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045B1 -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045B1
KR102271045B1 KR1020190106501A KR20190106501A KR102271045B1 KR 102271045 B1 KR102271045 B1 KR 102271045B1 KR 1020190106501 A KR1020190106501 A KR 1020190106501A KR 20190106501 A KR20190106501 A KR 20190106501A KR 102271045 B1 KR102271045 B1 KR 10227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battery unit
refriger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612A (ko
Inventor
김성문
박대혁
Original Assignee
(주)디아이씨전장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아이씨전장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디아이씨전장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0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냉장 및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컨테이너에 결합되고,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순환으로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충전단자부,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는 제2충전단자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에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모니터링부 및 상기 냉동부의 동작여부, 상기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원공급여부,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의 공급유무 및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을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System of refrigeration for electic vehicle using independent power source}
개시된 내용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냉장 및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냉동ㆍ냉장 화물차량은 냉각시스템의 컴프레셔 구동을 위하여 차량 엔진 구동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였고, 이에 따라 냉동ㆍ냉장 화물차량은 컨테이너를 고정 부착하는 차량 컨테이너 일체형으로 제작되었으며, 일명 냉동탑차라는 호칭으로 제작 및 공급되어 운행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화석연료를 감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전기자동차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화물차량의 경우에도 전기자동차를 도입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에는 이미 엔진과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순수하게 모터만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차량이 모두 상용화되어 있으나, 화물차량의 경우에는 고중량의 화물을 운송해야 하기에 전기에너지만으로 운송을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냉장 및 냉동 차량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엔진의 구동 동력을 이용하여 왔으나, 전기차의 경우, 전기에너지를 구동 동력으로 전환하고 이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차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를 냉장시스템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차의 구동거리가 감소하여 실질적인 효용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514호에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완전동결형 축냉식 냉장, 냉동차에 관한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선행기술은 냉장, 냉동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나, 전기차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514호
전기자동차에 적용하는 냉장 및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되, 전기자동차의 구동에 사용되는 배터리와 냉장 및 냉동시스템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구분하고, 적절히 배분하여 가장 효율적인 냉장 및 냉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전기자동차의 컨테이너에 결합되고,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순환으로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충전단자부,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는 제2충전단자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에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모니터링부 및 상기 냉동부의 동작여부, 상기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원공급여부,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의 공급유무 및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을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용 배터리와 냉동용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기자동차의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독립전원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시동없이도 상시 동작이 가능하여, 냉동 및 냉장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니터링 모드의 개념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충전단자부의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전원'은 구성요소의 동작유무를 제어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 및 배터리의 잔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문맥상 이해가 용이하도록 기재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컨테이너(100)에 결합되고,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순환으로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10),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20), 상기 냉동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30),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부(20)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충전단자부(40),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부(30)를 충전할 수 있는 제2충전단자부(41),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300)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50),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모니터링부(60) 및 상기 냉동부(10)의 동작여부,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제2배터리부(30)의 전원공급여부 및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의 공급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동부(10)는 전기자동차의 컨테이너(100)에 결합되고,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순환으로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킬 수 있다. 상기 냉동부(10)는 일반적인 냉동기로써,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를 거친 냉매가 주위에서 열을 얻어 증발하면서 주위를 저온으로 만드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명칭에서는 냉동부(10)로 표현하고 있으나, 냉동시키는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1배터리부(20)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300) 즉,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전압과 큰 용량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 및 케이스를 포함하여 하나의 셀(CELL)을 이루며, 상기 셀을 일정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모듈(MODULE), 상기 모듈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me)과 냉각시스템 등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을 포함한 팩(PACK)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 팩으로써, 원하는 전력값에 따라 다수의 모듈을 합친 팩을 설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기자동차는 1회 충전으로 최소 80km 이상은 이동할 수 있어야 실용성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모듈이 필요하며 이를 수용하도록 차량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공간에 배터리를 두면 사용자가 앉을 좌석을 침범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할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차량 하부에 상기 제1배터리부(20)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에 있어서, 컨테이너(100) 하부에 제1배터리부(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배터리부(30)는 상기 냉동부(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공간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제1배터리부(20)의 용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기에, 제1배터리부(20)와 공간을 달리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을 점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배터리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캐빈(200)과 상기 컨테이너(1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구분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는 차량에 고정되어 충전 및 방전할 수도 있으며, 탈착식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교체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충전단자부(40)는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부(2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충전단자부(40)는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즉, 동력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20)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에 표준화된 충전단자인 차데모, DC콤보, AC 3상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충전단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표준화된 단자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단자부(41)는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배터리부(20)를 충전하는 제1충전단자부(40)와 하나로 병합하여 설계할 수도 있으나, 전기자동차의 구동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외부 전원공급원은 구동용 배터리를 충전할 때만 사용되어야 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냉동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충전단자부(40)를 통할 수 없고, 별도로 제2충전단자부(41)를 두어야 한다.
상기 발전부(50)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300)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상기 발전부(50)는 별도의 발전기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상기 동력원(300)에 구비된 모터를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터리부(20)에 의해 동력원(300)인 모터를 구동할 때, 발전부(50)도 함께 동작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효율이 낮아지므로, 상기 모터가 전기에너지 없이 구동할 수 있는 내리막길과 같은 곳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는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의 배터리 잔량, 배터리 수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 배터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에서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모니터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면 오히려 에너지가 낭비될 수 있어, 적절한 확인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에서 상기 제1배터리부(20) 또는 상기 제2배터리부(30) 중 어느 하나에 모니터링명령을 전달하면, 전달받은 배터리부가 나머지 배터리부에 모니터링명령을 전달하고, 각각의 배터리부에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제1모니터모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에서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에 각각 모니터링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에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제2모니터모드 및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에서 별도의 모니터링명령없이, 일정시간에 따라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에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제3모니터모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모니터모드, 제2모니터모드 및 제3모니터모드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모드에 관하여 제1배터리부(20)와 제2배터리부(30)만을 대상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모니터모드는 2개의 배터리부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다수의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 적은 에너지 소모로 다수의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상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부(10)의 동작여부,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제2배터리부(30)의 전원공급여부,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의 공급유무 및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의 모니터링을 제어한다. 일종의 컴퓨터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석에 별도의 컨트롤부(7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부(71)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냉동부(10)의 동작여부, 냉동부(10)의 온도설정 등을 제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 모두 동력원(3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모두 냉동부(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사용자가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60)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제2배터리부(30)의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어느 배터리에 공급할지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1배터리부(20) 또는 상기 제2배터리부(30)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달하는 제1발전모드,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1배터리부(20)와 상기 제2배터리부(30)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제2발전모드 및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2배터리부(30)에 우선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배터리부(30)의 잔량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배터리부(20)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제3발전모드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전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현재 차량의 주된 목적이 컨테이너(100)에 보관된 물품의 냉장 및 냉동인지, 아니면 주행인지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각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든 설정으로 수동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화물냉동차량의 경우, 시동이 꺼지면 냉동부(10)의 동작도 정지하여, 컨테이너(100) 내에 보관 중인 내용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배터리부(30)의 전원을 상기 냉동부(10)에 공급하고, 상기 제2배터리부(30)의 전원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제1배터리부(20)의 전원을 상기 냉동부(1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배터리부(20)의 전원으로 상기 제2배터리부(3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구동에 필요한 최소 전원만을 제1배터리부(20)에 남기고 상기 냉동부(10)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2배터리부(3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을 구동할 때 제1배터리부(20)가 방전되면 차량을 구동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1배터리부(20)에 최소 전원을 남기고도 제2배터리부(30)가 방전되어 냉동부(10)의 동작이 멈출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통신부(8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400)로 경고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사용자의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80)는 상기 냉동부(10)의 동작여부 및 현재상태정보,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의 상태정보, 상기 발전부(50)의 동작여부 및 현재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냉동부(10), 제1배터리부(20), 제2배터리부(30) 및 발전부(50)를 제어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을 차량에 도입하는 것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는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7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스마트폰에 상기 제어부(70)와 통신하며,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에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현재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400)에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전달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터리부(20) 및 제2배터리부(30)가 방전되는 긴급한 상황의 경우에 경보메세지를 상기 통신부(8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냉동부
20 : 제1배터리부
30 : 제2배터리부
40 : 제1충전단자부
41 : 제2충전단자부
50 : 발전부
60 : 배터리모니터링부
70 : 제어부
71 : 컨트롤부
80 : 통신부
100 : 컨테이너
200 : 캐빈
300 : 동력원
400 : 사용자의 단말기

Claims (6)

  1. 전기자동차의 컨테이너에 결합되고,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순환으로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충전단자부;
    외부 전원공급원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는 제2충전단자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에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모드에 따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모니터링부; 및
    상기 냉동부의 동작여부, 상기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원공급여부, 발전모드에 따라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의 공급유무 및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하는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의 배터리 잔량, 배터리 수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모드는,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제1배터리부 또는 상기 제2배터리부 중 어느 하나에 모니터링명령을 전달하면, 전달받은 배터리부가 나머지 배터리부에 모니터링명령을 전달하고, 각각의 배터리부에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제1모니터모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에 각각 모니터링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에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제2모니터모드; 및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에서 별도의 모니터링명령없이, 일정시간에 따라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에서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제3모니터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모니터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니터모드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발전모드는,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1배터리부 또는 상기 제2배터리부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달하는 제1발전모드;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1배터리부와 상기 제2배터리부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제2발전모드; 및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2배터리부에 우선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배터리부의 잔량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배터리부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제3발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발전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전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냉동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2배터리부의 전원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냉동부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컨테이너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배터리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캐빈과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구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동부의 동작여부 및 현재상태정보, 상기 제1배터리부 및 제2배터리부의 상태정보, 상기 발전부의 동작여부 및 현재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냉동부, 제1배터리부, 제2배터리부 및 발전부를 제어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KR1020190106501A 2019-08-29 2019-08-29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KR10227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01A KR102271045B1 (ko) 2019-08-29 2019-08-29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01A KR102271045B1 (ko) 2019-08-29 2019-08-29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12A KR20210027612A (ko) 2021-03-11
KR102271045B1 true KR102271045B1 (ko) 2021-06-30

Family

ID=7514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01A KR102271045B1 (ko) 2019-08-29 2019-08-29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85A (ko) 2021-12-17 2023-06-26 윤재선 배터리 구동형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116319A (ko) 2022-01-28 2023-08-04 윤재선 전기자동차용 콜드체인 시스템의 보조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3897B (zh) * 2021-04-13 2022-09-30 广西玉柴新能源汽车有限公司 制冷机组系统的供电电路
KR102316363B1 (ko) * 2021-06-22 2021-10-22 주식회사 일진정공 전기화물차용 저상형 전기냉동탑
KR102539489B1 (ko) * 2022-05-27 2023-06-05 주식회사 일진정공 전기냉온장탑차용 냉온장탑
KR20230171107A (ko) 2022-06-13 2023-12-20 (주)퓨처시스텍 수소 연료 전지 구동 방식의 차량용 냉동기의 제어 시스템
KR102534403B1 (ko) 2022-07-21 2023-05-26 주식회사 로드맵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257B1 (ko) * 2008-03-24 2008-06-25 이형주 냉동탑차용 에어컨 겸용 냉동장치
KR101406949B1 (ko) *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514A (ko) 2010-03-15 2011-09-21 성 준 박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완전동결형 축냉식 냉장·냉동차
KR101726927B1 (ko) * 2014-11-21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1991241B1 (ko) * 2017-11-16 2019-06-20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배터리 전력 공급에 의한 차량용 냉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257B1 (ko) * 2008-03-24 2008-06-25 이형주 냉동탑차용 에어컨 겸용 냉동장치
KR101406949B1 (ko) *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85A (ko) 2021-12-17 2023-06-26 윤재선 배터리 구동형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116319A (ko) 2022-01-28 2023-08-04 윤재선 전기자동차용 콜드체인 시스템의 보조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12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045B1 (ko)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CN109476211B (zh) 用于运输制冷单元的高压系统
US10322616B2 (en) Vehicular refrigerator system
EP2459417B1 (en) Electrical storage elemen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N110891806A (zh) 用于制冷运输车辆的混合电力转变系统及方法
EP33046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autonomous operation of a self-contained climate controlled storage unit
US201503163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CN104684758A (zh) 用于为运输制冷系统提供动力的系统和方法
US11075417B2 (en) Battery cooling control system
KR102182838B1 (ko) 특장차용 냉동기의 전원공급시스템
MX2007003288A (es) Sistema de suministro de energia para una unidad de control de clima vehicular.
KR102162926B1 (ko) 냉장/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US20230278398A1 (en) Methods and systems of minimizing c-rate fluctuation by adjusting operation of a transport climate control system
JP2000085449A (ja) 車載用冷却装置
CN113479130A (zh)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KR102162925B1 (ko) 복수 압축기를 구비한 냉장/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EP4176485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 for high-energy and high-power requirements
KR102607802B1 (ko) 전기자동차용 콜드체인 시스템의 보조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230278512A1 (en)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with multiple voltage source arrangements
JP2020108267A (ja) 電源システム、輸送用冷凍機、及び車両
KR102555950B1 (ko) 대형 트럭용 냉각 시스템
JP7311279B2 (ja) 輸送用冷凍機械
JP2004225991A (ja) 車載用冷凍装置
KR20230076157A (ko) 고전압 구동배터리로 구동되는 콜드체인 냉동장치를 가진 전기트럭의 제어 방법
KR20230086041A (ko) 전기트럭 구동배터리 기반 냉동시스템의 통합 데이터 분석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