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136A -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Google Patents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0136A KR20110040136A KR1020090097291A KR20090097291A KR20110040136A KR 20110040136 A KR20110040136 A KR 20110040136A KR 1020090097291 A KR1020090097291 A KR 1020090097291A KR 20090097291 A KR20090097291 A KR 20090097291A KR 20110040136 A KR20110040136 A KR 201100401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partition
- sample
- drilling
- core samp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가 상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격벽 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시추한 코어시료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칸막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료가 보관된 상자의 이동이나 장기간 보관시, 종래에 시료가 상자 내에서 움직여 발생되는 파손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높아지고, 종래에는 칸막이가 상자에 고정되어 보관홈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보관홈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상자를 구비하여 조사 및 실험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시추, 코어시료, 암석, 보관상자, 칸막이, 격벽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가 상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격벽 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시추한 코어시료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칸막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료가 보관된 상자의 이동이나 장기간 보관시, 종래에 시료가 상자 내에서 움직여 발생되는 파손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높아지고, 종래에는 칸막이가 상자에 고정되어 보관홈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보관홈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상자를 구비하여 조사 및 실험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에 시추공을 형성하면서 토양 및 암석 등의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은 거의 모든 토목공사설계에 앞서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반 시추조사는 토목 구조물이 시공될 대상 지반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층서 구조 등의 다양한 지층 자료를 얻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반 시추조사의 현황을 살펴보면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채취한 시료를 관찰하면서도 앞서 설명된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형 강재 스플릿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풍화암 지대 및 절리가 심한 단층대에서 채취하여 파쇄 정도가 심한 암석 시료(R)의 경우에는 이를 시료 보관 상자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건드릴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지질 주상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시료를 관찰하는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상자(R)의 보관홈(3)을 구획하는 칸막이(2)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시료 상부의 약 160°영역만이 관찰이 가능하고 시료를 뒤집어서 관찰할 수 없기에 하부의 약 200°영역은 관찰 자체가 어려워서 작성자의 개략적인 추정에만 의존하여 관찰 결과를 도출하고 있어서 그 신뢰도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시료를 시료 상자(R)의 보관홈(3)에 옮겨 놓음으로써 시료 보관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시료 상자(R)로 암석 시료(R)가 옮겨진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자체에 작업자의 신중함이나 노력이 과도하게 요구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시료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시료에 의한 지층평가 데이터는 지층의 정확한 특성을 평가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평가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파쇄층 암석 시료의 경우에는 시료 채취 과정에서 1차 교란이 발생하고 그리고 스플릿에서 시료 상자로 시료를 옮겨 놓을 때 2차 교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시추 현장에서 암석 시료의 보관 장소로 시료상자를 이동하는 경우에 시료 상자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교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파쇄층이 아닌 균질암으로서 코어로 채취되는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도 시료상자의 보관홈(일정 길이를 가짐)에 수납하기 위하여 작업자들이 임의로 충격을 가하여 절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발생하는 인위적인 절단면을 등에 의한 자연적인 절단면과 구분하기 어려워서 암반의 상태를 평가하는 데이터 중에서 RQD 값(N 사이즈 코어 보링에 의해 얻어진 보통 1m 기준 길이의 코어에 10cm 이상의 코어길이의 합의 백분율) 또는 RMR 값(Rock Mass Rating) 등에서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가 상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격벽 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시추한 코어시료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칸막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료가 보관된 상자의 이동이나 장기간 보관시, 종래에 시료가 상자 내에서 움직여 발생되는 파손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높아지고, 종래에는 칸막이가 상자에 고정되어 보관홈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보관홈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상자를 구비하여 조사 및 실험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지반 및 암석에 시추공을 통해 채취한 시료를 보관하는 상자에 있어서,
상기 시료가 내부에 구비되어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료의 크기에 맞춰 상자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는 다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가 상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격벽 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시추한 코어시료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칸막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료가 보관된 상자의 이동이나 장기간 보관시, 종래에 시료가 상자 내에서 움직여 발생되는 파손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높아지고, 종래에는 칸막이가 상자에 고정되어 보관홈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보관홈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상자를 구비하여 조사 및 실험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지반 및 암석에 시추공을 통해 채취한 시료를 보관하는 상자에 있어서,
상기 시료가 내부에 구비되어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료의 크기에 맞춰 상자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30)는 지반 및 암석에 시추공을 통해 채취한 코어시료(R)를 보관하도록 상자(10)와, 칸막이(20)로 구성된다.
상기 상자(10)는 코어시료(R)가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연구소나 코어시료(R)가 필요한 곳으로 코어시료(R)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코어시료(R)를 장기간 보관할때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상자(10)는 직사각형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시료(R)를 보호하기 위해 받침대의 4방향에 수직으로 격벽(11)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1)은 상호 끝단부가 접촉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격벽(11) 중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격벽(11)에는 상자(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20)가 끼워지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은 칸막이(20)가 시료(R)의 크기에 맞춰 끼워지도록 격벽(1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은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격벽(11), 여기서는 한 쌍의 격벽(11)이 두 개가 되는데, 두 개의 격벽(11)에 다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중 하나의 한쌍 격벽(11)에만 형성될 수 있어 코어시료(R)의 크기 및 칸막이(20)의 길이에 따라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다수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의 삽입홈(12)에 칸막이(2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자(10)의 내부에는 코어시료(R)가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보관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2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자(10)의 삽입홈(12)에 양끝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자(10)의 내부를 구획하여 시료(R)가 구비된 보관홈(1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20)는 시료(R)의 다양한 크기(둘레)에 따라 다수개의 삽입홈(12) 중 시료(R)의 크기에 맞춰 삽입되고, 그로 인해 상기 시료(R)가 상자(10) 내에서 고정되어 이동 및 장기간 보관시, 상기 시료(R)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자 11 : 격벽
12 : 삽입홈 13 : 보관홈
20 : 칸막이 30 : 코어시료 보관상자
Claims (3)
- 지반 및 암석에 시추공을 통해 채취한 시료(R)를 보관하는 상자(30)에 있어서,상기 시료(R)가 내부에 구비되어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격벽(11)이 형성되는 상자(10)와;상기 상자(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료(R)의 크기에 맞춰 상자(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격벽(11)에는 칸막이(20)가 끼워지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삽입홈(12)은 칸막이(20)가 시료(R)의 크기에 맞춰 끼워지도록 격벽(1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7291A KR20110040136A (ko) | 2009-10-13 | 2009-10-13 |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AU2009251022A AU2009251022A1 (en) | 2009-10-13 | 2009-12-16 | Box for Storing Drill Core Samp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7291A KR20110040136A (ko) | 2009-10-13 | 2009-10-13 |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0136A true KR20110040136A (ko) | 2011-04-20 |
Family
ID=4393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7291A KR20110040136A (ko) | 2009-10-13 | 2009-10-13 |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40136A (ko) |
AU (1) | AU2009251022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55032A (zh) * | 2018-01-09 | 2018-08-2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保温箱 |
CN109080953A (zh) * | 2018-07-05 | 2018-12-25 | 长安大学 | 一种铁矿地质勘查用样品存放装置 |
CN112009857A (zh) * | 2020-07-30 | 2020-12-01 | 东台施迈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方便移动的氧化铝陶瓷生产用暂存架 |
CN112093228A (zh) * | 2020-09-21 | 2020-12-18 | 苏州市吴中区教育印刷有限公司 | 一种环保型高强度包装盒 |
KR102269392B1 (ko) | 2020-09-15 | 2021-06-25 | (주)대명엔지니어링 |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86113A (zh) * | 2011-11-03 | 2013-05-08 | 长江大学 | 一种石油钻井岩芯库岩芯架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256423A (en) * | 1991-06-06 | 1992-12-09 | Da Cheng Plastics Factory | Toolbox |
US6959811B1 (en) * | 2001-05-22 | 2005-11-01 | Paragon Plastics, Inc. | Tackle container with nesting space |
ES1050425Y (es) * | 2001-11-06 | 2002-07-16 | Storopack Molded Parts Espana | Bandeja para aplicaciones logisticas. |
KR100756876B1 (ko) * | 2005-12-20 | 2007-09-0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
-
2009
- 2009-10-13 KR KR1020090097291A patent/KR201100401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12-16 AU AU2009251022A patent/AU2009251022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55032A (zh) * | 2018-01-09 | 2018-08-2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保温箱 |
CN109080953A (zh) * | 2018-07-05 | 2018-12-25 | 长安大学 | 一种铁矿地质勘查用样品存放装置 |
CN112009857A (zh) * | 2020-07-30 | 2020-12-01 | 东台施迈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方便移动的氧化铝陶瓷生产用暂存架 |
KR102269392B1 (ko) | 2020-09-15 | 2021-06-25 | (주)대명엔지니어링 | 고정식 촬상장치를 이용한 코어촬영용 어셈블리 |
CN112093228A (zh) * | 2020-09-21 | 2020-12-18 | 苏州市吴中区教育印刷有限公司 | 一种环保型高强度包装盒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9251022A1 (en) | 2011-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9862B1 (ko) | 말목이 구비된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
Gischig et al. | Hydraulic stimulation and fluid circulation experiments in underground laboratories: Stepping up the scale towards engineered geothermal systems | |
Gale et al. | Hydraulic fractures in core from stimulated reservoirs: core fracture description of HFTS slant core, Midland Basin, West Texas | |
KR20110040136A (ko) |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
Martini et al. | Observations of brittle failure around a circular test tunnel | |
KR101083331B1 (ko) | 육안식별용 토양 코어시료 보관상자 | |
KR100788866B1 (ko) | 지반 시추용 코어 배럴 어셈블리를 이용한 지반 시추 코어 시료 채취 방법 | |
Szczygieł et al. | Damaged speleothems and collapsed karst chambers indicate paleoseismicity of the NE Bohemian Massif (Niedźwiedzia Cave, Poland) | |
Kamnev et al. | Geodynamics aspects of investigations in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Niznekansk massif) | |
KR101030479B1 (ko) | 고정부에 의해 칸막이가 조절되는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 |
KR101495836B1 (ko) |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붕락구간 탐사방법 | |
Staub et al. | Äspö Pillar Stability Experiment. Ge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ock in TASQ | |
Singh et al. | The investigation of twin tunnel stability: Effect of spacing and diameter | |
Bewick et al. | Global approach to managing deep mining hazards | |
Liu et al. | Asymmetric deformation mechanism and control technology of roadway under room-pillar group in Huasheng coal mine | |
Yu et al. | Study on Rockburst Nucleation Process of Deep‐Buried Tunnels Based on Microseismic Monitoring | |
Muhammad et al. | Structural geology of the Mount Meager Volcanic Complex, BC, Canada: implications for geothermal energy and geohazards | |
Trinh et al. | Continued rock stress and displacement measurements combined with numerical modeling as an active, realistic rock engineering tool | |
Rajabi et al. | The present-day stress patter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ern Africa and their importance: The World Stress Map database contains the lowest wellbore information in these petroliferous areas | |
Alvarez-Garcia et al. | The mine collapse at Lo Tacón (Murcia, Spain), possible cause of the Torre Pacheco earthquake (2nd May 1998, SE Spain) | |
Khan et al. | Seismic behaviour of double arched tunnel: A review | |
JP4270023B2 (ja) | 廃棄物地層処分施設の梯子型地下施設 | |
Kannan et al. | Geological assessment of underground storage cavern sites | |
Bennouna et al. | Geomechanical Classification and Observational Method for Deep Urban Excavations in Shale Formations | |
Kempin et al. | Destressing the ROB5 remnant using tight slot blasting at Mt Charlotte M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