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977B1 -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977B1
KR102266977B1 KR1020190105213A KR20190105213A KR102266977B1 KR 102266977 B1 KR102266977 B1 KR 102266977B1 KR 1020190105213 A KR1020190105213 A KR 1020190105213A KR 20190105213 A KR20190105213 A KR 20190105213A KR 102266977 B1 KR102266977 B1 KR 10226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user
information
company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328A (ko
Inventor
윤제훈
윤채영
윤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0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술한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있어서,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 단계;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 단계;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 단계; 및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SSUING COUP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USE AND DRAW}
본 발명은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업체로부터 쿠폰의 개수, 시간 정보 및 유저 타겟 정보를 포함한 쿠폰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쿠폰을 생성함으로써 업체가 설정한 타겟이 되는 유저에게 쿠폰을 우선적으로 발급하고, 생성된 쿠폰에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 시, 시간대별로 추첨하여 당첨자수를 분배함으로써, 업체는 유저에게 서비스 또는 재화를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쿠폰은 상품의 판매를 촉진시키거나 상품 및 회사의 이름을 알리기 위한 대표적인 마케팅의 한 종류로, 광고용 전단, 안내장, 카탈로그 등의 인쇄물에서 표처럼 뗄 수 있거나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발행되어, 소비자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을 주거나 어떠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우대권 또는 할인권 등을 말한다. 이는 가격 차별화 정책에 해당되어, 생산자가 동일 재화를 구매자 또는 구매량에 따라 분류하여 소비자의 지불 능력과 패턴과 가격 탄력성을 고려해 다른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가격을 받아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신규고객확보와 재방문률을 높이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등의 보급과 더불어 전자 쿠폰이 활성화되는 추세로, 일반적으로 전자 쿠폰은 도 1과 같은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지급된다. 도 1은 종래의 쿠폰 지급 방법에 대한 구성도이다. 업체가 업체 단말(2)을 통해 플랫폼 단말(1)에 쿠폰 생성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플랫폼 단말(1)은 요청된 쿠폰을 생성하여 생성된 쿠폰을 소비자 단말(3)에 지급하는데, 이때, 플랫폼 단말(1)은 별도의 조건 없이 쿠폰을 다수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3)에 제한 없이 발급하고, 소비자는 업체에 방문 또는 주문함과 동시에 쿠폰을 사용함으로써 업체로부터 서비스 또는 재화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특정 상품의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업체의 상품을 구매할 의사가 없어 쿠폰이 필요 없는 일반 소비자에게도 대량의 쿠폰을 무작위 배포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한국 등록 특허 제10-1374712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교환 가능한 쿠폰을 소비자 계정에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량으로 쿠폰을 발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의 경우, 대량의 쿠폰이 발급된 이후에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의 서비스 및 재화를 제공받을 의사가 없는 소비자가 쿠폰을 발급 받는 경우의 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쿠폰의 발급이 곧 업체의 이윤과 연결되는 것이라 할 수 없고, 특히 소비자들이 오프라인으로 직접 업체에 방문하여 업체에서 서비스 및 재화를 제공받는 경우, 업체가 수용할 수 있는 일정량 이상의 다수의 소비자들이 쿠폰을 사용하고자 동시에 몰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업체는 적절한 서비스 또는 재화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렇듯, 일괄적으로 대량의 쿠폰만을 제공할 경우에는, 쿠폰이 본래 가지고 있는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기능 또는 이윤을 극대화 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쿠폰을 생성할 시, 업체에서 전송된 쿠폰 조건 정보에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업체에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업체가 설정한 유저의 타입인 유저 타겟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기초로 쿠폰을 생성함으로써 업체가 설정한 쿠폰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쿠폰을 우선적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가 쿠폰에 응모할 시, 응모자가 원하는 날짜의 응모 정보를 검색하면서 업체가 설정한 시간대별로도 응모할 수 있도록 하고, 쿠폰을 발급할 시에는 시간대별로 독립적으로 유저를 추첨하고, 시간대별로 업체가 설정한 인원수에 맞추어 당첨자를 추첨하거나,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함으로써, 일정한 비율로 유저를 고르게 추첨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응모한 유저 중 당첨자를 선별할 시,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 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임으로써, 실질적으로 업체에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유저를 선별하는 것에 제3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있어서,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 단계;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 단계;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 단계; 및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시간 정보는, 업체의 영업 시간 중 일부 시간 범위 또는 업체의 영업 시간에 무관한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응모 수집 단계는,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응모 내역을 수집 시, 시간 정보에 따라 구분된 기 설정된 시간대에 대한 입력을 함께 수신하고,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수집된 유저의 식별 정보를 통해 일부를 추첨할 시, 시간대별로 독립적으로 유저를 추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하고, 당첨자수를 모두 합한 값은 쿠폰 조건 정보의 쿠폰의 개수에 대한 값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기 설정된 인원수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하고, 당첨자수를 모두 합한 값은 쿠폰 조건 정보의 쿠폰의 개수에 대한 값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응모 수집 단계는, 유저 계정에 설정된 위치 정보와 업체의 위치정보를 비교한 거리 정보에 따라서 당첨 확률 에 대한 가중치 또는 응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되고, 기 설정된 응모 기간이 다수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응모 기간에 응모한 유저의 수가 시간대별 당첨자수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 응모 기간에는 거리 정보의 임계치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기 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쿠폰 사용 여부를 질의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당첨된 유저의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및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이후,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전송 받은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의 사용을 확정하는 쿠폰 사용 확정 정보 또는 철회하는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쿠폰 사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수신 시, 당첨이 되지 않은 유저들 중 차점자인 유저에게 대신하여 쿠폰을 발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쿠폰 발급 단계는,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 사용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쿠폰 발급 단계 이후에는, 당첨된 유저의 유저 단말을 통해 서로 다른 유저 단말에 발급된 쿠폰을 전송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업체의 업주 계정은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와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동일한지 비교하거나, 유저가 업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쿠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유저 인증 권한을 가지고, 유저 인증 권한은 업주 계정에 의하여 허가된 대리인 계정에도 부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업주 계정을 통해 대리인 계정에 유저 인증 권한을 부여 시, 대리인 계정의 유저 인증 권한의 유효 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대리인이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정상적으로 발급받은 것으로 인증된 유저가 유효한 쿠폰을 사용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업체 단말을 통해 대리인 계정의 정보 및 유저 또는 쿠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수신 시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업주 계정으로 전송하는 쿠폰 사용 확인 단계; 및 업주 계정에 수신된 쿠폰 사용 확인 정보 중 적어도 쿠폰의 식별 정보를 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쿠폰의 정보와 수신된 쿠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쿠폰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쿠폰의 재사용을 차단하는 쿠폰 비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에 있어서,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부;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부;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부; 및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 단계;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 단계;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 단계; 및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쿠폰을 생성할 시, 업체에서 전송된 쿠폰 조건 정보에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업체에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업체가 설정한 유저의 타입인 유저 타겟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기초로 쿠폰을 생성함으로써 업체가 설정한 쿠폰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쿠폰을 우선적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쿠폰을 발급만 받고 사용하지 않는 유저, 특히 노쇼(No-Show)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쿠폰의 개수, 시간 정보, 유저 타겟 정보를 포함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함으로써, 업체가 기 설정한 타겟이 되는 유저들이 원하는 시간대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시간대에 몇 명의 유저가 방문할지 예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가 업체에 방문하기 이전에 서비스 또는 재화를 미리 준비하여 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가 쿠폰에 응모할 시, 업체가 설정한 시간대별로 응모할 수 있도록 하고, 쿠폰을 발급할 시에는 시간대별로 독립적으로 유저를 추첨하고,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함으로써, 특정 시간대에 당첨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고, 일정한 비율로 유저를 고르게 추첨하여 업체가 서비스 또는 재화를 유저에게 제공함에 있어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응모한 유저 중 당첨자를 선별할 시,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임으로써, 계산된 거리값이 큰 유저들은 업체와의 물리적인 거리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업체에 방문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러한 유저들을 후순위로 두어, 실질적으로 업체에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유저를 우선적으로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쿠폰 지급 방법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할 시에 업체 단말의 화면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안내 정보가 유저 단말의 화면에 푸시 알림으로 제공되거나 특정 날짜에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탐색한 뒤, 탐색된 쿠폰과 대응되는 안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모 기간 내에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쿠폰에 응모할 시, 유저 단말의 화면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기 이전에 유저 단말에 쿠폰 사용질의 여부를 묻는 인터페이스 및 쿠폰 사용질의를 통해 쿠폰 사용을 수락하여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서로 다른 유저에게 발급받은 쿠폰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대리인 계정의 정보 및 유저 또는 쿠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업체 단말의 화면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은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급하고자 할 경우, 업체로부터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 및 업체가 설정한 유저 타겟의 정보를 포함한 쿠폰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쿠폰을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쉬 알림으로 전송하며, 유저가 응모한 응모 내역을 수집하고, 업체의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산출된 거리값 등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쿠폰을 생성할 시, 업체에서 전송된 쿠폰 조건 정보에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업체에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업체가 설정한 유저의 타입인 유저 타겟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기초로 쿠폰을 생성함으로써 업체가 설정한 쿠폰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쿠폰을 우선적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에 제1 목적이, 유저가 쿠폰에 응모할 시, 응모자가 원하는 날짜의 응모 정보를 검색하면서 업체가 설정한 시간대별로도 응모할 수 있도록 하고, 쿠폰을 발급할 시에는 시간대별로 독립적으로 유저를 추첨하고, 시간대별로 업체가 설정한 인원수에 맞추어 당첨자를 추첨하거나,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함으로써, 일정한 비율로 유저를 고르게 추첨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응모한 유저 중 당첨자를 선별할 시,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 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임으로써, 실질적으로 업체에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유저를 선별하는 것에 제3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업체 단말 또는 유저 단말은 후술하는 도 8의 컴퓨팅 장치와 동일한 작동 원리 및 기능 수행을 위한 각 구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별로 살펴보자면 우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있어서,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업체는 총 발급하고자 하는 쿠폰의 날짜별, 시간대별 최대 개수 또는 쿠폰 전체 총합의 최대 개수 등 업체가 정한 다양한 상황에 따른 쿠폰의 개수를 정함으로써, 업체에서 서비스 또는 재화를 제공하여 줄 수 있는 최대한의 유저 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정보는, 유저가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 뿐만이 아니라, 업체의 영업 시간 중 일부 시간 범위 또는 업체의 영업 시간에 무관한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예를 들어 업체의 영업 시간에 무관한 시간 범위인 일주일 중 토요일을 제외한 날짜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업체의 영업 시간 중 일부 시간 범위로 분할함으로써 분할된 시간대별로 유저가 업체에 방문할 수 있도록 유저의 방문 가능한 시간을 나눌 수 있게 되어, 시간대별로 고르게 유저가 업체에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시간 정보를 입력함에 있어 스케줄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복수의 시간대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Software)과 연동할 수 있는 유료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업체가 기 설정한 쿠폰의 사용대상인 유저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를 통해서 업체가 목표로 하는 유저의 대상을 지정함으로써, 업체가 설정한 쿠폰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쿠폰을 우선적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쿠폰을 발급만 받고 사용하지 않는 유저들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쿠폰의 날짜별, 시간대별 개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포함한 쿠폰의 발급 개수에 대한 정보, 시간 정보, 유저 타겟 정보를 포함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함으로써, 업체가 기 설정한 타겟이 되는 유저들이 원하는 시간대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시간대에 몇 명의 유저가 방문할지 예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가 업체에 방문하기 이전에 업체는 서비스 또는 재화를 미리 준비하여 둘 수 있으며, 다른 측면으로는, 쿠폰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 예측되는 유저에게는 쿠폰을 발급하지 않거나 발급될 확률을 낮춤으로써, 특히 노쇼(No-Show)를 방지하거나 노쇼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도 4의 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체가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할 시에 업체 단말의 화면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100은 수용량에 한계가 있어 유저들의 방문 시간 대를 분산시키고, FA 헤어 업체가 설정한 타겟이 되는 유저에게 쿠폰을 더 제공하고자 하는 FA 헤어가 쿠폰 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FA 헤어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최대 200명의 유저들에게 쿠폰을 발급하고자 하고,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 및 시간을 설정함에 있어 2020년 1월 1일부터 같은 해 2020년 12월 31일까지 유저가 쿠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시간은 10시부터 20시까지로 영업 시간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FA 헤어는 특히 발급하는 쿠폰이 10대에서 60대 사이의 여성 유저에게 더 제공되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급설정의 기능을 통해 쿠폰 사용 시간의 고급설정을 통해서 상술한 시간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고, 이때, 업체의 영업 시간에 무관한 시간 범위, 예를 들어 FA 헤어가 영업을 하지 않는 월요일을 제외할 수 있고, FA 헤어의 영업 시간인 10시 내지 20시를 일부 시간 범위인 2시간씩으로 나누어 설정함으로써 유저들의 방문 시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표 대상 유저의 고급설정을 통해서는 쿠폰이 가급적 발급되지 않기를 원하는 유저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입력 할 수도 있다.
물론, 100을 통해 입력해야 하는 정보들은 업체의 재량에 따른 것으로, 특정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음으로써 쿠폰이 다수의 다양한 유저들에게 발급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세부적으로 입력함으로써, 특정한 유저들에게 더 발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업체의 판단에 따라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쿠폰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 설명하자면, 쿠폰 생성 단계(S10)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안내 정보는 업체에 대한 정보,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는 서비스 또는 재화 또는 이와 관련된 할인이나 무료 서비스 등에 대한 혜택 정보 및 유저가 쿠폰에 응모할 수 있는 기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유저가 쿠폰에 응모함에 있어 혼동되지 않도록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술한 안내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함에 있어, 유저가 어떠한 종류의 유저 단말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써 생성된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저 단말이 PC(Personal Computer)인 경우에는 팝업(Pop-up)창 또는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로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폰(Smart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인 경우에는 푸시 알림으로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어떠한 기술을 이용하든 유저가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놓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안내 정보가 유저 단말의 화면에 푸시 알림으로 제공되거나 안내 정보를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200은 유저 단말이 스마트폰인 경우에 안내 정보가 푸시 알림으로 제공되는 예시이다. 200의 (a)는 안내 정보가 유저 단말의 화면 상단부의 일 영역에 간략하게 업체명, 유저가 금요일까지 쿠폰에 응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푸시 알림으로써, 유저는 유저 단말의 화면을 터치하여 자세한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200의 (b)는 안내 정보가 유저 단말의 화면 중앙부의 일 영역에 제공되는 일 예로, 유저는 유저 단말의 화면 상의 응모하기 버튼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FA 헤어가 제공하는 쿠폰에 대한 상세한 정보 및 응모 기간 및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쿠폰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측면에서 도 5의 210에서처럼 유저가 쿠폰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날짜를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하여 특정 날짜에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탐색한 뒤, 탐색된 쿠폰과 대응되는 안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210에서 유저는 2020년 3월 25일에 사용 가능한 쿠폰의 검색된 목록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쿠폰을 선택하면서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안내 정보를 확인한 뒤, 복수 개의 원하는 쿠폰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210을 통해 2020년 3월 25일에 사용할 수 있는 쿠폰으로써 A시 B동에 위치한 FA 헤어, A시 C동에 위치한 P베이커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목록은 2020년 3월 25일에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의 정보이기도 하면서 유저가 210을 유저 단말의 출력 화면을 통해 확인하는 시점에 쿠폰에 응모 또한 가능한 쿠폰을 우선하여 출력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다시 도 2를 통해 설명하자면,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유저 응모 수집 단계는,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의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응모 기간이 지난 이후의 유저의 응모 내역은 수집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a) 또는 (b)에서의 응모 기간은 금요일까지로, 금요일이 지난 이후로는 유저가 쿠폰에 응모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후에 응모된 내역은 비정상적으로 응모된 것으로 간주하여 무효화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모 기간 내에 유저가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쿠폰에 응모할 시, 유저 단말의 화면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300은 정상적인 응모 기간 내에 유저가 쿠폰에 응모하고자 할 시에 유저 단말의 화면을 통해서 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300에는 유저가 쿠폰을 사용하는데 있어 필요한 정보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우선, FA헤어 쿠폰 응모하기 문구의 하단의 A시 B동은 FA헤어의 업체 위치를 알리는 텍스트 정보이고, 상단 좌측의 '지도앱으로 확인하기'를 통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도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Software)과 연동하여 더 상세히 유저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위치 정보 외에도 상단 우측에 위치한 업체의 전화번호와 '최근 후기를 더 보시려면'의 문구를 통하여 FA헤어를 이전에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은 유저의 후기들을 모아서 검색된 결과들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10에서는 쿠폰에 대한 정보, 업체 정보, 응모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대상고객과 참고의 내용을 통해, FA 헤어는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고, 영업 시간이 10시부터 20시까지임을 알 수 있다. 응모기간을 통해, 유저가 쿠폰을 응모할 수 있는 기간에 대한 것으로, 7월 2일 월요일부터 6일 금요일까지만 응모가 가능하고 해당 기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는 응모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라 도 6의 300의 인터페이스는 이 기간 내에 제한적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당첨자 발표를 통해서는 도 4의 100에서 업체가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할 시에 입력한 발급할 쿠폰 수와 동일하게 총 200명의 유저에게 쿠폰이 발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FA 업체가 제공하는 쿠폰은 할인 또는 영양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쿠폰임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업체가 제공하는 혜택들을 더 많이 확인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혜택 확인' 문구를 선택함으로써, 본 쿠폰을 통해 유저들이 어떠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더욱 상세하게 업체의 웹사이트(Website) 등으로 링크 연결 되거나 상술한 안내 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는 혜택에 관한 정보 인터페이스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을 응모함에 있어 응모 방법은 유저가 유저 단말을 통해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알려주는 것으로, 유저는 FA 업체에 방문을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어, 다시 도 3으로 돌아와 320을 살펴보자면, 320은 유저가 쿠폰에 응모할 시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선택해야 하는 일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우선, 320을 통해 유저는 2020년 3월 25일에 방문할 예정이고, 예상 방문 시간은 선택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유저는 날짜를 선택함에 있어 도 4의 100에 업체가 쿠폰 조건 정보로서 설정한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 내에서만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예상 방문 시간은 FA 헤어의 영업 시간인 10시부터 20시까지의 구간을 상술한 시간 정보가 포함하는 업체의 영업 시간 중 일부 시간 범위로 나눈 것으로, 320에서는 특히 2시간 단위로 시간대를 나눈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유저가 340의 영역을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할 경우 날짜별, 시간대별로 응모 현황을 기 설정된 시간에 일괄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생성될 수가 있어, 유저가 이러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경쟁률이 낮은 날짜별 또는 시간대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정보를 더 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응모 현황을 통한 경쟁률 등의 중요 정보는 당첨 확률을 간접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가적인 요소들에 대하여 유료 서비스로써 제공하거나, 유저 계정이 기 설정된 회원 등급 등의 기준으로써 차등화된 경우, 상위 등급의 유저 계정에 한하여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별도로 유료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았거나 하위 등급의 유저 계정에는 340의 영역이 300의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340의 영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저는 310의 모든 정보를 확인한 뒤 320의 예상 방문 시간 중 하나의 시간대를 선택하게 되면, 활성화된 330의 응모하기 버튼 영역을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함으로써 쿠폰의 응모를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320의 날짜 또는 시간을 선택함에 있어 하나의 정보가 누락되었거나 잘못 기재된 경우, 330은 선택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입력된 응모 내역에는 유저의 식별 정보, 쿠폰의 식별 정보, 유저가 선택한 날짜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저는 업체의 희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폰에 대해서 응모할 수 있으므로, 쿠폰별 또는 유저별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기준을 통하여 응모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유저는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응모 내역에 대한 전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당첨 및 낙첨 여부에 대한 내역 또한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 개의 쿠폰에 대한 응모 횟수는 유저 계정당 1회로 제한함이 바람직하고, 업체가 희망할 시, 유저가 적어도 1회 이상 응모 가능하여 여러 번 응모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이 경우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에 한하여 여러 번 응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의 비정상적인 방법을 통해서 기 설정된 제한 응모 횟수를 넘는 초과 응모 내역에 대해서는 무효화할 수도 있다. 단, 당첨은 유저 계정당 1회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로 다시 돌아와 설명하자면,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은 조건 없이 무작위로 추첨하는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많이 사용되는 당첨 방식으로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이용하여 유저 각자의 SNS 계정에 쿠폰 또는 업체에 대한 글을 작성하여 게시하고 공유한 유저들에게 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이전에 서로 다른 쿠폰에 당첨되어 업체에서 서비스 또는 재화를 제공받아 후기를 SNS 등을 통하여 작성한 경우, 당첨 확률을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일정한 미션 등의 이벤트를 유저에게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업체에 대한 퀴즈를 부여함으로써 쿠폰을 제공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업체는 유저에게 업체를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업체의 마케팅 수단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서도 추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용량에 제한이 발생하는 업체의 경우, 유저가 서로 다른 시간대별로 분산되어 방문하도록 해야 할 것이고, 이 경우 쿠폰 조건 정보 중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업체가 기 설정한 타겟이 되는 유저들이 원하는 시간대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시간대에 몇 명의 유저가 방문할지 예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가 업체에 방문하기 이전에 서비스 또는 재화를 미리 준비하여 둘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추첨하도록 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술하였듯, 시간 정보는 업체의 영업 시간 중 일부 시간 범위 또는 업체의 영업 시간에 무관한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시간 정보를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S30)는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응모 내역을 수집 시, 시간 정보에 따라 구분된 기 설정된 시간대에 대한 입력을 함께 수신하고,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유저가 320에서 2020년 3월 25일로 날짜를 택하고, 이어서 예상 방문 시간에서 10시부터 12시 사이 방문하는 것으로 선택하였다면, 유저의 식별 정보와 함께 유저가 320에 선택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이어서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수집된 유저의 식별 정보를 통해 일부를 추첨할 시, 시간대별로 독립적으로 유저를 추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하고, 당첨자수를 모두 합한 값은 쿠폰 조건 정보의 쿠폰의 개수에 대한 값과 동일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저장된 시간 정보 중 동일한 일자에 쿠폰을 응모한 유저를 우선 분류하고, 다시 시간대별로 유저를 분류할 수 있다. 도 6의 320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자면, 2020년 3월 25일에 응모한 유저들을 예상 방문 시간으로 다시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예상 방문 시간별로 추첨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D1 날짜에만 사용할 수 있는 10장의 쿠폰을 발급할 경우, D1의 시간대를 T1 내지 T4로 구간을 나누고, T1에 지원한 유저들이 10명, T2에 지원한 유저들이 20명, T3에 지원한 유저들이 30명, T4에 지원한 유저들이 40명으로 가정할 시, 추첨은 T1에 지원한 유저들 10명 내에서 이루어 지고, T2에 지원한 유저들 20명에서 추첨할 시에는 T1에 지원한 유저들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20명 내에서만 추첨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당첨자수는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산출되는데, 이때,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은 T1:T2:T3:T4=1:2:3:4이므로, 당첨자수 또한 시간대별로 1:2:3:4의 비율로 분배를 하여, 결과적으로 각각의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 중에서 T1에는 1명, T2에는 2명, T3에는 3명 및 T4에는 4명을 당첨자로 정하고, T1 내지 T4의 당첨자수의 합한 값은 초기에 설정한 쿠폰의 개수, 즉 10과 동일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쿠폰의 개수는 상술한 쿠폰 생성 단계에서의 쿠폰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정보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 시간대에 당첨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수 있고, 일정한 비율로 유저를 고르게 추첨함으로써 업체가 서비스 또는 재화를 유저에게 제공함에 있어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하였듯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하는 방식 이외에도, 쿠폰 발급 단계에서 시간대별로 기 설정된 인원수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시간대별로 인원이 몰릴 경우 적절한 서비스 또는 재화를 제공하기 어려운 업체들, 예를 들어 미용실, 네일아트샵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유저 한 명당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긴 업체들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 또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업체가 날짜별 또는 시간대별로 당첨자수를 한정하여 한정된 인원 내에서 당첨자수를 추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 시간에 최대 수용 가능한 유저의 수가 5명인 경우에는 최대 당첨자수 또한 5명 이내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날짜별 또는 시간대별 당첨자수를 업체가 설정함에 있어, 상술한 쿠폰 생성 단계를 통해 시간 정보 및 쿠폰의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기 설정된 인원수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함에 있어서도, 당첨자수를 모두 합한 값은 상술한 쿠폰 조건 정보의 쿠폰의 개수에 대한 값과 동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쿠폰 발급 단계는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업체의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구함에 있어, 우선 유저 계정에 등록한 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저가 주로 방문하는 곳의 위치 정보를 설정해 둠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가 학생인 경우에는 거주하는 집의 주소와 다니는 학교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고, 직장인인 경우에는 거주하는 집의 주소, 또는 직장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게 일정한 간격을 두어 정기적으로 개인 정보 변경을 요청함과 동시에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재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알리는 푸시 알림을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유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LBS(Location-Based Service), 또는 유저가 위치한 곳의 가까운 와이파이(Wi-Fi)를 탐색하여 와이파이를 통하여 위치 획득을 하는 WBS(Wi-Fi-based Positioning System)로서도 위치 탐색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외에도 업체 또는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구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이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업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구한 뒤, 위치 정보 간의 직선 거리를 산출하여 이를 거리값으로 정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좌표 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할 수 있고, 특히 GPS를 통해 거리값을 구할 경우에는 경도와 위도의 값을 사용하여 직선 거리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거리값을 구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업체와 유저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어떠한 기술이든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위의 과정을 통하여 산출한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이도록 함에 있어서 이는 접근성을 고려한 것으로, 거리값이 작다는 것은 그만큼 업체와 유저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를 가지고, 가까울수록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계산된 거리값이 큰 유저들은 업체와의 물리적인 거리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업체에 방문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러한 유저들을 후순위로 두어, 실질적으로 업체에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유저를 우선적으로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거리값이 작은 유저들의 당첨 확률을 높임으로써 쿠폰의 실사용자수가 많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고, 쿠폰의 실사용자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업체는 이윤을 남길 수 있을 것이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술한 거리값을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유저 계정에 설정된 위치 정보와 업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거리 정보에 따라서 당첨 확률에 대한 가중치 또는 응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되고, 기 설정된 응모 기간이 다수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응모 기간에 응모한 유저의 수가 시간대별 당첨자수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 응모 기간에는 거리 정보의 임계치가 확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거리 정보는 유저 계정에 설정된 위치 정보와 업체의 위치 정보를계산한 거리값에 추가적으로 주소를 더 이용한 것으로, 유저가 초기 계정을 생성할 시 주민등록번호나 휴대폰 번호 또는 일반 전화번호를 입력할 경우 계정이 생성되고, 계정이 생성될 때 일 예로, 거주지(1번), 회사주소(2번), 학교주소(3번) 등으로 여러 주소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거리 정보는 유저가 입력한 상술한 복수 개의 주소에 대한 정보 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유저에게 일정한 간격을 두어 정기적으로 개인 정보 변경을 요청함과 동시에 주소를 재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알리는 푸시 알림을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럴 경우, 유저는 입력한 자주 방문하는 주소 근처의 다양한 업체들에 대해 쿠폰 당첨 확률을 높일 수가 있고, 원하는 시간대에 업체에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일 예로, 업체의 주소가 'A시 B구 C동'이고, 유저 PA의 거주지 주소는 'A시 B구 D동'이고, 회사 주소는 'A시 J구 K동'일 경우, 상술한 거리 정보는 업체의 주소와 유저 PA의 거주지 주소 및 회사 주소 각각을 비교하여 거리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거리 정보에서는 업체와의 주소와 가장 가깝고 주소지 상으로 근접한 거주지 주소인 'A시 B구 D동'이라는 거리 정보를 더 이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거리 정보를 통해 유저 PA가 업체에 응모할 경우, 당첨 확률에 대해 가중치를 두어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업체가 'B구 이내'의 응모자에 한하여 당첨되기를 원할 경우에는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거주지 주소인 'A시 B구 D동'이라는 거리 정보만을 확인하고 'A시 J구 K동'이라는 거리 정보는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거리 정보가 응모 조건에 이용되어 제한을 둘 경우에는 사전에 유저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에 추가적으로 기 설정된 응모 기간이 1주차, 2주차 등 다수개 설정되어 있고, 매주 당첨자를 선별하는 데 있어 1주차의 특정 날짜 및 시간대에 응모한 유저의 수가 당첨자수와 비교하였을 때 미달인 경우, 2주차에 당첨자를 선별할 시에는 보다 많은 응모자를 대상으로 추첨하기 위해 응모한 유저의 수가 적었던 해당 날짜 및 시간대의 거리 정보의 임계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예로 설명하자면, 업체가 1주차에 'B구 이내'로 당첨 기준을 설정하였는데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응모자 수가 적을 시, 2주차에는 'A시 이내'로 거리의 임계치를 확대함으로써, 추첨할 시에 거리 정보에 부합하는 유저의 수를 늘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유저 PA의'A시 B구 D동' 및 'A시 J구 K동'의 주소에 대하여 1주차에는 'A시 B구 D동'이라는 거리 정보가 당첨 확률이 높거나 응모 조건에 부합하였으나, 2주차에는 업체가 설정한 거리 정보의 임계치를 'A시 이내'로 확대함에 따라, A시 B구 D동' 및 'A시 J구 K동'의 거리 정보는 동일한 당첨 확률 및 응모 조건에 모두 부합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처럼 거리 정보의 임계치를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모한 유저의 수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에는 임계치를 축소함으로써, 업체와 위치가 가까운 유저를 우선적으로 선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쿠폰 발급 단계에는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기 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쿠폰 사용 여부를 질의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당첨된 유저의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및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이후,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전송 받은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의 사용을 확정하는 쿠폰 사용 확정 정보 또는 철회하는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쿠폰 사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쿠폰을 발급하기 전, 유저에게 쿠폰 사용 여부에 대해 다시 재고하는 기회를 줌으로써, 만일 쿠폰을 지급받았음에도 사용하지 않을 유저들에게 쿠폰을 선 발급하기 이전에 철회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유저들에게 쿠폰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4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기 이전에 유저 단말에 쿠폰 사용질의 여부를 묻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400의 상부에는 업체명, 유저가 신청한 사용일자 및 시간에 대한 내용과 FA헤어가 A시 B동에 위치되어 있다는 위치 정보, 자세한 위치 정보를 알기 위해 지도앱으로 확인하여 더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전화번호 정보 및 FA헤어에 대한 최근 후기들을 모은 링크에 대한 정보가 있다. 이때, 이러한 업체에 대한 업체 정보는 업체가 계정을 초기 생성할 시에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정보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의 가운데 영역에는 쿠폰에 대한 사용 여부를 질의하기 위한 부가적인 안내 사항이 더 표기되어 있고, 이 안내사항을 통하여 '사용하기'를 선택한 경우 최종적으로 쿠폰이 지급된다는 정보와 지급 후에 다른 유저에게 양도할 수 있는 부가적인 내용이 더 포함되어 있다. 물론,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 유저는'사용불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 경우 400에서의 '사용하기' 버튼의 일 영역을 유저 단말을 통해 선택하게 될 경우, 쿠폰 사용 확정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불가' 버튼의 일 영역을 선택할 경우에는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400의 인터페이스는 일정한 기간 동안 유저 단말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고,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사용하기' 또는 '사용불가'로 업체에서 기 설정한 대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질의 응답을 통해 '사용하기'를 선택하였음에도 이후 유저가 업체를 방문하지 않거나 양도를 통하여 다른 유저에게 전달한 내역 또한 없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400에는 명시적으로 기재가 되지 않았으나 이후에 쿠폰 응모 시 당첨 확률을 낮추는 등 부가적인 패널티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쿠폰 발급 단계에서는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수신 시, 당첨이 되지 않은 유저들 중 차점자인 유저에게 대신하여 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이에, 차점자는 기본적으로 당첨되지 않은 유저들 중 임의적으로 정한 유저일 수 있고, 업체가 기 설정한 다양한 기준들을 통해 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기준들로는 상술한 유저 타겟 정보, 산출된 거리값, 거리 조건 정보 등 앞서 설명한 다양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이를 조합하거나 일정한 비율을 두어 별도로 계산하여 차점자를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쿠폰을 지급받지 못한 다른 유저에게 쿠폰이 대신하여 지급됨으로써, 쿠폰의 사용 확률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쿠폰 발급 단계에서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 사용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쿠폰 발급 단계 이후, 당첨된 유저의 유저 단말을 통해 서로 다른 유저 단말에 발급된 쿠폰을 전송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400에서 '사용하기'를 통해 쿠폰을 발급받은 이후, 유저가 응모한 날짜에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 시, 쿠폰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한 것으로, 유저는 다른 유저에게 이를 '선물하기' 기능을 통하여 쿠폰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7의 4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사용질의를 통해 쿠폰 사용을 수락하여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서로 다른 유저에게 발급받은 쿠폰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기능은 '선물하기' 기능으로 400과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의 상단에는 업체명, 유저가 신청한 사용일자 및 시간에 대한 내용과 FA헤어가 A시 B동에 위치되어 있다는 위치 정보, 자세한 위치 정보를 알기 위해 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하여 더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전화번호 정보 및 FA헤어에 대한 최근 후기들을 모은 링크에 대한 정보가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의 중간 영역에는 FROM과 TO의 문구를 통해 본래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는 유저 A이고, 발급받은 쿠폰은 친구 A, B 등의 목록을 통해 여러 명의 친구 목록을 확인한 뒤, 한 명을 선택하여 쿠폰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친구 A, B 등의 목록은 유저 A의 유저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SNS 계정 등을 통해 이미 유저 단말 등에 기 저장된 지인들에 대한 목록이라고 봄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저 A가 친구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한 뒤, 인터페이스 하단의 '선물하기' 버튼 영역을 선택하는 것으로 쿠폰은 전송될 것이다. 이때, 쿠폰의 식별 정보 중, 본래의 유저 A에 대한 정보를 유저 A가 선택한 다른 유저로 정보를 변경하여 쿠폰의 식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업체의 업주 계정은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와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동일한지 비교하거나, 유저가 업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쿠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유저 인증 권한을 가지고, 유저 인증 권한은 업주 계정에 의하여 허가된 대리인 계정에도 부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유저 단말을 통하여 쿠폰의 유효성 유무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일시적인 경우 또는 특정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신장애 발생 시에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포함하는 전화 등을 이용하여 유저를 확인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유저 인증 권한을 통해, 본 발명에서의 쿠폰은 전자 쿠폰의 형태로 발급되므로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타인에게 임의로 양도하여 실제 당첨되지 않은 유저가 쿠폰을 사용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써 쿠폰을 복제하여 유효하지 않은 쿠폰을 사용하려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쿠폰을 사용하려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업주 계정은 실제로 사용하려는 유저와 쿠폰이 발급된 유저가 동일한지 쿠폰 발급 과정에서 수집된 유저의 식별 정보를 통해 비교할 수 있고, 쿠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한 쿠폰인지 판단할 수 있는 유저 인증 권한을 통해 상술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써 쿠폰을 이용하려는 유저를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업주 계정의 유저 인증 권한은 업주 계정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대리인 계정을 통해서도 유저 인증 권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업주 계정에 의하여 허가된 대리인 계정에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업주 계정을 통해 대리인 계정에 유저 인증 권한을 부여 시, 대리인 계정의 유저 인증 권한의 유효 시간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업주 계정과 대리인 계정을 비교하였을 때 업주 계정에 우선하여 유저 인증 권한을 부여함이 바람직하고,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허가된 대리인 계정을 통해 유저 인증 권한을 수행하는 경우 권한의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또는, 대리인이 근무하는 시간 동안에만 대리인 계정에 부여된 권한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 대리인 계정에는 유저 인증 권한의 유효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서로 다른 대리인 계정 간에도 계층적으로 관리하여 차등적으로 권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유저 인증 권한을 통해, 대리인이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정상적으로 발급받은 것으로 인증된 유저가 유효한 쿠폰을 사용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업체 단말을 통해 대리인 계정의 정보 및 유저 또는 쿠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수신 시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업주 계정으로 전송하는 쿠폰 사용 확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대리인은 상술한 유저 인증 권한을 통해,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가 실제로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맞는지 또는 정상적인 방법으로서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저인지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쿠폰 또한 유저가 제시한 쿠폰의 식별 번호와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 저장된 발급된 쿠폰의 식별 번호를 대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판별하여 쿠폰을 유효하게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여, 쿠폰의 사용 내용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업체 단말을 통해 업주 계정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대리인이 유저와 쿠폰의 유효성을 판별함에 있어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8을 통해 설명하자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대리인 계정의 정보 및 유저 또는 쿠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업체 단말의 화면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500을 통해, 2020년 3월 25일자 12시 6분경에 대리인 홍길동은, 쿠폰의 식별 번호의 유효성 및 쿠폰의 사용자명, 핸드폰 번호, 혜택 내용을 포함하는 유저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김철수라는 유저가 업체로부터 염색 서비스를 받았고, 본래의 염색 서비스에 지불되는 비용에서 30%를 차감하는 할인 혜택 서비스를 받았으며, 해당 쿠폰은 동일한 일자의 12시 5분경에 유효하게 사용되었음을 인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이사항에 쿠폰을 사용한 유저인 김철수가 본래는 10~12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응모하였으나 12시 이후에 쿠폰을 사용하였음에도 할인 혜택 서비스를 동일하게 제공한 부가사항을 기재함으로써, 김철수라는 유저는 응모 시에 10시에서 12시 사이에 방문하는 것으로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업체에서 재량으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는 정보 또한 알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쿠폰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된 이후, 업주 계정에 수신된 쿠폰 사용 확인 정보 중 적어도 쿠폰의 식별 정보를 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쿠폰의 정보와 수신된 쿠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쿠폰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쿠폰의 재사용을 차단하는 쿠폰 비활성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이 동일한 쿠폰을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없도록 방지할 수 있거나, 다른 측면으로는, 쿠폰의 사용 기한이 지나도록 비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유저가 쿠폰을 발급받고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 추후에 서로 다른 쿠폰에 응모할 시, 당첨 확률을 낮추는 패널티를 부과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 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2, 4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10)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쿠폰 생성부(11), 쿠폰 안내 정보 전송부(12), 유저 응모 수집부(13), 쿠폰 발급부(14)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부(11)는 앞서 언급한 도 2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부(12)는 앞서 언급한 도 2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부(13)는 앞서 언급한 도 2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부(14)는 앞서 언급한 도 2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쿠폰 발급부(14)에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부와 쿠폰 사용여부 정보 수신부가 더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기 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쿠폰 사용 여부를 질의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당첨된 유저의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부는 앞서 언급한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이후,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전송 받은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의 사용을 확정하는 쿠폰 사용 확정 정보 또는 철회하는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쿠폰 사용여부 정보 수신부는 앞서 언급한 쿠폰 사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업체 단말에는 대리인이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정상적으로 발급받은 것으로 인증된 유저가 유효한 쿠폰을 사용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업체 단말을 통해 대리인 계정의 정보 및 유저 또는 쿠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수신 시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업주 계정으로 전송하는 쿠폰 사용 확인부가 있을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쿠폰 사용 확인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10)에는 업주 계정에 수신된 쿠폰 사용 확인 정보 중 적어도 쿠폰의 식별 정보를 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쿠폰의 정보와 수신된 쿠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쿠폰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쿠폰의 재사용을 차단하는 쿠폰 비활성화부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쿠폰 비활성화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2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에 있어서,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 단계;
    상기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 단계; 및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이고,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는,
    유저 계정에 설정된 위치 정보와 업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거리 정보에 따라서 당첨 확률에 대한 가중치 또는 응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되고, 기 설정된 상기 응모 기간이 다수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응모 기간에 응모한 유저의 수가 시간대별 당첨자수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 응모 기간에는 상기 거리 정보의 임계치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업체의 영업 시간 중 일부 시간 범위 또는 업체의 영업 시간에 무관한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응모 내역을 수집 시,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구분된 기 설정된 시간대에 대한 입력을 함께 수신하고,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수집된 유저의 식별 정보를 통해 일부를 추첨할 시, 시간대별로 독립적으로 유저를 추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응모한 유저 인원의 비율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하고, 상기 당첨자수를 모두 합한 값은 상기 쿠폰 조건 정보의 쿠폰의 개수에 대한 값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시간대별로 기 설정된 인원수에 따라 당첨자수를 산출하고, 상기 당첨자수를 모두 합한 값은 상기 쿠폰 조건 정보의 쿠폰의 개수에 대한 값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기 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쿠폰 사용 여부를 질의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당첨된 유저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쿠폰 사용질의 정보 전송 단계 이후, 상기 쿠폰 사용질의 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쿠폰의 사용을 확정하는 쿠폰 사용 확정 정보 또는 철회하는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쿠폰 사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쿠폰 사용 철회 정보를 수신 시, 당첨이 되지 않은 유저들 중 차점자인 유저에게 대신하여 쿠폰을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쿠폰 사용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쿠폰 발급 단계 이후,
    당첨된 유저의 상기 유저 단말을 통해 서로 다른 상기 유저 단말에 발급된 쿠폰을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업체의 업주 계정은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와 상기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발급받은 유저가 동일한지 비교하거나, 유저가 업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쿠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유저 인증 권한을 가지고,
    상기 유저 인증 권한은 상기 업주 계정에 의하여 허가된 대리인 계정에도 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주 계정을 통해 상기 대리인 계정에 상기 유저 인증 권한을 부여 시, 상기 대리인 계정의 상기 유저 인증 권한의 유효 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대리인이 상기 쿠폰 발급 단계를 통해 쿠폰을 정상적으로 발급받은 것으로 인증된 유저가 유효한 쿠폰을 사용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대리인 계정으로부터 상기 업체 단말을 통해 상기 대리인 계정의 정보 및 유저 또는 쿠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쿠폰 사용 확인 정보를 상기 업주 계정으로 전송하는 쿠폰 사용 확인 단계; 및
    상기 업주 계정에 수신된 쿠폰 사용 확인 정보 중 적어도 쿠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쿠폰의 정보와 수신된 쿠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쿠폰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쿠폰의 재사용을 차단하는 쿠폰 비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1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에 있어서,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부;
    상기 쿠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부;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부; 및
    상기 유저 응모 수집부의 기능 수행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폰 발급부는,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이고,
    상기 유저 응모 수집부는,
    유저 계정에 설정된 위치 정보와 업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거리 정보에 따라서 당첨 확률에 대한 가중치 또는 응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되고, 기 설정된 상기 응모 기간이 다수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응모 기간에 응모한 유저의 수가 시간대별 당첨자수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 응모 기간에는 상기 거리 정보의 임계치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장치.
  16.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업체가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또는 재화에 대한 쿠폰을 발행하고자 업체 단말을 통해 수신한 발행하고자 하는 쿠폰의 개수, 유저가 쿠폰을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쿠폰의 사용 대상으로 설정된 유저의 타입 정보인 유저 타겟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쿠폰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 생성 단계;
    상기 쿠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쿠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유저 단말에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쿠폰 안내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응모 기간 동안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응모 내역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응모 수집 단계; 및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당첨 기준을 통해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에서 응모한 유저 중 일부를 추첨하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쿠폰 발급 단계는,
    업체의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유저 계정의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계산하고, 거리값이 작을수록 당첨 확률을 높이고,
    상기 유저 응모 수집 단계는,
    유저 계정에 설정된 위치 정보와 업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거리 정보에 따라서 당첨 확률에 대한 가중치 또는 응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되고, 기 설정된 상기 응모 기간이 다수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응모 기간에 응모한 유저의 수가 시간대별 당첨자수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 응모 기간에는 상기 거리 정보의 임계치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90105213A 2019-08-27 2019-08-27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6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13A KR102266977B1 (ko) 2019-08-27 2019-08-27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13A KR102266977B1 (ko) 2019-08-27 2019-08-27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28A KR20210025328A (ko) 2021-03-09
KR102266977B1 true KR102266977B1 (ko) 2021-06-18

Family

ID=7517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13A KR102266977B1 (ko) 2019-08-27 2019-08-27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2562A (zh) * 2021-08-09 2021-11-02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优惠券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7138A1 (en) * 2013-05-08 2014-11-13 Jalpesh K. Chitalia Payment codes for enhanced consumer experience
KR101612912B1 (ko) * 2014-01-21 2016-04-18 (주)아이비베리 할인조건에 따른 할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6897A (ko) * 2014-12-03 2016-06-13 김신태 한정 수량 경품의 실시간 당첨 및 공지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28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2761B2 (ja) 時間を単位とする販促ポイントの流通方法
WO2018074504A1 (ja) プログラム
US201600711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loyalty reward programs
US20150248626A1 (en) Digital ticket issuance, exchange and valid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5580034A (zh) 与售货机管理系统的移动交易
CN108292399B (zh) 将支付账户识别到区段的系统和方法
WO2018147009A1 (ja) 興行品質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29357B1 (ko) 부동산 직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직거래 서비스 방법
US20160125464A1 (en) Termin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coupon server,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6110549B1 (ja) 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JP7285003B2 (ja) 決済情報処理装置、決済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130299A (ko) O2o 기반의 점포 경영 및 마케팅 방법
WO2015184278A1 (en) Personal area network
JP2023516573A (ja) 規制払い出し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66977B1 (ko) 쿠폰 사용 조건 및 추첨 조건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6969364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
JP70913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347383B2 (ja) クーポンシステム
JP4970866B2 (ja) ネットシステム
KR20200099352A (ko) 네일 아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일샵 및 디자이너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P720497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505977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개인 정보 질의 기반의 2차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7379919B2 (ja) 特典管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方法
KR20140087096A (ko) 소설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쿠폰 발행 방법
JP724182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