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7252A1 -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7252A1
WO2021167252A1 PCT/KR2021/000702 KR2021000702W WO2021167252A1 WO 2021167252 A1 WO2021167252 A1 WO 2021167252A1 KR 2021000702 W KR2021000702 W KR 2021000702W WO 2021167252 A1 WO2021167252 A1 WO 20211672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ference image
main view
output
view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07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범준
Original Assignee
이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준 filed Critical 이범준
Publication of WO20211672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72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VR) content.
  • VR virtual reality
  • Virtual re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VR') is a human-computer interface that makes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into a computer and makes it as if the person using it is interacting with the real surrounding situation and environment.
  • Such VR can be experienced using an electronic device (eg, a head mounted display (HMD)).
  • an electronic device eg, a head mounted display (HMD)
  • VR content refers to content that gives an immersive feeling as if the user actually experiences the video the user is watching.
  • VR content generally uses a stereo format and a 360-degree image to provide a real (or real) sense of immersion to a user watching the VR content.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eviate motion sickness symptoms induced by users watching VR cont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VR content providing method capable of alleviating motion sickness (dizziness) symptoms without disturbing a user's immersion in VR conten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to be located on the main view area from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area ar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other specific reference images. It is changed to correspond, and the other specific reference image is output on a specific area having the changed coordinates.
  •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area to which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is output may be changed to other coordinates within the main view area based on a user's selection.
  • the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a number of times that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region to which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is output are changed, and in the step of changing the output coordinates, the number of times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region is changed is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are changed.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selection of a learning theme of the VR content to b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varies accor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theme.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include a theme image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learning theme.
  • a control function related to the VR content is linked to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and when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is clicked, a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inked control function is output.
  •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R content to a main view area of the head mounted display, a specific on the main view are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utput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a reg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d mounted display to output the VR content on the main view region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on the specific region control, and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region on the main view region correspond to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selecting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to be positioned on the main view area from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motion sickness symptoms of a user by providing a fixed reference image while the VR content is output.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erence image related to the theme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thereby reducing the user's motion sickness symptom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iewing of the VR cont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R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7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VR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and is intended to alleviate (or reduce or alleviate) motion sickness symptoms of a user (or viewer) who views VR contents.
  • the VR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VR content.
  •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R content there is a head mounted display.
  •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R cont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head mounted display.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can alleviate these motion sickness symptoms by outputting a fixed image on specific coordinates of a display area where VR content is output.
  • the fixed image may be continuously output on the specific coordinates, and the user may recognize the fixed image as a fixed point, thereby reducing (or alleviating or reducing) motion sickness symptoms.
  • the fixed image provided by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at least one of the shape, location, and size of the fixed imag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using the VR content or the theme of the content, so that a more harmonious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provided to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R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7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VR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or playing back) VR content. As shown in FIG. 1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put unit 110 , an output unit 120 , and a control unit 130 .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verall components of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that play the same role a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head mounted display (200, Head mounted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is a generic term for image display devices that can be worn like glasses and enjoy images, and is recently also called a face mounted display (FMD).
  • the HMD serves to show the virtual world to the user's eyes after blocking the user's sight and hearing from the outside.
  • the HMD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a stereo speaker, and several sensors, etc.
  • the HMD may provide a virtual space through the view area.
  • a view area corresponding to a user's gaze among a plurality of view areas (or display areas) provided by the HMD is referred to as a “main view area” 210 .
  • such an HMD may display VR (Virtual Reality) content.
  • the HMD may display either AR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MR (Mixed Reality) content.
  • the contents refer to data, data, or information of signs, characters, figures, colors, voices, sounds, images and images (or a complex of at least two or more thereof).
  • VR content is content that gives an immersive feeling as if a user actually experiences an image viewed by a user, and may be produced using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image.
  • AR content may be produced to provide users with a mixture of 3D or 2D images in a real environment.
  • MR content By mixing AR and VR, it can be produced to provide users with real and virtual information in a real background.
  •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the VR content to a view area (eg, a main view area) of the HMD 200 linked with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view area eg, a main view area
  • VR content is content that gives an immersive feeling as if the user actually experiences an image viewed by the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ontent related to learning.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reference image together with the VR content, where the reference image is an image located in at least one area on the main view area of the HMD 200 and has various shapes. can have
  • the final reference imag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may be any one imag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reference image is a generic term for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and a specific reference imag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 Such a reference image may be output on a specific position regardless of an output state (or a reproduction state) of the VR content on the main view area of the HMD 200 .
  • the reference image is located on specific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even when VR content with motion is displayed (ie, even when VR content consisting of a moving picture is being played). can do.
  • the position (or fixed position)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 may correspond to output coordinates previously 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 the output coordinates pre-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may exist in a memory as pre-stored data.
  • the output time of the reference image may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eference image may be output simultaneously with the output of the VR content by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or system).
  • the controller or system
  • a specific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a basic setting may be output to an output coordinate area matched to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 Such a reference image may disappear from the main view area based on a user's request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 That is, in this case, the reference image is not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 the reference image for which the output has been completed may be output again on the main view area at the user's request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
  • the reference image may be output to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only when there is a user's request.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provides a reference image (or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a specific area on the main view area while the VR content is being output (or reproduced) on the main view area. can be printed out.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output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a specific area as a default setting value (or a default valu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output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on the main view area.
  •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from the user,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be located on the main view are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that can b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and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or a specific reference imag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can In this case, the selected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or a specific reference image) may b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b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and any one candidate reference imag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andidate reference images is the reference imag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can be decided.
  • different output coordinates may be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utput to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different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or a control unit (or system) setting.
  •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candidate reference images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being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or the theme of the VR content selected to b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 each candidate reference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different candidate reference image.
  •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ffee cup, a pencil, and a water cup shape.
  •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ckpack, a carrier, and a sneaker shape.
  • the memory may include groups of different candidate reference images for each theme.
  •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 may be additionally set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pre-stored images, for example, a graphic object selected by the user on the VR content may be additionally set as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
  •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VR content, and store the extracted graphic object as a candidate reference image.
  • the stored image may be included in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 group correspon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from the user, a reference image (or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be located on the main view area of the HMD from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S210 ).
  •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b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 is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may include a time point at which VR content is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or a time point at which selection of the reference imag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occurs.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specific reference imag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andidate reference images to a specific area on the main view area (S220).
  • the appearance (or visual properties, for example, shape, color, size, etc.) of the output specific reference image may be changed based on a user's selection (or a user's request) or a theme of the VR content.
  •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be output to one area of the pop-up window.
  •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include a triangular shape, a coffee cup shape, a backpack shape, and the like.
  • a specific reference image eg, a coffee cup-shaped referenc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may be output to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 different output coordinates may be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utput to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different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r a VR content creator's setting.
  •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utput reference image based on coordinates matched to the output reference image. However, when the coordinates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are the sam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utput to the same position.
  • a specific reference image (eg, a reference image in the shape of a coffee cup) is output together with the VR content on the main view area (S230).
  • the reference image may be output on a specific position regardless of the output state (or the playback state) of the VR content on the main view area of the HMD 200 .
  • the reference image is located on specific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even when VR content with motion is displayed (ie, even when VR content consisting of a moving picture is being played). can do.
  • the position (or fixed position)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 may correspond to output coordinates previously 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that is, output coordinates existing in the memory as pre-stored data.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change the output specific reference image to a specific reference image different from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 first reference image a specific reference image different from the changed first reference image
  • second reference image a specific reference image different from the changed first reference image
  •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change the output first reference image to the second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utput reference image to be changed from the first reference image to the second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menu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output can do.
  •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reference image to a coffee cup-shaped second reference image based on a user's sel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riangular-shaped first reference image is output to at least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 a method of changing a reference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 the first reference image 310 may be output to a fixed location (or coordinates matched to the first reference image) together with specific VR content in the main view area. .
  • a menu screen related to a reference image change may be output.
  • the controller 130 based on the user's click (or selection) o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image 310 among the main view regions, as shown in FIG. 3(b) , A menu screen 320 related to a reference image change may be output.
  •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from the user, a specific reference image to be located on the main view area of the HMD from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output on the menu screen 320 related to the reference image change.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second reference image 330 as shown in (d) of FIG. 3(d). may be fixed to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and output.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the VR content on the main view area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the first reference image or the second reference image) on the specific area.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VR content is in progress (or fluctuates), the reference image may be fixed to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and output in a stationary state.
  • output coordinates may be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may be set as default values by initial setting, or may be set to the user by input values for the output coordinat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first reference image 310 shown in (a) of FIG. 3 are coordinates of the upper region (eg, the 12 o'clock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second reference image 330 shown in (d) of FIG. 3 are coordinates of the lower region (eg, the 6 o'clock direction).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first reference image and the second reference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motion sickness symptoms of a user by providing a fixed reference image while the VR content is output. Furthermore,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erence image related to the theme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thereby reducing the user's motion sickness symptom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iewing of the VR content. have.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optimized virtual environment to the user by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reference image to the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 the first reference image output together with the VR content is changed to the second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 the controll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reference image to be outputt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to be changed.
  • the reference image may be match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and exist in the memory. That is, in the memory, a plurality of different reference imag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mes may be stored in the VR content.
  •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ich of the referenc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to output based on the theme information of the VR content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 Themes of the VR conten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me information of the VR content.
  • the theme information of the VR content may include meta information as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VR content.
  • the theme information of such VR content may be analyzed by the controller 130 .
  •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theme of the VR content by analyzing the visual and auditory data included in the VR content.
  • 'theme of VR content' is determined by virtual place information in the virtual world corresponding to the VR content, virtual conversation topic, etc., for example, "travel theme”, “interview theme”, “meal theme”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130 places a coffee cup shape in one area (eg, the lower area) of the main view area.
  • a reference image 330 of may be provided.
  • a specific reference image matching the changed theme may be provided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heme.
  • the controller 130 places a backpack shape in one area (eg, upper area) of the main view area. may provide a reference image 410 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erence image that matches the theme of the VR content output to the main view area, thereby reducing the user's motion sickness symptoms without disturbing the immersion of the user (or viewer) watching the VR content. can do.
  •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output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menu screen related to a direction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output reference image to be chang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f the output menu screen.
  • a menu screen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by the user 510
  • the coordinates of the lower region eg, the 6 o'clock direction
  •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may be changed (or moved) 520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may be changed once, or may be changed to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are changed.
  • the one-tim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means that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image are not changed, but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 on the changed position for a certain period (for example, while VR content is output),
  • the predetermined period means outputting the reference image again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 the fact th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is changed to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in which the output coordinates previously matched means that the coordinates of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image are updated (or re-matched) to the coordinates of the new changed posi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it means.
  • the reference image may be outp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output coordinates.
  • the controller 130 may collect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ordinates of the changed region based on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in a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 at the coordinates matched in advance.
  • the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ged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ev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is changed.
  •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collected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30 sets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to the lower region based on the collected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can be changed to the coordinates of
  • the controller 130 may update (or change or re-match) coordinates previously 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s previously matched in the output reference image has been changed to a specific location.
  •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s on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 has been changed may be included in the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30 may monitor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osition of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image is changed to a specific position. That is,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has been changed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matched coordinates to another specific position, when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has been changed to the specific position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the reference image It can be controlled to update (or change, or rematch)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image.
  •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can be changed once.
  • control unit 130 in a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 to the upper region (refer to reference numeral 310 in FIG. 5 ),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to the lower region (refer to reference numeral 520 in FIG. 5 ) ), when the number of times changed to a position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eg, 5 tim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change the output coordinates matched to the reference image from the upper region to the lower region.
  • a preset condition eg, 5 times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uses coordinat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ged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to update (or re-match) the previously matched output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image, so that only the user
  • the location of the reference image may be customized so that the reference image is positioned at a location more effective in reducing motion sickness or motion sickness of the user.
  • the VR content is output to at least one region of the main view region of the HMD, and the reference image output together with the VR content may be utilized as a function icon related to control of the VR content.
  • the types of functions linked to (or matched with) the reference image may vary, and may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 a function linking to the reference image may exist as a default, and as an example, the function linking to the reference image may include a function related to the progress of VR content.
  • a reference image that can be used as a function icon can always be included in the candidate reference image regardless of the theme of the VR content.
  • a menu screen may be output.
  • the menu screen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atched to a reference image used as the function icon.
  • a control function related to VR content may be linked to a reference image (or a specific reference image) output on the main view area.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inked control function based on the occurrence of a click on one region of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 the menu screen may be output using at least one of a screen switching, a pop-up window, and a push message output to the main view area.
  • the menu screen may include a VR content control menu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icon.
  • the VR content control menu may include a menu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VR content being output.
  • the menu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VR content means a menu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VR content.
  • the menu screen may include a menu screen (refer to reference numeral 610 in FIG. 6 ) that presents a plurality of categories for the progress of learning content and requires a user to select the presented category.
  • a menu related to the progress of VR content may provide menus such as "conversation learning” and "word learning”.
  •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to the user.
  • the menu screen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n additional learning screen, for example, a scree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refer to reference numeral 620 in FIG. 6 ) to the user. have.
  • the VR content may be progress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f a menu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function icon included in the reference image.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he VR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 a reference image as a function icon, thereby reducing motion sickness of the user and enabling the user to intuitively access a specific menu.
  • Convenience-oriented user interfac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capable of reducing motion sickness symptoms of a user using VR content and protecting the user's eyesight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controller 130 may apply a blue light filter to at least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 the blue light filter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image output from the main view area, the activated menu screen, and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output to the main view area.
  •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at least one area 710 of the main view area.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a blue light filter (reference numeral 720 in FIG. 7A (b)) may be applied to the output reference image.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blue light filter to be applied to the entire main view area.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blue light filter to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including the VR content and the reference image output to the main view area.
  • control unit 130 as shown in (b) of FIG. 7b , a screen 740 output as a pop-up window in one area of the main view area in a state in which a specific reference image is output together with the VR content. ) can be controlled to apply a blue light filter.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can reduce motion sickness symptoms of a user who uses VR content and protect the user's eyesight.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duce motion sickness symptoms of a user by providing a fixed reference image while the VR content is output.
  • th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reference image related to the theme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VR content, thereby reducing the user's motion sickness symptom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iewing of the VR content. can do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명명)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상황,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이러한 VR은 전자 기기(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최근 VR을 이용한 컨텐츠는 게임, 방송, 교육, 건설,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VR 컨텐츠란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을 실제로 사용자 자신이 체험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를 말한다.
VR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형식 및 360도 영상을 사용하여,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실제(또는 현실)와 같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시청자는 시각과 평형감각의 부조화로 인하여 심한 피로 또는 멀미(Motion sickness)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경감시키면서, VR 컨텐츠의 시청에는 방해되지 않는 VR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유발되는 멀미 증상을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VR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멀미(어지러움)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와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상기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변경된 좌표를 갖는 특정 영역 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뷰 영역 내의 다른 좌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가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된 특정 영역의 좌표와 관련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좌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가 변경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좌표를 변경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가 변경된 횟수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될 상기 VR 컨텐츠의 학습 테마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택된 학습 테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된 학습 테마와 연관된 테마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는 상기 VR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기능이 링크되어 존재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가 클릭되면, 상기 링크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의 좌표는,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고정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테마와 연관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또는 저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VR 컨텐츠는,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일 예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시각과 평형감각의 부조화로 인하여 어지럼증, 두통 구역질 등과 같은 멀미(Motion Sickness)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좌표 상에 고정된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이러한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된 이미지는, 상기 특정 좌표 상에 계속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된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멀미 증상을 경감(또는 완화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고정된 이미지는,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니즈, 또는 컨텐츠의 테마에 맞춰 그 형상,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어 보다 조화로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VR 컨텐츠를 출력(또는 재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설명에 따른 장치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이라고 명명함)는 안경처럼 착용하고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들을 총칭하며, 최근에는 FMD(Face Mounted Display)라고도 부른다. HMD는, 사용자의 시각 및 청각을 외부와 차단한 후 사용자의 시각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HMD는, 눈앞에 디스플레이가 오도록 얼굴에 쓰는 형태로 마이크, 스테레오 스피커를 비롯해 여러 센서 등이 탑재돼 있다. 
HMD는 가상의 공간을 뷰 영역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HMD가 제공하는 복수의 뷰 영역(또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뷰 영역을 "메인 뷰 영역"(210)이라 명명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HMD는,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나아가 HMD는,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 또는 MR(Mixed Reality)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Contents)란, 부호, 문자, 도형, 색채,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등(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합체)의 자료,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VR 컨텐츠란,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을 실제로 사용자 자신이 체험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로, 3차원 또는 2차원 영상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AR 컨텐츠, 실제 환경에 3차원 또는 2차원 영상을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MR 컨텐츠는. AR과 VR을 혼합해 현실 배경에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혼합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연동된 HMD(200)의 뷰 영역(예를 들어, 메인 뷰 영역)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VR 컨텐츠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을 실제로 사용자 자신이 체험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로, 예를 들어, 학습과 관련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30)는, VR 컨텐츠와 함께, 기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준 이미지는, HMD(200)의 메인 뷰 영역 상에 적어도 일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최종적인 기준 이미지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이미지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와 특정 기준 이미지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 이미지는, HMD(200)의 메인 뷰 영역상에 VR 컨텐츠의 출력 상태(또는 재생 상태)와 관계없이, 특정 위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는, 움직임이 있는 VR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즉,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VR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좌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기 위치(또는 고정된 위치)는,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출력 좌표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출력 좌표는, 기 저장된 데이터로서 메모리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기준 이미지의 출력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제어부(또는 시스템)의 설정에 의하여 VR 컨텐츠의 출력과 동시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컨텐츠의 출력되는 경우, 기본 설정에 의한 특정 기준 이미지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메인 뷰 영역에서 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기준 이미지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출력이 종료된 기준 이미지는, 다시 사용자의 요청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다시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준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VR 컨텐츠가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태(또는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를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제어부(130)는, 기본 설정 값(또는 디폴트(default) 값)으로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특정 영역에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 상에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특정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출력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 들 중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를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된 기준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 매칭된 서로 다른 출력 좌표에 근거하여, 특정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제어부(또는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고 있는 VR 컨텐츠의 테마, 또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것으로 선택된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선택 대상이 되는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VR컨텐츠의 테마마다 서로 다른 후보 기준 이미지 그룹들이 존재하며 각각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후보 기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컨텐츠가 면접 테마에 해당하는 경우,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커피잔, 연필, 및 물컵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VR 컨텐츠가 여행 테마에 해당하는 경우,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배낭, 캐리어 및 운동화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테마 별로 서로 다른 후보 기준 이미지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보 기준 이미지는, 기 저장된 이미지들 외에,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VR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객체가 추가적으로 후보 기준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VR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그래픽 객체를, 후보 기준 이미지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이미지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대응되는 후보 기준 이미지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HMD의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S210).
한편,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메인 뷰 영역 상에는 후보 기준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뷰 영역 상에 후보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점은, 메인 뷰 영역 상에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점, 또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된 기준 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메인 뷰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S220).
즉, 출력되는 특정 기준 이미지의 외관(또는 시각적 속성, 예를 들어, 형태, 색상, 크기 등)은, 사용자의 선택(또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출력된 특정 기준 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팝업창의 일 영역에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는, 삼각형 형상, 커피잔 형상, 배낭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기준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기준 이미지(예를 들어, 커피잔 형상의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 매칭된 서로 다른 출력 좌표에 근거하여, 특정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VR 컨텐츠 제작자의 설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되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좌표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되는 좌표가 같은 경우 동일한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S220 단계에서와 같이, 특정 기준 이미지(예를 들어, 커피잔 형상의 기준 이미지)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VR 컨텐츠와 함께 출력된다(S230).
이때 기준 이미지는, HMD(200)의 메인 뷰 영역상에 VR 컨텐츠의 출력 상태(또는 재생 상태)와 관계없이, 특정 위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는, 움직임이 있는 VR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즉,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VR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좌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기 위치(또는 고정된 위치)는,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출력 좌표, 즉 기 저장된 데이터로서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 출력 좌표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기 출력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와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어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기 출력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제1 기준 이미지"로 명명하고, 변경된 제1 기준 이미지와 다른 특정 기준 이미지를 "제2 기준 이미지"로 명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제1 기준 이미지를, 상기 제2 기준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와 변경과 관련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기준 이미지가 제1 기준 이미지에서 제2 기준 이미지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삼각형 형상의 제1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커피잔 형상의 제2 기준 이미지로 기준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기준 이미지의 변경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뷰 영역에 특정 VR 컨텐츠와 함께, 고정된 위치(또는 제1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좌표)에 제1 기준 이미지(310)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기준 이미지(310)가 출력된 경우,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의 (a)와 같이 메인 뷰 영역 중 제1 기준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또는 선택)에 기반하여, 도 3의 (b)와 같이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320)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320)에 출력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HMD의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특정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제1 기준 이미지와 다른 제2 기준 이미지를 클릭(또는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d)와 같이 제2 기준 이미지(330)가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제1 기준 이미지 또는 제2 기준 이미지)의 출력과 함께,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된 VR 컨텐츠가 진행(또는 변동)되는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도 3의 (b)에 도시된 기준 이미지 변경과 관련된 메뉴화면 중 "사용 안함"이 클릭(또는 선택)되는 경우에는, 출력된 기준 이미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VR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출력 좌표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초기 설정에 의해 기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 각각의 출력 좌표에 대한 입력 값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제1 기준 이미지(310)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상단 영역(예를 들어, 12시 방향)의 좌표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d)에 도시된 제2 기준 이미지(330)에 매칭된 출력 좌표는, 하단 영역(예를 들어, 6시 방향)의 좌표임을 알 수 있다. 즉 제1 기준 이미지와 제2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가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고정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테마와 연관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가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VR 컨텐츠와 함께 출력된 제1 기준 이미지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제2 기준 이미지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VR 컨텐츠의 테마가 변경됨에 따라, 해당 테마에 매칭되는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VR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기준 이미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이미지는,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매칭 및 저장되어 메모리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상에는, VR 컨텐츠에 테마에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VR 컨텐츠의 테마 정보에 근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이미지들 중 어느 기준 이미지를 출력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VR 컨텐츠의 테마는, VR 컨텐츠의 테마 정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VR 컨텐츠의 테마 정보는, VR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서,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VR컨텐츠의 테마정보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VR 컨텐츠에 포함된 시각 및 청각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VR컨텐츠의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VR 컨텐츠의 테마'라 함은, VR컨텐츠에 대응되는 가상 세계의 가상의 장소 정보, 가상의 대화 주제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여행 테마", "면접 테마", "식사 테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가 면접 테마인 경우,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예를 들어, 하단 영역)에 커피잔 형상의 기준 이미지(33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출력되는 VR 컨텐츠의 테마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테마의 변경과 함께, 변경된 테마에 매칭되는 특정 기준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가 여행 테마인 경우에는,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예를 들어, 상단 영역)에 배낭 형상의 기준 이미지(4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의 테마와 매칭되는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매칭된 좌표와 일치하는 위치에만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기준 이미지가 기 매칭된 좌표 정보와 일치하는 위치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학습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와 다른 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는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방향과 관련된 메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출력된 메뉴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출력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단 영역(예를 들어, 12시 방향)의 좌표에 위치한 특정 기준 이미지(310)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화면(510) 중 하단 영역(예를 들어, 6시 방향)의 좌표가 선택되는 경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변경(또는 이동)(520)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의 위치는, 일회성으로 변경될 수 있고, 또는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위치의 좌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일회성으로 변경된다는 것은,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는 변경하지 않되,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변경된 위치 상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다시 기 매칭된 출력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상에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위치의 좌표로 변경된다는 것은,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새로운 위치의 좌표로 갱신(또는 재 매칭)되어 메모리상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출력되는 VR 컨텐츠가 종료된 후, 새롭게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변경된 출력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출력 좌표가 변경된 위치의 좌표로 변경(또는 갱신, 또는 재 매칭)되는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기 매칭된 좌표에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된 영역의 좌표와 관련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 히스토리 정보란, 기준 이미지의 변경된 위치와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될 때 마다 해당 위치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집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매칭된 좌표가 상단 영역인 기준 이미지가, 상단 영역에 출력된 상태에서, 수집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하단 영역의 좌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출력된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좌표의 위치가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 매칭된 좌표를 갱신(또는 변경 또는 재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좌표의 위치가 변경된 횟수 정보는 좌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의 위치가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다른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갱신(또는 변경, 또는 재매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의 위치가 기 매칭된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다른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특정 위치로 변경된 횟수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변경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가 기 매칭된 출력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인 상단 영역(도 5의 도면부호 310 참조)에 출력된 상태에서, 하단 영역(도 5의 도면부호 520 참조)의 위치로 변경된 횟수가 기 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5회)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출력 좌표를 상단 영역에서 하단 영역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변경된 기준 이미지의 위치와 관련된 좌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이미지의 기 매칭된 출력 좌표를 갱신(또는 재 매칭)함으로서, 사용자만의 사용 패턴, 또는 사용자의 멀미 저감에 보다 효과적인 위치에 기준 이미지가 위치하도록 기준 이미지의 위치를 맞춤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뷰 영역상에 VR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의 속성(예를 들어, 위치, 형상 등)을 변경하는 방법을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VR컨텐츠는, HMD의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VR컨텐츠와 함께 출력된 기준 이미지는, VR 컨텐츠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아이콘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기준 이미지에 링크되는(또는 매칭되는) 기능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에 링크되는 기능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기준 이미지에 링크되는 기능은,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계없이, 기능 아이콘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준 이미지를 후보 기준 이미지에 항상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 아이콘으로 활용되는 기준 이미지가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메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기능 아이콘으로 활용되는 기준 이미지에 매칭된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뷰 영역 상에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또는 특정 기준 이미지)에는, VR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기능이 링크되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특정 기준 이미지의 일 영역에 대한 클릭이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링크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메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메뉴화면은,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된 화면의 전환, 팝업 창,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메뉴화면은, 기능 아이콘의 기능에 따라, VR 컨텐츠의 제어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VR 컨텐츠의 제어 메뉴는, 출력 중인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는, VR 컨텐츠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메뉴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상기 메뉴화면은, 학습 컨텐츠의 진행을 위해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제시된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요구되는 메뉴화면(도 6의 도면부호 6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컨텐츠의 경우, VR 컨텐츠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는, "회화 학습" 및 "단어 학습"과 같은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뉴화면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VR 컨텐츠가 학습과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 부가적인 학습 화면, 예를 들어, 영어 단어의 발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화면(도 6의 도면부호 620 참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VR 컨텐츠는,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기능 아이콘의 진행과 관련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VR 컨텐츠 제공 방법은, 기준 이미지를 기능 아이콘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를 경감시키는 것과 동시에, 특정 메뉴로의 직관적인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사용자 편의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에 청색광(Blue Light)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뷰 영역 중 출력된 기준 이미지, 활성화된 메뉴화면, 및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화면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청색광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VR 컨텐츠와 함께 특정 기준 이미지(310)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뷰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7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된 기준 이미지에 청색광(Blue Light) 필터(도 7a의 (b)의 도면부호 720)를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VR 컨텐츠와 함께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뷰 영역 전체에 대해 청색광 필터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메인 뷰 영역에 출력되는 VR 컨텐츠 및 기준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대해 청색광 필터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VR 컨텐츠와 함께 특정 기준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뷰 영역의 일 영역에 팝업창으로 출력된 화면(740)에 대해 청색광 필터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V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고정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및 제공 방법은,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테마와 연관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VR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멀미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 VR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가 재생되는 메인 뷰 영역의 특정 위치 상에,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 시키기 위하여, 상기 VR 컨텐츠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 상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VR 컨텐츠가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위치할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을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기준 이미지를 상기 특정 이미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준 이미지들은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의 출력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뷰 영역 내에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변경된 VR 컨텐츠의 테마에 매칭된 다른 기준 이미지로 변경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방법.
  8.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메인 뷰 영역에 상기 VR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VR 컨텐츠가 재생되는 메인 뷰 영역의 특정 위치 상에,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 시키기 위하여, 상기 VR 컨텐츠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 상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VR 컨텐츠가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에 출력되고 있는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 VR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VR 컨텐츠가 재생되는 메인 뷰 영역의 특정 위치 상에, 상기 VR 컨텐츠의 테마와 관련된 특정 기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 시키기 위하여, 상기 VR 컨텐츠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 상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인 뷰 영역 상에서, 상기 VR 컨텐츠가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준 이미지를 고정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CT/KR2021/000702 2020-02-18 2021-01-19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672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21A KR102254744B1 (ko) 2020-02-18 2020-02-18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0-0019721 2020-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252A1 true WO2021167252A1 (ko) 2021-08-26

Family

ID=7614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0702 WO2021167252A1 (ko) 2020-02-18 2021-01-19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54744B1 (ko)
WO (1) WO2021167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027B1 (ko) 2022-05-09 2023-08-14 (주)테라모션 가상 현실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gmp 실습 교육 시스템
KR102561913B1 (ko) 2022-05-09 2023-07-3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gmp 실습 교육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71A (ja) * 1998-12-03 2000-06-23 Nec Corp テレビ会議の映像生成装置及びその生成方法
KR20170042258A (ko) * 2016-11-10 2017-04-18 김영덕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128946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
US20170345212A1 (en) * 2016-05-25 2017-11-30 Ubisoft Entertainment System for virtual reality display
WO2018232184A1 (en) * 2017-06-14 2018-12-20 Had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reality motion sickness prevention
KR102041460B1 (ko)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528A (ko) * 2018-09-19 2018-10-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Hci를 이용한 대인 관계 개선 시스템
KR101971937B1 (ko) * 2018-11-08 2019-04-24 주식회사 휴메닉 고령자를 위한 혼합현실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71A (ja) * 1998-12-03 2000-06-23 Nec Corp テレビ会議の映像生成装置及びその生成方法
KR20170128946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
US20170345212A1 (en) * 2016-05-25 2017-11-30 Ubisoft Entertainment System for virtual reality display
KR20170042258A (ko) * 2016-11-10 2017-04-18 김영덕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8232184A1 (en) * 2017-06-14 2018-12-20 Had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reality motion sickness prevention
KR102041460B1 (ko)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086B1 (ko) 2021-06-25
KR102254744B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7252A1 (ko)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078540A2 (en) Mobile device and relate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user interaction based on image sensing module
WO2015065018A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036218A1 (ko) 캐릭터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WO2014092509A1 (en) Glass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es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WO2010095835A2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EP3533025A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sharing
WO2016003078A1 (en) Glasses-type mobile terminal
WO2015122566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image capture guid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5199288A1 (en) Glass-typ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ing the same
WO2015108234A1 (en) Detachable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46380A1 (en) Wearable device displaying thumbnail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21707A1 (ko) Vr영상광고 시스템 및 vr광고제작시스템
EP35299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30567A1 (ko) Hmd 및 그 hmd의 제어 방법
WO201511569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7052150A1 (en) User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19125029A1 (ko) 증강 현실을 위한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105849A1 (ko)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WO2019168387A1 (en)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s
WO2018026082A1 (ko) 애니메이션 제작 장치 및 방법
WO2020017866A1 (ko) 가상현실 화면의 배열 및 표시방법
WO2020111744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2984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WO2013065912A1 (ko)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578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578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