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392B1 -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392B1
KR102269392B1 KR1020200118567A KR20200118567A KR102269392B1 KR 102269392 B1 KR102269392 B1 KR 102269392B1 KR 1020200118567 A KR1020200118567 A KR 1020200118567A KR 20200118567 A KR20200118567 A KR 20200118567A KR 102269392 B1 KR102269392 B1 KR 10226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bar
bar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은경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1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or core extractors
    • E21B25/005Above ground means for handling the core, e.g. for extracting the core from the core barr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조사 후 채취된 시료들이 수용된 코어박스(core box);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어박스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 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DSLR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탈착 거치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시료들에 대한 상기 촬상장치의 촬영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브라켓에 거치된 상기 촬상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와 상기 코어박스 각각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PHTOGRAPHING ASSEMBLY FOR CORES FROM BORING INVESTIGATION USING FIXING TYPE IMAGING DEVICES}
본 발명은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시추조사는 지층변화와 지층의 구조를 파악하여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실시되며, 시추조사시 채취된 시료는 심도별로 분류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229886호의 "지질조사용 토석재 코어의 보관용 상자"와, 공개특허 제10-2011-0040136호의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등과 같은 나무 또는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상자에 보관한다.
상자의 무게는 대략 1kg 내외이며 이동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시추조사를 완료하면 모든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한 보고서 파일과 함께 코어 박스의 사진을 성과품으로 제출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코어 사진의 촬영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코어 사진의 촬영은 단순한 일반 사진의 촬영이 아니라 지층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모든 기술자가 간편하고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자료이지만, 지금까지 코어 박스에 수용된 시료들을 촬영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일조량이나 태양의 고도 또는 날씨를 포함한 외부 환경에 따른 코어 박스의 화질 불량 문제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코어 박스의 화질 불량 문제가 상존하게 된다.
특히, 일조량이나 태양 고도에 따른 화질 불량의 경우에는 그림자 발생으로 인하여 시료의 일부분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날씨에 따라 화질 및 색도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후보정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화질 불량의 경우에는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의 흔들림이나 촛점 이탈 등으로 인하여 피사체가 일그러지게 나타난 경우라 할 수 있으며, 이때 후보정을 실시하더라도 원본에 비하여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천신만고 끝에 촬영한 코어 박스의 사진을 보정 작업을 거쳐 해상도를 높이거나 하더라도 원본에 비하여 촬영 이미지의 보정에 따른 품질 저하가 일어나고, 보정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에 원래 데이터의 자료 훼손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9886호 공개특허 제10-2011-00401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추조사 후 채취된 시료들이 수용된 코어박스(core box);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어박스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 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DSLR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탈착 거치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시료들에 대한 상기 촬상장치의 촬영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브라켓에 거치된 상기 촬상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와 상기 코어박스 각각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촬영 화각이 형성하는 범위 내의 영역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정사영의 중심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된 상기 코어박스의 중심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회동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직교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봉과 직교함과 동시에 상기 시료들이 수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된 상기 코어 박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인 제2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2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2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의 하부측 외주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시추조사 후 채취된 시료들이 수용된 코어박스(core box);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구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코어박스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 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DSLR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탈착 거치되는 제1 브라켓과, 브라켓과 제1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시료들에 대한 촬상장치의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제1 브라켓에 거치된 촬상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와 코어박스 각각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의 촬영 화각이 형성하는 범위 내의 영역에 의하여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정사영의 중심과, 제1 프레임에 거치된 코어박스의 중심은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촬상장치를 장착하여 촬영하기만 하면 고해상도의 코어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손떨림이나 이미지 왜곡으로 인한 후보정 등의 번거로운 추가 작업이 일절 필요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지면에 대하여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회동 고정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코어박스를 안정적으로 받침 지지하는 상태를 자연스레 형성함으로써 시료의 촬영 이미지 획득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라켓은, 제1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편과, 고정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직교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제1 지지봉과, 제1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봉과 직교함과 동시에 시료들이 수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에 거치된 코어 박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인 제2 지지봉을 포함하며, 제1 브라켓은 제2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이 이미지센서와 소형 카메라를 가진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코어 시료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라켓은, 제1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2 지지봉과, 제2 지지봉의 하부측 외주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물론 DSLR 카메라와 같은 고성능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코어 시료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중 주요부인 제1 유닛을 지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상부측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
도 6은 도 4의 B-B 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하부측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중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을 지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A 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상부측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B-B 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하부측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조사 후 채취된 시료들이 수용된 코어박스(300, core box)를 제1 유닛(100)이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제2 유닛(200)은 이러한 코어박스(300)에 수용된 시료들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장치(400)를 지지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프레임(110)과, 제1 프레임(11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120)과, 제1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코어박스(300)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 바(15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DSLR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장치(400)가 탈착 거치되는 제1 브라켓(210)과, 브라켓과 제1 유닛(100)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브라켓(220)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료들에 대한 촬상장치(400)의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제1 브라켓(210)에 거치된 촬상장치(400)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와 코어박스(300) 각각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고해상도의 선명한 시료들의 이미지를 획득함에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프레임(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러짐 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골조 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1 프레임(110)은 구체적으로는, 받침 바(150)와 직교되게 받침 바(15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수직 바(111)와, 받침 바(150)와 직교되게 받침 바(15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수직 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은 제1 수직 바(111)와 제2 수직 바(112)를 상호 연결하며 받침 바(150)와 평행하게 복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연결 바(113)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프레임(110)은 제1 수직 바(111)와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 미끄럼방지편(114)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후술할 제2 프레임(120)은 도 4 및 도 7과 같이 제1 수직 바(111) 및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상부측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브라켓(220)은, 도 1(a)와 같이 제1 브라켓(2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3 지지봉(223)과, 제3 지지봉(223)의 하부측 외주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지지다리(224)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브라켓(220)은, 도 1(b)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프레임(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편(225)에 제1, 2 지지봉(221, 222)이 구비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지지봉(221)은 고정편(225)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프레임(110)에 대하여 직교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텔레스코픽 방식의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지지봉(222)은 제1 지지봉(2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봉(221)과 직교함과 동시에 시료들이 수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0)에 거치된 코어 박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1 지지봉(221)과 같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텔레스코픽 방식의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브라켓(210)은 제2 지지봉(2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지면에 대하여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회동 고정구(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회동 고정구(140)는, 제1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를 가지는 제1 회동편(141)과, 제2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제2 회동편(142)과, 제1, 2 회동편(141, 142)을 연결하는 힌지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힌지핀(143)은 제1 단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1 회동편(141)의 제3 단부와, 제2 단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 회동편(142)의 제4 단부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촬상장치(400)를 제1 브라켓(210)에 설치하여 코어박스(300)에 수용된 시료들을 촬영하는 것만으로도 촛점이 뚜렷한 고해상도의 시료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카메라 렌즈의 촬영 화각이 형성하는 범위 내의 영역에 의하여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정사영의 중심과, 제1 프레임(110)에 거치된 코어박스(300)의 중심은 일치하므로 이러한 고해상도의 사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프레임(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러짐 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골조 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프레임(120)은 구체적으로는, 받침 바(15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수직 바(121)와, 받침 바(15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 수직 바(12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수직 바(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120)은 제3 수직 바(121)와 제4 수직 바(122)를 상호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복수로 이격 배치되는 제2 연결 바(123)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프레임(120)은 제3 수직 바(121)와 제4 수직 바(122) 각각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 미끄럼방지편(124)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전술한 제1 프레임(110)은 제3 수직 바(121) 및 제4 수직 바(122) 각각의 상부측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회동하여 절첩 수납된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프레임(1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부피 최소화 가능한 절첩 수납 구조의 마련을 위하여, 제2 프레임(120)과 마주보는 제1 수직 바(111) 및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대향면에 제1 수직 바(111) 및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 안내홈(115)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은 제2 프레임(120)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펼침지지 바(126)의 타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 안내홈(115)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왕복 가능한 왕복 롤러(116)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프레임(110)은 제1 안내홈(115)의 양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왕복 롤러(116)의 이탈을 규제하는 안내 레일(1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 프레임(110)은 제1 수직 바(111) 및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제1 안내홈(115)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바 스토퍼(118)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바 스토퍼(118)는 펼침지지 바(126)의 타단부가 왕복 롤러(116)의 이동에 따라 제1 수직 바(111) 및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하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2 프레임(12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회동하여 절첩 수납된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과 마주보는 제3 수직 바(121) 및 제4 수직 바(122)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 안내홈(125)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 프레임(120)은, 제2 안내홈(125)의 양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부 양측을 가지는 펼침지지 바(126)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왕복 롤러(116)는, 제3 수직 바(121) 및 제4 수직 바(122) 각각의 하단부가 제1 프레임(110)의 하단부로부터 멀어지게 펼쳐지면 도 4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의 하부측인 제1 안내홈(115)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전술한 왕복 롤러(116)는, 제3 수직 바(121) 및 제4 수직 바(122)가 제1 프레임(110)에 대하여 맞닿게 절첩되면 도 7(a)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의 상부측인 제1 안내홈(115)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제1 수직 바(111) 및 제2 수직 바(112) 각각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프레임(130)을 더 구비하여, 운반과 이송 및 수납 보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2 브라켓(220)은 도 7(a)와 같이 제3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절첩 수납된 상태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과 이동 및 보관 수납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코어 박스(300)를 올려놓고 촬상장치(400)로 촬영할 때는 도 7(b)와 같이 제3 프레임(120)으로부터 회동하여 펼쳐져 세워진 후, 촬상장치(400)를 제1 브라켓(210)에 장착하고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하여 촬영을 개시하면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시추조사 후 채취된 시료들이 수용된 코어박스(300, core box); 제1 프레임(110)과, 제1 프레임(11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120)과, 제1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코어박스(300)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 바(15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및 DSLR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장치(400)가 탈착 거치되는 제1 브라켓(210)과, 브라켓과 제1 유닛(100)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브라켓(220)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0)을 포함하며, 시료들에 대한 촬상장치(400)의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제1 브라켓(210)에 거치된 촬상장치(400)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와 코어박스(300) 각각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의 촬영 화각이 형성하는 범위 내의 영역에 의하여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정사영의 중심과, 제1 프레임(110)에 거치된 코어박스(300)의 중심은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촬상장치를 장착하여 촬영하기만 하면 고해상도의 코어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손떨림이나 이미지 왜곡으로 인한 후보정 등의 번거로운 추가 작업이 일절 필요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지면에 대하여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회동 고정구(1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코어박스(300)를 안정적으로 받침 지지하는 상태를 자연스레 형성함으로써 시료의 촬영 이미지 획득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라켓(220)은, 제1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프레임(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편(225)과, 고정편(225)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프레임(110)에 대하여 직교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제1 지지봉(221)과, 제1 지지봉(2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봉(221)과 직교함과 동시에 시료들이 수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0)에 거치된 코어 박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인 제2 지지봉(222)을 포함하며, 제1 브라켓(210)은 제2 지지봉(222)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이 이미지센서와 소형 카메라를 가진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코어 시료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라켓(220)은, 제1 브라켓(2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3 지지봉(223)과, 제3 지지봉(223)의 하부측 외주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지지다리(224)를 포함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물론 DSLR 카메라와 같은 고성능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코어 시료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부 환경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추조사에서 획득한 시료들의 고해상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프레임
111...제1 수직 바
112...제2 수직 바
113...제1 연결 바
114...제1 미끄럼방지편
115...제1 안내홈
116...왕복 롤러
117...안내 레일
118...바 스토퍼
120...제2 프레임
121...제3 수직 바
122...제4 수직 바
123...제2 연결 바
124...제2 미끄럼방지편
125...제2 안내홈
126...펼침지지 바
130...제3 프레임
140...회동 고정구
141...제1 회동편
142...제2 회동편
143...힌지핀
150...받침 바
200...제2 유닛
210...제1 브라켓
220...제2 브라켓
221...제1 지지봉
222...제2 지지봉
223...제3 지지봉
224...지지다리
225...고정편
300...코어박스
400...촬상장치

Claims (5)

  1. 시추조사 후 채취된 시료들이 수용된 코어박스(core box);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어박스를 받침 지지하는 받침 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DSLR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탈착 거치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받침 바와 직교되게 상기 받침 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수직 바와,
    상기 받침 바와 직교되게 상기 받침 바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수직 바와,
    상기 제1 수직 바와 상기 제2 수직 바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받침 바와 평행하게 복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1 수직 바와 상기 제2 수직 바 각각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 미끄럼방지편과,
    상기 제2 프레임과 마주보는 상기 제1 수직 바 및 상기 제2 수직 바 각각의 대향면에 상기 제1 수직 바 및 상기 제2 수직 바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 안내홈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펼침지지 바의 타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홈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왕복 가능한 왕복 롤러와,
    상기 제1 안내홈의 양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왕복 롤러의 이탈을 규제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제1 수직 바 및 상기 제2 수직 바 각각의 상기 제1 안내홈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펼침지지 바의 타단부가 상기 왕복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수직 바 및 상기 제2 수직 바 각각의 하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받침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수직 바와,
    상기 받침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수직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수직 바와,
    상기 제3 수직 바와 상기 제4 수직 바를 상호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복수로 이격 배치되는 제2 연결 바와,
    상기 제3 수직 바와 상기 제4 수직 바 각각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 미끄럼방지편과,
    상기 제1 프레임과 마주보는 상기 제3 수직 바 및 상기 제4 수직 바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2 안내홈의 양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부 양측을 가지는 펼침지지 바와, 상기 펼침지지 바의 타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안내홈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왕복 가능한 상기 왕복 롤러 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회동 고정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 고정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를 가지는 제1 회동편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제2 회동편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상기 제1 회동편의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상기 제2 회동편의 제4 단부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직 바 및 제2 수직 바 각각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3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절첩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수직 바 및 상기 제2 수직 바 각각의 상부측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3 수직 바 및 상기 제4 수직 바 각각의 상부측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왕복 롤러는,
    상기 제3 수직 바 및 상기 제4 수직 바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맞닿게 절첩되면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측인 상기 제1 안내홈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수직 바 및 상기 제4 수직 바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멀어지게 펼쳐지면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측인 상기 제1 안내홈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료들에 대한 상기 촬상장치의 촬영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브라켓에 거치된 상기 촬상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와 상기 코어박스 각각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촬영 화각이 형성하는 범위 내의 영역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정사영의 중심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된 상기 코어박스의 중심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직교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봉과 직교함과 동시에 상기 시료들이 수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된 상기 코어 박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인 제2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2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3 지지봉과,
    상기 제3 지지봉의 하부측 외주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KR1020200118567A 2020-09-15 2020-09-15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KR10226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567A KR102269392B1 (ko) 2020-09-15 2020-09-15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567A KR102269392B1 (ko) 2020-09-15 2020-09-15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392B1 true KR102269392B1 (ko) 2021-06-25

Family

ID=7662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567A KR102269392B1 (ko) 2020-09-15 2020-09-15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39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86Y1 (ko) 1998-09-01 2001-09-17 유종학 지질조사용 토석재 코어의 보관용 상자
KR20020005954A (ko) * 2000-07-10 2002-01-18 양윤원 디지털 카메라 탑재용 회전구동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탑재용 회전식 삼각대
KR20110040136A (ko) 2009-10-13 2011-04-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KR101181354B1 (ko) * 2012-07-03 2012-09-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KR20120008474U (ko) * 2011-06-01 2012-12-11 박준규 개선된 접철 구조를 갖는 이젤
KR101480327B1 (ko) * 2013-07-31 2015-0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주상 시추 코어 시료 광학 촬영 자동화 시스템 및 촬영 방법
KR20170035530A (ko) * 2015-09-23 2017-03-31 이영학 접이식 발판사다리
KR102054490B1 (ko) * 2019-04-30 2019-12-10 재단법인 환경기술정책연구원 접이식 토양시료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86Y1 (ko) 1998-09-01 2001-09-17 유종학 지질조사용 토석재 코어의 보관용 상자
KR20020005954A (ko) * 2000-07-10 2002-01-18 양윤원 디지털 카메라 탑재용 회전구동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탑재용 회전식 삼각대
KR20110040136A (ko) 2009-10-13 2011-04-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KR20120008474U (ko) * 2011-06-01 2012-12-11 박준규 개선된 접철 구조를 갖는 이젤
KR101181354B1 (ko) * 2012-07-03 2012-09-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KR101480327B1 (ko) * 2013-07-31 2015-0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주상 시추 코어 시료 광학 촬영 자동화 시스템 및 촬영 방법
KR20170035530A (ko) * 2015-09-23 2017-03-31 이영학 접이식 발판사다리
KR102054490B1 (ko) * 2019-04-30 2019-12-10 재단법인 환경기술정책연구원 접이식 토양시료 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5891B (zh) 一种快速书籍扫描仪及其操作方法
CN202868243U (zh) 带有水平仪的摄影三脚架
Booth et al. Lightweight camera stand for close-to-earth remote sensing
Fisher et al.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methodology for creating high-resolution, color-corrected, and georectified photomosaics of stratigraphic sections at archaeological sites
KR102269392B1 (ko)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CN112682635B (zh) 博物馆文物三维扫描数据采集平台
CN203912022U (zh) 一种运动场上使用的手机拍摄支架
CN206738877U (zh) 便携式岩心图像获取辅助设备
CN212430271U (zh) 一种工程造价用工地现场拍摄摄影支架
CN208076897U (zh) 野外可拆卸摄影棚架
CN209912014U (zh) 立体图像采集系统
CN210270942U (zh) 书画采集仪
CN207779347U (zh) 一种液压式小型三维扫描仪脚架
KR102293057B1 (ko)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거치대
CN220930709U (zh) 一种使用便捷的相机
CN220851545U (zh) 一种三脚架的稳定结构
CN201533348U (zh) 便携式摄像机稳定架
CN221443867U (zh) 用于植被盖度的图像采集装置
CN212203863U (zh) 一种带红外相机旋转的图像拼接全景仪
CN216619182U (zh) 一种基于小学古诗词生成图像内容的装置
CN219933515U (zh) 一种便携式全景影像外业调查设备
CN210014781U (zh) 国土空间规划地形测量装置
JP7390205B2 (ja) 人工知能(ai)を用いる地盤改良工事の工程管理方法及び人工知能(ai)を用いる地盤改良工事の工程管理システム
CN113091620B (zh) 一种计算机图像处理装置
CN212510206U (zh) 一种便于收纳的矩形三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