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338B1 -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 Google Patents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338B1
KR102270338B1 KR1020170120127A KR20170120127A KR102270338B1 KR 102270338 B1 KR102270338 B1 KR 102270338B1 KR 1020170120127 A KR1020170120127 A KR 1020170120127A KR 20170120127 A KR20170120127 A KR 20170120127A KR 102270338 B1 KR102270338 B1 KR 10227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hole
retainer
block
groove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226A (ko
Inventor
권혁도
손기동
남동협
김동운
석동호
Original Assignee
(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05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1893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17012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4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 F16C29/0607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of parts or members for retaining the rolling elements, i.e. members to prevent the rolling elements from falling out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4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 F16C33/6648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in a porous or resinous body, e.g. a cage impregnated with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블록과, 블록의 축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전동체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리테이너와, 축 방향으로 블록의 양측에 구비된 리테이너에 양측이 결합되어 전동체를 지지하는 제1 볼지지부재 및 제2 볼지지부재와, 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테이너의 순환 통로의 축 방향 단부는 윤활유가 포함된 폼(foam)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having lubrication element}
본 발명은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유가 함유된 폼(foam)체를 리테이너의 U턴홈에 구비하여 U턴홈을 지나는 전체의 전동체에 유막이 형성되어 전동체의 이동이 원활한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레일의 좌우 측면에는 볼이 구르는 전동홈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전동홈과 대응되는 다른 전동홈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에 결합되는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의 전후면에 결합되는 엔드씰로 구성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3151호(2007.04.24)에는 슬라이더의 강성을 확보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리니어 가이드 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레일(1)과, 본체(1200)와 리턴부재(1360)로 구성된 블록 및 엔드캡(1500)을 포함하는 슬라이더(1100)와,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더(1100)의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볼(3)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의 좌우 양측면에는 볼(3)이 구르는 전동홈(11)이 형성된다. 슬라이더(1100)는 본체(1200)와 리턴부재(1360)로 구성된 블록과, 본체(1200)의 전후에 배치되고 볼내측리턴홈(360)과 결합되어 볼리턴통로를 형성하는 엔드캡(1500)과, 엔드캡(1500)을 본체(12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구성된다. 엔드캡(500)에는 엔드씰(700)이 결합된다. 본체(1200)는 안장 형태로서 한 쌍의 다리부(220)와 상기 다리부(220)의 상단측을 연결하는 테이블(230)로 구성된다. 다리부(220)의 좌우 내측에는 전동홈(11)과 대응되는 부하볼전동홈(21)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220) 내부에는 부하볼전동홈(21)과 이격된 무부하볼전동홈(330)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상기 부하볼전동홈(21)과 무부하볼전동홈(330)을 연결하고 볼내측리턴홈(360)이 형성된 리턴부재(1360)는 본체(1200)의 전방 및 후방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한다. 다리부(220)와 리턴부재(1360)의 사이에는 각진 형태를 갖는 모서리부(1362)가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1362)는 엔드캡(1500)에 끼워진다. 다리부(22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엔드캡(1500)의 캡돌기(1524)가 끼워지도록 홈부(1364)가 형성된다. 테이블(230)의 양 측면에는 후크(1039)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051)이 형성된다. 테이블(23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캡리세스(1560)에 끼워지는 외측돌출부(232)가 형성되며, 외측돌출부(232)의 내측에는 내측돌출부(236)가 형성된다. 외측돌출부(232)와 내측돌출부(236)의 사이에는 U자 형상의 오일홈(234)이 형성된다.
엔드캡(1500)은 본체(1200)의 전후에 배치되고, 볼외측리턴홈(1520)이 형성되어 있다. 리턴부재(1360)의 볼내측리턴홈(360) 및 엔드캡(1500)의 볼외측리턴홈(1520)에 의해 볼리턴통로가 형성된다. 엔드캡(1500)의 후크(1039)에는 홈(1038)이 형성된다. 엔드캡(1500)의 볼외측리턴전동홈(15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반달홈(1522)이 형성된다. 엔드캡(1500)의 캡리세스(1560)에는 오일홈(1540)이 형성된다. 엔드캡(1500)의 측면에 오일유입구(154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리세스(59)가 형성된다. 리테이너(90)는 엔드캡(1500)의 리세스(59)에 조립된다. 상기 엔드캡(1500)의 양측에는 엔드씰(700)을 결합하기 위한 엔드씰조립부(1550)가 형성된다. 엔드씰(700)에 형성된 결합돌기(750)는 엔드씰조립부(1550)에 끼워진다.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에는 윤활유가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아 볼의 회전에 따라 유막이 형성되지 않은 볼로 인하여 마찰이 일어남에 따라 리니어 가이드 장치가 원활히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3151호(2007.04.2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윤활유가 함유된 폼(foam)체를 리테이너의 U턴홈에 구비하여 U턴홈을 지나는 전체 전동체에 균일하게 유막이 형성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블록과, 블록의 축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전동체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리테이너와, 축 방향으로 블록의 양측에 구비된 리테이너에 양측이 결합되어 전동체를 지지하는 제1 볼지지부재 및 제2 볼지지부재와, 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테이너의 순환 통로의 일부는 윤활유가 포함된 폼(foam)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리테이너는 제1 리테이너부재와 제2 리테이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는 축방향으로 블록에 적층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관통된 제1 U턴홀과 제2 U턴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부재는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에 적층되며, 판부재와 2개의 돌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부재에는 이격되어 2개의 오목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돌출부재의 내측에 각각 제1 U턴홀과 제2 U턴홀을 덮어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U턴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윤활유가 포함된 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는 리테이너에 윤활유가 함유된 폼체를 구비함으로써 전동체에 윤활유가 균일하게 공급되어 항상 새로운 유막이 형성되며, 전동체에 유막이 형성됨으로써 전동체의 이동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블록으로부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블록으로부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의 블록과 일측의 리테이너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의 제2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의 제1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블록으로부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블록으로부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의 블록과 일측의 리테이너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의 제2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의 제1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블록(110)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한다. 축 방향으로 블록(110)의 중심에서 양단을 향하는 방향을 외향하는 것으로, 양단에서 블록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향하는 것으로 기재한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니어 가이드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100)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100)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체(101)인 복수의 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블록(100)은 블록(110)과, 커버(120)와, 리테이너(130)와, 커버씰(150)과, 지지부재(160)와, 제1 볼지지부재(170)와, 씰부재(180)와, 제2 볼지지부재(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110)의 축 방향 양측에 리테이너(130)와 커버씰(150)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130)와 상기 커버씰(150)을 덮는 형태로 블록(110)의 축 방향 양측에 커버(120)가 구비된다.
상기 블록(110)은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측면이 가이드 레일의 폭 방향 양 측면과 마주하도록 양측에서 하향 연장된 대략 역 "U"자형 형태를 이룬다. 상기 블록(110)의 축 방향으로 양측에는 전동체(101)의 리턴 통로를 형성하는 리테이너(130)가 구비되며, 상기 리테이너(130)는 블록(110)에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즉, 리테이너(130)는 블록(110)의 축 방향으로 전방 측에 폭 방향으로 한 쌍이 좌우 대칭되게 구비되고, 후방 측에 폭 방향으로 한 쌍이 좌우에 대칭되게 구비되어 총 4개의 리테이너(130)가 구비된다. 리테이너(130)가 블록(11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분할 구비됨에 따라, 리테이너(130)의 성형 시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씰(150)은 대략 역 "U"자형 형태를 이루며 축 방향으로 블록(110)의 양측에 구비된다.
블록(110)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된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전동체의 순환 통로가 되는 상부 비하중권 홀(131; 1131)과 하부 비하중권 홀(131; 1133)이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블록(110)은 가이드 레일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에 구비된다.
블록(11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2열의 하중권 홈(115)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중권 홈(115)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 전동체(101)인 볼에 접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부에 위치한 하중권 홈(115)을 상부 하중권 홈(1151)이라 하고, 하부에 위치한 하중권 홈(115)을 하부 하중권 경사부(1153)라 한다. 도 9에서 도면부호 111은 블록(110)의 길이 방향 양단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홈(111)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10)의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 하중권 홈(1151)의 폭 방향 사이에는 후술할 제2 볼지지부재(190)가 구비되어 전동체(101)를 지지하고,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하부 하중권 홈(1153)의 하단에는 제1 볼지지부재(170)가 각각 설치되어 전동체(101)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비하중권 홀(1131, 1133)의 축 방향 단부에는 후술할 제1 리테이너(131)의 결합돌기(1314)가 삽입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비하중권 홀(1131, 1133)의 축 방향 단부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지름이 증가된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하중권 홈(1151)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체(101)는 후술할 리테이너(130)에 의해 폭 방향 외측과 내측으로 안내되어 상부 비하중권 홀(1131)로 이동함으로써 하나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고, 하부 하중권 홈(1153)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체(101)는 리테이너(130)에 의해 폭 방향 외측과 내측으로 안내되어 하부 비하중권 홀(1133)로 이동함으로써 또 하나의 순환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하중권 홈(1151)과 하부 하중권 홈(1153)의 사이 및 하부 하중권 홈(1153)의 하부에는 돌출된 블록내면(114)이 축 방향으로 평행하고 폭 방향으로 내향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 하중권 홈(1153)의 하단에 구비된 블록내면(114)의 하단에는 블록 경사면(112)이 구비된다. 상기 블록 경사면(112)은 폭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블록 경사면(112)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블록 경사면(112)의 하단으로부터 블록 하향면(119)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블록 하향면(119)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향한다.
상기 블록 하향면(119)의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블록턱면(117)이 구비된다. 상기 블록턱면(117)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내향한다.
상기 리테이너(130)는 제1 리테이너부재(131)와, 제2 리테이너부재(133)로 이루어져 블록(110)에 축 방향으로 적층 구비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와, 제2 리테이너부재(133)는 판상으로써 대략 4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테이너부재(131, 133)를 이루는 4개의 변중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변의 형상은 상기 블록(110)의 폭 방향 내측의 단면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는 블록(110)의 축 방향 단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폭 방향 내측이 개구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에는 제1 U턴홀(1311)과 제2 U턴홀(1313)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 U턴홀(1311)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부에 위치한 제1 U턴홀(1311)을 상부 제1 U턴홀(1311-1)이라 하고, 하부에 위치한 제1 U턴홀(1311)을 하부 제1 U턴홀(1311-3)이라 한다. 상기 상부 제1 U턴홀(1311-1)은 축 방향으로 상부 비하중권 홀(1131)에 연통되도록 위치하며, 하부 제1 U턴홀(1311-3)은 축 방향으로 하부 비하중권 홀(1133)에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상부 제1 U턴홀(1311-1)로부터 폭 방향 내향 이격되어 상부 제2 U턴홀(1313-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 제1 U턴홀(1311-3)로부터 폭 방향 내향 이격되어 하부 제2 U턴홀(1313-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제2 U턴홀(1313-1)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하부 제2 U턴홀(1313-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U턴홀(1313)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제2 U턴홀(1313-1)은 축 방향으로 상부 하중권 홈(1151)에 연통되도록 위치하며, 하부 제2 U턴홀(1313-3)은 축 방향으로 하부 하중권 홈(1153)에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상부 제2 U턴홀(1313-1)과 상부 제1 U턴홀(1311-1)은 상부 연결홈부(1316-1)로써 연결된다. 상기 상부 연결홈부(1316-1)는 전동체(101)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제2 U턴홀(1313-3)과 하부 제1 U턴홀(1311-3)은 하부 연결홈부(1316-3)로써 연결된다. 상기 하부 연결홈부(1316-3)은 전동체(101)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축 방향 외측에는 후술할 제2 리테이너(133)의 삽입 결합을 위한 리테이너 결합홈(1315)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 결합홈(1315)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개구된 폭 방향 내측 상부에는 상부 제1 리테이너홈(1319)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제1 리테이너홈(1319)은 상향 오목하게 형성되어 씰부재(18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하부에는 하부 제1 리테이너홈(1317)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제1 리테이너홈(1319)은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씰부재(180)가 삽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제1 U턴홀(1311-1)과 상기 하부 제1 U턴홀(1311-3)의 가장자리에는 축 방향 내향 연장되어 블록 결합돌기(1314)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블록 결합돌기(1314)는 블록(110)에 형성된 비하중권 홀(113)의 축 방향 단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폭 방향 내측으로 상부에는 제2 볼지지부재 삽입홈(131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볼지지부재 삽입홈(1312)에는 제2 볼지지부재(19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하부에는 제1 볼지지부재 삽입홈(1318)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볼지지부재 삽입홈(1318)에는 제1 볼 지지부재(170)가 삽입 결합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부재(133)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폭 방향으로 내향한 변의 형상은 블록(110)의 내측 단면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리테이너부재(133)는 판부재(133b)와 돌출부재(133a)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부재(133b)의 축 방향 외측면에는 제2 리테이너돌기(1331)가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2 리테이너돌기(133)는 커버씰(15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리테이너돌기(133)는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리테이너돌기(1331)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제3 씰부삽입홈(1332)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씰부삽입홈(1332)은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3 씰부삽입홈(1332)에는 씰부재(180)가 삽입된다. 상기 제3 씰부삽입홈(1332)은 상하 방향으로 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 제2 리테이너홈(1339) 및 하부 제2 리테이너홈(1337)과 연통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 씰부삽입홈(1332)은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부 제2 리테이너홈(1339)은 제2 리테이너부재(133)의 폭 방향 내측 상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상부 제2 리테이너홈(1339)은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제2 리테이너홈(1339)에는 씰부재(18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상부 제2 리테이너홈(1339)은 상기 제3 씰부삽입홈(1332)과 연통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제2 리테이너홈(1337)은 제2 리테이너부재(133)의 폭 방향 내측 하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제2 리테이너홈(1337)은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제2 리테이너홈(1339)에는 씰부재(18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하부 제2 리테이너홈(1337)은 상기 제3 씰부삽입홈(1332)과 연통되어 구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133b)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삽입홈(133b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33b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33b1)은 폭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33b1)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삽입홈(133b1)은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33b1)에는 상기 돌출부재(133a)가 삽입 구비된다.
상기 판부재(133b)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제1 리테이너부재(131)를 향하여 리테이너 결합돌기(1333)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 결합돌기(1333)는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결합돌기(1333)가 제1 리테이너부재(131)의 리테이너 결합홈(1315)에 삽입됨으로써 제2 리테이너부재(133)가 제1 리테이너부재(131)에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재(133a)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133a)는 상기 삽입홈(133b1)에 각각 삽입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133a)는 윤활유가 포함된 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133a)는 우레탄 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재(133a)의 축 방향 내측 단부에는 제1 U턴홀(1311)과 제2 U턴홀(1313)을 덮어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U턴홈(1335)이 형성된다.
상기 U턴홈(1335)은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다.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133a)의 U턴홈(1335)을 상부 U턴홈(1335-1)으로 하고,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재(133a)의 U턴홈(1335)을 하부 U턴홈(1335-3)이라 한다.
상기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재(133a)는 상기 하부 연결홈부(1316-3)로 삽입 결합되고,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133a)는 상기 상부 연결홈부(1316-1)로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U턴홈(1335-1)이 상부 제2 U턴홀(1313-1), 상부 연결홈부(1316-1) 및 상부 제1 유턴홀(1311-1)을 덮게 되어 전동체(101)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133a)의 외면(1336)은 상기 제1 U턴홀(1311) 및 제2 U턴홀(1313)의 내면(1312a)과 마주보도록 삽입 결합된다.
상기 하부 돌출부재(133a)의 축 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하부 제2 U턴홀(1313-3), 하부 연결홈부(1316-3) 및 하부 제1 유턴홀(1311-3)의 가장자리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U턴홈(1335-3)이 하부 제2 U턴홀(1313-3), 하부 연결홈부(1316-3) 및 하부 제1 유턴홀(1311-3)을 덮게되어 전동체(101)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지지부재(160)의 외형은 6면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60)는 리테이너(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축 방향으로 커버 씰(150)과 블록(110) 사이에 구비된다.
씰부재(180)는 대략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씰부재(180)는 상기 블록(110), 리테이너(130), 제1 볼지지부재(170), 제2 볼지지부재(190)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커버 씰(150)은 제2 리테이너부재(133)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커버씰(150)은 상기 제2 리테이너부재(133)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커버 씰(150)은 하부가 개구된 판상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커버 씰(150)은 "역U"자 형상이다.
제2 볼지지부재(190)는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볼지지부재(190)는 상기 블록(110)의 축 방향 내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볼지지부재(190)는 축 방향 양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씰(15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제1 볼지지부재(170)는 2개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볼지지부재(170)는 상기 블록(110)의 마주하는 폭 방향 내측면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볼지지부재(170)는 서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블록(110)과 결합 구비된다.
커버(120)는 하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커버(120)는 리테이너(130) 및 커버씰(15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레테이너(130)와 커버씰(1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리니어 가이드
110 : 블록 120 : 커버
131 : 제1 리테이너부재 133 : 제2 리테이너부재
150 : 커버씰 170 : 제1 볼지지부재
180 : 씰부재 190 : 제2 볼지지부재

Claims (2)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100)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1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전동체(101)를 포함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100)은 블록(110)과, 제1 리테이너부재(131)와 제2 리테이너부재(133)로 이루어져 블록(110)의 축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전동체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리테이너(130)와, 축 방향으로 블록(110)의 양측에 구비된 리테이너(130)에 양측이 결합되어 전동체(101)를 지지하는 제1 볼지지부재(170) 및 제2 볼지지부재(190)와, 씰부재(18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는 축방향으로 블록(110)에 적층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관통된 제1 U턴홀(1311)과 제2 U턴홀(131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부재(133)는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131)에 적층되며, 판부재(133b)와 윤활유가 포함된 폼체인 2개의 돌출부재(133a)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부재(133b)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2개의 오목한 삽입홈(133b1)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133a)는 상기 삽입홈(133b1)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돌출부재(133a)의 내측에는 각각 제1 U턴홀(1311)과 제2 U턴홀(1313)을 덮어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U턴홈(1335)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133a)는 제1 리테이너부재(131)를 향하여 돌출되며, 돌출부재(133a)의 돌출된 외면(1336)은 각각 상기 제1 U턴홀(1311) 및 제2 U턴홀(1313)의 내면(1312a)으로 삽입되어 마주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턴홀(1311)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부 제1 U턴홀(1311-1)과 하부 제1 U턴홀(1311-3)을 포함하고, 제2 U턴홀(1313)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부 제2 U턴홀(1313-1)과 하부 제2 U턴홀(1313-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U턴홀(1313-1)은 상부 제1 U턴홀(1311-1)로부터 폭 방향 내향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제2 U턴홀(1313-3)은 하부 제1 U턴홀(1311-3)로부터 폭 방향 내향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부 제2 U턴홀(1313-1)과 상부 제1 U턴홀(1311-1)은 상부 연결홈부(1316-1)로써 연결되며, 하부 제2 U턴홀(1313-3)과 하부 제1 U턴홀(1311-3)은 하부 연결홈부(1316-3)로써 연결되며;
    상기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재(133a)는 상기 하부 연결홈부(1316-3)로 삽입 결합되고,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133a)는 상기 상부 연결홈부(1316-1)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하부 돌출부재(133a)의 축 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하부 제2 U턴홀(1313-3), 하부 연결홈부(1316-3) 및 하부 제1 유턴홀(1311-3)의 가장자리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KR1020170120127A 2015-10-28 2017-09-19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KR10227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27A KR102270338B1 (ko) 2015-10-28 2017-09-19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554A KR101818933B1 (ko) 2015-10-28 2015-10-28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KR1020170120127A KR102270338B1 (ko) 2015-10-28 2017-09-19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554A Division KR101818933B1 (ko) 2015-10-28 2015-10-28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26A KR20170109226A (ko) 2017-09-28
KR102270338B1 true KR102270338B1 (ko) 2021-06-30

Family

ID=6003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127A KR102270338B1 (ko) 2015-10-28 2017-09-19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41B1 (ko) * 2000-05-29 2007-05-02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직선 운동 안내 장치
JP2010107043A (ja) * 2008-10-30 2010-05-13 Schaeffler Kg 直動転がり軸受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654B2 (ja) * 1996-08-30 2006-01-11 日本精工株式会社 潤滑剤含有ポリマによる潤滑リニアガイド装置
KR100713151B1 (ko) 2005-06-04 2007-05-02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리니어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41B1 (ko) * 2000-05-29 2007-05-02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직선 운동 안내 장치
JP2010107043A (ja) * 2008-10-30 2010-05-13 Schaeffler Kg 直動転がり軸受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26A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4894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KR200469401Y1 (ko) 구름 볼 리테이너를 갖는 선형 슬라이딩 블록
KR101818933B1 (ko)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US7721874B2 (en) Roller chain for a linear guideway
KR102270338B1 (ko)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JP6403992B2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US9297415B2 (en) Linear actuator
JP2014228139A (ja) 可撓伝動体用ガイド
JP6236226B2 (ja) 保持板を備えた直動案内ユニット
KR102270341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리니어 가이드
KR102169942B1 (ko) 윤활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리테이너를 가지는 볼 리니어 가이드
KR101600521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US8967862B2 (en) Slider assembly
JP5909869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KR101790969B1 (ko) 폐회로형 씰이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KR101790971B1 (ko) 소음이 감소된 리니어 가이드
US7004633B2 (en) Rolling element retainer
KR101350982B1 (ko) 케이블 체인
JP5872398B2 (ja) 転がり案内装置
JP2008185044A (ja) リニアガイド装置
KR101637460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JP2009030772A (ja) 直動案内装置
JP5223714B2 (ja) 直動案内装置
KR20160033679A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JP2021535338A (ja) 運動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