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181B1 -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181B1
KR102267181B1 KR1020197012179A KR20197012179A KR102267181B1 KR 102267181 B1 KR102267181 B1 KR 102267181B1 KR 1020197012179 A KR1020197012179 A KR 1020197012179A KR 20197012179 A KR20197012179 A KR 20197012179A KR 102267181 B1 KR102267181 B1 KR 102267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information
vectors
terminal
base station
beam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111A (ko
Inventor
츄빈 가오
룬화 천
탐라카 라케스
후이 리
츄핑 황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5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29Reduction of the amount of signalling, e.g. retention of useful signalling or differential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여 종래 기술에서 코드북 구조의 제한 때문에 채널 상태 정보의 정밀도는 제한되어 기지국에서 선탄 전처리 알고리즘으로 전송하는 데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방법에서,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의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멀티 안테나 전송, 특히 MU-MIMO 송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6년 9월 29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610867803.6호,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쇄 루프 프리 코딩의 기술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 릴리스 8(Rel-8)시스템에 도입되었다. 폐쇄 루프 프리코딩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을 동일한 프리코딩 행렬의 집합인 코드북에 저장함을 요구한다. 단말은 셀 공통 파일럿에 따라 채널 정보를 추정한 후에 어떤 기준하에 코드북으로부터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며, 선택된 기준은 교환된 정보의 최대량, 최대화된 출력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코드북 내의 선택된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를 업 링크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상기 인덱스는 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로 지칭된다. 기지국은 상기 수신된 인덱스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적용될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보고된 프리코딩 행렬은 채널 상태 정보의 양자화된 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내의 안테나 어레이는 전형적으로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적으로 (즉,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다. 기지국의 송신단의 빔은 수평 방향으로 만 조정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각 UE의 고정된 하향 경사각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빔 형성/프리코딩 기술 등은 수평 방향 채널 정보에 적용 가능하다. 실제로, 무선 신호는 공간에서 3 차원으로 전파되고, 시스템의 성능은 고정된 하향 경사각으로 최적화될 수 없으므로, 수직 방향의 빔 조정은 시스템 성능의 개선에 큰 의미가있다. 안테나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각각의 어레이 소자가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능동 안테나의 어레이가 업계에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극 안테나의 2 차원 배열로 나타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이너 안테나2 차원 배열로 나타나다. 이러한 2 차원 안테나 어레이 (평면 어레이)에 의해, 빔을 수직 방향으로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은 또한 단말에 의해 보고된 채널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3 차원에서 빔 형성/ 프리코딩을 수행 할 필요가있다. LTE Rel-13은 선형 배열에 적용된 코드북을 확장하여 UE가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평면 어레이에 적용가는한 코드북을 얻는다.
3GPP LTE/LTE-A 및 IEEE 802.16 시리즈 표준에서, 다양한 코드북이 안테나 수, 안테나 방식,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등에 따라 설계되지만, 코드북 구조의 제한으로 인해, 이러한 코드북 기반 피드백 방식에서 제공될 수 있는 채널 상태 정보의 정밀도는 제한되어 기지국에서의 정교한 전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전송안에 적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MU-MIMO(Multiple-user MIMO, MU-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전송에 적용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서 코드북 구조의 제한 때문에 이러한 코드북 기반 피드백 방식에서 제공될 수 있는 채널 상태 정보의 정밀도는 제한되어 기지국에서의 정교한 전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전송안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 양상에 의하며,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임;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N의 값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채널 조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메트릭들의 내림차순으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이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소속한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를 결정하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여 얻은 값이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임의의 2 개의 벡터는 서로 직교하며, 및/또는, 각각의 상기 빔 벡터 그룹 중 임의의 2 개는 서로 직교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또한, 상기 단말이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할 때 상기 단말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할 때 상기 단말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서로 다른 시간에서 피드백되고, 또는,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대역폭에 대해 동일한 시간에서 피드백되고, 또는,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대역폭에 대해 상이한 시간에서 피드백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채널 품질 지시자(CQI)를 결정하고, 또한,상기 단말은 상기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제2 양상에 의하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임; 및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N의 값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채널 측정에 따라 결정되거나 기지국으로 피드백한 것이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한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 중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다.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서로 다른 시간에서 피드백되고, 또는,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대역폭에 대해 동일한 시간에서 피드백되고, 또는,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대역폭에 대해 상이한 시간에서 피드백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제3 양상에 의하며,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제4 양상에 의하며,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제5 양상에 의하며,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인 기저 행렬 결정 모듈;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결합 계수 결정 모듈; 및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메트릭들의 내림차순으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또한,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소속한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는,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를 결정하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여 얻은 값이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피드백 모듈은,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CQI를 결정하는 CQI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제6 양상에 의하며,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저 행렬 내의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임; 및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시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 및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한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 중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제7 양상에 의하며, 단말은,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기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도록 상기 송수신를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메트릭들의 내림차순으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소속한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는,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를 결정하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여 얻은 값이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CQI를 결정하고, 및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제8 양상에 의하며, 기지국은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하고,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저 행렬 내의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시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 및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한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 중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며,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산출된 기저 행렬 및 결합 계수 행렬은 보다 높은 정밀도로 채널 상태 파라미터를 피드백하고 종래의 채널 상태 파라미터와 대비하면 더 높은 정밀도를 구비한다. 채널 상태 파라미터의 피드백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으므로 프리코딩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멀티 안테나 전송의 성능(예를 들어, 다운 링크 전송의 처리량), 특히 MU-MIMO 송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수평으로 배열된 2 극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수평으로 배열된 라이너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수평 및 수직 차원으로 배열된 2 극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수평 및 수직 차원으로 배열된 라이너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벡터 그룹의 분할 방식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기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51에서,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다.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은 사전 규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후 단말로 통지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이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 후 단말에 통지될 때, 선택 가능한 통지 방식은 하기와 같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단말로 통지한다. 또는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을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단말로 통지하여 단말이 상기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을 결정하도록 한다 .
선택적으로, 상기 N의 값은 사전 규정된 것이고,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N의 값이다.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채널 조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채널 상태 행렬의 랭크(또는 조건 수)에 따라 N의 값을 결정하고, 예를 들어, 랭크(또는 조건 수)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N=1이다. 예를 들어, 랭크(또는 조건 수)가 제 1 임계 값보다 크고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N=2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하다.
S52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단말에 의해 피드백할 하나의 서브 밴드 상의 채널 상태 파라미터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1
이고, 일반적으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2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3
차 열 벡터이고, 열의 수가 1보다 큰 경우, 각 열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말은 이하의 단계들에서 결합 계수 행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4
(예를 들어,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5
의 열의 수가 1보다 크면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6
는 결합 계수 행렬이고, 계산 과정은 동일함)을 계산한다.
a)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7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8
를 계산한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09
(단일 극성 안테나 어레이 또는 2 극 안테나 어레이)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0
(2 극 안테나 어레이).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1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2
는 i 번째 빔 벡터의 결합 계수이다. 여기서, B는 기저 행렬을 나타낸다.
b)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3
에 대해 양자화하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4
를 얻는다.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5
는 양자화 함수를 의미하고,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6
의 각각의 엘리먼트를 양자화한다.
선택적으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7
를 양자화할 때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8
의 각각의 엘리먼트의 각각의 실수 성분 및 허수 성분을 각각 양자화하거나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19
의 각각의 엘리먼트의 진폭 및 위상을 양자화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채널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이 채널을 측정하여 얻은 채널 관련 정보를 의미하며, 채널 상태 행렬, 또는 채널 상태 행렬의 전치 또는 채널 상태 행렬의 고유 벡터(예를 들어, 채널 상태 행렬의 1차 고유 벡터, 또는 관련 행렬 내의 2 개의 가장 큰 고유 값에 대응하는 고유 벡터 등),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추천된 프리코딩 행렬 등을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합리적인 범위에서 양자화된 간격을 보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단말은 먼저 벡터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0
내의 엘리먼트를 정규화한 다음 정규화된 엘리먼트를 양자화한다. 여기서, 벡터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1
내의 엘리먼트를 정규화할 때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2
,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3
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4
은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거나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5
이다.
또한, 단말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6
의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필오한 피드백 오버헤드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7
,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8
비트이다.
S53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결합 계수 행렬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때, 제한된 수의 비트(예를 들어, 2비트, 또는 3비트, 또는 4비트 등)로 각각의 양자화된 엘리먼트의 값을 나타내고, 이들 비트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하나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또는, 상기 단말은 상이한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각각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산출된 기저 행렬 및 결합 계수 행렬은 보다 높은 정밀도로 채널 상태 파라미터를 피드백하고 종래의 채널 상태 파라미터와 대비하면 더 높은 정밀도를 구비한다. 채널 상태 파라미터의 피드백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으므로 프리코딩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멀티 안테나 전송의 성능(예를 들어, 다운 링크 전송의 처리량), 특히 MU-MIMO 송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은 샘플링된 이산 퓨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벡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선형 어레이의 경우, 안테나 포트 수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29
이며, 오버 샘플링 비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0
이면 오버 샘플링된 DFT벡터 (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1
로 표시됨)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2
개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3
선형 2 극 안테나 어레이인 경우, 예를 들어, 일 편파 방향의 안테나 포트 수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4
이며 그의 후보 빔 벡터는 치수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5
의 오버 샘플링DFT벡터이다.
평면 어레이의 경우, 편광 방향의 제 1 치수(수직 치수 또는 수평 치수)및 제 2 치수 (수평 치수 또는 수직 치수)의 안테나 포트 수 각각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6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7
이면 2 차원에서의 오버 샘플링 비 계수 각각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8
Figure 112019043232749-pct00039
이면 후보 빔 벡터 (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0
로 표시됨)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1
개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2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3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4
.
위 후보 빔 벡터 집합의 구현에 기반으로 하여,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이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후, 생성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의 파라미터를 단말로 통지하고, 선형 어레이에 대해, 상기 파라미터들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5
일 수 있다. 평면 어레이의 경우, 상기 파라미터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6
일 수 있다.
물론, 후보 빔 벡터는 오버 샘플링된 DFT 벡터와 달리 구현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 수는 M로 하고, 여기서 벡터를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7
로 한다.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N 개의 빔 벡터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8
이며, 기저 행렬 B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49
, 선형 어레이 및 이중 편파 어레이에 적용 가능하다.
기저 행렬 B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0
일 수 있다. 여기서, 블록 대각 행렬의 주 대각선 상의 행렬이 N 개의 선택된 빔 벡터를 포함하고 이중 편파 어레이에 적용 가능하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S51에서 상기 단말은 다음의 가능한 3 가지 방식으로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한다:
방식 1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메트릭들의 내림차순으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상기 방식은 구현 복잡성이 적으며 실현하기 쉽다.
상기 메트릭은 빔 벡터 형성 전송 신의 신호 수신 전력 또는 채널 용량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가장 높은 신호 수신 전력을 갖는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여 기저 행렬을 형성하며, 여기서, 가장 높은 신호 수신 전력을 갖는 빔 벡터 (즉, 가장 강한 첫 번째 빔 벡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1)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1
,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2
는 상이한 송신 안테나의 일 편파 방향의 채널 상태 행렬들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또는
2)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3
이며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4
는 상이한 송신 안테나의 다른 일 편파 방향의 채널 상태 행렬들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또는
3)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5
.
이와 유사하게, 2-N 번째로 강한 빔 벡터도 유하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단말에 의해 선택된 N개의 빔 벡터 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6
여기서, 메트릭은 채널 용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7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8
Figure 112019043232749-pct00059
로 빔형성 전송에 유용한신호 대 간섭 (+ 잡음) 비율 (SINR)이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에 의해 선택된 N개의 빔 벡터 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0
,즉, 선택된 N개의 빔 벡터의 수신 전력 합이 가장 크다.
상기 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임의의 2 개의 벡터는 서로 직교하다.
예를 들어, 가장 강한 첫 번째 빔 벡터가 결정된 후에, 제 2 가장 강한 빔 벡터가 제 1 가장 강한 빔 벡터에 직교하도록 제 2 가장 강한 빔 벡터가 선택되고, 제 3 가장 강한 빔 벡터는 제 3 가장 강한 빔 벡터가 제 1 가장 강한 및 제 2 가장 강한 빔 벡터에 직교하도록 제 2 가장 강한 빔 벡터가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하다.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1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2
.
방식 2에서, 상기 단말은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N 개의 빔 벡터들 각각이 서로 직교하는 시나리오에서, 방식 2는 구현 복잡성이 낮고 실현하기 쉽다.
상기 방식에서,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규정되거나 구성 될 수 있거나,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UE에 통지될 수 있거나, 빔 벡터를 후보 빔 벡터 세트로 그룹화함으로써 UE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의 직교성에 따라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 나눈다.
또한, 상기 단말은 다음 두 방식으로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한다.
방식 21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소속한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한다 .
방식 22에서, 상기 단말은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를 결정하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여 얻은 값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의 합일 수 있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3
.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4
는 p번째의 빔 벡터 그룹의 메트릭이고,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5
는 p번째의 빔 벡터 그룹 내의 빔 벡터 수이고,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6
는 p번째의 빔 벡터 그룹 내의 k번째의 빔 벡터이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의 적이다
상기 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임의의 2 개의 벡터는 서로 직교하다.
상기 방식에서, 선택적으로, 각각의 빔 벡터 그룹 중 임의의 2 개는 서로 직교한다.
단말에 의해 빔 벡터 그룹을 분할 하면 상기 단말이 빔 벡터 그룹을 분할할 때 직교 관계에 따라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빔 벡터 그룹 내의 임의의 두 빔 벡터 사이에 직교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후보 빔 벡터는 오버 샘플링된 DFT벡터로 형성되며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7
개의 직교 빔 벡터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직교 빔 벡터 그룹에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8
개의 서로 직교하는 빔 벡터이 있다. 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69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0
)개의 직교 빔 벡터 그룹에 포함된 빔 벡터 예를 들어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1
일 가능한 그룹화 방식,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2
이다. 동일한 패턴으로 채워진 사각형으로 표시된 DFT 벡터는 동일한 빔 벡터 그룹에 속한다.
상기 방식에서,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는 방식은 방식 1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메트릭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는 방식과 동일하며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방식 3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이 방식에서, 기저 매트릭스의 식별자는 낮은 피드백 오버 헤드를 갖는 2 개의 레벨(예를 들어, 하기 방식 D 참조)로 피드백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는 방식은 방식 1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는 방식과 동일하며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는 방식은 방식 1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는 방식과 동일하며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선택된 T개의 빔 벡터 내의 임의의 두 빔 벡터는 직교 벡터이다. 및/또는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 선택된 N개의 빔 벡터 내의 임의의 두 빔 벡터는 직교 벡터이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S53에서 상기 단말은 하기 방식으로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방식 A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방식은 위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식에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3
비트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4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5
보다 작지 않은 최소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더 피드백할 수 있으며, 추가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6
비트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이리하여 기지국이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결합 계수 행렬의 양자화를 구현한다.
방식 B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내의 일부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내의 다른 부분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방식은 위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두 구현 방식을 더 포함한다.
방식 B1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된 N개의 빔의 모든 가능한 조합 방식 (합계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7
가지 가능한 조합 방식)이 번호가 매겨지고,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조합 방식에 대응하는 번호를,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로 한다.
상기 방식에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8
비트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피드백 방식에서 조인트 인코딩의 사용으로 인해 피드백 오버헤드가 저하 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더 피드백할 수 있으며 추가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79
비트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이리하여 기지국이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결합 계수 행렬의 양자화를 구현한다.
방식 B2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조인트 인코딩 정보를 피드백하는 데 필요한 피드백 오버헤드는 다음 식과 같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0
.
방식 B3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방식 C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방식은 위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식에서의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모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빔 벡터로 결정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피드백할 때, 필요로한 피드백 오버헤드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1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 조인트 인코딩),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2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는 개별적으로 고딩됨)이다. 여기서, K는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빔 벡터의 개수이다.
방식 D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방식은 위 방식 3에 적용되며, 2 개의 레벨에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한 오버헤드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3
(각각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는 개별적으로 고딩됨),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4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 조인트 인코딩)이다.
제2 레벨 피드백을 위해 빔 벡터들이 선택된 집합 (즉, T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집합)이 후보 빔 벡터 집합보다 작기 때문에, 제 2 레벨 피드백의 오버헤드는 낮아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빔 벡터로부터의 T 개의 빔 벡터의 모든 가능한 조합 중 T 개의 빔 벡터의 선택된 조합의 수일 수 있다. 즉,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선택된 T 개의 빔 벡터의 가능한 모든 조합(합계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5
가지 가능한 조합 방식)이 번호가 매겨지고,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T개의 빔 벡터의 조합 방식에 대응하는 번호를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한다. 선택된 T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벡터 그룹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분할된 벡터 그룹의 번호일 수 있다. 즉,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T를 단위로하여 복수의 벡터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벡터 그룹이 번호가 매겨지고, 선택된 T개의 빔 벡터의 소속한 벡터 그룹의 번호를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시간에서 피드백된다. 예를 들어, 제 1 레벨 식별 정보는 제 2 레벨 식별 정보가 피드백되는 시간 간격보다 긴 시간 간격으로 피드백된다. 여기서, 식별 정보가 주기적으로 피드백될 때, 제 1 레벨 식별 정보는 제 2 레벨 식별 정보가 피드백되는ㅍ주기보다 긴 주기로 피드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가 비 주기적으로 피드백될 때, 상기 제 1 레벨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레벨 식별 정보의 피드백은 개별적으로 트리거 될 수 있고,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 피드백의 트리거 빈도는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의 피드백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대역폭에 대해 동일한 시간에서 피드백된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광대역에 대해 피드백되고, 빔 벡터는 대역폭 전체의 채널, 즉 빔 벡터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또는 채널 용량은 대역폭 전반에 걸친 평균치이다.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 피드백은 서브 밴드 내의 피드백이다. 빔 벡터는 제1 레벨 피드백을 기초로 하여 선택되며, 하나의 서브 밴드의 채널에서 선택된다. 즉, 빔 벡터의 신호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또는 채널 용량은 하나의 서브 밴드의 평균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이한 대역폭에 대해 상이한 시간에서 피드백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더 피드백할 수 있으며 추가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6
비트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이리하여 기지국이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결합 계수 행렬의 양자화를 구현한다.
방식 E에서, 상기 단말은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방식은 위 방식 2에 적용된다. 단말에 의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 내에 K개의 빔 벡터가 있으면 피드백 오버헤드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7
비트(단말이 각각의 빔 벡터의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피드백함), 또는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8
(단말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피드백함)이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에서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더 피드백하며 추가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89
비트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이리하여 기지국이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결합 계수 행렬의 양자화를 구현한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S52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구체적으로, CQI를 계산하는 방법에서, 단말에 의해 추천된 프리코딩 행렬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0
이며,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1
이다. 상기 프리코딩 행렬을 기초로 하여 CQI를 계산한다.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2
는 행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3
의 Frobenius norm이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71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한다.
S72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저 행렬 내의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기 바란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의 값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채널 측정에 따라 결정되거나 기지국에 동지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기 바란다.
S7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여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S73에서 상기 기지국은 다음 박식들로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한다.
방식 1에서,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은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4
이며 여기서,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5
이다. 또는
방식 2에서,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은 행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6
에서 가장 큰 하나 이상의 고유치들에 대응하는 고유 벡터들의 행렬이다. 또는
방식 3에서,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은 행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7
에서 가장 큰 하나 이상의 고유치들에 대응하는 고유 벡터들의 행렬이다.
여기서, 행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8
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기저 행렬이고, 행렬
Figure 112019043232749-pct00099
는 기지국에 의해 수신도니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결합 계수 행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A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B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로 구성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E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C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한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 중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D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B1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B2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세하게는 위 방식 B3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법들의 처리 흐름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수행 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호출 될 때,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 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UE을 추가로 제공하고, 단말이 도 5에 도시 된 방법과 유사한 원리로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관련 설명을 참조 할 수 있다. 장치의 구현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방법의 구현 및 이에 대한 반복 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 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다른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인 기저 행렬 결정 모듈(81)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결합 계수 결정 모듈(82) 및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8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81)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메트릭들의 내림차순으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81)은,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소속한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는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를 결정하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여 얻은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임의의 2 개의 벡터는 서로 직교하며, 및/또는 각각의 상기 빔 벡터 그룹 중 임의의 2 개는 서로 직교한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일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피드백 모듈(83)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모듈(83)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피드백 모듈(83)은,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피드백 모듈(83)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상기 피드백 모듈(83)은 또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위 임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하여,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CQI를 결정하는 CQI결정 모듈(8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모듈(83)은 또한, 상기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은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또한 송수신기(610)를 제어하여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도록 한다.
상기 송수신기(610)는 프로세서(6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한다.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600)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620)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10) 는 송신 매체를 통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위한 유닛인 다수의 요소, 예를 들어, 송신기 및 수신기 일 수 있다. 다른 사용자 장비들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630)는 또한 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내부적으로 및 외부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일 수 있고, 접속된 장치들은 키패드, 모니터,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프로세서(600) 는 버스 아키텍처를 관리하고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 전압 조정, 전원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더 제공 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00)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0)느 CPU,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고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기지국은 도 7에 도시 된 방법과 유사한 원리로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이 기지국의 구현은 방법의 구현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101)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저 행렬 내의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인 제1 결정 모듈(102) 및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10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101)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시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 및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한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 중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듈(101)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1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송수신기(510)을 통해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하고,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저 행렬 내의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이고, 및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송수신기(510)는 프로세서(5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한다.
여기서, 도 11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500)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520)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0)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프로세서(500)는 버스 아키텍처를 관리하고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 전압 조정, 전원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더 제공 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0)는 CPU, ASIC, FPGA 또는 CPL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고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 에서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면 된다.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기술 분야내의 당업자들이 명백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하여, 본 출원은 풀 하드웨어실시예, 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하는 실시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메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방법, 디바이스(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부터 수행한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를 유도하여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오퍼레이션 절차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실시하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한 명령은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절차를 제공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동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37)

  1. 단말은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임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할 때 상기 단말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할 때 상기 단말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의 값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채널 조건에 따라 결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소속한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를 결정하고,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빔 벡터 그룹에 대응하는 메트릭은 상기 빔 벡터 그룹 내의 각각의 빔 벡터의 메트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여 얻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임의의 2 개의 벡터는 서로 직교하며, 및/또는, 각각의 상기 빔 벡터 그룹 중 임의의 2 개는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채널 품질 지시자(CQI)를 결정하고, 및
    상기 단말은 상기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9.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 및 결합 계수 행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N개의 빔 벡터가 상기 기저 행렬을 구성하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임; 및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저 행렬 및 상기 결합 계수 행렬에 따라 상기 단말과 다운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와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 선택한 T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이고, 상기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T개의 빔 벡터 중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이며,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N개의 빔 벡터 중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 및 다른 N-1개의빔 벡터의,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가장 큰 메트릭을 갖는 빔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빔 벡터로 형성된 집합에서의 식별자 정보의 조인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은 규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단말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1.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N개의 빔 벡터로 형성된 행렬이고, 상기 N은 양의 정수인 기저 행렬 결정 모듈;
    상기 기저 행렬 및 채널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결합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결합 계수 결정 모듈; 및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결합 계수 행렬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이 후보 빔 벡터 집합에 따라 기저 행렬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L개의 빔 벡터 그룹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 내의 빔 벡터를 분할하여 얻은 것이고, L은 양의 정수이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T는 N보다 크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 벡터로 결정된 행렬을 상기 기저 행렬로서 결정하고,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이 L개의 빔 벡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빔 벡터 그룹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할 때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선택된 빔 벡터 그룹의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빔 벡터 그룹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이 상기 후보 빔 벡터 집합으로부터 T개의 빔 벡터를 선택하고, 또한, 상기 T개의 빔 벡터로부터 N개의 빔 벡터를 선택할 때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이 상기 기저 행렬의 식별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경우,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1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또한, 상기 기저 행렬 결정 모듈은 상기 T개의 빔 벡터에서의 상기 N개의 빔 벡터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레벨의 식별자 정보로 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197012179A 2016-09-29 2017-07-12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67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67803.6A CN107888323B (zh) 2016-09-29 2016-09-29 一种信道状态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CN201610867803.6 2016-09-29
PCT/CN2017/092647 WO2018059072A1 (zh) 2016-09-29 2017-07-12 一种信道状态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111A KR20190057111A (ko) 2019-05-27
KR102267181B1 true KR102267181B1 (ko) 2021-06-18

Family

ID=6176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179A KR102267181B1 (ko) 2016-09-29 2017-07-12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4767B2 (ko)
EP (1) EP3522677B1 (ko)
JP (1) JP6740468B2 (ko)
KR (1) KR102267181B1 (ko)
CN (1) CN107888323B (ko)
WO (1) WO2018059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0256B (zh) * 2017-06-16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US10820323B2 (en) * 2017-08-04 2020-10-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eam indication method for multibea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0999112B (zh) * 2017-08-0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波束指示
CN110581724B (zh) * 2018-06-08 2020-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预编码矩阵确定方法及装置
CN112840697B (zh) * 2018-09-27 2024-01-23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关于csi开销减少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WO2020118728A1 (zh) * 2018-12-14 2020-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0118731A1 (en) * 2018-12-14 2020-06-1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compression
CN113708810B (zh) 2018-12-17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1416645B (zh) 2019-01-08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预编码矩阵指示方法及相关设备
EP3910807A4 (en) * 2019-01-11 2022-03-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2737648B (zh) * 2019-01-11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909142B1 (en) * 2019-01-11 2023-12-27 Lenovo (Singapore) Pte. Ltd. Generating a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
US10992354B2 (en) 2019-01-17 2021-04-27 Mediatek Singapore Pte. Ltd. Differential quantization of precoder matrix
CN111525947B (zh) * 2019-02-03 2021-11-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上报方法、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585630B (zh) * 2019-02-15 202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示和确定预编码向量的方法以及通信装置
CN111757382B (zh) * 2019-03-27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示信道状态信息的方法以及通信装置
CN111756416B (zh) * 2019-03-29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956039B2 (en) * 2019-09-30 2024-04-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device for beam vector selection
CN113131978B (zh) 2019-12-30 2022-04-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信道互易性的预编码矩阵配置方法及装置
WO2021155610A1 (zh) * 2020-02-07 2021-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11934733B (zh) * 2020-08-31 2021-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测试预编码矩阵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1881918B2 (en) 2021-02-05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MIMO system and CSI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7728B2 (en) * 2003-03-13 2005-08-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KR101231357B1 (ko) * 2006-04-06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귀환 방법 및데이터 송신 방법
CN101018084B (zh) * 2007-03-08 2011-12-14 北京邮电大学 服务质量保证的多用户mimo-ofdm系统的资源分配方法
US7961807B2 (en) 2007-03-16 2011-06-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ference signaling scheme using compressed feedforward codebooks for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systems
CN101286824B (zh) * 2008-01-24 2011-04-13 北京邮电大学 在多用户终端mimo系统中预编码方法和系统
KR101513889B1 (ko) * 2008-02-14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빔 결합을 이용한 스위치 빔 포밍 장치 및 방법
KR101478843B1 (ko) * 2009-01-22 2015-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다중 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US20110103493A1 (en) * 2009-11-02 2011-05-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daptive Codebooks
TWI404360B (zh) * 2009-11-25 2013-08-01 Inst Information Industry 用於一多輸入多輸出正交分頻多工系統之通訊裝置及其方法
WO2011150549A1 (en) * 2010-06-01 2011-12-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beam groups and subset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US8693421B2 (en) 2010-09-02 2014-04-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ownlink 8 TX codebook sub-sampling for CSI feedback
JP5804594B2 (ja) * 2011-08-05 2015-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リコーディング装置、プリコーディング用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US8891472B2 (en) * 2011-10-04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178888B (zh) 2011-12-23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反馈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装置
EP2688330B1 (en) * 2012-07-17 2014-06-11 Alcatel Lucent Method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cessing unit, and wireless access network node thereof
CN102970103A (zh) 2012-10-10 2013-03-13 西安交通大学 一种多用户联合传输的用户间干扰抑制预编码方法
CN103840907B (zh) * 2012-11-20 2018-06-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导频信号和信号测量的方法、系统及设备
US8976884B2 (en) 2012-12-20 2015-03-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rray channel feedback
JP6035165B2 (ja) * 2013-02-22 2016-1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ダ装置
CN104243003B (zh) * 2013-06-06 2017-10-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码本的信道状态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CN104202276B (zh) * 2014-07-16 2018-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信息的量化反馈、数据的预编码方法及装置
KR102300532B1 (ko) * 2014-09-05 2021-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128083B2 (ja) * 2014-09-08 2017-05-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算出方法
US9654195B2 (en) * 2014-11-17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to calculate linear combination pre-coders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5721030B (zh) * 2014-12-04 2019-05-1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波束赋型方法及基站
CN105071845B (zh) * 2015-08-03 2018-06-29 北京邮电大学 一种波束赋形方法及基站
CN105450273B (zh) * 2015-08-24 2016-11-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编码指示信息和确定预编码矩阵的方法和装置
CN105933046B (zh) 2016-06-24 2019-01-22 北京科技大学 一种大规模天线系统基带与射频混合预编码方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4432
3GPP R1-166274*
3GPP R1-166448*
3GPP R1-167287
3GPP R1-1676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88323A (zh) 2018-04-06
KR20190057111A (ko) 2019-05-27
CN107888323B (zh) 2020-01-17
JP6740468B2 (ja) 2020-08-12
EP3522677B1 (en) 2021-10-27
EP3522677A1 (en) 2019-08-07
US20190341979A1 (en) 2019-11-07
JP2019531655A (ja) 2019-10-31
WO2018059072A1 (zh) 2018-04-05
US10644767B2 (en) 2020-05-05
EP3522677A4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181B1 (ko)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RU2695125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рекодера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10211900B2 (en) Beam forming for reference signals using an antenna arrangement
KR101851093B1 (ko)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CN107733493B (zh) 用于确定预编码矩阵的方法和装置
US102054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ng a codebook for use with multiple antenna configurations
US10742272B2 (en)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2300532B1 (ko) 빔 포밍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1184615A (ja) 更に最適化されたオーバーヘッドを有するマルチビームコードブック
EP3958478B1 (en) Beamforming using an antenna array
EP35376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information quantification feedback,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20523880A (ja) チャネル状態情報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KR20180124105A (ko) Csi피드백 방법, 프리코딩 방법, 장치, 단말 및 기지국
KR20210106548A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피드백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80940B1 (ko)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KR102127313B1 (ko) 코딩 지시 정보의 전송 및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결정 방법 및 장치
CN107395259B (zh) 一种二级预编码方法及装置
CN107852279A (zh) 码本的配置方法和用户设备
WO2016119655A1 (zh) 一种确定码本的方法及装置
KR102197717B1 (ko)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방법
CN106685497B (zh) 码书限制信令的发送、信道信息的量化反馈方法及装置
EP3288189B1 (en)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y antenna
CN114128162B (zh) 用于增强csi报告的方法和设备
CN118101005A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