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972B1 -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972B1
KR102268972B1 KR1020140164421A KR20140164421A KR102268972B1 KR 102268972 B1 KR102268972 B1 KR 102268972B1 KR 1020140164421 A KR1020140164421 A KR 1020140164421A KR 20140164421 A KR20140164421 A KR 20140164421A KR 102268972 B1 KR102268972 B1 KR 10226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attery
control signal
signal
batte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707A (ko
Inventor
전기용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9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중계장치를 통해서 복수의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따른 동작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각 카메라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각 카메라의 배터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알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Re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lural cameras based on residual batter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카메라 여러 대를 각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하나의 중계장치를 통해서 통합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카메라란 배터리로 동작하는 저전력카메라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때,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중 하나로서 배터리카메라의 잔여 배터리양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할 때, 배터리카메라의 잔여 배터리양을 기반으로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은 배터리카메라의 내부에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복수의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 등을 포함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종래 기술처럼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에 있어서 개별 제어처리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각 배터리카메라마다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하고, 파악된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필요하게 되고,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가중시키는 한계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82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보다 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배터리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는,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부; 상기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정보 수신부; 상기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상기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 상기 제어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배터리카메라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 단계; 상기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정보 수신 단계; 상기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 상기 제어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배터리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중계장치가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각 배터리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 각 배터리카메라마다 포함될 필요가 없게 되어,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배터리카메라의 최신 배터리 정보를 중계장치를 통해 일괄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교체 등과 같은 배터리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와,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와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와,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배터리카메라(110)와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계장치(130)를 포함한다.
배터리카메라(110)는 영상을 촬영하는 캠 모듈(CAM module)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중계장치(130)로 송신하거나 중계장치(130)로부터 각종 신호를 받기 위한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카메라(110)에 포함되는 캠 모듈에는 배터리카메라(1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카메라(110)는 중계장치(13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받아서 캠 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캠 모듈로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를 RF 트랜시버를 통해 중계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중계장치(130)는 배터리카메라(110)로 웨이크업 신호, 배터리정보 요청신호,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배터리카메라(1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인터넷 등과 같은 방식으로 웹 서버로 송신하거나, 중계장치(130)에 포함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중계장치(130)로부터 배터리카메라(110)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 배터리정보 요청신호, 제어신호는 각각의 송신주기를 가지고 송신되며, 특정 시간대에서 세 가지 신호 중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신호가 함께 중계장치(130)로부터 배터리카메라(110)로 송신될 수도 있다. 웨이크업 신호, 배터리정보 요청신호, 제어신호에 대한 설명은 도 2와 함께 후술한다.
중계장치(130)는 각종 신호를 생성하여 배터리카메라(110)로 송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외부 웹 서버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MCU, Main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이하, 중계장치, 200)는 배터리정보 요청부(210), 배터리정보 수신부(230), 제어신호 생성부(250), 및 제어신호 송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정보 요청부(210)는 배터리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배터리 정보 요청부(210)는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웨이크업 신호와 함께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할 수 있고, 웨이크업 신호와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을 배터리카메라에 각각 따로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란, 배터리 전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기 위해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배터리카메라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배터리카메라에 송신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있던 배터리카메라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배터리카메라에 포함된 PIR(Passive Infrared Ray)센서의 신호를 분석한다.
신호분석 결과 영상 이벤트를 감지하면, 배터리카메라는 촬영 모드로 변경되어 영상 이벤트를 촬영하고 영상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 요청부(210)가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도 웨이크업 신호처럼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신호 및 배터리정보 요청신호, 각 신호의 송신주기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호분석 결과 영상 이벤트를 감지하지 않으면, 배터리카메라는 슬립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배터리정보 수신부(230)는 배터리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한다. 배터리정보 수신부(230)가 수신하는 배터리정보에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정보와 함께 그 배터리정보를 송신한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식별번호)가 포함되며, 이 식별기호는 중계장치(200)가 배터리정보가 어떤 배터리카메라로부
터 송신된 것인지 특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25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신호는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생성되므로, 복수의 배터리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배터리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이 달라지면 제어신호 생성부(250)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시점도 배터리카메라에 따라 각각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정보 수신부(230)가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정보에는 배터리 잔량이 포함되며, 배터리 잔량은 특정 전압값과 같은 변수이다.
제어신호 생성부(25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으로 전체 배터리양에 대한 배터리 잔량의 비율(이하,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할 수 있고, 그 배터리 잔량률에 따라 생성된 제어신호가 배터리카메라에 송신되면, 배터리카메라는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2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는,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2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크기나, 프레임 레이트를 더 낮춤으로써,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늦추게 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사용시간의 연장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할 때 필요한 전체 배터리양은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200)로 송신하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되거나, 중계장치(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차후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가 교체되면서 배터리 모델이 바뀌게 되어 전체 배터리양에 대한 변경이 생기면, 중계장치(200)에 미리 저장되는 전체 배터리양에 대한 값은 정확한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하기 위해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50%이상이라면, 배터리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더라도 배터리 전력부족이 당분간 발생하지 않으므로, 배터리카메라의 초기 설정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배터리카메라의 전송 설정에 따라 배터리카메라를 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30%이상~50%미만이라면, 해당 배터리 잔량(전체 배터리양 대비 30~50%)을 배터리정보에 포함시켜 중계장치(200)로 송신했던 배터리카메라는, 제어신호 생성부(250)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중계장치(2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FHD(Full High Definition, 1920×1080 pixels)급에서 VGA(Video Graphics Array, 640×480 pixels)급 또는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320×240 pixels)급으로 낮추고, 중계장치(2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6fps(frame per second)에서 3fps 또는 1fps로 낮추는 식으로 변경된 전송 설정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배터리카메라에서 중계장치(2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FHD급에서 VGA나 QVGA급으로 낮추게 되면, 영상 데이터의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가 대폭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단위 시간당 배터리카메라의 연산 처리량이 줄어들게 되어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배터리카메라에서 중계장치(2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줄이게 되면, 1초당 전송해야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의 개수가 줄어드므로, 배터리카메라의 전송 작업량이 줄어들게 되어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30%이상, 50%미만이라면, 중계장치(200)는 중계장치(200)가 배터리카메라에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를 길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장치(200)가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는 100ms(millisecond)에서 250ms로 길어질 수 있다. 배터리카메라의 PIR센서 신호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야 분석되고, PIR 센서 신호분석에 의해서 영상 이벤트가 감지되어야만 배터리카메라가 영상 이벤트를 촬영하기 위해 슬립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동작이 변경되므로, 웨이크업 신호의 주기가 길어진다는 것은 영상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빈도수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빈도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실제로 영상 이벤트가 발생한 것과 상관없이 배터리카메라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 보존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앞선 예보다 더 낮은 30%미만이라면, 제어신호 생성부(250)는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200)로 영상 데이터를 아예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중계장치(200)는 중계장치(200)가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를 더욱 더 늘릴 수 있다(250ms -> 1s).
이때 배터리 잔량이 적게 남은(배터리 잔량률 30%미만)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로소 배터리 잔량이 적게 남은 배터리카메라는 중계장치(200)로 사용자의 요청을 받은 이후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장치(200)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경계점과 각 경계점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전송 동작의 변경 방법에 대해 저장한 제어신호 생성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250)는 제어신호 생성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배터리 잔량률의 경계점(50%, 30~50%, 30%)과 각 경계점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전송 동작의 변경 방법(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낮춤)을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카메라의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의 변경의 경계점인, 배터리 잔량률로서 상술한 수치(50%, 30~50%, 30%)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수치이므로 그 구체적인 수치값(50, 30~50, 30)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가지 수(3가지)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배터리 잔량률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전송 동작의 변경 방법 또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의 낮춤만으로 한정하지 않으므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더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250)에 의해 산출된 배터리 잔량률은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와 함께 중계장치(200)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에 전송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각각의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관리자가 중계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을 한눈에 알 수 있게 해주고, 관리자가 교체해야하는 배터리를 특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신호 송신부(270)는 배터리카메라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제어신호 송신부(270)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배터리카메라는, 배터리정보 요청부(210)로부터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배터리정보를 배터리정보 수신부(230)에 송신했던 배터리카메라가 된다.
배터리카메라가 송신한 배터리정보에는 복수의 배터리카메라,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기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신호 송신부(270)는 그 식별기호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배터리카메라는 배터리카메라내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식별기호와 동일한 식별기호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배터리카메라는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 중계장치(200)로 전송할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전송 설정에 따라서 영상 데이터를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카메라(310)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310). 또한,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카메라(310)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주기적으로 배터리카메라(310)로 송신한다.
중계장치(330)가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는 각각의 송신주기를 가진다.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양은 빠르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의 송신주기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보다 긴 것이 일반적이라서 각각의 송신주기에 따라 따로 배터리카메라로 송신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 미만인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 송신주기는, 도 4와 함께 후술하는 중계장치의 요청주기 제어부에 의해 짧아질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 미만인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웨이크업 송신주기는, 중계장치에 의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조건에 따라 양 신호의 송신주기는 같아질 수도 있으며, 중계장치는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를 함께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카메라(310)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한다(S320). 중계장치(330)가 배터리카메라(310)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정보에는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여, 해당 배터리로 동작하고 있는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 등과 같은 배터리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하여, 배터리카메라(3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30).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중계장치(33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의 크기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중계장치(330)는 배터리정보를 중계장치(330)로 송신했던 배터리카메라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S340). 제어신호는 중계장치(330)가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 및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송신될 수도 있다.
중계장치(3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는, 배터리카메라(310)가 중계장치(33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크기나, 프레임 레이트를 더 낮춤으로써, 배터리카메라(310)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늦추게 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사용시간의 연장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배터리카메라(31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중계장치(330)로 송신한다(S350). 이 과정에서, 배터리카메라(310)가 단계 340에서 제어신호 외에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같이 수신했다면, 배터리카메라(310)는 중계장치(330)로 전송 설정이 변경된 영상 데이터 외에 배터리정보를 같이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이 일정 기준량 미만인 배터리카메라(31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여 중계장치(33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를 낮추거나, 중계장치(330)로부터 별도의 영상 데이터 전송요청이 있을 때까지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중계장치(400)는 배터리정보 요청부(410), 배터리정보 수신부(430), 제어신호 생성부(450), 제어신호 송신부(470)를 포함한다.
배터리정보 요청부(410)는 배터리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주기 저장부(411)와 요청주기 송신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주기 저장부(411)는 배터리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요청주기를 각각의 배터리카메라에 대해서 저장한다. 요청주기 저장부(411)에 저장되는 각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요청주기는 최초에는 모두 같은 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영상 이벤트가 자주 감지되는 곳에 설치된 배터리카메라는 촬영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시간이 길게 되어 배터리 전력의 소모가 크므로,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해당 배터리카메라의 요청주기를 다른 배터리카메라의 요청주기보다 더 짧게 설정할 수도 있다.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계장치(400)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잦은 빈도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에 도달한 경우,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중계장치(4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적절한 시기에 보낼 수 있게 된다.
요청신호 송신부(413)는 요청주기 저장부(411)에 저장된 요청주기에 따라서 배터리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요청신호 송신부(413)는 요청주기 저장부(411)로부터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요청주기를 전달받아 그 요청주기에 따라 배터리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요청신호 송신부(413)가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는 웨이크업 신호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는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 중계장치(400)에서 배터리카메라로 송신되므로, 일반적으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보다 더 짧은 주기를 가지게 되나, 요청주기 저장부(411)에 저장된 배터리 잔량률이 낮은 배터리카메라의 요청주기가 후술하는 요청주기 제어부(451)에 의해 감소된다면, 그 배터리 잔량률이 낮은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는 동일한 송신주기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배터리정보 수신부(430)는 배터리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한다. 배터리정보 수신부(430)가 수신하는 배터리정보에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과 같은 정보와 함께 그 배터리정보를 송신한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식별번호)가 포함되며, 이 식별기호는 배터리정보 수신부(430)가 배터리정보가 어떤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특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45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중계장치(4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요청주기 제어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주기 제어부(451)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보다 더 낮은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요청주기를 요청주기 저장부(411)에 저장된 요청주기보다 더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 생성부(450)가 산출한 배터리 잔량률이 10%라면, 배터리 잔량률이 10%인 배터리카메라가 언제 배터리 전력 부족으로 동작을 중지할지 모르므로,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더 잦은 빈도로 확인하기 위해서, 요청주기 제어부(451)는 요청주기 저장부(411)에 저장된 해당 배터리카메라(배터리 잔량률 10%)에 대한 요청주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45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는, 배터리카메라가 중계장치(40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크기나, 프레임 레이트를 더 낮춤으로써,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늦추게 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사용시간의 연장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제어신호 송신부(470)는 배터리카메라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제어신호는 중계장치(400)가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 및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송신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했듯이, 중계장치(40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보다 더 낮은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를 길게하여, 해당 배터리카메라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을 더 늘리고, 그에 따라 해당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더 줄일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가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받기 위해 중계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특성상 일반적으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보다 짧은 송신주기를 가지는데, 배터리 잔량률이 낮은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요청주기는 요청주기 제어부(451)에 의해 짧아질 수 있고, 그 배터리 잔량률이 낮은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웨이크업 송신주기는 중계장치(400)에 의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중계장치(400)로부터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는 그 배터리 잔량률이 낮은 배터리카메라로 함께 송신될 수 있다.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를 함께 수신한 배터리카메라는, 배터리정보와 영상 데이터를 중계장치(40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함께 후술한다.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와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 t1은 단계 505와 단계 560 사이의 시간차이로서, 중계장치(530)의 배터리 잔량률이 80%인 카메라 A(이하, 카메라 A, 510)에 대한 요청주기이고, t2는 단계 505와 단계 530 사이의 시간차이로서, 단계 515에서 중계장치(530)에 의해 1차 변경된 중계장치(530)의 배터리 잔량률이 15%인 카메라 B(이하, 카메라 B, 550)에 대한 요청주기로 본다.
또한 t3는 단계 530과 단계 555 사이의 시간차이로서, 단계 540에서 중계장치(530)에 의해 2차 변경된 중계장치(530)의 카메라 B(550)에 대한 요청주기로 본다. 요청주기의 길이는 t1이 가장 길고, t3이 가장 짧다.
도 3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중계장치(530)는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 미만인 배터리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장치(530)는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 미만인 배터리카메라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를 늘릴 수도 있다.
다만,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중계장치(530)가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 미만인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신호의 송신주기를 변경하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 미만인 배터리카메라(카메라 B)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만 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고, 중계장치(530)가 배터리카메라로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후술하는 단계 505, 530, 555, 560에서 중계장치(530)로부터 카메라 A(510) 또는 카메라 B(5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터리카메라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웨이크업 신호도 함께 송신하는 것으로 본다.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에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각각 송신한다(S505).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는 배터리정보를 중계장치(530)로 송신한다(S510). 중계장치(530)로 송신되는 배터리정보에는 배터리 잔량,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는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뒤 웨이크업되어 영상 데이터를 배터리정보와 함께 중계장치(530)로 전송할 수 있고,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의 PIR 센서가 영상 이벤트를 감지하지 않았다면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로부터 배터리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장치(53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하여,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중계장치(530)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에 대한 배터리정보 요청주기를 변경한다(S515).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로부터 각각 수신한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파악하여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하고, 카메라 B(550)에 대한 배터리 잔량률이 15%이므로, 카메라 B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 속도를 더 늦추기 위해, 카메라 B(550)로부터 중계장치(53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크기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크기나 프레임 레이트를 낮추는 것으로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더 늦출 수 있다는 것은 도 2의 제어신호 생성부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상술한 바 있다.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의 배터리 잔량률이 80%이므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에 충분한 배터리 잔량률이라고 판단하여, 카메라 A(510)에 송신할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률을 파악하고, 배터리가 15%밖에 남지 않은 카메라 B(550)에 대한 요청주기를 t1에서 t2로 변경한다.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계장치(530)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잦은 빈도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에 도달한 경우, 카메라 B(550)로부터 중계장치(53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적절한 시기에 보낼 수 있게 된다.
변경된 카메라 B(550)에 대한 요청주기에 따라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카메라 A(510)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보다 더 자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관리자가 중계장치(530)를 통해 카메라 B(550)의 배터리를 교체할 시기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중계장치(530)는 단계 515에서 산출한 배터리 잔량률을 클라우드 서버(570)에 송신한다(S520). 클라우드 서버(570)로 송신되는 배터리 잔량률은 각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와 함께 송신된다.
클라우드 서버(570)는 단계 510에서 배터리정보를 중계장치(530)로 송신한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에 대한 배터리 잔량률을 수신하여 배터리카메라의 식별기호에 대응시켜 저장한다(S525).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570)에는 식별기호 A에 해당하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은 80%, 식별기호 B에 해당하는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은 15%라고 저장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570)에 저장될 수 있는 카메라의 개수는 특정한 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중계장치(530)는 단계 515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카메라 B(550)로 송신한다(S530). 또한, 카메라 B(550)는 배터리 잔량률이 15%이기 때문에, 단계 515에서 요청주기 제어부에 의해 배터리정보 요청주기가 더 짧아졌으므로,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에 대해서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제어신호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카메라 A(510)의 배터리 잔량률이 충분히 높아서 중계장치(530)에서 제어신호가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단계 530에서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에 대해서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단계 515에서 중계장치(530)에 의해 배터리정보 요청주기가 더 짧아진 것은 카메라 B(550)에 한하므로, 중계장치(530)는 단계 530에서 카메라 A(510)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단계 530에서도 중계장치(530)는 웨이크업 신호를 카메라 A(510)에 송신하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A(510)가 영상 이벤트를 촬영하면,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로부터 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된 설정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535). 중계장치(530)가 카메라 B(55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는 단계 510에서 중계장치(530)가 카메라 B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보다 해상도 크기가 작거나, 프레임 레이트가 낮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단계 530에서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단계 535에서 중계장치(530)는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 A(5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A(510)는 카메라 B(550)와 달리 중계장치(5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으므로, 단계 510와 단계 535에서 카메라 A(510)로부터 중계장치(530)가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는 동일하다.
중계장치(530)는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하여, 배터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중계장치(530)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중계장치에 연결된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중계장치의 배터리정보 요청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S540).
도 5에 따르면, 단계 540에서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에 대한 배터리정보만을 수신하여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하고,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의 배터리 잔량률이 15%미만인 것을 확인하고 배터리정보 요청주기를 t2에서 t3으로 더욱 더 낮추게 된다.
단계 540에서 카메라 B(550)로부터 중계장치(53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를 더 낮출 수 없어서, 중계장치(530)의 제어신호 생성부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았으며, 카메라 B(550)는 중계장치(53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를 더 낮출 수 없다고 가정한다.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률을 클라우드 서버(570)로 송신한다(S545). 중계장치(530)로부터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률을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570)는 단계 525에서 저장했던 카메라 B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한다(S550).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에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555). 단계 540에서 중계장치(530)에 의해 카메라 B에 대한 배터리정보 요청주기는 t2에서 t3로 변경되었으므로, 중계장치(530)는 변경된 요청주기인 t3에 따라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에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560). 단계 510에서 송신된 카메라 A(510)의 배터리정보에 의해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의 배터리 잔량률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에 대한 요청주기를 더 짧게 변경시키지 않는다.(최초 설정된 요청주기인 t1 고정)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며(S565), 이어서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한다(S570).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B(550), 카메라 A(510)로부터 순차적으로 배터리정보를 전달받아, 각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배터리 잔량률에 따라 배터리정보 요청주기를 변경한다(S575).
단계 575에서 산출된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률은 클라우드 서버(570)로 송신되며(S580), 클라우드 서버(570)는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의 배터리 잔량률을 수신하여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585).
단계 580 및 단계 585는, 단계 575에서 중계장치(530)가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의 배터리정보를 수신한 시점이 다르므로, 시간 간격을 두고 나눠서 진행될 수 있다.
도 5의 흐름도에 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서 중계장치(530)가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할 때 웨이크업 신호도 함께 송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하나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계장치는 배터리 잔량률이 일정 기준값보다 낮은 배터리카메라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주기를 늘릴 수 있고, 배터리잔량 요청신호의 송신주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가장 첫 단계인 단계 505에서, 중계장치(530)는 카메라 A(510) 및 카메라 B(550)로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할 때, 웨이크업 신호를 함께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하고는 다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배터리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중계장치가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각 배터리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배터리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 각 배터리카메라마다 포함될 필요가 없게 되어, 중복적인 연산 처리를 막을 수 있고,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계장치는 각 배터리카메라의 최신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고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을 산출하여, 산출된 배터리 잔량률에 따라 각각 다른 빈도로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각 배터리카메라의 배터리 잔량률을 한눈에 알 수 있고, 배터리 교체를 해야하는 배터리카메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200 : 중계장치 250 : 제어신호 생성부
210 : 배터리정보 요청부 270 : 제어신호 송신부
230 : 배터리정보 수신부

Claims (6)

  1. 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부;
    상기 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정보 수신부;
    상기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카메라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보다 낮으면,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카메라에게 송신하는 송신주기를 길게 변경하고, 상기 카메라에게 상기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요청주기를 짧게 변경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카메라가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슬립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변경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신호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정보 요청부는,
    상기 요청주기를 저장하는 요청주기 저장부; 및
    상기 요청주기 저장부에 저장된 요청주기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요청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4. 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배터리정보 요청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정보 수신 단계;
    상기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설정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보다 낮으면,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카메라에게 송신하는 송신주기를 길게 변경하고, 상기 카메라에게 상기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요청주기를 짧게 변경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카메라가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슬립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변경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신호인,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정보 요청 단계는,
    상기 요청주기를 저장하는 요청주기 저장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요청주기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에게 배터리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요청신호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에 기반한 중계장치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0164421A 2014-11-24 2014-11-24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KR10226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421A KR102268972B1 (ko) 2014-11-24 2014-11-24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421A KR102268972B1 (ko) 2014-11-24 2014-11-24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707A KR20160061707A (ko) 2016-06-01
KR102268972B1 true KR102268972B1 (ko) 2021-06-24

Family

ID=5613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421A KR102268972B1 (ko) 2014-11-24 2014-11-24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9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982A (ja) * 2001-12-06 2002-08-23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KR101285650B1 (ko) * 2013-01-24 2013-07-12 (주)씨앤에스아이 이동통신망과 독립형 전원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21B1 (ko) 2008-04-25 2011-02-08 주식회사 옥타컴 저전력 무선 카메라시스템 및 그 장치
KR102117575B1 (ko) * 2013-04-29 2020-06-01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982A (ja) * 2001-12-06 2002-08-23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KR101285650B1 (ko) * 2013-01-24 2013-07-12 (주)씨앤에스아이 이동통신망과 독립형 전원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707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748B2 (en) Communications node, system, and synchronizing method
EP2854458B1 (en) Wireless sensor time synchronization
US20170257226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us of a Home Automation Device
EP2924642A1 (en) Electronic information label system with adjustable wake-up update period
EP2819382A2 (en) Water leak sensor management method, water leak senso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JP5968253B2 (ja) 計測システム、統合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ム、及びセンサ機器制御方法
JP201704989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センサノード
KR102296226B1 (ko)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센서 노드의 배터리 교체 방법
CN106471747A (zh) 跳频无线网络中的节点同步
KR102268972B1 (ko)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기반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중계장치 및 방법
CN111104289B (zh) 一种gpu集群的效率检查系统及方法
JP2017037358A (ja) 観測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観測データ受信方法
KR10139683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에너지 공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US10419832B2 (en) Detecting an error condition by monitoring a resource flow at a premises
MX2015017117A (es) Sistema y metodo para el mantenimiento de unidades de usuario a distancia.
US20140342727A1 (en) Low power mode exit latency predictor for real-time asymmetric multiprocessor systems
TWI772783B (zh) 物聯網裝置、系統及其耗電計時方法
EP2978236A1 (en) Electronic shelf label tag,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86011A (ko) IoT모듈의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11429643B2 (en)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US20230189156A1 (en) Automatically changing message transmission modes in a tracking device
US10832543B2 (en) Activity sensor
KR100787597B1 (ko)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서 장치 및 메시지 처리 방법
CN117412360A (zh) 一种智能电缆沟盖板的无线告警系统
US20160112758A1 (en) Remote mode selection for a set-top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