716B2 (en) Training device for performance enhancement within sports
US7758436B2 (en) Training device for swinging and hitting activities
US6129638A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JP2000503224A (ja) スポーツ用の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方法および用具
KR102271969B1 (ko) 자세 유도기
JPS615857A (ja) 人体鍛練装置
US20100105531A1 (en) Sports skills training device
US8852015B1 (en) Golf training aid
US6206787B1 (en) Golf training device
US11697052B2 (en) Golf hip-turn training device
AU2022201200B2 (en) A ball striking swing training aid
KR100607686B1 (ko) 클럽 스윙훈련 방법
US6027413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method
KR102359804B1 (ko) 골프 스윙 및 퍼팅 자세 교정구
KR100793442B1 (ko) 골프 보조기구
KR102308081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구
US20030190984A1 (en) Volleyball training device
KR101907314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기
KR200441958Y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AU2018100114A4 (en) A ball striking swing training aid
KR101991631B1 (ko) 엉덩관절(고관절)의 회전성을 키워주는 스윙 연습기
JPH01136677A (ja) 運動選手用トレーニング装置
JP2983940B2 (ja) スイング練習用具
JP2004065959A (ja) スポーツのフォーム矯正装着着
JP3162004U (ja) テニス練習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