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19B1 -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19B1
KR102271819B1 KR1020200155356A KR20200155356A KR102271819B1 KR 102271819 B1 KR102271819 B1 KR 102271819B1 KR 1020200155356 A KR1020200155356 A KR 1020200155356A KR 20200155356 A KR20200155356 A KR 20200155356A KR 102271819 B1 KR102271819 B1 KR 10227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hanger
support
vertical direc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819B9 (ko
Inventor
배민수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피엠씨
배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피엠씨, 배민수 filed Critical (주)네오피엠씨
Priority to KR102020015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19B1/ko
Publication of KR10227181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1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5Conta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을 파지하는 지그의 상하방향 길이를 자동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는, 일단이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결합되고, 기판의 상단을 파지하는 제1클램프가 장착된 상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판의 하단을 파지하는 제2클램프가 장착된 하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하부지그부의 상대적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지그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간의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 LENGTH VARIABLE APPARATUS OF ELECTROPLATING JIG }
본 발명은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을 파지하는 지그의 상하방향 길이를 자동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을 도금하는 도금장치에는 기판을 파지하는 지그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그에는 클램프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상기 지그는 기판을 파지한다.
상기 기판의 도금시 상기 지그를 통해 공급된 전류는 상기 지그와 클램프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달되어 상기 기판에 전해도금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기판을 파지하는 상기 지그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 및 클램프의 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있어, 크기가 다른 기판을 도금할 때에는 크기가 다른 지그를 제작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그의 상하길이 또는 가로방향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지그가 선행기술들에 나타나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지그의 상하방향 길이를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가변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247298 등록특허 10-138811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을 파지하는 지그의 상하방향 길이를 가변시킬 때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키고 상부지그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지그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는, 일단이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결합되고, 기판의 상단을 파지하는 제1클램프가 장착된 상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판의 하단을 파지하는 제2클램프가 장착된 하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하부지그부의 상대적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지그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간의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그부는,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제1상부지지대와; 상기 제1상부지지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그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대와 제1하부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상부지지대와; 상기 제2상부지지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측면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하부지지대와; 상기 제2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상부지지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이송레일과; 일단이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그와; 상기 지그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지그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는, 일단이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결합되고, 기판의 상단을 파지하는 제1클램프가 장착된 상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판의 하단을 파지하는 제2클램프가 장착된 하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하부지그부의 상대적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그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지그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지그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에 의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하이동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지그부에 장착된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하부지그부에 장착된 상기 제2클램프 간의 거리를 가변시킨다.
상기 락킹부재를 해제시키는 락해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고정부재가 상기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락해제부재는 상기 락킹부재를 해제시켜, 상기 승강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부가 상기 하부지그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지그부는,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제1상부지지대와; 상기 제1상부지지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하부지지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그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대와 제1하부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상부지지대와; 상기 제2상부지지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측면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하부지지대와; 상기 제2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고정부재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상부지지대가 상기 지그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부를 지지하는 행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행거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행거부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행거지지부재에는 상기 지그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행거부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조절하는 좌우위치조절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는 상기 행거지지부재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행거부가 상기 행거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행거부는 좌우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는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덮도록 덮개부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가 상기 행거부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행거부가 상기 행거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행거가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행거가압부재는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가 상기 행거부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가 상기 행거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금용 지그의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지그의 상하길이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이렇게 상하방향의 길이가 가변된 지그에 추후에 다양한 길이의 기판을 파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기판을 파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지그의 상하방향 길이를 자동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행거지지부재가 상승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 좌우위치조절부재에 의해 행거부의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행거가압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서 지그고정부재가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락해제부재가 락킹부재를 해지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승강프레임이 상승하여 상부지그부 및 행거부가 상승하여 지그의 상하길이가 가변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락해제부재가 후퇴하여 락킹부재가 작동되고, 지그고정부재가 후퇴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되기 전의 지그와 가변된 후의 지그의 정면도.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11)와,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와, 락킹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부(11)는 수평바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이송레일(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지그부(12)는 상기 행거부(11)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결합되고, 기판의 상단을 파지하는 다수개의 제1클램프(13d)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그부(13)는 상기 상부지그부(12)와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판의 하단을 파지하는 다수개의 제2클램프(13d)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락킹부재(14)는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의 상대적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킨다.
상기 락킹부재(14)에 잠금상태에 있으면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의 상대적 상하방향 이동이 저지되고, 해제상태가 되면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는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락킹부재(14)의 구체적인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지그부(13)가 고정되고 상기 락킹부재(14)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클램프(13d)와 제2클램프(13d) 간의 거리가 가변된다.
상기 상부지그부(12)는, 제1상부지지대(12a)와, 가이드바(12b)와, 제1하부지지대(13c)와, 제1클램프(1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부지지대(12a)는 상기 행거부(11)의 타단에서 가로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12b)는 상기 제1상부지지대(12a)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대(13c)는 상기 제1상부지지대(12a)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12b)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대(13c)는 상기 제1상부지지대(12a)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1클램프(13d)는 상기 제1하부지지대(13c)에서 하방향으로 개폐되게 결합되어, 기판의 상부를 파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그부(13)는, 제2상부지지대(13a)와, 측면지지대(13b)와, 제2하부지지대(13c)와, 제2클램프(1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지지대(12a)와 제1하부지지대(13c)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는 상기 가이드바(12b)에 상호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그부(13)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1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를 관통하는 상기 가이드바(12b)가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측면지지대(13b)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대(13c)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지지대(13b)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대(13c)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2클램프(13d)는 상기 제2하부지지대(13c)에서 상하방향으로 개폐되게 결합되어, 기판의 하부를 파지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하부지그부(13) 중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바(12b)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램프(13d)와 제2클램프(13d) 간의 간격이 가변되어, 추후에 그 사이에 파지되는 기판의 상하 길이가 변경되어도 하나의 지그(1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판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10)의 상하길이 가변장치는,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과, 승강프레임(120)과, 승강부재(130)와, 이송레일(140)과, 지그(10)와, 지그고정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하부가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120)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상기 승강프레임(120)을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재(130)는 LM가이드, 볼스크류, 체인, 밸트,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레일(140)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지그(10)는 일단이 상기 이송레일(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지그(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10)와 같다.
상기 지그고정부재(150)는 상기 지그(10)의 일부를 고정시켜 상기 지그(10)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고정부재(150)는 상기 하부지그부(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승강부재(130)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승강프레임(120)은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지그부(13)는 상기 지그고정부재(15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지그고정부재(150)에 의해 상기 하부지그부(13)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130)에 의한 상기 승강프레임(120)의 상하이동시 상기 승강프레임(120)은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지그부(12)에 장착된 상기 제1클램프(13d)와 상기 하부지그부(13)에 장착된 상기 제2클램프(13d) 간의 거리를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10)의 상하길이 가변장치는, 락해제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해제부재(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재(14)가 배치된 좌측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상부지그부(12)가 상기 하부지그부(1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락킹부재(14)를 해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락해제부재(16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락킹부재(14)를 누름으로서 상기 락킹부재(14)를 해제시키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고정부재(150)가 상기 하부지그부(1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해제부재(160)는 상기 락킹부재(14)를 해제시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부(12)가 상기 하부지그부(13)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고정부재(150)는 상기 하부지그부(13)의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가 상기 지그고정부재(1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바(12b)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금용 지그(10)의 상하길이 가변장치는, 행거지지부재(170)와 좌우위치조절부재(180)와 행거가압부재(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행거지지부재(170)는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부(11)를 지지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지지부재(17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행거부(11)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는 상기 행거지지부재(170)에 장착된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0)가 상기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행거부(11)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조절한다.
즉,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는 상기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된 상기 지그(1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일률적으로 위치하도록 그 위치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는 상기 행거지지부재(170)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10)가 이동하여 상기 행거부(11)가 상기 행거지지부재(17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행거부(11)는 좌우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에는 상기 행거부(11)의 상부를 덮도록 덮개부(181)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가 상기 행거부(11)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81)는 상기 행거부(11)의 상부를 덮어 상기 행거부(11)가 상기 행거지지부재(17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행거가압부재(190)는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장착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부(11)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행거가압부재(190)는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가 상기 행거부(11)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행거부(11)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11)가 상기 행거지지부재(17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상기 행거가압부재(190)는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180)에 상기 덮개부(181)가 형성된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도금용 지그(10)의 상하길이를 가변시키는 방법은, 행거지지단계와, 좌우위치조절단계와, 가압고정단계와, 고정단계와, 해제단계와, 가변단계와, 락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지지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된 상기 지그(10)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부(11)의 하부를 행거지지부재(170)로 지지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행거지지단계에서는 이송된 후 정지된 상기 지그(10)에서 상기 행거지지부재(170)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행거부(11)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0)가 상기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행거부(11)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압고정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부(11)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행거지지부재(17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행거부(11)가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상기 행거지지단계, 좌우위치조절단계 및 가압고정단계에 의해, 상기 행거부(11)는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상하좌우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된 상기 지그(10)에서 상기 하부지그부(13)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고정부재(150)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지그부(13)의 제2상부지지대(13a)를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락킹부재(14)에 의해 잠금상태에 있는 상기 상부지그부(12)의 상하이동으로 해제시키는 단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해제부재(16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락킹부재(14)를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해제단계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부(12) 및 행거부(11)는 고정된 상기 하부지그부(1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가변단계는 상기 락킹부재(14)가 해제되고 상기 하부지그부(13)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클램프(13d)와 제2클램프(13d)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가변단계에서는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행거부(11)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바(12b)가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행거부(11)의 지지하는 상기 행거지지부재(170), 좌우위치조절부재(180), 행거가압부재(190)는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변단계에서 상기 행거부(11)를 지지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12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상기 락킹단계는 상기 락킹부재(14)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의 상대적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락킹단계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해제부재(160)를 상기 락킹부재(14)로부터 후퇴시켜 상기 락킹부재(14)가 상기 상부지그부(12)와 하부지그부(13)의 상대적 이동으로 정지시켜 잠금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고정부재(150)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13a)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하부지그부(13)의 고정을 해제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도금용 지그(10)의 하부지그부(1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10)의 상하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이렇게 상하방향의 길이가 가변된 지그(10)를 이용하여 추후에 상하길이가 다른 기판을 파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지그(10)를 이용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기판을 파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지그(10)의 상하방향 길이를 자동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지그, 11 : 행거부, 12 : 상부지그부, 12a: 제1상부지지대, 12b : 가이드바, 12c : 제1하부지지대, 12d : 제1클램프,
13 : 하부지그부, 13a ; 제2상부지지대, 13b : 측면지지대, 13c : 제2하부지지대, 13d : 제2클램프, 14 : 락킹부재,
110 : 고정프레임, 120 : 승강프레임, 130 : 승강부재, 140 : 이송레일, 150 : 지그고정부재, 160 : 락해제부재, 170 : 행거지지부재, 180 : 좌우위치조절부재, 181 : 덮개부, 190 : 행거가압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이송레일과;
    일단이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그와;
    상기 지그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지그고정부재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부를 지지하는 행거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는,
    일단이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결합되고, 기판의 상단을 파지하는 제1클램프가 장착된 상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판의 하단을 파지하는 제2클램프가 장착된 하부지그부와;
    상기 상부지그부와 하부지그부의 상대적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그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지그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지그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에 의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하이동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지그부에 장착된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하부지그부에 장착된 상기 제2클램프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며,
    상기 상부지그부는,
    상기 행거부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제1상부지지대와;
    상기 제1상부지지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그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대와 제1하부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상부지지대와;
    상기 제2상부지지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측면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하부지지대와;
    상기 제2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그고정부재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상부지지대가 상기 지그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그부와 행거부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2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행거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행거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행거지지부재에는 상기 지그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행거부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조절하는 좌우위치조절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는 상기 행거지지부재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가 상기 행거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행거부는 좌우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를 해제시키는 락해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고정부재가 상기 하부지그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락해제부재는 상기 락킹부재를 해제시켜, 상기 승강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부가 상기 하부지그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는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덮도록 덮개부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가 상기 행거부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행거부가 상기 행거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10.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행거가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행거가압부재는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가 상기 행거부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행거부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가 상기 행거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KR1020200155356A 2020-11-19 2020-11-19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KR10227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56A KR102271819B1 (ko) 2020-11-19 2020-11-19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56A KR102271819B1 (ko) 2020-11-19 2020-11-19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19B1 true KR102271819B1 (ko) 2021-07-02
KR102271819B9 KR102271819B9 (ko) 2022-04-11

Family

ID=7689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56A KR102271819B1 (ko) 2020-11-19 2020-11-19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511U (ja) * 2010-09-22 2010-12-02 上村工業株式会社 ハンガー交換装置
KR101247298B1 (ko) 2012-11-08 2013-03-25 (주) 탑스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101388114B1 (ko) 2012-11-21 2014-04-23 (주)포인텍 도금장치용 폭 가변형 지그
KR20150145540A (ko) * 2014-06-20 2015-12-30 (주)포인텍 기판 도금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511U (ja) * 2010-09-22 2010-12-02 上村工業株式会社 ハンガー交換装置
KR101247298B1 (ko) 2012-11-08 2013-03-25 (주) 탑스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101388114B1 (ko) 2012-11-21 2014-04-23 (주)포인텍 도금장치용 폭 가변형 지그
KR20150145540A (ko) * 2014-06-20 2015-12-30 (주)포인텍 기판 도금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19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822B1 (ko)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를 가변시키는 방법
US20060105612A1 (en) Printed circuit board clamp
JP3307024B2 (ja) パーツフィーダ供給装置
US20180255670A1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component
US6722027B2 (en) Method of positioning of self-adjusting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
KR102271819B1 (ko) 도금용 지그의 상하길이 가변장치
JPH0249560B2 (ko)
US7008165B1 (en) Door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JPS61168446A (ja) プリント基板位置決め装置
US6364194B1 (en) Soldering apparatus
EP3589460B1 (en) Gripping system
KR102380767B1 (ko) 도금용 행거의 클램핑 이송장치
CN211989498U (zh) 基板涂布设备
KR100801604B1 (ko) 검사대상물 클램핑장치
WO2021101678A1 (en)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sheets of brittle material
JP3872840B2 (ja) 基板位置決め装置
CN212851664U (zh) Pcb板的夹持定位机构
CN218402373U (zh) 一种线材输送线
KR20210011960A (ko) 기판 유지 장치
KR102305767B1 (ko) 엣지형 조명등 장치
JPS61197138A (ja) 調節可能なプリント基板位置決め装置
KR102318657B1 (ko) 오에이치티의 호이스트 벨트 길이조절장치
JP2538128Y2 (ja) めっき用ハンガーへのワーク装着装置
JPH04269133A (ja) ワークの位置決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23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