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984B1 -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Google Patents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8984B1 KR102268984B1 KR1020190055911A KR20190055911A KR102268984B1 KR 102268984 B1 KR102268984 B1 KR 102268984B1 KR 1020190055911 A KR1020190055911 A KR 1020190055911A KR 20190055911 A KR20190055911 A KR 20190055911A KR 102268984 B1 KR102268984 B1 KR 102268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heter
- rotation gear
- direction control
- tricuspid valve
- lum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Devices for obstructing a leak through a native valve in a closed cond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within the hea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61F2/243—Deployment by mechanical expansion
- A61F2/2433—Deployment by mechanical expansion using balloon cathe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3—Implants forming part of the valve leafl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6—Delivery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61—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well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an inflatable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or g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수술이나 기타 영구적인 치료 방법으로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할때 발생할 수 있는 우심실 부전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며, 환자의 삼첨판막에 비스듬히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환자에 따라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정확히 차단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 가능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 제거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제1루멘이 형성된 제1카테터, 상기 제1루멘에 삽입되며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제2루멘이 형성된 제2카테터, 상기 제1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절부,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비스듬히 관통하여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제1루멘이 형성된 제1카테터, 상기 제1루멘에 삽입되며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제2루멘이 형성된 제2카테터, 상기 제1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절부,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비스듬히 관통하여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이나 기타 영구적인 치료 방법으로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할때 발생할 수 있는 우심실 부전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며, 환자의 삼첨판막에 비스듬히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환자에 따라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정확히 차단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 가능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 제거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심장은 좌심방, 좌심실, 우심방, 우심실의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대동맥, 대정맥, 폐동맥 및 폐정맥과 연결되어 있다. 심실과 심방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하며,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판막은 승모판막,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판막은 삼첨판막이라한다.
심장은 수축과 이완작용을 반복하여 혈액이 흐르게 하며, 심장의 수축기에는 심장 내의 혈액이 혈관으로 이동하는데 우심실에서는 폐동맥으로, 좌심실에서는 대동맥으로 혈액이 이동한다.
하지만, 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심장 수축시 혈관으로 흘러야 하는 혈액이 다시 심방으로 이동하는 혈액 역류가 발생한다.
삼첨판막 역류증(Tricuspid regurgitation)은 삼첨판막 폐쇄부전증이라고도 한다. 삼첨판막 역류증은 삼첨판막의 병변으로 삼첨판막이 닫혀야 할 때 온전히 닫히지 않아 공간(orifice)이 발생하게 되고, 우심실 수축시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나가야하는 혈액 중 일부가 상기 공간(orifice)을 통해 우심방으로 역류하는 증상을 말한다.
종래의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는 환자의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하여 수술적으로 교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매우 침습적인 방법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미국등록특허 US 8486136 B2, 미국등록특허 US 7854762 B2 및 미국등록 특허 US 9474605 B2에서는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기구를 개발하였다. 상기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기구들은 상대정맥-삼첨판막-우심실로 삽입되어 차단부가 삼첨판막의 빈공간을 막아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상기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기구들은 일단에 설치된 앵커가 심실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대정맥을 통과하여 심장 외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 특허들의 상기 차단부는 삼첨판막 공간(orifice)의 중심에 수직(longitudinal orientation)으로 관통되어 심장 내에 둥둥 떠 있는 불안정한 상태로 위치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기구는 환자의 체내에 영구적으로 삽입하여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영구적인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기구를 이용하여 삼첨판막 역류증 치료시,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이동하는 혈류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해 우심실의 과부하가 발생되고, 우심실 부전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적으로 삽입되는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기구를 이용하여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전, 일시적으로 체내에 삽입되어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 시 환자에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시술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대정맥-삼첨판막-폐동맥을 통해 간단하게 삽입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을 비스듬히 통과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정 시간동안 삼첨판막의 빈 공간(orifice)을 차단하여, 환자의 우심실의 과부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환자에 따라 다른 삼첨판막의 빈 공간(orifice)의 위치에 맞추어 시술자가 차단부의 조절이 가능하여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제1루멘이 형성된 제1카테터; 상기 제1루멘에 삽입되며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제2루멘이 형성된 제2카테터; 상기 제1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절부;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이 조절됨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비스듬히 관통하여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막는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제1카테터는 내벽 상에 상기 제1루멘과 평행하고 상단이 폐쇄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과, 상기 제1카테터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의 상단을 폐쇄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1루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좌우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를 좌 또는 우로 회전 시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좌우피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전후회동기어와,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의 전후에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전후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 회전 시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가 전후좌우 중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카테터는 상부 일측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굽어진 굴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면 상기 굴곡부가 펼쳐지고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제거하면 상기 굴곡부가 다시 원래 형태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양단이 상기 제2카테터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제2카테터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막(membra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중심축이 상기 제2카테터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링형와이어와, 상기 제2카테터와 상기 링형와이어를 연결하는 차단막(membra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 하단을 덮는 지혈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지혈밸브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으로 혈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와 연통되는 혈액응고방지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혈액응고방지포트는 포도당 또는 혈액 또는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상기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내에 삽입되는 혈액이 응고되지 않게 하며 혈액이 체내로 다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제1루멘이 형성된 제1카테터; 상기 제1루멘에 삽입되며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제2루멘이 형성된 제2카테터; 상기 제1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장치와,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방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절부;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에 의한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조절과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에 의한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조절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비스듬히 관통하여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 및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 및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막는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동맥 삽입용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대퇴정맥-하대정맥-삼첨판막-폐동맥을 통해 간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영구적인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삽입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환자의 체내에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삽입하여 우심실의 과부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우심실 과부하로 인한 이상증상이 확인되면 간단하게 제거하여 우심실 내의 혈압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환자에 따라 위치가 다른 삼첨판막의 빈공간(orifice)에 맞추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환자 맞춤형 시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 제1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카테터의 일실시예로 (a)는 제1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1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제1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따른 제1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로 (a)는 제1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1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 제2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카테터의 일실시예로 (a)는 제2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2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제2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따른 제2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로 (a)는 제2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2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다른 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다른 차단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 제1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카테터의 일실시예로 (a)는 제1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1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제1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따른 제1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로 (a)는 제1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1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 제2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카테터의 일실시예로 (a)는 제2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2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제2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따른 제2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로 (a)는 제2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2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다른 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다른 차단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조절부(100), 제1카테터(200), 제2카테터(300), 차단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테터(200)는 일반적인 카테터(catheter)와 같이 원통형의 긴 튜브형상을 지니며 내부에 제1루멘(21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카테터(200)의 하부는 상기 조절부(10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카테터(200)는 연성을 지닌 소재로 구성되며 고무재, 연성 플라스틱재 등의 합성수지재가 될 수 있으며 연성이 높고 심장의 박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제1루멘(210)은 상기 제1카테터(200) 내에 와이어 또는 튜브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삽입되는 물체에 따라 직경이 조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루멘(210)의 중심축은 상기 제1카테터(200)의 중심축과 동일하며, 상기 제1루멘(210)은 상기 제1카테터(200)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제1카테터(200)가 원통형이면 상기 제1루멘(210)도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카테터(200)가 사각기둥형이면 상기 제1루멘(210)도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루멘(210)의 직경은 상기 제2카테터(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루멘(210)에는 상기 제2카테터(300)가 삽입된다.
상기 제2카테터(300)는 하부가 상기 제1루멘(210)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조절부(100)에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카테터(300)의 하부는 상기 제1루멘(210)에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제1루멘(2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카테터(300)는 상기 제1카테터(200)와 동일하게 원통형의 긴 튜브형상을 지니며, 내부에 제2루멘(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카테터(300)는 연성을 지닌 소재로 구성되며 고무재, 연성 플라스틱재 등의 합성수지재가 될 수 있으며 연성이 높고 심장의 박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제2루멘(310)은 상기 제 2카테터(300) 내에 와이어 또는 튜브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삽입되는 물체에 따라 직경이 조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루멘(310)의 중심축은 상기 제2카테터(300) 중심축과 동일하며, 상기 제2루멘(310)은 상기 제2카테터(300)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루멘(310)의 직경은 가이드와이어(5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루멘(310)에는 상기 가이드와이어(500)가 삽입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와이어(500)는 하나의 와이어 또는 여러개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제에 나일론 코팅 등)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약 0.014˝ 내외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카테터(300)에는 상기 차단부(400)가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부 일측이 미리 정해진 각도록 굽어진 굴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카테터(300)는 굴곡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체내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굴곡부(미도시)는 상기 제2카테터(300)에 상기 가이드와이어(500)가 삽입되면 펼쳐지고 상기 가이드와이어(500)를 제거하면 다시 원래 형태로 굽어져 체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절부(100)는 체외에 위치하여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조절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100)는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100)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기 쉬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조절부(100)는 원통형, 곡선을 가진 원통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는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끝단의 움직임(즉,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100)의 일측면에 상기 조절부(100)를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가 하나의 회동기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끝단은 두 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가 두 개의 회동기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끝단은 네 방향(전후좌우)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도 다양한 실시예를 가진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100)는 하단에 결합되는 지혈밸브(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지혈밸브(130)는 상기 조절부(100)의 하단을 막아 상기 제1카테터(200)와 상기 제2카테터(300)으로부터 상기 조절부(100)에 유입되는 혈액이 상기 조절부(100)의 하단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혈밸브(130)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상기 조절부(100)는 상기 조절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는 혈액응고방지포트(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여 일시적으로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는 경우 짧게는 몇시간 길게는 2~3일 동안 기구의 일측이 체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혈액응고방지포트(140)는 포도당 또는 혈액 또는 생리 식염수 등을 주입하여 상기 조절부(100)로 유입되는 혈액을 밀어내어 다시 체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가 체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여도 상기 조절부(100)로 유입되는 혈액이 응고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 제1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는 제1좌우회동기어(112)와, 제1좌우피동기어(113)와,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는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에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한 쌍이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는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가 회동됨에 따라 피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와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는 베벨기어와 동일하게 구동되며 베벨기어의 링기어, 피니언 기어에 대응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하나의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는 시계방향으로 피동되고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동된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200)에 결합된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한 쌍의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것으로,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제에 나일론 코팅 등)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하나의 와이어 일 수 있고 다수개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의 일측에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1카테터(200)의 방향을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좌측 방향으로 돌려 제1좌우회동기어(112)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의 좌측에 맞물린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가 전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을 좌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이 좌측으로 움직인다.
반대로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우측 방향으로 돌려 제1좌우회동기어(112)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의 좌측에 맞물린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가 후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감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풀어지고, 동시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의 우측에 맞물린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가 전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을 우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이 우측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1카테터(2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카테터의 일실시예로 (a)는 제1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1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제1카테터(200)는 상기 제1카테터(200)의 내벽상에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은 상기 제1루멘(21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카테터(200)의 횡단면상 상기 제1루멘(2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루멘(210)의 좌우에 형성된 2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의 직경은 상기 제1루멘(2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은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까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내주면에 제1루멘 지지체(230)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는 사각띠형상으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의 일측과 맞닿아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는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의 상단을 폐쇄하는 다수개의 돌출부(23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는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다수개의 루멘이 형성된 멀티루멘카테터(multi lumen catheter)이고,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하나의 루멘이 형성된 단일루멘카테터(one lumen catheter)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30)에는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각각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30)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3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기 돌출부(231)에 접합되며, 하단은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를 일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1카테터(200)가 움직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제1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른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다른 실시예는 제1좌우회동기어(112), 제1좌우피동기어(113), 제1전후회동기어(114), 제1전후피동기어(115),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는 두 개의 구역(칸)으로 구분되며 하나의 구역에는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 제1좌우피동기어(113)가 내부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구역에는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뉜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는 따로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 제1좌우피동기어(113),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112)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는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에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한 쌍이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의 전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는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가 회동됨에 따라 피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와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는 베벨기어와 동일하게 구동되며 베벨기어의 링기어, 피니언 기어에 대응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예를들어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하나의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는 시계방향으로 피동되고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동된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에 결합된 것과 동일하며, 하단이 제1전후피동기어(115)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200)에 결합된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의 일측에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1카테터(200)의 방향을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좌측 방향으로 돌려 제1전후회동기어(114)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의 전측에 맞물린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가 좌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을 전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이 전측으로 움직인다.
반대로 제1방향조절장치(110)를 우측 방향으로 돌려 제1전후회동기어(114)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의 전측에 맞물린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가 우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에 감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풀어지고, 동시에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114)의 후측에 맞물린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가 좌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을 후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이 후측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1카테터(200)의 상단을 전측 또는 후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의 네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따른 제1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로 (a)는 제1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1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제1카테터(200)는 상기 제1카테터(200)의 내벽상에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은 상기 제1루멘(21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카테터(200)의 횡단면상 상기 제1루멘(2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루멘(210)의 상하좌우에 이격되게 형성된 4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의 직경은 상기 제1루멘(2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은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까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내주면에 제1루멘 지지체(230)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는 사각띠형상으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의 일측과 맞닿아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는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20)의 상단을 폐쇄하는 돌출부(23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는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다수개의 루멘이 형성된 멀티루멘카테터(multi lumen catheter)이고, 상기 제1루멘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하나의 루멘이 형성된 단일루멘카테터(one lumen catheter)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30)에는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각각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는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30)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23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기 돌출부(231)에 접합되며, 하단은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 및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111)가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113) 및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115)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부를 일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1카테터(200)가 움직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조절부(100), 제1카테터(200), 제2카테터(300), 차단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100)는 제1방향조절장치(110)와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테터(200), 상기 차단부(400),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와 상기 제1카테터(2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부(100)에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와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조절부(1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100)의 하측에는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는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끝단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하나의 회동기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끝단은 두 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두 개의 회동기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끝단은 네 방향(전후좌우)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도 다양한 실시예를 가진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 제2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는 제2좌우회동기어(122)와, 제2좌우피동기어(123)와,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는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는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에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한 쌍이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는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가 회동됨에 따라 피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와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는 베벨기어와 동일하게 구동되며 베벨기어의 링기어, 피니언 기어에 대응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하나의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는 시계방향으로 피동되고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동된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하단이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카테터(3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한 쌍의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것으로,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제에 나일론 코팅 등)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하나의 와이어 일 수 있고 다수개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의 일측에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2카테터(300)의 방향을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좌측 방향으로 돌려 제2좌우회동기어(122)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의 좌측에 맞물린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가 전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을 좌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이 좌측으로 움직인다.
반대로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우측 방향으로 돌려 제2좌우회동기어(122)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의 좌측에 맞물린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가 후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감긴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풀어지고, 동시에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의 우측에 맞물린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가 전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을 우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이 우측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2카테터(3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카테터의 일실시예로 (a)는 제2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2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제2카테터(300)는 상기 제2카테터(300)의 내벽상에 다수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은 상기 제2루멘(31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카테터(300)의 횡단면상 상기 제2루멘(310)을 중심으로 상기 제2루멘(310)의 좌우에 형성된 2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직경은 상기 제2루멘(3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은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까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내주면에 제2루멘 지지체(330)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는 사각띠형상으로 상기 제2카테터(3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일측과 맞닿아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는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상단을 폐쇄하는 다수개의 돌출부(33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는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다수개의 루멘이 형성된 멀티루멘카테터(multi lumen catheter)이고,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하나의 루멘이 형성된 단일루멘카테터(one lumen catheter)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에는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각각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기 돌출부(331)에 접합되며, 하단은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를 일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2카테터(300)가 움직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제2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따른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다른 실시예는 제2좌우회동기어(122), 제2좌우피동기어(123), 제2전후회동기어(124), 제2전후피동기어(125),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는 두 개의 구역(칸)으로 구분되며 하나의 구역에는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 제2좌우피동기어(123)가 내부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구역에는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뉜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는 따로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 제2좌우피동기어(123),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는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내부에서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122)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는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에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한 쌍이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의 전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는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가 회동됨에 따라 피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와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는 베벨기어와 동일하게 구동되며 베벨기어의 링기어, 피니언 기어에 대응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예를들어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하나의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는 시계방향으로 피동되고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동된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에 결합된 것과 동일한 형상과 재질의 것으로, 하단이 제2전후피동기어(125)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카테터(3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의 일측에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2카테터(300)의 방향을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좌측 방향으로 돌려 제2전후회동기어(124)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의 전측에 맞물린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가 좌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을 전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이 전측으로 움직인다.
반대로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우측 방향으로 돌려 제2전후회동기어(124)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의 전측에 맞물린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가 우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에 감긴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풀어지고, 동시에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124)의 후측에 맞물린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가 좌측 방향으로 피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의 일측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을 후측으로 당기므로 상기 제1카테터(200)의 상단이 후측으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제2카테터(300)의 상단을 전측 또는 후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의 네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따른 제2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로 (a)는 제2카테터의 종단면도이고, (b)는 제2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제2카테터(300)는 상기 제2카테터(300)의 내벽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은 상기 제2루멘(31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카테터(300)의 횡단면상 상기 제2루멘(310)을 중심으로 상기 제2루멘(310)의 상하좌우에 이격되게 형성된 4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직경은 상기 제2루멘(3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은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단까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내주면에 제2루멘 지지체(330)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는 사각띠형상으로 상기 제2카테터(3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일측과 맞닿아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루멘 지지체(300)는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20)의 상단을 폐쇄하는 돌출부(33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는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다수개의 루멘이 형성된 멀티루멘카테터(multi lumen catheter)이고, 상기 제2루멘 지지체(33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하나의 루멘이 형성된 단일루멘카테터(one lumen catheter)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30)에는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각각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는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30)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33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기 돌출부(331)에 접합되며, 하단은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의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 및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121)가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123) 및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125)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300)의 상부를 일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제2카테터(300)가 움직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제1방향조절장치(110)와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하나의 조절부(100)에 설치되지 않고 각각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로는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는 상기 제1카테터(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의 하단에 이격되게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가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보다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다른 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다른 차단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단부(400)는 차단막(420)과 링형와이어(460)를 포함한다. 상기 링형와이어(460)는 상기 제2카테터(300)가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중심축이 상기 제2카테터(300)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420)은 상기 제2카테터(300)와 상기 링형와이어(460)를 연결한다. 상기 링형와이어(460)는 중심축이 상기 제2카테터(300)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므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는 삼첨판막과 평행하게 위치되므로 삼첨판막의 빈공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링형와이어(460)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제에 나일론 코팅 등)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삼첨판막 역류증을 시술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먼저, 가이드와이어(500)를 하대정맥-삼첨판막-폐동맥으로 삽입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500)가 삽입된 경로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가 삽입되며, 체내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튜브 또는 카테터에 삽입되어 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부(400)가 삼첨판막에 비스듬히 관통되도록 위치하면 상기 튜브 또는 카테터를 제거하여 상기 차단부(400)가 펼쳐지도록 한다.
이후, 환자에 따라 다른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orifice)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제1방향조절장치(110) 및 제2방향조절장치(120)를 조절한다.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110)로 조절되어 제1카테터(200)의 상부가 움직이며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120)로 조절되어 제2카테터(300)의 상부가 움직이고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400)의 위치가 조절된다.
조절부(100)는 항상 체외에 위치하여 시술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조절부(100)를 잡고 하측으로 당겨 본 발명의 시술용 기구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용이하게 체내에 삽입 또는 체외로 제거될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차단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환자 맞춤 시술이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조절부
110 : 제1방향조절장치
111 : 제1방향조절 와이어
112 : 제1좌우회동기어
113 : 제1좌우피동기어
114 : 제1전후회동기어
115 : 제1전후피동기어
120 : 제2방향조절장치
121 : 제2방향조절 와이어
122 : 제2좌우회동기어
123 : 제2좌우피동기어
124 : 제2전후회동기어
125 : 제2전후피동기어
130 : 지혈밸브
140 : 혈액응고방지포트
200 : 제1카테터
210 : 제1루멘
220 :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
230 : 제1루멘 지지체
231 : 돌출부
300 : 제2카테터
310 : 제2루멘
320 :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
330 : 제2루멘 지지체
331 : 돌출부
400 : 차단부
410 : 지지와이어
420 : 차단막
460 : 링형와이어
500 : 가이드와이어
110 : 제1방향조절장치
111 : 제1방향조절 와이어
112 : 제1좌우회동기어
113 : 제1좌우피동기어
114 : 제1전후회동기어
115 : 제1전후피동기어
120 : 제2방향조절장치
121 : 제2방향조절 와이어
122 : 제2좌우회동기어
123 : 제2좌우피동기어
124 : 제2전후회동기어
125 : 제2전후피동기어
130 : 지혈밸브
140 : 혈액응고방지포트
200 : 제1카테터
210 : 제1루멘
220 :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
230 : 제1루멘 지지체
231 : 돌출부
300 : 제2카테터
310 : 제2루멘
320 :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
330 : 제2루멘 지지체
331 : 돌출부
400 : 차단부
410 : 지지와이어
420 : 차단막
460 : 링형와이어
500 : 가이드와이어
Claims (20)
-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있어서,
제1루멘이 형성된 제1카테터;
상기 제1루멘에 삽입되며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제2루멘이 형성된 제2카테터;
상기 제1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절부; 및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이 조절됨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비스듬히 관통하여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막는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테터는
내벽 상에 상기 제1루멘과 평행하고 상단이 폐쇄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과,
상기 제1카테터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의 상단을 폐쇄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1루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좌우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를 좌 또는 우로 회전 시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좌우피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전후회동기어와,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의 전후에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전후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 회전 시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가 전후좌우 중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테터는
상기 차단부가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부 일측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굽어진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양단이 상기 제2카테터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제2카테터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막(membra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중심축이 상기 제2카테터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링형와이어와,
상기 제2카테터와 상기 링형와이어를 연결하는 차단막(membra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 하단을 덮는 지혈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지혈밸브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으로 혈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와 연통되는 혈액응고방지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혈액응고방지포트는 포도당 또는 혈액 또는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상기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내에 삽입되는 혈액이 응고되지 않게 하며 혈액이 체내로 다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있어서,
제1루멘이 형성된 제1카테터;
상기 제1루멘에 삽입되며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제2루멘이 형성된 제2카테터;
상기 제1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장치와,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방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절부; 및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에 의한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조절과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에 의한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조절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비스듬히 관통하여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 및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 끝단 및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 끝단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막는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테터는
내벽 상에 상기 제1루멘과 평행하고 상단이 폐쇄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과,
상기 제1카테터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의 상단을 폐쇄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1루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테터는
내벽상에 상기 제2루멘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과,
상기 제2카테터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용 루멘의 상단을 폐쇄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2루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좌우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를 좌 또는 우로 회전 시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2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좌우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를 좌 또는 우로 회전 시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좌우피동기어와,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1전후회동기어와,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의 전후에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전후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1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좌우회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회동기어 회전 시 상기 제1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1전후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카테터의 상부가 전후좌우 중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조절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2좌우회동기어와,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의 좌우에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좌우피동기어와,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좌우로 회전되는 제2전후회동기어와,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의 전후에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와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전후피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카테터에 결합된 다수개의 제2방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좌우회동기어 또는 상기 제2전후회동기어 회전 시 상기 제2좌우피동기어 또는 상기 제2전후피동기어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2방향조절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기 제2카테터의 상부가 전후좌우 중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양단이 상기 제2카테터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제2카테터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막(membra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중심축이 상기 제2카테터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링형와이어와,
상기 제2카테터와 상기 링형와이어를 연결하는 차단막(membra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 하단을 덮는 지혈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지혈밸브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으로 혈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와 연통되는 혈액응고방지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혈액응고방지포트는 포도당 또는 혈액 또는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상기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내에 삽입되는 혈액이 응고되지 않게 하며 혈액이 체내로 다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042488.XA CN111437065A (zh) | 2019-01-17 | 2020-01-15 | 位置可调节的三尖瓣返流手术用器械 |
JP2020005199A JP6932890B2 (ja) | 2019-01-17 | 2020-01-16 | 位置調節可能な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
US16/746,604 US20200229824A1 (en) | 2019-01-17 | 2020-01-17 | Position-adjustable device for treatment of tricuspid regurgitation |
EP22188234.3A EP4140447A1 (en) | 2019-01-17 | 2020-01-17 | Position-adjustable device for treatment of tricuspid regurgitation |
EP20152497.2A EP3682852A1 (en) | 2019-01-17 | 2020-01-17 | Position-adjustable device for treatment of tricuspid regurgi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359 | 2019-01-17 | ||
KR20190006359 | 2019-01-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581A KR20200089581A (ko) | 2020-07-27 |
KR102268984B1 true KR102268984B1 (ko) | 2021-06-24 |
Family
ID=7189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5911A KR102268984B1 (ko) | 2019-01-17 | 2019-05-13 |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898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5679B1 (ko) * | 2017-02-01 | 2017-12-06 |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JP6282209B2 (ja) * | 2014-10-08 | 2018-02-21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
KR101821183B1 (ko) * | 2016-12-23 | 2018-03-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향 가능한 카테터를 구비한 의료 장치 |
WO2018094042A1 (en) * | 2016-11-17 | 2018-05-24 | Evalve, Inc. | Cardiac implant deliver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127509A2 (en) | 2005-05-20 | 2006-11-30 |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cardiac valve regurgitation |
US7785366B2 (en) | 2005-10-26 | 2010-08-31 | Maurer Christopher W | Mitral spacer |
US9474605B2 (en) | 2012-05-16 | 2016-10-25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cardiac valve regurgitation |
-
2019
- 2019-05-13 KR KR1020190055911A patent/KR1022689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82209B2 (ja) * | 2014-10-08 | 2018-02-21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
WO2018094042A1 (en) * | 2016-11-17 | 2018-05-24 | Evalve, Inc. | Cardiac implant delivery system |
KR101821183B1 (ko) * | 2016-12-23 | 2018-03-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향 가능한 카테터를 구비한 의료 장치 |
KR101805679B1 (ko) * | 2017-02-01 | 2017-12-06 |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581A (ko) | 2020-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32890B2 (ja) | 位置調節可能な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 |
US6569145B1 (en) | Pressure-controlled continuous coronary sinus occlus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 |
JP4519858B2 (ja) | 心室区画装置 | |
US9937036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retrievable intra-atrial implants | |
US7077801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cardiac output | |
US9566146B2 (en) | Cardiovascular valve and valve housing apparatuses and systems | |
JP6898037B2 (ja) | 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 |
WO2019184649A1 (zh) | 心脏瓣膜修复系统及其缝合线锁结装置 | |
EP2967867B1 (en) | Devices for retrievable intra-atrial implants | |
JP5662683B2 (ja) | 体内に植込型デバイスを展開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KR20160041040A (ko) | 승모판 스페이서 및 이를 이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NO313655B1 (no) | Apparat for gjennomföring av bypassoperasjoner i kransarterien | |
JP2020529241A (ja) | 肺動脈挿入用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 |
CN108348666B (zh) | 流入插管和血流辅助系统 | |
US20220257368A1 (en) | Tricuspid regurgitation surgical instrument having position-fixing tube | |
KR102268984B1 (ko) | 위치조절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
WO2018167059A1 (en) | A transapical heart port for insertion into a heart of a human or an animal subject | |
KR102240798B1 (ko) |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
BR102017009222B1 (pt) | Dispositivo de liberação de endoprótese valvulad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