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301B1 -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301B1
KR102267301B1 KR1020200135943A KR20200135943A KR102267301B1 KR 102267301 B1 KR102267301 B1 KR 102267301B1 KR 1020200135943 A KR1020200135943 A KR 1020200135943A KR 20200135943 A KR20200135943 A KR 20200135943A KR 102267301 B1 KR102267301 B1 KR 10226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rt
pressing
driving
main
anch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301B9 (ko
Inventor
배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엔티
Priority to KR102020013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01B1/ko
Priority to US17/506,256 priority patent/US20220119226A1/en
Priority to CN202111224231.7A priority patent/CN114380165A/zh
Publication of KR10226730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0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8Brakes acting on a linearly moving member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제동장치는, 일측에 메인 로프가 위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는 탄성부 압축부재;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상황시 앵커핀 블록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가 비상 상황시 잠금 해제됨과 동시에 로프 브레이크가 로프를 가압하게 하므로 앵커핀과 연결봉을 통해 이중으로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기어군 및 클러치 동작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및 압축 해제하므로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프 제동장치 {Rope braking device}
본 발명은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작동시, 메인 로프를 가압하여 승강기를 정지시키는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건물 내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통로를 따라 메인 로프에 연결된 승강기가 권양기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유사 시, 승강기를 비상 제동시키는 제동장치가 설치되는데, 제동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 및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11024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결합블록의 설치공이 연결봉에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서만 록킹되므로 록킹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24호(2011.01.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일반 상황시 앵커핀 블록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가 비상 상황시 잠금 해제됨과 동시에 로프 브레이크가 로프를 가압하게 하므로 이중으로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기어군 및 클러치 동작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및 압축 해제하므로 오작동이 방지되게 한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제동장치는, 일측에 메인 로프가 위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는 탄성부 압축부재;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력을 종방향으로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종방향 회전력을 기어군에 의해 횡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종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축과 동일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게 되면, 상기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에서 이격되고, 상기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종동축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직립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메인 탄성부;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메인 탄성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결합블록; 및 상기 가이드봉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탄성부를 압축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과 이격된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제어부재의 잠금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앵커핀이 구비된 앵커핀 블록; 및 상기 앵커핀 블록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의 결합블록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면서 상기 메인 탄성부의 압축 위치가 제한되게 하는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앵커핀 블록 하측에 위치되어, 전원 인가시 핀커버가 상승하고 전원 차단시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핀커버의 승강시 일단부가 벌림 또는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타단부에 형성된 잠금홈이 상기 앵커핀 블록에 구비된 앵커핀을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상황시 앵커핀 블록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가 비상 상황시 잠금 해제됨과 동시에 로프 브레이크가 로프를 가압하게 하므로 앵커핀과 연결봉을 통해 이중으로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기어군 및 클러치 동작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및 압축 해제하므로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구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탄성부 압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이동 제어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가압판 동작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가압판 개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가압판 동작 상태 중 앵커핀의 록킹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가압판 동작 상태 중 앵커핀의 언록킹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구동수단에 의한 기어 동작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구동수단에 의한 가압판 동작 상태와 가압판 개방 상태의 기어 동작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구동수단에 의한 가압판 동작 상태와 가압판 개방 상태의 클러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구동수단에 의한 가압판 동작 상태와 가압판 개방 상태의 클러치 동작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구동수단에 의한 가압판 동작 상태와 가압판 개방 상태의 클러치 동작 상태를 좀더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10)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작동시, 메인 로프(R)를 가압하여 승강기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본체부재(100), 구동부재(200), 탄성부 압축부재(300), 가압부재(400) 및 이동 제어부재(50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100)는 구동부재(200), 탄성부 압축부재(300), 가압부재(400) 및 이동 제어부재(500)의 설치를 안내하는 구성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재(100)는 이면판(110)과, 이면판(110)의 양측에 측면판(120)이 구비되어,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면판(110)의 배면에는 가압부재(400)의 가압판(410)에 상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412)에 삽입되면서 이동 방향을 안내받도록 횡방향의 제1 가이드봉(114)이 각각 구비된다.
더욱이, 제1 가이드봉(114)에는 이면판(110)의 배면과 이와 대향된 가압판(410)과의 노출된 사이에 메인 로프(R)를 가압하기 위해 이동하는 가압판(410)과 이면판(110)의 충돌방지 기능과 가압판(410)의 자동위치복귀 기능을 하는 완충탄성부(1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면판(110)의 전면 양측 상하에 탄성부 압축부재(300)의 제2 가이드봉(310)의 양단이 고정되로록 상, 하부 지지대(118a, 118b)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이면판(110)은 대향면 상하에 가압부재(400)의 연결바(422)의 상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부재(4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베어링 등이 이에 적용된 안내부(R1, R2)가 설치된다.
그리고 양 측면판(120)에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도면에 미도시)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30)이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프레임(130)에는 가이드공(132)이 형성되어 양 측면판(120)은 가이드공(132) 형성구간을 따라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만약 측면판(120)의 각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가이드공(132)은 생략 가능하다.
구동부재(200)는 이면판(110)의 정면 상측에 구비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탄성부 압축부재(300)를 상승시켜 메인 로프(R)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로, 세부적으로 구동모터(210), 제1-1 종동기어(214a), 제1-2 종동기어(214b), 제2 종동기어(216), 제1 종동축(218), 제2 종동축(220), 제3 종동기어(230), 제3 종동축(232), 제4 종동축(234), 클러치(240) 및 스위치 힌지 레버(250)를 포함한다.
이때, 제1-1 종동기어(214a), 제1-2 종동기어(214b), 제2 종동기어(216), 제1 종동축(218), 제2 종동축(220), 제3 종동기어(230), 제3 종동축(232), 제4 종동기어(234) 및 클러치(240)는 별도의 본체(202) 내에 위치된다.
구동모터(210)는 본체(202)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 탄성부(320)의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며, DC 모터나 AC 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동축에 헬리컬 기어인 구동기어(212)가 구비된다.
제1-1 종동기어(214a)는 구동기어(212)와 치합되는 헬리컬 기어로, 축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축의 하부에 평기어인 제1-2 종동기어(214b)가 설치되어 제1-2 종동기어(214b)와 제1-1 종동기어(214a)와 함께 회전된다.
제2 종동기어(216)는 평기어로 제1-2 종동기어(214b)와 치합된다.
제1 종동축(218)은 직립된 상태에서 상부에 제2 종동기어(216)가 설치되어, 제2 종동기어(216)와 연동되고, 하부에 스크류 형태의 나선 기어가 형성된다.
제2 종동축(220)은 제1 종동축(218)과 직교 방향인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종동축(218)의 나선 기어가 치합되도록 연동기어(222)가 구비된다.
제3 종동기어(230)는 제2 종동축(220)과 평행한 상태로 위치되는 제3 종동축(232)에 구비된다.
제3 종동축(232)은 제3 종동기어(230) 및 클러치(240)가 연동되도록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구비된다.
제4 종동기어(234)는 제3 종동기어(230)와 이웃한 상태로 배치되어 자유회전된다. 더욱이, 제4 종동기어(234)는 클러치(240)와 맞닿는 면에 방사상의 산형 돌기가 형성되어, 클러치(240)의 내측면에 형성된 방사상의 산형 돌기와 결합되면 클러치(240)를 연동 회전시키고, 산형 돌기들이 분리되면 클러치(240)를 연동 회전을 중지시킨다.
클러치(240)는 제3 종동축(232)의 일방향 회전시 동력이 전달 안 되지만, 제3 종동축(232)의 타방향 회전시 연결되면서 동력이 일방향으로 전달된다.
즉, 클러치(240)는 제3 종동축(232)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3 종동축(232)과 동일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면,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에서 이격되고, 제3 종동축(232)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러치(240)는 사선 형상을 갖는 홈(H)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부체와, 내부체를 감싸면서 홈(H) 내에 위치되도록 지지돌기(244)가 방사상의 홀을 통해 고정되어 회전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부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체는 제4 종동기어(234)와 맞닿는 면에 방사상의 산형 돌기가 형성되어 산형 돌기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제4 종동기어(234)의 회전력이 전달 또는 분리된다.
더욱이, 홈(H)은 축 중심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돌기(244)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체를 회전시키면서 제4 종동축(234)에서 이격시키고, 지지돌기(244)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체를 회전시키면서 제4 종동축(234)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외부체는 제4 종동기어(234) 방향 단부에 턱이 형성되고 턱에 홈 부위가 지지된 이동거리 제한부(242)에 의해 좌우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스위치 힌지 레버(250)는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클러치(240)의 외부체의 이동시 일단부가 걸리면서 타단부가 센싱스위치(RS)의 누름 버튼을 가압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 해제된 가압판(410)의 동작 상태에서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된 가압판(410)의 개방 상태로 바뀌는 경우, 구동모터(210)의 동력에 의한 제3 종동축(232) 회전시 클러치(240)가 따라 회전되면서 제4 종동기어(234)가 회전되고, 제4 종동기어(234)와 치합된 랙기어(350)가 이동되면서 메인 탄성부(320)를 압축시킨다.
더욱이, 도 12를 참조하여 클러치(24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된 가압판(410)의 개방 상태에서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 해제된 가압판(410)의 동작 상태로 바뀌는 경우,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된 가압판(410)의 개방 상태는 구동모터(210)의 동력에 의한 제3 종동축(232) 회전시 클러치(240)가 따라 회전되면서 제4 종동기어(234)가 회전되고, 제4 종동기어(234)와 치합된 랙기어(350)가 수직 상승되면서 메인 탄성부(320)를 압축시킨다. 그리고 센싱스위치(RS)에 신호가 입력되면서 구동모터(210)가 멈춤으로써 메인 탄성부(320)의 압축이 정지되고, 구동모터(210)가 역회전하면, 클러치(240)가 제4 종동기어(23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 종동기어(234)에 제공되는 동력이 해제되며, 메인 탄성부(320)가 자유 상태가 되어 복원되는 힘으로 제4 종동기어(234)를 역회전시키고, 랙기어(350)가 수직 하강하면서 가압판(410)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클러치(24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된 가압판(410)의 개방 상태에서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 해제된 가압판(410)의 동작 상태로 바뀌는 경우,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된 가압판(410)의 개방 상태는 제4 종동기어(234)와 클러치(240)가 회전되어 랙기어(350)가 수직 상승되면서 메인 탄성부(320)를 압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앵커핀(442)이 잠금부(530)에서 록킹 해제된 가압판(410)의 동작 상태는 메인 탄성부(320)의 압축이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모터(210)가 역회전하면서 이에 제3 종동축(232)이 역회전하고, 클러치(240) 이동시 외부체의 지지돌기(244)가 홈(H)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제4 종동기어(234)가 클러치(240)와 분리되어 동력이 해제된다.
더욱이, 도 14를 참조하여, 클러치(240)의 동작을 살펴보면, 클러치(240)의 외부체 이동시 스위치 힌지 레버(250)가 동작하여 센싱스위치(RS)에 신호를 입력하면서 외부체가 내부체에서 이동됨을 확인할 수 있고, 그 후에 메인 탄성부(320)가 압축 해제되면서 자유 상태로 복원되며, 랙기어(350)가 수직 하강하면서 가압부재(400)의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하게 된다.
탄성부 압축부재(300)는 구동부재(200)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320)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며, 제2 가이드봉(310), 메인 탄성부(320), 결합블록(330), 고정블록(340) 및 랙기어(350)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봉(310)은 이면판(110)의 전면에 구비된 상, 하부 지지대(118a, 118b)에 한 쌍이 직립 배치된다.
메인 탄성부(320)는 제2 가이드봉(310)에 각각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으로 압축된 복원력으로 결합블록(330)을 가압하는 구성이다.
이때, 메인 탄성부(320)는 결합블록(330)에 의해 압축되면 가압부재(400)의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 해제하고, 압축 해제되면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하게 된다.
결합블록(330)은 제2 가이드봉(310)이 관통된 상태로 메인 탄성부(320)에 의해 가압부재(400)의 가압판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상하 이동하며, 고정블록(340)에 고정된다.
더욱이, 결합블록(330)은 전면은 경사면이 형성되면서, 경사면 하부에 단차 구조로 걸림홈(332)이 형성되어 가압부재(400) 연결봉(430)의 둘레 일부 구간을 감싸, 걸림홈(332)이 연결봉(310) 상단에 얹혀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결합블록(330)은 걸림홈(332)이 연결봉(430)에 걸리면 위치가 고정되면서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하기 전 상태이고, 하강시 전면 경사면이 연결봉(430)을 밀어 가압부재(40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면서 앵커핀(442)이 이동 제어부재(500)의 잠금부(530)에서 잠금 해제되면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고정블록(340)은 양측의 결합블록(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결합블록(330)을 일률적으로 승강시킨다.
랙기어(Rack Gear: 350)는 고정블록(340)이 상면 중심부에 직립하게 구비되어 구동부재(200)의 제4 종동기어(234)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메인 탄성부(320)를 압축시킨다.
가압부재(400)는 탄성부 압축부재(300)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410)이 메인 로프(R)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도록 전후로 이동시키며, 가압판(410), 연결판(420), 연결봉(430) 및 앵커핀 블록(440)을 포함한다.
이때, 가압부재(400)는 전후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스위치(RS)에 의해 전후 이동 위치가 제한된다.
가압판(410)은 직립된 판상으로 본체부재(100)의 이면판(110) 후방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메인 로프(R)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며, 상하 양측에 제1 가이드봉(114)과 결합되어 진행 방향을 안내받는 삽입공(412)이 각각 형성된다.
연결판(420)은 가압판(410)과의 대향면 양측에 연결바(422)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바(422)는 타단이 이면판(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판(420)의 배면 양측에 고정된다.
연결봉(430)은 연결판(420)의 후방에서 연결바(422)의 전방 대향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 압축부재(300)의 결합블록(330)에 형성된 걸림홈(332)이 걸리면서 메인 탄성부(320)의 압축 위치가 제한되게 한다.
앵커핀 블록(440)은 연결판(420)의 전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이동 제어부재(500)의 잠금부(530)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앵커핀(442)이 하방을 향해 구비된다.
이동 제어부재(500)는 가압부재(400)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442)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가압부재(400)의 이동을 제어하며, 솔레노이드(510), 지지몸체(520), 잠금부(530) 및 텐션스프링(550)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510)는 가압부재(400)의 앵커핀 블록(440) 하측에 위치되어, 별도의 전원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한 전원 인가시 핀커버(512)가 상승하고, 전원 차단시 복원력에 의해 핀커버(512)가 하강한다. 이때, 솔레노이드(510)는 이면판(1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부(502)를 통해 전방으로 이격되며, 지지부(502)의 전면 하부에서 지지브래킷(504)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솔레노이드(510)는 핀의 상부에 구비된 핀커버(512)가 승강하게 되며, 하부에 구비된 복원스프링(514)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핀이 원위치로 하강한다.
그리고 핀커버(512)는 단차 형성된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회전부(540)의 진입 정도에 따라 잠금부(530)를 벌리게 하거나 오므리게 한다.
지지몸체(520)는 측면 형상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502)의 전면 상부에 고정되면서 내부 홈부(522)에 잠금부(530)가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설치공(524)이 관통 형성되어 핀커버(512)가 승강 가능하다.
잠금부(530)는 솔레노이드(510)의 상측에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핀커버(512)의 승강시 일단부가 벌림 또는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잠금부(530)는 대향면 선단에 잠금홈(534)이 형성되고, 대향면 후단에 회전부(540)가 고정된 홈(536)이 형성되고, 잠금홈(534)과 홈(536) 사이에 종방향의 지지축(532)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잠금부(530)의 잠금홈(534)이 오므려지면서 앵커핀 블록(440)에 구비된 앵커핀(442)을 결속시키거나 잠금홈(534)이 벌어지면서 앵커핀(442)을 결속 해제시킨다.
회전부(540)는 홈(536)의 내부에서 축에 의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로 핀커버(512)의 상승시 잠금부(530)가 벌어지게 한다.
텐션스프링(550)은 잠금부(530)와 이웃한 선단에 형성된 연결홀(536a)에 절곡된 양단이 삽입되고 권취된 부분은 축(532)에 고정되어 벌어진 상태의 잠금부(530)에서 힘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10)의 세팅 및 제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팅 전 상태를 설명하면, 탄성부 압축부재(300)가 하강하면서 결합블록(330)이 연결봉(430)을 밀어 가압부재(400) 전체가 본체부재(1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판(410)이 이면판(110)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와 함께 결합블록(330)이 하강하면서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가압부재(400)를 전방으로 밀게 되므로 앵커핀(442)이 이동 제어부재(500)의 잠금부(530)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이 기어군에 의해 제1 종동축(218)을 구동시키고, 제1 종동축(218)에 의해 제2 종동축(220)을 회전시키고 제2 종동축(220)에 의해 제3 종동축(232)이 순차 연동되게 한다.
그리고 제3 종동축(232)의 회전시 클러치(240)가 따라 회전되면서 제4 종동기어(234)가 회전되고, 제4 종동기어(234)와 치합된 랙기어(350)가 수직 상승되면서 메인 탄성부(320)를 압축시킨다.
이 과정에서 결합블록(330)과 연결봉(430)간의 접촉이 해제되면 가압판(41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완충탄성부(116)가 가압판(410)을 뒤쪽으로 밀어냄에 따라 가압부재(400) 전체가 뒤쪽으로 이동되어, 결국 연결봉(310)이 결합블록(330)의 걸림홈(332) 내에 결합진다.
이렇게 가압부재(400)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센싱스위치(RS)와 접촉되면 센싱스위치(RS)는 전원부로 전원 인가 신호를 보내고 전원부로부터 솔레노이드(5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가 자화되고 핀 단부에 구비된 핀커버(512)가 상승하여 잠금부(530)의 선단을 벌리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재(400)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잠금부(530)의 선단이 벌려지면서 가압부재(400)의 앵커핀(442)이 내부에 위치되고, 그 후에 텐션스프링(550)에 의해 잠금부(530)의 선단이 오므려져 앵커핀(442)의 전방 이동을 억제하여 록킹이 된다.
다음으로, 메인 로프(R)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상태에서는 메인 로프(R)가 가압판(410)과 본체부재(100)의 이면판(110) 사이에서 상하 이동된다.
이때, 정전이나 비상 상황과 같이 운행되는 엘리베이터의 제동이 필요할 경우, 솔레노이드(510)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가 자력을 잃게 되고 복원스프링(514)에 의해 핀커버(512)가 하강하게 되면서 잠금부(530)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메인 탄성부(320)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블록(330)이 하강되면 결합블록(330)의 전면 경사면이 연결봉(430)을 전방으로 밀면서 핀커버(512)가 잠금부(530)에서 이탈되게 한다.
그리고 가압부재(400)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면판(110)의 후방에 위치된 가압판(410)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면판(110)과 밀착됨과 동시에 메인 로프(R)를 가압함에 따라 메인 로프(R)의 이동이 정지되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된다.
따라서, 센싱스위치(RS)에 신호가 입력되면서 구동모터(210)가 멈춘 후 솔레노이드(510)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210)가 역회전하고, 클러치(240)가 제4 종동기어(23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 종동기어(234)에 제공되는 동력이 해제되며, 메인 탄성부(320)가 자유 상태가 된다. 솔레노이드(510)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메인 탄성부(320)의 복원되는 힘으로 제4 종동기어(234)를 역회전시키고, 랙기어(350)가 수직 하강하면서 가압판(410)이 작동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로프 제동장치
100: 본체부재
200: 구동부재
300: 탄성부 압축부재
400: 가압부재
500: 이동 제어부재

Claims (5)

  1. 일측에 메인 로프가 위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는 탄성부 압축부재;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앵커핀 블록 하측에 위치되어, 전원 인가시 핀커버가 상승하고 전원 차단시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핀커버의 승강시 일단부가 벌림 또는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타단부에 형성된 잠금홈이 상기 앵커핀 블록에 구비된 앵커핀을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동장치.
  2. 일측에 메인 로프가 위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는 탄성부 압축부재;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력을 종방향으로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종방향 회전력을 기어군에 의해 횡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종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축과 동일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게 하면 상기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에서 이격되고, 상기 종동축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 되게 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동장치.
  3. 일측에 메인 로프가 위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는 탄성부 압축부재;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직립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메인 탄성부;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메인 탄성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결합블록; 및
    상기 가이드봉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탄성부를 압축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동장치.
  4. 일측에 메인 로프가 위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탄성부를 압축 또는 해제시키는 탄성부 압축부재;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와 연동되어 일측에 구비된 가압판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앵커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과 이격된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제어부재의 잠금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앵커핀이 구비된 앵커핀 블록; 및
    상기 앵커핀 블록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 압축부재의 결합블록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면서 상기 메인 탄성부의 압축 위치가 제한되게 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동장치.
  5. 삭제
KR1020200135943A 2020-10-20 2020-10-20 로프 제동장치 KR10226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43A KR102267301B1 (ko) 2020-10-20 2020-10-20 로프 제동장치
US17/506,256 US20220119226A1 (en) 2020-10-20 2021-10-20 Cable-braking apparatus
CN202111224231.7A CN114380165A (zh) 2020-10-20 2021-10-20 绳索制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43A KR102267301B1 (ko) 2020-10-20 2020-10-20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301B1 true KR102267301B1 (ko) 2021-06-21
KR102267301B9 KR102267301B9 (ko) 2022-01-17

Family

ID=766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43A KR102267301B1 (ko) 2020-10-20 2020-10-20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19226A1 (ko)
KR (1) KR102267301B1 (ko)
CN (1) CN1143801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24B1 (ko) 2010-08-17 2011-01-26 배후근 로프 제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540A (en) * 1992-07-24 1993-07-20 Hollister-Whitney Elevator Corp.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US5966994A (en) * 1998-02-25 1999-10-19 Hyundai Motor Company Cable holding device for accelerator pedals
CN100515916C (zh) * 2003-06-16 2009-07-22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的缆索制动器
KR100609836B1 (ko) * 2004-04-23 2006-08-11 주식회사 엘텍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JP2006188306A (ja) * 2004-12-28 2006-07-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装置
US8511437B2 (en) * 2008-04-21 2013-08-20 Hollister-Whitney Elevator Corp.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oupled to gear drive assembly
CN101734532B (zh) * 2009-12-14 2011-08-24 苏州通润驱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作用在曳引机的曳引轮上的安全制动装置
CN111032555B (zh) * 2018-05-07 2021-11-19 G.A.L.生产有限责任公司 具有制动蹄的电梯紧急制动器
DE102018212172A1 (de) * 2018-07-23 2019-08-29 Thyssenkrupp Ag Aufzugsbremsanordnung
KR101996602B1 (ko) * 2018-11-09 2019-07-04 주식회사 휴먼엔티 로프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24B1 (ko) 2010-08-17 2011-01-26 배후근 로프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80165A (zh) 2022-04-22
US20220119226A1 (en) 2022-04-21
KR102267301B9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8396A1 (de) Aktuator zu einer bremseinrichtung und eine aufzugsanlage
JP5026743B2 (ja) プログレッシブ安全装置
EP2760776A1 (de)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
US11427436B2 (en) Resetting device for resetting an actuator for actuating a safety gear of an elevator
US20120260704A1 (en) Clutch mechanism for electromechanical lock cylinders
US6508332B2 (en)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US6854399B2 (en) Side sliding door apparatus for electric railcar
KR102267301B1 (ko) 로프 제동장치
EP1900894A1 (en) Modular closure latch mechanism
US20030000149A1 (en) Linearly actuated locking device for transit vehicle door system
WO2020110316A1 (ja) 非常停止装置
KR100703009B1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EP1590545A1 (de) Elektrisch entsperrbare freigabevorrichtung f r t ren
CN101624886B (zh) 一种能在门受预压状态下开启的门锁结构
JPH0743213U (ja) 扉開閉機構
KR10038815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1172418B1 (ko) 창문용 버튼식 자동록킹장치
KR0130518Y1 (ko) 방화샤터의 폐쇄장치
JPH0611341Y2 (ja) 扉開閉機構
JP3507051B2 (ja) シャッターの自動閉鎖装置
JPH0746694Y2 (ja) 扉開閉装置
KR940005234B1 (ko) 대형 금고실의 금고문
KR20220110214A (ko)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주행 보디를 제동하기 위한, 예를 들어 쐐기 형상의 브레이크 요소를 갖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CN116516863A (zh) 一种具有减速缓冲功能的闸机
JP2007170071A (ja) 両開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