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729B1 - 마루판 지지유닛 - Google Patents
마루판 지지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7729B1 KR102267729B1 KR1020180173514A KR20180173514A KR102267729B1 KR 102267729 B1 KR102267729 B1 KR 102267729B1 KR 1020180173514 A KR1020180173514 A KR 1020180173514A KR 20180173514 A KR20180173514 A KR 20180173514A KR 102267729 B1 KR102267729 B1 KR 102267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board
- support
- floorboard support
- support unit
- screw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판의 판넬과 격자 형태로 마루판의 하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마루판을 지지하는 마루판 받침대;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서포터;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베이스 서포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베이스 서포터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하단에 상기 결합부재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마루판 지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마루판 지지유닛은 마루판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으며, 시공후 마루판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마루판을전부 제거하지 않고도 정교하게 마루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루판 지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판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으며, 마루판의 시공시 마루판의 높이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루판 지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바닥에는 마루판이나 마루널(Floor board 또는 Flooring, 목재 패널을 사용)을 사용한 마루바닥 즉 마루시스템이 설치되며, 상기 마루판은 마루바닥이 시공되는 공간의 기초 바닥면(예를 들면 콘크리트 바닥)에서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시공된다.
이러한 마루판은 마루시스템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패널로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에 시공되는 마루틀 위에 설치되며, 이러한 마루틀은, 장선이라 불리는 마루 지지부재(횡가재)를 받쳐서 콘크리트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시키는 마루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마루틀 지지대는, 마루틀 고정장치나 마루틀 지지장치 또는 플로어용 지지장치 등으로 불리며, 상기 장선의 상측에는 상술한 마루널이 직접 또는 다른 부재 예를 들면 합판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루틀 지지장치는 콘크리트 바닥에 비해 완충성이 좋지만, 완충성이 상기 마루틀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재료 고유의 특성에 의해 제한되고, 특히 마루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마루바닥에서 불쾌한 소음(예를들면 삐그덕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공시 마루판의 수평을 정교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시공후 마루판의 기울어짐을 발견하면 마루판을 전부 제거하고 다시 수평을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마루판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마루판 지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시공후 마루판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마루판을전부 제거하지 않고도 정교하게 마루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마루판 지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마루판의 판넬과 격자 형태로 마루판의 하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마루판을 지지하는 마루판 받침대;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서포터; 및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베이스 서포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베이스 서포터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마루판 지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는, 중공의 금속재 4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서포터는, 상기 마루판 받침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하단부에 콘크리트 바닥과 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나사봉 수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은, 그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나사봉 수용구와 각각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방진고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진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EPDM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고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바닥면과의 사이에 완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는 실린더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마루판 받침대를 지지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루판 받침대는, 그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가 4개의 면 각각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외주면에는, 양쪽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루판 지지유닛은,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 서포터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단턱부의 하단면에 접하여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고리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 핸들의 외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 홈이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오목홈에는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래치 기어 타입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의 각각의 나사산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을 구비한 체인이 각각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핸들은, 상기 각각의 체인을 당김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루판 받침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가 일체로 회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콘크리트 바닥면 사이에는 방수필름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은, 마루판 받침대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4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진동 및 음파를 산란시키기 위한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마루판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은,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를 외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시공후 마루판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마루판을 전부 제거하지 않고도 정교하게 마루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닉에서 베이스 서포터의정면도, 평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닉에서 결합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에서 마루판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도 5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에서 회전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회전부재 외측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회전부재 외측 단부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회전부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닉에서 베이스 서포터의정면도, 평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닉에서 결합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에서 마루판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도 5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에서 회전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회전부재 외측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회전부재 외측 단부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회전부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마루판 지지유닛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100)은 크게 마루판 받침대(10), 베이스 서포터(20) 및 결합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100)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10)는 마루판의 판넬(F)과 격자 형태로 마루판의 하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마루판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상부에는 마루판 받침대(10)의 설치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마루판 판넬(F)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마루판 판넬(F)은 천연 목재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서로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루판 받침대(10)와 마루판 판넬(F) 사이에는 내수합판(P)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10)는 중공의 금속재 각파이프(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재 각파이프(11)는 양쪽의 측판과,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과, 상판 및 하판은 그 단면이 'ㅁ' 형상인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서포터(20)의 정면도, 평면도 및 후면도이다. 상기 베이스 서포터(20)는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마루판 받침대(1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서포터(20)는 나사봉(21)과, 베이스 플레이트(22)와, 나사봉 수용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나사봉(21)은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단부는 상기 결합부재(30)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나사봉 수용구(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봉(21)은, 상기 결합부재(30) 및 상기 나사봉 수용구(23)와 각각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그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봉(21)의 상단부에는 육각의 홈(24)이 형성되어 렌치에 의해 나사봉 수용구(2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21)은 구체적으로 무두렌치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봉 수용구(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상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봉(21)의 하단부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나사봉(21)은 나사봉 수용구(23)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나사봉 수용구(23)는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상기 나사봉(21)의 하단부에 콘크리트 바닥과 접하여 설치되어 나사봉(21)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는 방진고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2) 전체가 방진고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3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의 하면과 콘크리트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완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2)에 가해지는 진동이 상기 완충 공간에 의해 완충됨으로써 방진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진고무로는 천연고무 또는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EPDM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콘크리트 바닥면 사이에는 방수필름(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으로는 구체적으로 0.1 mm 두께의 PE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30)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는 마루판 받침대(10)와 베이스 서포터(20) 사이에 설치되어 마루판 받침대(10)와 베이스 서포터(20)를 서로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몸통부(31)와 단턱부(32)를 포함할수 있다. 상기 몸통부(31)는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12)을 관통하여 마루판 받침대(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몸통부(31)는 실린더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봉(21)의 상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2)는 상기 몸통부(3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마루판 받침대(10)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32)는, 그 단면이 6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재(30)는 렌치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나사봉(21)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ㅁ' 형상의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13)가 4개의 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마루판의 소음과 진동은 크게 충격이 발생되는 지점에서 생성되는 음파가 전달되는 것과, 충격이 발생되는 지점의 충격파가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어 2차 충격이 발생되는 것으로부터 생성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이들을 구체적으로 살피면, 마루판 판넬(F) 상에 충격이 발생하면 마루판 판넬(F)에서 발생된 음파가 콘크리트 바닥과 마루판 판넬(F) 사이의 공간을 지나 아래층 주거공간으로 전달되고, 상기 마루판 판넬(F) 상의 충격이 본 발명에 의한 지지유닛(100)을 통해 지지유닛(100)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2차 충격이 유발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21)는 지지유닛(100)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마루판 판넬(F)에서 발생한 음파를 산란시켜 상기 음파의 전달을 방해하도록 마루판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5는 상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마루판 지지유닛에서 마루판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13)가 4개의 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마루판 판넬(F)에 충격이 가해져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소음의 원인이 되는 음파가 상기 다수의 돌기(13)에 의해 산란되어 음파의 진폭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음파가 마루판 받침대(10)의 'ㅁ' 형상의 내부 공간에 갇히게 되어 음파가 마루판 받침대(10)의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마루판 판넬(F)에 충격이 가해져 발생하는 충격파 역시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ㅁ' 형상의 내부 공간에 갇히게 되어 충격파가 마루판 받침대(10)의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루판 받침대(10)의 외주면에도 양쪽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13)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마루판 받침대(10)의 하면에도 외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마루판 받침대(10)와 상기 베이스 서포터(2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40)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회전부재(40)의 외측 단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40)는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40)는 몸통부(41)와 복수 개의 핸들(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41)는, 고리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30) 단턱부의 하단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통부(41)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봉(21)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41)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핸들(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복수 개의 핸들(42)은, 상기 몸통부(41)의 둘레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제작 비용 및 자중 등을 고려할 때 동일 간격으로 6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 핸들(42)의 외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홈(42a, 42b)이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오목홈(42a, 42b)에는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래치 기어 타입의 나사산(A, 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부재(40)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4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홈(42a, 42b)의 각각의 나사산(A, B)에는, 해당 나사산(A, B)에 대응하는 나사홈을 구비한 체인이 각각 결합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핸들(42)은, 상기 각각의 체인(체인 A, 체인 B)을 당김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어, 나사산 A의 경우 체인 A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나사산 A가체인 A의 나사홈에 맞물려 핸들(4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체인 A를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나사산 A가 체인 A의 나사홈에에서 이탈되어 체인 A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핸들(4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40) 상부에 고정 설치된 결합부재(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부재(30)의 단턱부가 마루판 받침대(10)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마찬가지 원리로, 나사산 B의 경우 체인 B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나사산 B가 체인 B의 나사홈에 맞물려 핸들(4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체인 B를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나사산 B가 체인 B의 나사홈에에서 이탈되어 체인 B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핸들(4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40) 상부에 고정 설치된 결합부재(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부재(30)의 단턱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마루판 받침대(10)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종래에는 마루판의 시공 후 마루판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마루판을 전부 들어내고 수평을 맞춘 후 마루판을 다시 조립해야 함에 따라 시공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루판 지지유닛(100)을 시공함에 있어서, 체인 A 및 체인 B를 핸들(42)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오목홈(42a, 42b)에 거치한 상태로 마루판 일측 단부에 연장시켜 배치된 상태에서 마지막 마루판 판넬을 조립하기 전에 상기 체인 A나 체인 B를 당김으로써 마루판의 높이를 정교하게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시공 후 마루판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마루판을 전부 들어내고 수평을 맞춘 후 마루판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재(40)의 핸들(42)이 몸통부(41)에서 외측으로 상당 거리 연장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회전 토크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작은 힘으로만 체인(체인 A, 체인 B)을 당겨도 쉽게 마루판 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평을 맞춘 후에 체인 A 및 체인 B를 래치 기어 이탈 방향으로 당김에 의해 회전부재(40)의 회전 없이 체인 A 및 체인 B를 현장에서 수거하여 다른 공사현장에서 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 경우 체인을 공사 마감 후 시공 현장에 그대로 두고 향후 마루판의 사용 중에 마루판이 기울어지거나 부분적으로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끝단의 마루판 판넬 1~2장만을 제거한 후 마루판의 수평을 맞추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루판 받침대 11 : 4각 파이프
12 : 관통공 13 : 돌기
20 : 베이스 서포터 21 : 나사봉
22 : 베이스 플레이트 23 : 나사봉 수용구
24 : 6각홈 30 : 결합부재
31 : 몸통부 32 : 단턱부
40 :회전부재 41 : 몸통부
42 : 핸들 42a, 42b : 핸들
50 : 방수필름 100 : 마루판 조절유닛
A, B : 나사산
F : 마루판 판넬
P : 내수합판
12 : 관통공 13 : 돌기
20 : 베이스 서포터 21 : 나사봉
22 : 베이스 플레이트 23 : 나사봉 수용구
24 : 6각홈 30 : 결합부재
31 : 몸통부 32 : 단턱부
40 :회전부재 41 : 몸통부
42 : 핸들 42a, 42b : 핸들
50 : 방수필름 100 : 마루판 조절유닛
A, B : 나사산
F : 마루판 판넬
P : 내수합판
Claims (17)
- 마루판의 판넬과 격자 형태로 마루판의 하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마루판을 지지하는 마루판 받침대;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서포터; 및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베이스 서포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베이스 서포터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실린더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마루판 받침대를 지지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루판 지지유닛은,
상기 마루판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 서포터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단턱부의 하단면에 접하여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고리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 핸들의 외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 홈이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오목홈에는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래치 기어 타입의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는,
중공의 금속재 4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포터는,
상기 마루판 받침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하단부에 콘크리트 바닥과 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나사봉 수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은,
그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나사봉 수용구와 각각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방진고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EPDM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고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바닥면과의 사이에 완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는,
그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가 4개의 면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의 외주면에는,
양쪽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각각의 나사산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을 구비한 체인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핸들은,
상기 각각의 체인을 당김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받침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가 일체로 회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콘크리트 바닥면 사이에는 방수필름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판 지지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514A KR102267729B1 (ko) | 2018-12-31 | 2018-12-31 | 마루판 지지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514A KR102267729B1 (ko) | 2018-12-31 | 2018-12-31 | 마루판 지지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3840A KR20200083840A (ko) | 2020-07-09 |
KR102267729B1 true KR102267729B1 (ko) | 2021-06-23 |
Family
ID=716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3514A KR102267729B1 (ko) | 2018-12-31 | 2018-12-31 | 마루판 지지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772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36752B2 (ja) * | 1994-08-12 | 2005-04-06 | 株式会社佐藤型鋼製作所 | 床下地構造 |
KR100715869B1 (ko) * | 2006-03-27 | 2007-05-07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층간소음 저감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복합판상재 및에어스프링을 이용한 시공공법 |
KR101509586B1 (ko) * | 2014-12-01 | 2015-04-08 | 김다애 |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
KR101805042B1 (ko) * | 2017-06-15 | 2017-12-05 | 김지원 | 이중마루 설치용 지지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5223B1 (ko) * | 2017-02-10 | 2019-02-07 | 주식회사 해광 |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구조물 |
-
2018
- 2018-12-31 KR KR1020180173514A patent/KR1022677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36752B2 (ja) * | 1994-08-12 | 2005-04-06 | 株式会社佐藤型鋼製作所 | 床下地構造 |
KR100715869B1 (ko) * | 2006-03-27 | 2007-05-07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층간소음 저감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복합판상재 및에어스프링을 이용한 시공공법 |
KR101509586B1 (ko) * | 2014-12-01 | 2015-04-08 | 김다애 |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
KR101805042B1 (ko) * | 2017-06-15 | 2017-12-05 | 김지원 | 이중마루 설치용 지지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3840A (ko) | 2020-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16095C2 (ru) | Балочная система | |
KR101100291B1 (ko) | 마루 받침장치 | |
JP5625019B2 (ja) | 床構造 | |
KR101006837B1 (ko) |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 |
KR200423530Y1 (ko) | 충격 흡수용 방진고무를 이용한 마루구조 | |
KR102267729B1 (ko) | 마루판 지지유닛 | |
JP5973864B2 (ja) | 隙間管理具 | |
KR200399606Y1 (ko) |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 |
KR200385010Y1 (ko) | 층간차음재 | |
KR20200077121A (ko) |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 |
JP5102577B2 (ja) | 床支持具及び床構造 | |
JP2011157728A (ja) | ダンパ及びダンパを用いた木構造 | |
JP5320031B2 (ja) | 制振建物 | |
KR101107753B1 (ko) | 진동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를 위한 마루틀 및 그것이 구비된 마루 | |
JP3911501B2 (ja) | 床施工方法 | |
JP2022185562A (ja) | アンカーボルト及び摩擦減震装置の協働機構 | |
JP2007100403A (ja) | 床受け部材および二重床 | |
JP4806253B2 (ja) | 床構造 | |
KR102354670B1 (ko) | 마루구조용 멀티 방진시스템 | |
KR200417291Y1 (ko) | 마루 시공용 바닥 지지구 | |
KR101284778B1 (ko) | 레일장선이 구비된 마루틀 및 마루널의 시공방법 | |
KR20060036693A (ko) |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 |
KR101876058B1 (ko) |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 |
KR20160018083A (ko) | 금속제 장선을 이용한 마루틀 | |
JP2001193312A (ja) | 建築構造物の制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