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354B1 -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354B1
KR101181354B1 KR1020120072153A KR20120072153A KR101181354B1 KR 101181354 B1 KR101181354 B1 KR 101181354B1 KR 1020120072153 A KR1020120072153 A KR 1020120072153A KR 20120072153 A KR20120072153 A KR 20120072153A KR 101181354 B1 KR101181354 B1 KR 10118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ample
display unit
movemen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홍세선
임재수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광물 등의 시료를 변환가능한 스케일 바 및 시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받침부에 올려놓고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시료의 정보와 실제 시료를 동시에 촬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료 및 시료의 정보를 촬영할 수 있는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PHOTOGRAPHING APPARATUS OF SAMPLE AND SYSTEM USING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광물 등의 시료를 변환가능한 스케일 바 및 시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받침부에 올려놓고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시료의 정보와 실제 시료를 동시에 촬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료 및 시료의 정보를 촬영할 수 있는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스러운 시료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일정한 높이에서 카메라를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생물표본이나 광물 등의 시료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 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촬영장치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06-0101365호는 생물표본사진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영에 필요한 조명구가 양쪽에 위치하고, 가운데 생물표본 거치용 프레임과 표본 거치용 유리상자 및 카메라 부착 및 상하위치 조절용 슬라이더를 위치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수산생물 표본을 실내에서 근접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특2002-0013034호는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 카메라를 소정높이로 고정한 후 두 개의 고정장치를 구동시켜 피사체가 소정 각도씩 회전되면서 카메라의 촬영높이가 임의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피사체를 3차원으로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촬영장치에서는 표본을 촬영하기 전 또는 후에 표본에 대한 실제 사이즈를 측정하여 측정된 사이즈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고, 또한 표본에 대한 정보와 관련하여 촬영한 이미지 정보에 별도로 편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광물 등의 시료가 놓여 지는 받침부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변환가능한 스케일 바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시료와 디스플레이되는 스케일 바를 동시 촬영함으로써, 시료의 사이즈 정보와 관련하여 별도의 추가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촬영된 시료 이미지만으로 시료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는 시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에 시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시료의 정보와 실제 시료를 동시에 촬영함으로써, 촬영한 시료의 이미지로 시료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받침부의 가로측 테두리에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받침부의 세로측 테두리에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는 단위변환이 가능한 스케일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맞은편 가로측 테두리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맞은편 세로측 테두리 중 어느 한 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상기 스텐드부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케일 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상기 받침부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텐드부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텐드부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텐드부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시료에 빛을 각각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시스템은,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시료 촬영장치; 및 상기 시료 촬영장치의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서 상기 시료에 빛을 각각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시스템은,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시료 촬영장치; 상기 시료 촬영장치의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서 상기 시료에 빛을 각각 조사하는 조명장치;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시스템은,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에 단위변환이 가능한 스케일 바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시료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시스템은,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시료 이미지가 상기 정보 처리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시료 이미지의 메타데이터(metadata)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광물 등의 시료가 놓여 지는 받침부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변환가능한 스케일 바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시료와 디스플레이되는 스케일 바를 동시 촬영함으로써, 시료의 사이즈 정보와 관련하여 별도의 추가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촬영된 시료 이미지만으로 시료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에 시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시료의 정보와 실제 시료를 동시에 촬영함으로써, 촬영한 시료의 이미지로 시료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의 카메라가 부착되는 상측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의 시료를 올려놓는 받침부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일체로 장착되는 시료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의 전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의 카메라가 부착되는 상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의 시료를 올려놓는 받침부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물 등의 시료(3)를 촬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시료 촬영장치(1)는 받침부(100), 스텐부(200), 수직 이동 가이드부(300),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400), 제 1 수평 이동부재(500), 제 2 수평 이동부재(600) 및 카메라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받침부(100)는 시료(3)를 올려놓고 상방에서 카메라(710)로 촬영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받침부(100)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제 2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 3 디스플레이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110)는 받침부(100)의 가로측 테두리에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받침부(100)의 세로측 테두리에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 1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단위변환, 예를 들면 인치(inch), 밀리미터(㎜), 센티미터(㎝) 등의 다양한 길이 단위의 변환이 가능한 스케일 바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제 3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맞은편 가로측 테두리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의 맞은편 세로측 테두리 중 어느 한 측에 형성되어 시료의 정보, 예를 들면, 명칭, 색상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받침부(100)의 측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제 2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 3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부(150)가 형성된다. 이 입력부(150)는 키 패드 또는 키 보드 형태일 수도 있고, 터치 패널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텐드부(200)는 받침부(100)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스텐드 고정부(210)를 통해 부착되고, 이 스텐드부(200)의 정면에는 스케일 바(220)가 형성되어 있다. 스텐드부(200)에는 수직 이동 가이드부(300)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수직 이동 가이드부(300)의 한 측면에는 스텐드부(2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 이동 가이드 고정부(310)가 장착된다. 따라서, 수직 이동 가이드부(300)는 스텐드부(200)의 전면에 형성된 스케일 바(220)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직 이동 가이드부(300)의 다른 측면에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400)가 형성되고, 이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400)에는 바 형태의 제 1 수평 이동부재(500)가 장착된다. 따라서,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400)를 통해 이 제 1 수평 이동부재(500)는 시료 촬영장치(1)의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400)의 한 측면에는 제 1 수평 이동 고정부(510)가 제 1 수평 이동부재(500)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바 형태의 제 1 수평 이동부재(500)의 일단에는 전면에서 보아 시료 촬영장치(1)의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제 2 수평 이동부재(600)가 형성되고, 제 2 수평 이동 고정부(610)를 통해 제 1 수평 이동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수평 이동부재(600)는, 내측에 좌우 이동되는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제 2 수평 이동 고정부(61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 2 수평 이동 고정부(610)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는, 받침부(100)에 거치되는 시료(3)를 상방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710)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700)가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100)의 상면 일 측에는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시 시료(3)를 수평한 상태에서 받침부(100)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 촬영장치(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변환가능한 스케일 바와 시료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와 실제 시료를 동시에 촬영함으로써, 사이즈 및 시료의 정보와 관련하여 별도의 추가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촬영된 시료 이미지만으로도 시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일체로 장착되는 시료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2)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시료 촬영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시료 촬영장치(2)는 실내에서 촬영시, 시료의 윤곽선 및 색상 등의 세밀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도록, 시료(3)에 빛을 조사하는 한 쌍의 조명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이동 가이드부(300)의 후측에는 지지바 고정부(810)가 형성되고, 이 지지바 고정부(810)를 통해 스텐드부(200)의 길이 방향 및 제 1 수평 이동부재(5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전면에서 보아 좌우로 수평하게 지지바(800)가 장착된다. 또한, 이 지지바(800)의 양 끝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조명부(900)가 각각 장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촬영시스템은 시료 촬영장치(1)의 양 측면에서 삼각대 또는 거치대 등의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조명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명장치(10)에서 시료에 빛을 조사한 상태에서 시료 촬영장치(1)를 통해 시료를 촬영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시료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촬영장치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촬영장치(1)의 카메라(710) 및 받침부(100)는 정보 처리장치(20),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PDA 및 스마트폰 등의 별도의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제 2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 3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는 이 정보 처리장치(2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촬영시 제 3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입력하는 시료(3)의 정보, 예를 들어 시료의 명칭, 색상, 무게 및 촬영 일시 등의 정보를, 촬영 후 시료의 이미지에 메타데이터(metadata)로 저장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시료 촬영장치 3 : 시료
10 : 조명 장치 20 : 정보 처리장치
100 : 받침부 110 : 제 1 디스플레이부
120 : 제 2 디스플레이부 130 : 제 3 디스플레이부
200 : 스텐드부 300 : 수직 이동 가이드부
400 :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 500 : 제 1 수평 이동부재
600 : 제 2 수평 이동부재 700 : 카메라 고정부
800 : 지지바 900 : 조명부

Claims (12)

  1.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받침부의 가로측 테두리에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받침부의 세로측 테두리에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는 단위변환이 가능한 스케일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맞은편 가로측 테두리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맞은편 세로측 테두리 중 어느 한 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부의 전면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케일 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7.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텐드부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텐드부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텐드부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시료에 빛을 각각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장치.
  8.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시료 촬영장치; 및
    상기 시료 촬영장치의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서 상기 시료에 빛을 각각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시스템.
  9.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시료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측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스텐드부와, 상기 스텐드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수직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지지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수평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수평 이동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시료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시료 촬영장치;
    상기 시료 촬영장치의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서 상기 시료에 빛을 각각 조사하는 조명장치;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3 디스플레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에 단위변환이 가능한 스케일 바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시료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시료 이미지가 상기 정보 처리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시료 이미지의 메타데이터(metadata)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촬영시스템.
  12. 제 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료 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시료촬영방법.
KR1020120072153A 2012-07-03 2012-07-03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KR10118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53A KR101181354B1 (ko) 2012-07-03 2012-07-03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53A KR101181354B1 (ko) 2012-07-03 2012-07-03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354B1 true KR101181354B1 (ko) 2012-09-10

Family

ID=4707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153A KR101181354B1 (ko) 2012-07-03 2012-07-03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392B1 (ko) * 2020-09-15 2021-06-25 (주)대명엔지니어링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KR102303207B1 (ko) * 2021-04-28 2021-09-15 강재영 이동 가능한 시료박스 촬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849Y1 (ko) 2005-06-15 2005-09-14 이정국 카메라 스탠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849Y1 (ko) 2005-06-15 2005-09-14 이정국 카메라 스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392B1 (ko) * 2020-09-15 2021-06-25 (주)대명엔지니어링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KR102303207B1 (ko) * 2021-04-28 2021-09-15 강재영 이동 가능한 시료박스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356B1 (en) Stand assembly for an optical device
EP1984908B1 (en) Desktop electronic magnifier
GB0619616D0 (en) Optical imaging apparatus with spectral detector
RU2015109141A (ru) Визуальная регулировка подвижной системы рентгеновск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с помощью камеры
KR101880412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챠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CN104330417A (zh) 图像检测成像装置及图像检测设备
KR101181354B1 (ko) 시료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촬영시스템
RU2014147040A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с множеством средств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CN104965381A (zh) 多功能近拍支架
CN107884422B (zh) 光学检测设备
EA200600748A1 (ru) Передвижная фотографическая кабина
CN208424632U (zh) 摄像头300cm远场测试机
US1730346A (en) Camera
CN108806443A (zh) 三自由度牛顿环实验装置示教仪支架
TWM502167U (zh) 全方位影像測量儀
CN114088354A (zh) 一种电子后视镜测试系统
CN209979507U (zh) 影像测量仪
KR20160125884A (ko) 측정 장치
CN210119203U (zh) 广区域影像测试装置
KR102518851B1 (ko) 핸드헬드 감마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 3차원 촬영 시스템
RU150178U1 (ru) Поточный книжный сканер
KR101293733B1 (ko)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CN220275571U (zh) 一种可在多种距离间切换的视力、视功能检查装置
CN209471036U (zh) 一种新型一键式测量仪
CN213484928U (zh) 一种实验室用的可连接手机相机的新型拍照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