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411B1 -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411B1
KR102271411B1 KR1020140153699A KR20140153699A KR102271411B1 KR 102271411 B1 KR102271411 B1 KR 102271411B1 KR 1020140153699 A KR1020140153699 A KR 1020140153699A KR 20140153699 A KR20140153699 A KR 20140153699A KR 102271411 B1 KR102271411 B1 KR 10227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ing unit
resistance element
electronically controlled
exter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287A (ko
Inventor
최상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20Switches, e.g. mercury or ball type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8Failure or malfunction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Abstract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외부 신호에 따라 제1 전원에 대응하고,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 판단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에 대한 페일 여부 판단을 위해 상기 외부 신호에 따라 제2 전원에 대응하는 페일 세이프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제2 스위칭부; 상기 모니터링 신호 및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전자 제어 서스펜션이 슬립 모드로 전환될 시 발생하는 암전류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External signal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신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제어 서스펜션이 외부 신호에 따라 슬립모드로 전환될 시 발생하는 암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Suspension)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차량이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수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ECS(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전자 제어 서스펜션)는 차량의 주행 시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고, 기계식 서스펜션을 장착한 차량 보다 우수한 승차감을 확보하고자 노면 상태 및 주행 상황에 따라 실 시간적이고 연속적인 댐핑 제어를 통해 승차감 향상 등의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ECS는 자동차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차량의 정차 등의 불필요 시에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CS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기능이 중지되는 슬립 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ECS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슬립모드 진입 시 불필요한 소자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최소한의 소모 전류를 유지한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각종 신호에 따라 슬립모드와 정상모드로 전환 가능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각종 신호로는 전원 스위치(Ignition) 온에 따른 IGN 신호, 차량 도어의 락(Lock) 및 언락(Unlock) 상태에 따른 도어(Door)신호 및 차량 트렁크의 열림(오픈) 및 닫힘(클로즈) 상태에 따른 트렁크 신호가 있을 수 있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이러한 각종 외부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해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전단부에 외부 신호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신호 입력 장치는 클로즈 상태 또는 오픈 상태로 변경되는 차량 트렁크의 트렁크 신호가 입력되면, 트렁크 신호를 모니터링 신호로 바꾸어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MCU(Micro Control Unit)로 전달하며, MCU는 전달 받은 모니터링 신호를 통해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슬립 모드 또는 정상 모드로 동작시키고 있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차량 트렁크가 클로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변경되면, 이에 따른 모니터링 신호를 분석한 MCU에 의해 슬립 모드로 동작하게 되며, 슬립 모드 상태로 전환될 시 전류가 소모되며, 이때 소모되는 전류를 암전류라고 한다.
도 1의 외부 신호 입력 장치는 슬립모드로 전환될 시 702[μA](3.3V/4.7k)의 암전류를 발생시키며, 또한, 트렁크 신호 입력이 페일(fail)일 경우, 트렁크 신호를 인가 받지 못하여 슬립 모드로 전환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소모가 늘어나고, 배터리의 수명을 줄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 신호에 따라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에 흐르는 암전류를 저감하여 차량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는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외부 신호에 따라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 판단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에 대한 페일 여부 판단을 위해 상기 외부 신호에 따라 페일 세이프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신호 및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입출력 단자; 일단이 상기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소자; 및 일단이 상기 입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저항 소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신호와 대응하는 제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일단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제3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제1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저항 소자에 접속된 베이스, 상기 제3 저항 소자에 접속된 콜렉터 및 그라운드와 연결된 이미터를 갖는 NPN 트랜지스터; 및 일단이 상기 제1 저항 소자와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단부에 연결되는 제4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저항 소자의 타단에 접속된 베이스, 상기 제2 전원부에 접속된 콜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 PNP 트랜지스터; 일단이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된 제5 저항 소자; 및 일단이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상기 제5 저항 소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단부에 연결되는 제6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트렁크가 클로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배터리 전압이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트렁크가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접지 전압이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트렁크가 상기 입출력 단자와 단절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으로 인해 상기 모니터링 신호와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동시에 로우 레벨이면,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지 전압으로 인해 상기 모니터링 신호와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동시에 하이 레벨이면,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 신호의 신호 레벨이 로우 레벨이고,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 레벨이면, 상기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에 의하면, 외부 신호에 따라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암전류를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차량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의 전원 소모를 줄임과 동시에 배터리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의 정비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의 기능에 따른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100)는 외부 신호에 따라 전자 제어 서스펜션에 적용될 모드를 판단하거나 상기 외부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차량의 트렁크)의 신호 입력의 페일(Fail)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로서, 입력부(110), 제1 전원부(120), 제1 스위칭부(130), 제2 전원부(140), 제2 스위칭부(150) 및 판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에 장착된 장치(트렁크)와 연결되어 외부 신호를 전달 받아 입력하는 장치로서, 입출력 단자(I/O), 제1 저항 소자(R1) 및 제2 저항 소자(R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단자(I/O)는 외부 신호나 내부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단자이다. 입출력 단자(I/O)는 외부 신호에 상응하는 배터리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제1 스위칭부(130) 및 제2 스위칭부(150)로 인가할 수 있다.
제1 저항 소자(R1)는 적절한 전압 강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스위칭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항 소자(R1)는 예를 들면 100[kΩ] 일 수 있다.
제2 저항 소자(R2)는 적절한 전압 강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스위칭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 소자(R2)는 예를 들면 2.2[kΩ] 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가 입출력 단자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없는 상황(페일 상태)이면, 제1 저항 소자(R1)와 제2 저항소자(R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페일 여부는 추후 설명할 판단부(160)의 판단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제1 전원부(120)는 제1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V1) 및 제3 저항 소자(R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원은 모니터링 신호와 상응한다. 제1 배터리(V1)는 제1 스위칭부(13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1 스위칭부(130)로 제1 전원을 전달하거나 판단부(160)로 제1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이다. 제1 배터리(V1)는 예를 들면 3.3[V]의 제1 전원을 가질 수 있다.
제3 저항 소자(R3)는 적절한 전압 강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스위칭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 소자(R3)는 예를 들면 200[kΩ]일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30)는 NPN 트랜지스터(Q1) 및 제4 저항 소자(R4)를 포함할 수 있다.
NPN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Base), 콜렉터(Collector) 및 이미터(Emitter)로 구성되는 반도체 소자로서, 베이스는 제1 저항 소자와 접속되고, 콜렉터는 제3 저항 소자(R3)와 접속되며, 이미터는 그라운드(Gnd)와 연결될 수 있다.
NPN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외부 신호에 따라 제1 전원부(120)가 부하 없이 그라운드(Gnd)에 바로 연결되게 하거나 판단부(160)에 제1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제4 저항 소자(R4)는 적절한 전압 강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제1 저항 소자(R1)에 직렬로 연결되고,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타단이 판단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 소자(R4)는 예를 들면 1[kΩ]일 수 있다.
제2 전원부(140)는 제2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V2)이며, 제2 전원은 예를 들면 3.3[V]일 수 있다. 제2 전원부(140)는 제 2 스위칭부(15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2 스위칭(150)로 제2 전원을 전달하거나 판단부(160)로 제2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은 페일 세이프 신호와 상응한다.
제2 스위칭부(150)는 PNP 트랜지스터(Q2), 제5 저항 소자(R5) 및 제6 저항 소자(R6)를 포함할 수 있다.
PNP 트랜지스터(Q2)는 NPN 트랜지스터(Q1)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콜렉터 및 이미터로 구성되는 반도체 소자로서, 베이스는 제2 저항 소자와 접속되고, 콜렉터는 제2 전원부와 접속되며, 이미터는 추후 설명할 제5 저항 소자 및 제6 저항 소자와 접속될 수 있다.
PNP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외부 신호에 따라 제2 전원부(120)가 그라운드(Gnd)에 바로 연결되게 하거나 판단부(160)에 제2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제5 저항 소자(R5)는 적절한 전압 강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PNP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 소자(R6)는 예를 들면 470[kΩ]일 수 있다.
제6 저항 소자(R6)는 적절한 전압 강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PNP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제5 저항 소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판단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저항 소자(R6)는 예를 들면 1[kΩ] 일 수 있다.
판단부(160)는 제1 전원부(120)의 제1 전원에 상응하는 모니터링 신호(Monitoring_Sig) 및 제2 전원부(140)의 제2 전원에 상응하는 페일 세이프 신호(Fail_safe_sig)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판단하거나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판단부(160)는 제1 스위칭부(130)와 제2 스위칭(150)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외부 신호에 따라 모니터링 신호 및 페일 세이프 신호가 입력되면, 모니터링 신호 및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라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판단하거나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에 외부 신호(12V 배터리 전원)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전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신호는, 차량 트렁크의 상태가 클로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변경되어 나타나는 신호이며, 이러한 외부 신호를 입력 받게 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정상 동작 도중에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먼저, 외부 신호(12V 배터리 전압)에 따른 전류가 제1 스위칭부(130) 및 제2 스위칭부(150)로 전달되면, 제1 전원부(120)는 제1 스위칭부(130)의 PNP 트랜지스터(Q1)가 턴온 상태로 변환됨으로써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되며, 이에 따라 판단부(160)로 제1 전원을 인가할 수 없으며, 제2 전원부(140)는 제2 스위칭부(150)의 NPN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 상태로 변환되고, 제2 전원에 따른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판단부(160)에 제2 전원을 인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판단부(160)는 각각이 로우 레벨인 모니터링 신호(Monitoring_sig)와 페일 세이프 신호(fail_safe_sig)를 전달 받게 된다.
판단부(160)는 모니터링 신호와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동시에 로우 레벨(0[V])이면,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슬립 모드는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그 기능이 필요 없는 경우 전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그 기능을 중지하는 모드이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이 슬립 모드로 전환되면, 암전류는 3.3[V]/200[kΩ]에 따라 16.5[μA]이 소모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암전류(702[μA]) 보다 적게 소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에 외부 신호(접지 전압)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전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신호는, 차량 트렁크의 상태가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어 나타나는 신호이며, 이러한 외부 신호를 입력 받게 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슬립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된다.
먼저, 외부 신호(접지 전압)가 인가되면, 제1 전원부(120)는 제1 스위칭부(130)의 PNP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 상태로 변환됨으로써 그라운드와 연결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판단부(160)에 제1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2 전원부(140)는 제2 스위칭부(150)의 NPN 트랜지스터(Q1)가 턴온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그라운드 및 판단부(160)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판단부(160)에 제2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NPN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를 통해 제2 전원부(140)에 따른 전류가 소모되며, 이때 전류는 접지 전압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판단부(160)는 각각이 하이 레벨(3.3[V])인 모니터링 신호(Monitoring_sig)와 페일 세이프 신호(fail_safe_sig)를 전달 받게 된다.
판단부(160)는 접지 전원으로 인해 모니터링 신호와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동시에 하이 레벨(3.3[V])이면,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정상 모드는 차량이 안정되게 주행되도록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에 외부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의 전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입출력 단자(I/O)가 고장 등으로 인해 외부 장치(차량 트렁크)와 연결이 끊기게 되면, 제1 스위칭부(130)와 제2 스위칭부(15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칭부(150)의 NPN 트랜지스터(Q2)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전원부(140)의 제2 전원은 판단부(160)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NPN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부터 제1 스위칭부(130)로 제2 전원부(140)에 따른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제1 스위칭부(130)의 PNP 트랜지스터(Q1)는 턴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전원부(120)는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되어 판단부(160)로 제2 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판단부(160)는 로우 레벨(0[V])인 모니터링 신호(Monitoring_sig)와 하이 레벨(3.3[V])인 페일 세이프 신호(fail_safe_sig)를 전달 받게 된다.
판단부(160)는 모니터링 신호의 신호 레벨이 로우 레벨(0[V])이고,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 레벨(3.3[V])이면,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입력부
120: 제1 전원부
130: 제1 스위칭부
140: 제2 전원부
150: 제2 스위칭부
160: 판단부

Claims (12)

  1.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외부 신호에 따라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 판단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에 대한 페일 여부 판단을 위해 상기 외부 신호에 따라 페일 세이프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신호 및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입출력 단자;
    일단이 상기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소자; 및
    일단이 상기 입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저항 소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신호와 대응하는 제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일단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제3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제1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저항 소자에 접속된 베이스, 상기 제3 저항 소자에 접속된 콜렉터 및 그라운드와 연결된 이미터를 갖는 NPN 트랜지스터; 및
    일단이 상기 제1 저항 소자와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단부에 연결되는 제4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저항 소자의 타단에 접속된 베이스, 제2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에 접속된 콜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 PNP 트랜지스터;
    일단이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된 제5 저항 소자; 및
    일단이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상기 제5 저항 소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단부에 연결되는 제6 저항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트렁크가 클로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배터리 전압이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트렁크가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접지 전압이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트렁크가 상기 입출력 단자와 단절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으로 인해 상기 모니터링 신호와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동시에 로우 레벨이면,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지 전압으로 인해 상기 모니터링 신호와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동시에 하이 레벨이면, 상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 신호의 신호 레벨이 로우 레벨이고, 상기 페일 세이프 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 레벨이면, 상기 차량 트렁크 신호 입력의 페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KR1020140153699A 2014-11-06 2014-11-06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KR10227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99A KR102271411B1 (ko) 2014-11-06 2014-11-06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99A KR102271411B1 (ko) 2014-11-06 2014-11-06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87A KR20160054287A (ko) 2016-05-16
KR102271411B1 true KR102271411B1 (ko) 2021-07-01

Family

ID=5610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699A KR102271411B1 (ko) 2014-11-06 2014-11-06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9212A (ja) 2007-01-23 2008-08-07 Aisin Aw Co Ltd 状態制御装置、状態制御方法、案内制御装置および案内制御方法
KR100887641B1 (ko) 2007-10-30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케이이 트랜스미터 배터리의 암전류 최소화방법
KR101315773B1 (ko)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746A (ko) * 2012-04-06 2013-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암전류 절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9212A (ja) 2007-01-23 2008-08-07 Aisin Aw Co Ltd 状態制御装置、状態制御方法、案内制御装置および案内制御方法
KR100887641B1 (ko) 2007-10-30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케이이 트랜스미터 배터리의 암전류 최소화방법
KR101315773B1 (ko)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87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4493B2 (ja) 負荷駆動装置
US20180291858A1 (en) Providing a boost voltage with a transient operation
KR102568231B1 (ko) 차량 제어 장치용 다중 라인 공급 유닛
US20150361942A1 (en) Method for testing a supply circuit, and a corresponding supply circuit for at least one ignition circuit
JP2013241080A (ja) 車両用電源制御回路
JP3548739B2 (ja) 車載用電子制御装置
KR102271411B1 (ko)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외부 신호 입력 장치
JP2008026025A (ja) 断線検出回路を備えた電源供給回路
US20140117779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reset function
JP6011425B2 (ja) 断線検出回路
US20210143810A1 (en) Switch Device
KR101947972B1 (ko) 이더넷 버스, 제어부 및 이더넷 버스의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방법
JP2017047789A (ja) フェールセーフ回路
JP2018078682A (ja) 電子制御装置
WO2011040277A1 (ja) 負荷駆動装置
KR102046350B1 (ko)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
US20170310259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regulator of a motor vehicle alternator, and alternator comprising the corresponding regulator
US7834756B2 (en) Failure current measurement for electronic control module
CN204210442U (zh) 一种汽车刹车控制器电磁阀线圈控制电路
KR102163663B1 (ko) 경고등 구동 장치 및 경고등 구동 방법
JP2009021071A (ja) 負荷回路の断線・過電流検出装置
KR101820664B1 (ko) 전압 제어 장치
EP3419387A1 (en) Circuit for assisting outage detection of led lamp and corresponding led lamp system
KR102236144B1 (ko) 전자소자의 오류검출 회로
EP1152531A2 (en) Load driv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