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670B1 - 연꽃차걸이 - Google Patents

연꽃차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670B1
KR102269670B1 KR1020190105562A KR20190105562A KR102269670B1 KR 102269670 B1 KR102269670 B1 KR 102269670B1 KR 1020190105562 A KR1020190105562 A KR 1020190105562A KR 20190105562 A KR20190105562 A KR 20190105562A KR 102269670 B1 KR102269670 B1 KR 10226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ll
ring
magnetic pa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794A (ko
Inventor
임봉호
Original Assignee
임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봉호 filed Critical 임봉호
Priority to KR102019010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42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ventil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액세서리에 관련한 기술이며, 내부에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복수개의 볼(B)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에 교차배치되며, 외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외부홀(H1)을 포함하고, 내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내부홀(H2)을 포함하되, 상기 링(100)은 내부에 볼(B)을 수용하는 볼(B)과 대응하는 크기의 볼(B)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B)수용부에는 외부홀(H1) 또는 내부홀(H2)이 배치되고, 내부홀(H2)의 입구 내측면은 저장부(S)에 저장된 방향성 액체(200)를 기밀할 수 있는 오링(O)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100); 상기 링(100)의 내측면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고 방향성 액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저장공간이되, 원통의 측면 일부에 상기 복수개의 볼(B) 일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H3)을 포함하는 저장부(S); 상기 저장부(S) 최상단 면에 배치되는 제1자성부(301) 및 최하단 면에 배치되는 제2자성부(302)를 포함하는 자성부(300); 상기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를 연결하되,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의 척력을 전달 및 제어할 수 있는 플레이트(D) 형상의 Z형 척력 제어플레이트(D); 및 일부가 외부홀(H1)을 통해 노출된 상기 볼(B)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연꽃잎 형상이되,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에 의해 상기 볼(B)이 회동하여 연꽃잎이 상하 진동하는 구조인 방향 전달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볼(B)의 일부는 수용홀(H3)을 통해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의 척력 운동에 의해 유동하는 방향성 액체(200)를 공급받아 내부홀(H2) 및 외부홀(H2)에 전달하고, 외부홀(H1)에 노출되어 있는 연꽃잎이 상하 진동하며 외부로 향기를 공급하되, 상기 내부홀(H2) 및 외부홀(H1)은 오링(O)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차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꽃차걸이{ACCESSORY FOR CAR}
본 발명은 연꽃차걸이에 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방향제를 포함하는 차량용 액세서리의 일종류로서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바운스 및 자성의 척력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향기를 전달하거나 방향할 수 있는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란 차량 또는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불쾌한 냄새를 없애주며 좋은 향기를 제공하도록하며, 특히 차량의 탑승자에게 신선하면서도 향긋한 향기를 제공하여 졸음 운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높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여 많은 운전자가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데쉬보드의 상면에 부착하는 부착형 방향제와, 냉풍이나 온풍을 발산하는 환풍구에 장착하는 클립형 방향제, 룸미러에 걸이끈을 이용하여 거는 걸이형 방향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취향에 맞게 방향제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다만 부착형 방향제의 경우 한번 붙이게 되면 위치변경이 어려운 문제와 접착자국이 남게되면서 차량의 실내가 더럽혀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클립형 방향제의 경우 환풍구에서 나오는 온풍이나 냉풍에 의해 발산제의 방향성 물질이 빠르게 소진될뿐 아니라 강한 향이 발산되어 탑승자에게 거부감을 불러 일으킬 소지가 있다.
걸이형 방향제의 경우 위치 변경의 어려움이 없고, 강한 향이 발산되어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등의 부착형 및 클립형 방향제의 단점을 보완하기는 하지만 상기 클립형 방향제에 비해 방향성분이 너무 느리게 소진될 뿐 아니라 향이 너무 약하게 발산되므로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향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사용감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방향성분의 적절한 발산으로 차량 내부의 방향 효과를 부여하고, 장식점 미감까지 제공할 수 있는 방향제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062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680호
본 발명은 일 목적은 종래 차량용 방향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차량 내부에 방향성분의 적절한 발산을 유도하여 좋은 향기를 발산함으로써 차량 실내 공기를 상쾌하게 하는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 성분을 발산하기 위해 연꽃잎이 진동하면서 차량 액세서리로서 장식점 미감까지 제공할 수 있는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는 내부에 복수개의 볼(B)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에 교차배치되며, 외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외부홀(H1)을 포함하고, 내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내부홀(H2)을 포함하되, 상기 링(100)은 내부에 볼(B)을 수용하는 볼(B)과 대응하는 크기의 볼(B)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B)수용부에는 외부홀(H1) 또는 내부홀(H2)이 배치되고, 내부홀(H2)의 입구 내측면은 저장부(S)에 저장된 방향성 액체(200)를 기밀할 수 있는 오링(O)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100); 상기 링(100)의 내측면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고 방향성 액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저장공간이되, 원통의 측면 일부에 상기 복수개의 볼(B) 일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H3)을 포함하는 저장부(S 상기 저장부(S) 최상단 면에 배치되고 걸이줄이 관통하는 관통공(H)이 있는 제1자성부(301) 및 최하단 면에 배치되는 제2자성부(302)를 포함하는 자성부(300); 상기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를 연결하되,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의 척력을 전달 및 제어할 수 있는 플레이트(D) 형상의 Z형 척력 제어플레이트(D); 및 일부가 외부홀(H1)을 통해 노출된 상기 볼(B)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연꽃잎 형상이되,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에 의해 상기 볼(B)이 회동하여 연꽃잎이 상하 진동하는 구조인 방향 전달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볼(B)의 일부는 수용홀(H3)을 통해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의 척력 운동에 의해 유동하는 방향성 액체(200)를 공급받아 내부홀(H2) 및 외부홀(H2)에 전달하고, 외부홀(H1)에 노출되어 있는 연꽃잎이 상하 진동하며 외부로 향기를 공급하되, 상기 내부홀(H2) 및 외부홀(H1)은 오링(1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100)과 동일한 구조이며, 상기 링(100)의 하단에 다단 배치되되, 외주면 지름이 상단의 링(100)보다 크고, 내주면 지름은 상기 상단의 링(100)과 동일한 복수개의 링(100)을 추가로 포함하되, 링(100)의 추가에 따라 상기 저장부(S) 및 자성부(3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포함하는 링(100)을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공간에 복수개의 볼(B)을 배치시키고, 저장부(S)에 배치되는 자성부(300) 및 척력 제어플레이트(D)에 의해 상기 볼(B)의 회동운동을 유도함으로써 볼(B)의 일부인 연꽃잎에 의한 방향제의 적절한 발산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는 저장부(S)에 저장되는 액상형 방향제를 저장부(S) 외부로 적절히 전달함으로써 종래 걸이용 방향제에 비하여 강한 향을 전달하되, 부착형 또는 클립형 방향제에 비하여 약한 향을 전달할 수 있고, 향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흔들리는 연꽃잎에 의해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하는 바, 사용자의 만족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방향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개략적 사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에 포함된 저장부 척력 제어플레이트(D)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링을 나타내는 상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링이 다단 구조를 이루는 연꽃차걸이의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에 포함된 저장부 및 척력 제어플레이트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링을 나타내는 상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링이 다단 구조를 이루는 연꽃차걸이의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꽃차걸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이하 '연꽃차걸이'라 함)의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링(100), 저장부(S), 자성부(300), 척력 제어플레이트(D) 및 방향 전달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링(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내부에 복수개의 볼(B)이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링(100)의 내부는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통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볼(B)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볼(B)은 링(100) 내부에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되, 상하 교차로 배치되어 볼(B)이 링(1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링(100)의 외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부홀(H1)을 포함하고, 내표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내부홀(H2)을 포함한다. 이는 볼이 링 내부 원통형의 소정의 공간으로부터 방향성 액체(200)를 공급받아 링(100) 외부 공간으로 발산시키기 위한 것이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링(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간에는 방향성 액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S)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S)는 방향성 액체(200)가 수용되며, 복수개의 볼(B)에 방향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저장 역할을 한다.
이때 방향성 액체(200)를 볼(B)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내부홀(H2)에서 노출되는 볼(B)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저장부(S)의 측면 일부에 수용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S)에 저장되는 방향성 액체(200)를 수용홀(H3)에 수용되는 볼(B)의 외표면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차걸이가 걸린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볼(B)의 외표면에 공급된 방향성 액체(200)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바운스에 의해 저장부 내에서 유동할 수 있고, 방향성 액체(200)가 볼(B)의 전면에 분산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S)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자성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S)의 최상단 면 및 최하단 면에는 자성을 띠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 각각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는 상호 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4와 같이 관통공(H)(H)을 통과하는 걸이줄에 의해 차걸이가 차량 내부에 걸려 있는 경우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바운스에 의해 자성부(300)가 진동하며, 상호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별도의 에너지 공급없이 방향제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저장부(S)에는 상기 자성부(300)의 척력 발생을 용이하게 유도하고, 척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를 연결하는 플레이트(D) 형상의 Z형 척력 제어플레이트(D)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자성부(301)와 제2자성부(302) 간 발생하는 척력을 척력 제어플레이트(D)가 제어함으로써 발생하는, 척력 제어플레이트(D)의 바운스 운동에 의해 저장부(S)에 저장되는 방향성 액체(200)가 유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향성 액체(200)의 유동에 의해 저장부(S)의 수용홀(H3)로부터 링(100)의 내부홀(H2)을 통해 볼(B)의 표면에 방향성 액체(200)가 공급되는 동시에 볼(B)이 회동운동으로 외부홀(H1)에 노출되는 볼(B)의 표면까지 방향성 액체(200)가 분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산된 액체(200)를 차량 내부에 기체 형태로 분산시키기 위해 외부홀(H1)에 배치되는 볼(B)의 표면에는 연꽃잎 형상의 방향전달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방향전달부(400)는 외부홀(H1)을 통해 볼(B)의 일표면과 결합되는 구조이며, 연꽃잎과 같은 형상이다. 즉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에 의해 볼(B)이 회동운동하면 상기 방향전달부(400)도 함께 상하 부채운동할 것인바, 볼(B)의 표면에 분산된 방향성 액체(200)가 연꽃잎의 부채운동에 의해 증발하면 액상의 방향제를 기체상의 향기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저장부(S)에 저장되는 방향성분은 액상형이며 수용홀(H3)을 통해 내부홀(H2) 및 외부홀(H1)로 전달하고, 차량 내부에 기체상의 향기로 발산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과도한 바운스에 의해 액체(200)가 외부로 낙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볼(B)에 의해 방향성 액체(200)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인 내부홀(H2) 및 외부홀(H1)에는 방향성 액체(200)의 기밀을 위해 오링(100)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100)은 내부에 볼(B)을 수용할 수 있는 볼(B)과 대응하는 크기의 볼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볼수용부에 볼(B)이 수용되는 경우 볼(B)에 공급되는 방향성 액체(200)가 수용부의 하단부에 적절히 저장될 수 있어 방향성 액체(200)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수용부에는 방향성 액체(200)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인 외부홀(H1) 및 내부홀(H2)이 배치될 수 있고, 내부홀(H2)의 입구 내측면에 위치한 볼(B)의 일부에는 저장부(S)에 저장된 방향성 액체(200)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100)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볼(B)을 포함하는 링(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특히, 상기 링(100)과 동일한 구조의 링(1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100)과 동일한 구조이며, 상기 링(100)의 하단에 다단으로 배치되되, 하단에 배치되는 링(100)은 상단의 링(100)에 비하여 외주면 지름이 큰 반면, 내주면 지름은 상단 링(100)의 내주면 지름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링(100) 내주면 소정의 공간에 방향성 액체(20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S)를 배치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내주면 지름을 갖는 링(100)을 다단으로 배치하는 경우 링(100)의 추가에 따라 저장부(S)의 용량 및 자성부(300)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S)에 저장되는 방향성 액체(200)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 척력 제어플레이트(D)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여 향기의 발산 정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방향성 액체(200)를 포함하는 연꽃차걸이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바운스를 자성부(300)에 적용하여 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저장부(S)에 저장된 방향성분을 적절하게 발산시킬 수 있는바, 방향성 액체(200)의 소진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방향성분의 발산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 사용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방향성 액체(200)를 전달받은 볼(B)이 차량의 바운스에 의해 회동운동하며 연꽃잎이 함께 움직이는바 사용자에게 장식적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링
B: 볼
H1: 외부홀
H2: 내부홀
H3: 수용홀
S: 저장부
200: 방향성액체
300: 자성부
301: 제1자성부
302: 제2자성부
D: 척력제어플레이트
400: 방향전달부
O: 오링
H: 관통공
10: 걸이줄

Claims (2)

  1. 내부에 복수개의 볼(B)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에 교차배치되며, 외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외부홀(H1)을 포함하고, 내표면은 상기 복수개의 볼(B)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내부홀(H2)을 포함하되, 링(100)은 내부에 볼(B)을 수용하는 볼(B)과 대응하는 크기의 볼(B)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B)수용부에는 외부홀(H1) 또는 내부홀(H2)이 배치되고, 내부홀(H2)의 입구 내측면은 저장부(S)에 저장된 방향성 액체(200)를 기밀할 수 있는 오링(O)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100);
    상기 링(100)의 내측면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고 방향성 액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저장공간이되, 원통의 측면 일부에 상기 복수개의 볼(B) 일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H3)을 포함하는 저장부(S);
    상기 저장부(S) 최상단 면에 배치되고 걸이줄이 관통하는 관통공(H)이 있는 제1자성부(301) 및 최하단 면에 배치되는 제2자성부(302)를 포함하는 자성부(300);
    자성부(300)가 진동하며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제1자성부와 제2자성부 간 발생하는 이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자성부(301) 및 제2자성부(302)를 연결하는 플레이트(D) 형상의 Z형 척력 제어플레이트(D); 및
    일부가 외부홀(H1)을 통해 노출된 상기 볼(B)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연꽃잎 형상이되,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와 접하는 상기 볼(B)의 일측이 척력 전달플레이트(D)의 진동에 의해 상기 볼(B)이 회동하여 연꽃잎이 상하 진동하는 구조인 방향 전달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볼(B)의 일부는 수용홀(H3)을 통해 상기 척력 제어플레이트(D)의 상하 척력 운동에 의해 유동하는 방향성 액체(200)를 공급받아 내부홀(H2) 및 외부홀(H2)에 전달하고, 외부홀(H1)에 노출되어 있는 연꽃잎이 상하 진동하며 외부로 향기를 공급하되,
    상기 내부홀(H2) 및 외부홀(H1)은 오링(O)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차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100)과 동일한 구조이며, 링(100)의 하단에 다단 배치되되, 외주면 지름이 상단의 링(100)보다 크고, 내주면 지름은 상단의 링(100)과 동일한 복수개의 링(100)을 추가로 포함하되, 링(100)의 추가에 따라 상기 저장부(S) 및 자성부(3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차걸이.
KR1020190105562A 2019-08-28 2019-08-28 연꽃차걸이 KR10226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62A KR102269670B1 (ko) 2019-08-28 2019-08-28 연꽃차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62A KR102269670B1 (ko) 2019-08-28 2019-08-28 연꽃차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794A KR20210025794A (ko) 2021-03-10
KR102269670B1 true KR102269670B1 (ko) 2021-06-25

Family

ID=7514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562A KR102269670B1 (ko) 2019-08-28 2019-08-28 연꽃차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6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63Y1 (ko) 2002-01-08 2002-04-20 이충균 내부 장식물이 부상되는 차량용 악세사리
JP2019080787A (ja) 2017-10-31 2019-05-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揮散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985Y2 (ko) * 1986-10-20 1990-10-31
KR200487680Y1 (ko) 2016-05-11 2018-10-19 (주)요술램프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KR101940628B1 (ko) 2018-11-30 2019-01-21 주식회사 아이디어스 차량용 방향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63Y1 (ko) 2002-01-08 2002-04-20 이충균 내부 장식물이 부상되는 차량용 악세사리
JP2019080787A (ja) 2017-10-31 2019-05-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揮散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794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835A (en) Combined fragrance dispenser and humidifier
KR101516537B1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JP4719428B2 (ja) 柔軟性を有する自律的液体霧化カートリッジにより空気を芳香化し、殺菌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ネットワーク
KR101509273B1 (ko) 착용 가능한 화학 물질 공급기
US7597308B1 (en) Constant-rate volatile material dispensing device
CN109414004B (zh) 分配装置
US7938338B2 (en) Air freshener apparatus
CN102711848A (zh) 可穿戴化学品分配器
ES2389511T3 (es) Percha de acondicionamiento de ropa y procedimiento de uso de la misma
KR102269670B1 (ko) 연꽃차걸이
US7597309B1 (en) Constant-rate volatile material dispensing device
US10064970B1 (en) Multiple fragrance emission device
US20060216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Aerosol agents
US7407114B2 (en) Plant pot shaped air freshening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JP2013113200A (ja) 扇風機用簡易冷風装置
KR102059473B1 (ko) 조명수단이 마련된 전시대
KR20210048008A (ko) 디퓨저
KR20170102128A (ko) 기능성 옷걸이
JPH01218458A (ja) 芳香剤の散布方法と散布器
KR20210000460U (ko) 방향제 용기 교체수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방향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차량용 방향봉제인형
CN219769599U (zh) 香薰装置
CN211863409U (zh) 香薰装置
KR102504651B1 (ko) 차량용 디퓨저 홀더
KR20190000953U (ko) 스탠드 조명등
US20110204158A1 (en) Door mounted room deodo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