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086B1 -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086B1
KR102270086B1 KR1020210007888A KR20210007888A KR102270086B1 KR 102270086 B1 KR102270086 B1 KR 102270086B1 KR 1020210007888 A KR1020210007888 A KR 1020210007888A KR 20210007888 A KR20210007888 A KR 20210007888A KR 102270086 B1 KR102270086 B1 KR 10227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ference image
main view
output
view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준
Original Assignee
이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준 filed Critical 이범준
Priority to KR102021000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PROVIDING VR CONTENTS FOR MOTION SICKNESS REDUCTION}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명명)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상황,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이러한 VR은 전자 기기(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최근 VR을 이용한 컨텐츠는 게임, 방송, 교육, 건설,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VR 컨텐츠란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을 실제로 사용자 자신이 체험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를 말한다.
VR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형식 및 360도 영상을 사용하여,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실제(또는 현실)와 같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시청자는 시각과 평형감각의 부조화로 인하여 심한 피로 또는 멀미(Motion sickness)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경감시키면서, VR 컨텐츠의 시청에는 방해되지 않는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유발되는 멀미 증상을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VR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멀미(어지러움)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와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상기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변경된 좌표를 갖는 특정 영역 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뷰 영역 내의 다른 좌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가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된 특정 영역의 좌표와 관련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좌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가 변경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좌표를 변경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가 변경된 횟수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될 상기 VR 컨텐츠의 학습 테마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택된 학습 테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된 학습 테마와 연관된 테마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는 상기 VR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기능이 링크되어 존재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가 클릭되면, 상기 링크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고정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테마와 연관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또는 저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VR 컨텐츠는,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일 예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시각과 평형감각의 부조화로 인하여 어지럼증, 두통 구역질 등과 같은 멀미(Motion Sickness)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좌표 상에 고정된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이러한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된 이미지는, 상기 특정 좌표 상에 계속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된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멀미 증상을 경감(또는 완화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고정된 이미지는,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니즈, 또는 컨텐츠의 테마에 맞춰 그 형상,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어 보다 조화로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VR 컨텐츠를 출력(또는 재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설명에 따른 장치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이라고 명명함)는 안경처럼 착용하고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들을 총칭하며, 최근에는 FMD(Face Mounted Display)라고도 부른다. HMD는, 사용자의 시각 및 청각을 외부와 차단한 후 사용자의 시각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HMD는, 눈앞에 디스플레이가 오도록 얼굴에 쓰는 형태로 마이크, 스테레오 스피커를 비롯해 여러 센서 등이 탑재돼 있다. 
HMD는 가상의 공간을 뷰 영역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HMD가 제공하는 복수의 뷰 영역(또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뷰 영역을 "메인 뷰 영역"(210)이라 명명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HMD는,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나아가 HMD는,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 또는 MR(Mixed Reality)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Contents)란, 부호, 문자, 도형, 색채,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등(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합체)의 자료,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VR 컨텐츠란,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을 실제로 사용자 자신이 체험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로, 3차원 또는 2차원 영상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AR 컨텐츠, 실제 환경에 3차원 또는 2차원 영상을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MR 컨텐츠는. AR과 VR을 혼합해 현실 배경에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혼합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연동된 HMD(200)의 뷰 영역(예를 들어, 메인 뷰 영역)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VR 컨텐츠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을 실제로 사용자 자신이 체험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로, 예를 들어, 학습과 관련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30)는, VR 컨텐츠와 함께, 기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준 이미지는, HMD(200)의 메인 뷰 영역 상에 적어도 일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최종적인 기준 이미지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이미지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와 특정 기준 이미지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 이미지는, HMD(200)의 메인 뷰 영역상에 VR 컨텐츠의 출력 상태(또는 재생 상태)와 관계없이, 특정 위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는, 움직임이 있는 VR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즉,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VR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좌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기 위치(또는 고정된 위치)는,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출력 좌표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출력 좌표는, 기 저장된 데이터로서 메모리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기준 이미지의 출력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제어부(또는 시스템)의 설정에 의하여 VR 컨텐츠의 출력과 동시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컨텐츠의 출력되는 경우, 기본 설정에 의한 특정 기준 이미지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메인 뷰 영역에서 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기준 이미지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출력이 종료된 기준 이미지는, 다시 사용자의 요청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다시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준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VR 컨텐츠가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태(또는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를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제어부(130)는, 기본 설정 값(또는 디폴트(default) 값)으로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 상에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특정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출력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 들 중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를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된 기준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 매칭된 서로 다른 출력 좌표에 근거하여, 특정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제어부(또는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고 있는 VR 컨텐츠의 테마, 또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것으로 선택된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선택 대상이 되는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VR컨텐츠의 테마마다 서로 다른 후보 기준 이미지 그룹들이 존재하며 각각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후보 기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컨텐츠가 면접 테마에 해당하는 경우,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커피잔, 연필, 및 물컵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VR 컨텐츠가 여행 테마에 해당하는 경우,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배낭, 캐리어 및 운동화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테마 별로 서로 다른 후보 기준 이미지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보 기준 이미지는, 기 저장된 이미지들 외에,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VR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객체가 추가적으로 후보 기준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VR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그래픽 객체를, 후보 기준 이미지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이미지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대응되는 후보 기준 이미지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HMD의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S210).
한편,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메인 뷰 영역 상에는 후보 기준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뷰 영역 상에 후보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점은, 메인 뷰 영역 상에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점, 또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된 기준 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S220).
즉, 출력되는 특정 기준 이미지의 외관(또는 시각적 속성, 예를 들어, 형태, 색상, 크기 등)은, 사용자의 선택(또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출력된 특정 기준 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팝업창의 일 영역에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는, 삼각형 형상, 커피잔 형상, 배낭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기준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기준 이미지(예를 들어, 커피잔 형상의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 매칭된 서로 다른 출력 좌표에 근거하여, 특정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VR 컨텐츠 제작자의 설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되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좌표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되는 좌표가 같은 경우 동일한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S220 단계에서와 같이, 특정 기준 이미지(예를 들어, 커피잔 형상의 기준 이미지)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VR 컨텐츠와 함께 출력된다(S230).
이때 기준 이미지는, HMD(200)의 메인 뷰 영역상에 VR 컨텐츠의 출력 상태(또는 재생 상태)와 관계없이, 특정 위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는, 움직임이 있는 VR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즉,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VR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좌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기 위치(또는 고정된 위치)는,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출력 좌표, 즉 기 저장된 데이터로서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 출력 좌표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기 출력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와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어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기 출력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제1 기준 이미지"로 명명하고, 변경된 제1 기준 이미지와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를 "제2 기준 이미지"로 명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제1 기준 이미지를, 상기 제2 기준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와 변경과 관련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기준 이미지가 제1 기준 이미지에서 제2 기준 이미지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삼각형 형상의 제1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커피잔 형상의 제2 기준 이미지로 기준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기준 이미지의 변경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뷰 영역에 특정 VR 컨텐츠와 함께, 고정된 위치(또는 제1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좌표)에 제1 기준 이미지(310)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기준 이미지(310)가 출력된 경우,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의 (a)와 같이 메인 뷰 영역 중 제1 기준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또는 선택)에 기반하여, 도 3의 (b)와 같이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320)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320)에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HMD의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특정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제1 기준 이미지와 다른 제2 기준 이미지를 클릭(또는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d)와 같이 제2 기준 이미지(330)가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제1 기준 이미지 또는 제2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된 VR 컨텐츠가 진행(또는 변동)되는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도 3의 (b)에 도시된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 중 "사용 안함"이 클릭(또는 선택)되는 경우에는, 출력된 기준 이미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VR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초기 설정에 의해 기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 각각의 출력 좌표에 대한 입력 값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제1 기준 이미지(310)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상단 영역(예를 들어, 12시 방향)의 좌표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d)에 도시된 제2 기준 이미지(330)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하단 영역(예를 들어, 6시 방향)의 좌표임을 알 수 있다. 즉 제1 기준 이미지와 제2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가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고정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테마와 연관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가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VR 컨텐츠와 함께 출력된 제1 기준 이미지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제2 기준 이미지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VR 컨텐츠의 테마가 변경됨에 따라, 해당 테마에 매칭되는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VR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기준 이미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이미지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매칭 및 저장되어 메모리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상에는, VR 컨텐츠에 테마에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VR 컨텐츠의 테마 정보에 근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이미지들 중 어느 기준 이미지를 출력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VR 컨텐츠의 테마는, VR 컨텐츠의 테마 정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VR 컨텐츠의 테마 정보는, VR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서,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VR컨텐츠의 테마정보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VR 컨텐츠에 포함된 시각 및 청각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VR컨텐츠의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VR 컨텐츠의 테마'라 함은, VR컨텐츠에 대응되는 가상 세계의 가상의 장소 정보, 가상의 대화 주제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여행 테마", "면접 테마", "식사 테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가 면접 테마인 경우,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예를 들어, 하단 영역)에 커피잔 형상의 기준 이미지(33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출력되는 VR 컨텐츠의 테마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테마의 변경과 함께, 변경된 테마에 매칭되는 특정 기준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가 여행 테마인 경우에는,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예를 들어, 상단 영역)에 배낭 형상의 기준 이미지(4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의 테마와 매칭되는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매칭된 좌표와 일치하는 위치에만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기준 이미지가 기 매칭된 좌표 정보와 일치하는 위치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학습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와 다른 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는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방향과 관련된 메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출력된 메뉴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단 영역(예를 들어, 12시 방향)의 좌표에 위치한 특정 기준 이미지(310)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화면(510) 중 하단 영역(예를 들어, 6시 방향)의 좌표가 선택되는 경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변경(또는 이동)(520)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의 위치는, 일회성으로 변경될 수 있고, 또는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위치의 좌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일회성으로 변경된다는 것은,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는 변경하지 않되,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변경된 위치 상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다시 기 매칭된 출력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상에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위치의 좌표로 변경된다는 것은,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새로운 위치의 좌표로 갱신(또는 재 매칭)되어 메모리상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출력되는 VR 컨텐츠가 종료된 후, 새롭게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변경된 출력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위치의 좌표로 변경(또는 갱신, 또는 재 매칭)되는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기 매칭된 좌표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된 영역의 좌표와 관련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 히스토리 정보란, 기준 이미지의 변경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될 때 마다 해당 위치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집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매칭된 좌표가 상단 영역인 기준 이미지가, 상단 영역에 출력된 상태에서, 수집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하단 영역의 좌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출력된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좌표의 위치가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좌표를 갱신(또는 변경 또는 재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좌표의 위치가 변경된 횟수 정보는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의 위치가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다른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갱신(또는 변경, 또는 재매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다른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가 기 매칭된 출력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인 상단 영역(도 5의 도면부호 310 참조)에 출력된 상태에서, 하단 영역(도 5의 도면부호 520 참조)의 위치로 변경된 횟수가 기 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5회)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상단 영역에서 하단 영역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변경된 기준 이미지의 위치와 관련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를 갱신(또는 재 매칭)함으로서, 사용자만의 사용 패턴, 또는 사용자의 멀미 저감에 보다 효과적인 위치에 기준 이미지가 위치하도록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맞춤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뷰 영역상에 VR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의 속성(예를 들어, 위치, 형상 등)을 변경하는 방법을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VR컨텐츠는, HMD의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VR컨텐츠와 함께 출력된 기준 이미지는, VR 컨텐츠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아이콘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기준 이미지에 링크되는(또는 매칭되는) 기능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에 링크되는 기능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기준 이미지에 링크되는 기능은,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계없이, 기능 아이콘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준 이미지를 후보 기준 이미지에 항상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 아이콘으로 활용되는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메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기능 아이콘으로 활용되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에는, VR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기능이 링크되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특정 기준 이미지의 일 영역에 대한 클릭이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링크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메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메뉴화면은,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된 화면의 전환, 팝업 창,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메뉴화면은, 기능 아이콘의 기능에 따라, VR 컨텐츠의 제어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VR 컨텐츠의 제어 메뉴는, 출력 중인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는, VR 컨텐츠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메뉴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상기 메뉴화면은, 학습 컨텐츠의 진행을 위해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제시된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요구되는 메뉴화면(도 6의 도면부호 6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컨텐츠의 경우,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는, "회화 학습" 및 "단어 학습"과 같은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뉴화면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VR 컨텐츠가 학습과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 부가적인 학습 화면, 예를 들어, 영어 단어의 발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화면(도 6의 도면부호 620 참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VR 컨텐츠는,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기능 아이콘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기준 이미지를 기능 아이콘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를 경감시키는 것과 동시에, 특정 메뉴로의 직관적인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사용자 편의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청색광(Blue Light)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뷰 영역 중 출력된 기준 이미지, 활성화된 메뉴화면, 및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화면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청색광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VR 컨텐츠와 함께 특정 기준 이미지(310)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7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된 기준 이미지에 청색광(Blue Light) 필터(도 7a의 (b)의 도면부호 720)를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VR 컨텐츠와 함께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뷰 영역 전체에 대해 청색광 필터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 및 기준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대해 청색광 필터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VR 컨텐츠와 함께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팝업창으로 출력된 화면(740)에 대해 청색광 필터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고정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테마와 연관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2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100: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제어부

Claims (10)

  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 VR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가 재생되는 메인 뷰 영역의 특정 위치 상에,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 시키기 위하여, 상기 VR 컨텐츠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 상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VR 컨텐츠가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기준 이미지를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뷰 영역 내에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변경된 VR 컨텐츠의 테마에 매칭된 다른 기준 이미지로 변경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8.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VR 컨텐츠가 재생되는 메인 뷰 영역의 특정 위치 상에,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 시키기 위하여, 상기 VR 컨텐츠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 상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VR 컨텐츠가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 VR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가 재생되는 메인 뷰 영역의 특정 위치 상에,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 시키기 위하여, 상기 VR 컨텐츠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 상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VR 컨텐츠가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10007888A 2020-02-18 2021-01-20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70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88A KR102270086B1 (ko) 2020-02-18 2021-01-20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21A KR102254744B1 (ko) 2020-02-18 2020-02-18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07888A KR102270086B1 (ko) 2020-02-18 2021-01-20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721A Division KR102254744B1 (ko) 2020-02-18 2020-02-18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086B1 true KR102270086B1 (ko) 2021-06-25

Family

ID=761428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721A KR102254744B1 (ko) 2020-02-18 2020-02-18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07888A KR102270086B1 (ko) 2020-02-18 2021-01-20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721A KR102254744B1 (ko) 2020-02-18 2020-02-18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54744B1 (ko)
WO (1) WO20211672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13B1 (ko) 2022-05-09 2023-07-3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gmp 실습 교육 시스템
KR102566027B1 (ko) 2022-05-09 2023-08-14 (주)테라모션 가상 현실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gmp 실습 교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946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
KR20180108528A (ko) * 2018-09-19 2018-10-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Hci를 이용한 대인 관계 개선 시스템
KR101971937B1 (ko) * 2018-11-08 2019-04-24 주식회사 휴메닉 고령자를 위한 혼합현실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460B1 (ko)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71A (ja) * 1998-12-03 2000-06-23 Nec Corp テレビ会議の映像生成装置及びその生成方法
US9978181B2 (en) * 2016-05-25 2018-05-22 Ubisoft Entertainment System for virtual reality display
KR20170042258A (ko) * 2016-11-10 2017-04-18 김영덕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A3067345A1 (en) * 2017-06-14 2018-12-20 Had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reality motion sickness preven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946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
KR102041460B1 (ko)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KR20180108528A (ko) * 2018-09-19 2018-10-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Hci를 이용한 대인 관계 개선 시스템
KR101971937B1 (ko) * 2018-11-08 2019-04-24 주식회사 휴메닉 고령자를 위한 혼합현실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13B1 (ko) 2022-05-09 2023-07-3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gmp 실습 교육 시스템
KR102566027B1 (ko) 2022-05-09 2023-08-14 (주)테라모션 가상 현실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gmp 실습 교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744B1 (ko) 2021-05-20
WO2021167252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917B1 (en)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US9495029B2 (en) Head mount 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1651576B2 (en) Sharing virtual content in a mixed reality scene
US201503026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entertainment experience
US11061466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enting sensory scenes
JP70994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70086B1 (ko)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8148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47864A1 (en) Storage mediu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content based on viewing progression
KR20100094375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367416B1 (en) Presenting computer-generated content associated with reading content based on user interactions
CN110036416A (zh) 用于空间音频的装置和相关方法
CN114402274B (zh) 程序、信息处理装置以及方法
CN109271117A (zh) 一种图像显示方法、装置及设备
KR102499927B1 (ko)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vr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20126257A (ko) 실감형 가상 전시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7097854A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499928B1 (ko)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vr 컨텐츠 제공 방법
Afshar Introduction to augmented reality
KR102540316B1 (ko)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의 시선 방해 요인 제거 방법 및 프로그램
Rosenberg Over There! Visual Guidance in 360-Degree Videos and Other Virtual Environments
JP2020161163A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10136135A1 (en) Image stabilization cues for accessible game stream viewing
CN116820236A (zh) 沉浸式画廊互动方法、介质及互动系统
CN116958488A (zh) 基于虚拟现实的元素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