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435B1 -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435B1
KR102270435B1 KR1020190143879A KR20190143879A KR102270435B1 KR 102270435 B1 KR102270435 B1 KR 102270435B1 KR 1020190143879 A KR1020190143879 A KR 1020190143879A KR 20190143879 A KR20190143879 A KR 20190143879A KR 102270435 B1 KR102270435 B1 KR 10227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mold
hydraulic pressure
test piece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291A (ko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4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3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편을 포함하는 몰드를 안착부, 승하강지지부 및 승하강구동부를 통해 안정적이면서 신속,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어 기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몰드 파쇄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 난이도 및 작업 위험성 증가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험편이 포함된 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안착부를 지지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지지부와; 상기 승하강지지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의 승강에 의해 몰드가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Test Specimen Mold Crusher}
본 발명은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편을 포함하는 몰드를 안착부, 승하강지지부, 승하강구동부 및 파쇄부를 통해 안정적이면서 신속,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어 기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몰드 파쇄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 난이도 및 작업 위험성 증가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재의 조직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 표면 현미경 검사가 수행된다. 표면 현미경 검사는 시험편의 선단을 연마하고 연마된 표면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 조직을 검사하여 이루어진다.
선재 등의 시험편은 복수개를 투명 수지로 고정하여 한꺼번에 표면을 연마한 후 표면 현미경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수지로 복수개의 선재 시험편을 한꺼번에 고정하기 위해, 시험편 몰드 성형기가 사용된다. 시험편 몰드 성형기의 몰드에 복수개의 선재 시험편을 정렬하여 배치하고 이상태에서 파우더를 몰드에 채워 녹인 후 경화시키게 되면 투명수지에 복수개의 선재 시험편이 고정된 시험편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몰드는 강도가 강하고 연성의 성질도 있어 잘 부러지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험편이 포함된 몰드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후 다른 목적의 실험을 위해 시험편만 회수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전에는 작업자가 망치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파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수작업을 통한 몰드 시험편의 회수작업은 파쇄 하기가 상당히 힘들뿐만아니라 파편이 비산하여 눈이나 피부에 상처를 주는 위험성이 존재 하고 있어 시험편 회수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험편 몰드의 파쇄를 위해 안착부, 승하강지지부, 승하강구동부 및 파쇄부로 구성하여 안전함은 물론 신속, 용이하게 몰드 파쇄가 수행됨으로써 기존 수작업 형태의 시험편 몰드의 파쇄작업시 발생되는 작업의 난이도 및 위험성 증가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시험편이 포함된 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안착부를 지지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지지부와; 상기 승하강지지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의 승강에 의해 몰드가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구동부의 일측이 수용 지지되는 수용하우징(50)이 포함되며, 상기 수용하우징(5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60)과, 상기 가이드봉(6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단부측과 연결부재(70)에 의해 결합되는 가이드이동체(61)가 포함되어 승하강구동부(30)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구동부(30)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31)와, 상기 유압펌프(31)로부터 유압공급통로(31c)를 통해 유압을 공급받으며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유압실린더(32) 내측으로 일정 부분 수용되며 유압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유압실린더(32)로부터 승하강되고 상기 승하강지지부(20)가 상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33)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유압펌프(31)는 레버(31a)의 동작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며 유압해제밸브(31b)의 작동에 의해 유압공급통로(31c)로 공급되는 유압을 해제시키는 유압핸드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쇄부(40)는 시험편을 포함하는 몰드를 파쇄하기 위한 초경나이프(41)와, 상기 초경나이프(41)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 상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결합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실 광학현미경 관찰용으로 제작된 고형몰드의 시험편을 안전하고 손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고형 몰드 외에 파쇄가 필요한 다른 형태의 실험 시험편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인위적인 무리한 힘을 사용하여 작업할 필요 없이 손쉽게 장치 내에서 파쇄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몰드 조각 비산에 의한 피부나 눈 접촉 등의 작업 위험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의 승하강구동부가 승강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의 승하강구동부가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지지부 및 안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핸드펌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의 승하강구동부가 승강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의 승하강구동부가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지지부 및 안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핸드펌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100)는 시험편이 포함된 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10)와, 상기 안착부(1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안착부(10)를 지지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지지부(20)와, 상기 승하강지지부(2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30)와, 상기 안착부(10)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10)의 승강에 의해 몰드가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부(40)와,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일측이 수용 지지되는 수용하우징(50)과, 상기 수용하우징(5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60)과, 상기 가이드봉(6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단부측과 연결부재(70)에 의해 결합되는 가이드이동체(6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는 시험편이 포함된 몰드(M)가 상부측에 안착되는 것으로 몰드(M)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여 안착가능하도록 안착부(10)에는 함몰부(11)와 평탄부(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11)는 안착부(10) 일측의 돌출부(11a)에서 중앙이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b)이 형성됨에 따라 함몰구간이 형성되어 몰드(M)가 상기 양 경사면(11b)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몰드(M)의 저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경사면(11b)에 몰드(M)의 저면 양측이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안착부(10)의 몰드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돌출부(11a)의 중앙측 함몰구간에는 바닥부(11c)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바닥부(11c)에는 후술할 파쇄부(40)의 초경나이프(41)의 선단부가 몰드(M) 파쇄 후 인입되도록 함몰수용홈(11d)이 형성되어 초경나이프(41)와 바닥부(11c) 간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평탄부(12)는 몰드(M)의 저면이 평탄한 경우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러한 평탄부(12)의 중앙측에도 평탄수용홈(12a)이 형성되어 몰드 파쇄 후 초경나이프(41)와 평탄부(12) 간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지지부(20)는 상기 안착부(1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안착부(10)를 지지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승하강지지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21)와, 상기 평면부(2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안착부(10)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면부(2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10)는 평면부(21) 상에서 승하강지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여 위치 고정된 파쇄부(40)의 초경나이프(41)와 안착부(10)에 안착된 몰드(M) 간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구동부(30)는 상기 승하강지지부(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승하강구동부(30)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31)와, 상기 유압펌프(31)로부터 유압공급통로(31c)를 통해 유압을 공급받으며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유압실린더(32) 내측으로 일정 부분 수용되며 유압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유압실린더(32)로부터 승하강되고 상기 승하강지지부(20)가 상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로드(33)의 단부측은 승하강지지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지지플레이트(33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압펌프(31)는 레버(31a)의 동작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며 유압해제밸브(31b)의 작동에 의해 유압공급통로(31c)로 공급되는 유압을 해제시키는 유압핸드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압핸드펌프는 선단측 상부 실린더 내에 저압챔버 및 고압챔버를 가지는 본체(31d)와, 상기 본체의 후단측에 결합된 오일탱크(31e)와, 상기 본체 상부의 레버(31a)를 동작시킴에 따라 오일탱크의 오일을 흡입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수단, 상기 유압발생수단의 유압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통로(31c), 상기 유압공급통로(31c)의 유압을 해제시기기 위한 유압해제밸브(31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유압핸드펌프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핸드펌프의 레버(31a)를 동작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32)측으로 유압공급통로(31c)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고, 공급된 유압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33)는 승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로드(3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33a) 상에 결합된 승하강지지부(20)가 동반 승강되고, 안착부(10) 및 이에 안착된 몰드(M)가 동반 승강되어 몰드(M)가 파쇄부(40)의 초경나이프(41)에 접하게 된다.
이때 유압핸드펌프의 레버(31a)를 조금 더 동작시키게 되면 추가적인 유압 공급에 의해 몰드(M)는 초경나이프(41)에 의해 가압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파쇄되게 된다.
작업자는 몰드(M)의 파쇄를 확인 후, 유압핸드펌프의 유압해제밸브(31b)를 동작시켜 공급된 유압을 회수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32) 내 실린더로드(33)가 하강하게 되고 승하강지지부(20), 안착부(10) 및 몰드(M)가 동반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10)에 몰드(M)를 안착시킨 후 유압핸드펌프의 레버(31a) 및 유압해제밸브(31b)의 순차적인 동작에 따라 몰드(M)는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파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쇄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0)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10)의 승강에 의해 몰드가 파쇄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파쇄부(40)는 시험편을 포함하는 몰드를 파쇄하기 위한 초경나이프(41)와, 상기 초경나이프(41)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 상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결합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수용하우징(50)은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일측을 수용하고, 한 쌍의 가이드봉(60)을 하부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봉(60)은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실린더로드(33)가 승하강시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로드(33)의 일측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 간에는 연결부재(70) 및 가이드이동체(61)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이동체(61)는 상기 가이드봉(60)에 축설되어 승하강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70)는 중앙측에 실린더로드(33)의 일측과 결합되고, 양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이동체(61)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33)의 승하강시 연결부재(70)와 가이드이동체(61)가 동반 승하강되어 안정적인 승하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안착부 11 : 함몰부
11a : 돌출부 11b : 경사면
11c : 바닥부 11d : 함몰수용홈
12 : 평탄부 12a : 평탄수용홈
20 : 승하강지지부 21 : 평면부
22 : 돌출면부 30 : 승하강구동부
31 : 유압펌프 31a : 레버
31b : 유압해제밸브 31c : 유압공급통로
32 : 유압실린더 33 : 실린더로드
33a : 지지플레이트 40 : 파쇄부
41 : 초경나이프 42 : 지지브라켓
43 : 상부플레이트 50 : 수용하우징
60 : 가이드봉 61 : 가이드이동체
70 : 연결부재 100 :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M : 몰드

Claims (6)

  1. 시험편이 포함된 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10)와;
    상기 안착부(1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안착부(10)를 지지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지지부(20)와;
    상기 승하강지지부(2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30); 및
    상기 안착부(10)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10)의 승강에 의해 몰드가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일측이 수용 지지되는 수용하우징(50)이 더 포함되고,
    상기 수용하우징(5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60)과, 상기 가이드봉(6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구동부(30)의 단부측과 연결부재(70)에 의해 결합되는 가이드이동체(61)가 더 포함되어 승하강구동부(30)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파쇄부(40)는, 시험편을 포함하는 몰드를 파쇄하기 위한 초경나이프(41)와, 상기 초경나이프(41)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 상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결합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43)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10)는, 양측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11b)을 구비하여 중앙에 함몰구간이 형성되되 상기 함몰구간의 바닥부(11c)에는 함몰수용홈(11d)이 형성되고 양 경사면(11b)에 몰드(M)가 지지되는 함몰부(11)와, 중앙측에 평탄수용홈(12a)이 형성된 평탄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지지부(20)는, 안착부(10)가 위치하는 평면부(21)와, 상기 평면부(2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안착부(10)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면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10)는 평면부(21) 상에서 승하강지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여 위치 고정된 파쇄부(40)의 초경나이프(41)와 몰드(M) 간의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동부(30)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31)와,
    상기 유압펌프(31)로부터 유압공급통로(31c)를 통해 유압을 공급받으며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유압실린더(32) 내측으로 일정 부분 수용되며 유압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유압실린더(32)로부터 승하강되고 상기 승하강지지부(20)가 상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31)는
    레버(31a)의 동작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며 유압해제밸브(31b)의 작동에 의해 유압공급통로(31c)로 공급되는 유압을 해제시키는 유압핸드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6. 삭제
KR1020190143879A 2019-11-12 2019-11-12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KR10227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9A KR102270435B1 (ko) 2019-11-12 2019-11-12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9A KR102270435B1 (ko) 2019-11-12 2019-11-12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91A KR20210057291A (ko) 2021-05-21
KR102270435B1 true KR102270435B1 (ko) 2021-06-28

Family

ID=7615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79A KR102270435B1 (ko) 2019-11-12 2019-11-12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34B2 (ja) 1996-10-23 2001-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495420B1 (ko) * 2013-04-24 2015-02-24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 시편 회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107B1 (ko) * 1998-04-30 2000-10-02 김윤규 암석 시편 절리기
JP3122934U (ja) * 2006-04-17 2006-06-29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試験片打抜き装置
KR20150084173A (ko) * 2014-01-13 2015-07-22 양현수 용접 시험편 절단 및 굴곡 복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34B2 (ja) 1996-10-23 2001-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495420B1 (ko) * 2013-04-24 2015-02-24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 시편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91A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5290B (zh) A crusher for crushing the silicon block, and a silicon crush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rushers
KR101983765B1 (ko) 유압식 부속 장치
KR102270435B1 (ko) 시험편 몰드 파쇄장치
EP0267151B1 (fr) Machine d'électroérosion pour usiner automatiquement selon une trajectoire fermée
JP2010042335A (ja) 落錘式破砕用アタッチメント
TWI477461B (zh) 用於玻璃基底的裂片設備
KR100526687B1 (ko) 주물의 절단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날붙이 구조 및주물의 절단장치
JPWO2016020989A1 (ja) 対象物の保持装置
US20210354249A1 (en) Weld Coupon Destructive Test Device
JP4678751B2 (ja) 研削又は研磨屑の固形化方法
CN110295582B (zh) 一种动力触探用锤击器及动力触探仪
GB2239409A (en) Jaw crusher
JP2010107352A (ja) シリンダユニット
RU2403323C2 (ru) Способ, позволяющий снять анодные остатки, прикрепленные к отработанным анодам, поступающим из серий электролиза расплава
KR101259749B1 (ko) 절삭칩 압축장치
KR20080103209A (ko) 커넥팅 로드 스플리트 가공 장치
KR101795741B1 (ko) 시편 몰드 성형기
CN109227637A (zh) 切割机构
JP2020528110A (ja) 羽口部の取出装置
US2171141A (en) Ingot ejector
KR101767757B1 (ko) 시편 물성 시험장치
JP5675123B2 (ja) フローティングウエイト昇降ガイド装置を備えた混練機
JP5122491B2 (ja) 切断装置
KR101842578B1 (ko) 열간압연 모사 시험장치
JP2018126064A (ja) 竹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