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657B1 -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 Google Patents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657B1
KR102266657B1 KR1020210016171A KR20210016171A KR102266657B1 KR 102266657 B1 KR102266657 B1 KR 102266657B1 KR 1020210016171 A KR1020210016171 A KR 1020210016171A KR 20210016171 A KR20210016171 A KR 20210016171A KR 102266657 B1 KR102266657 B1 KR 10226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manufacturing
fabric
quarantine
steriliz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현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1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 D06M11/13Ammonium halides or hal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D06B23/22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for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이 부착되어 살균능력을 가지는 방역천 제조방법과, 방역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과, 방역천으로 만들어지는 방역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을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살균용액에 침지시키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에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건조시켜 수분이 제거된 내피천을 제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쳐 제작된 내피천에 외피천을 결합하는 천 결합단계; 를 포함하는 방역천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 및 방역천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방역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Sterilizatio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Sterilization fabric, Sterilization cloth made of Sterilization fabric}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이 부착되어 살균능력을 가지는 방역천 제조방법과, 방역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과, 방역천으로 만들어지는 방역수단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재단된 외측패드를 절반으로 접어 포개는 제1 포갬단계; 상기 외측패드의 상면에 탄소필터를 안착시키는 제1 안착단계; 헤파필터와 내측패드를 절반으로 접어 포개는 제2 포갬단계; 상기 제2 포갬단계에서 겹쳐진 헤파필터와 내측패드를 상기 탄소필터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2 안착단계; 상기 외측패드, 탄소필터, 헤파필터와 내측패드가 순서대로 겹쳐진 상태에서 길이가 긴 양측에 봉제가 이루어지는 제1 재봉단계; 상기 제1 재봉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외측패드가 전면으로 표출되도록 뒤집어 주는 뒤집기단계; 상기 뒤집기단계에서 뒤집어진 마스크 본체에 착용밴드를 맞댄 상태에서 테두리를 봉제하는 제2 재봉단계;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부본체 내측에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하는 간격유지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방제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상의, 하의 및 후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상의의 허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된 허리밴드;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유해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마스크; 연질의 투명한 재질로 상기 후드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개구부를 덮는 안면커버; 상기 상의의 상단에서 상기 하의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지퍼; 및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용자의 생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생리봉투;를 포함하되, 상기 상의는, 전면부에 펜 또는 메모리나 수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수납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착용자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가 탈부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박음질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팔부; 및 상기 팔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엄지와 검지에는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플렛얀을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직하는 단계; 가시광촉매, 제올라이트, 목단피추출물펠릿의 혼합항균제 0.1%~5중량%, 광안정제 0.1%~10중량%, 자외선흡수제 0.1%~10중량%, 산화방지제 0.05%~2.0중량% 및 잔부로서 저밀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저밀도 폴리올레 핀계 마스터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표면 및 이면을 코팅하여 표면수지층 및 이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용 항균 직조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구제역, 조류독감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전염병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차량이나 사람에 대해 방역을 실시 하는 방역용 매트로서, 소독액을 흡수하여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소독액 저장층; 상기 소독액 저장층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소독액의 1차 누수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방수층; 상기 제1 방수층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방수층을 통과하는 소독액의 2차 누수를 방지하도록 마련 되는 제2 방수층; 및 상기 제2 방수층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소독액 저장층, 제1 방수층 및 제2 방수층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용 매트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6-0165443 A (2017년08월14일) KR 10-2020-0048878 A (2020년10월26일) KR 10-2014-0105073 A (2015년09월11일) KR 10-2020-0090057 A (2020년07월28일)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이 부착되어 살균능력을 가지는 방역천 제조방법과, 방역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과, 방역천으로 만들어지는 방역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천을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살균용액에 침지시키는 함침단계(S100); 상기 함침단계(Sl00)에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건조시켜 수분이 제거된 내피천을 제조하는 건조단계(S200); 상기 건조단계(S200)를 거쳐 제작된 내피천에 외피천을 결합하는 천 결합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함침단계(S100)는 천을 살균용액을 통해 이동시키는 제1 이송단계(S110); 상기 제1 이송단계(S110)를 통해 이송되는 천을 압박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스퀴즈단계(S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건조단계(S200)는 가열수단을 거쳐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이송하는 제2 이송단계(S210); 열수단으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의 수분을 증발시켜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을 만드는 증발단계(S220); 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단계(S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천 결합단계(S300)는 외피천을 내피천의 두께방향 양측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단계(S310); 외피천에 압력을 인가하여 외피천과 내피천을 결합하는 외피천 결합단계(S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함침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살균용액을 제조하는 살균용액 제조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살균용액의 상태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설정상태 유지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에 관한 발명이며, 중앙에 위치되되며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100); 상기 내피천(100)의 두께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외피천(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 마스크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방역천으로 제조된 방역 마스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덧신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방역천으로 제조된 방역덧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파우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방역천으로 제조된 방역파우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역복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방역천으로 제조된 방역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능력을 가지는 방역천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을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살균용액에 침지시키는 함침단계(S100); 상기 함침단계(S100)에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건조시켜 수분이 제거된 내피천을 제조하는 건조단계(S200); 상기 건조단계(S200)를 거쳐 제작된 내피천에 외피천을 결합하는 천 결합단계(S300); 상기 건조단계(S200)는 가열수단을 거쳐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이송하는 제2 이송단계(S210), 가열수단으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의 수분을 증발시켜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을 만드는 증발단계(S220),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단계(S230); 상기 천 결합단계(S300)는 외피천을 내피천의 두께방향 양측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단계(S310); 외피천에 압력을 인가하여 외피천과 내피천을 결합하는 외피천 결합단계(S320); 상기 증발단계(S220)는 전자기파를 인가하여 살균용액을 가열하는 제1 가열단계(S221); 상기 외피천 결합단계(S320)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로 외피천을 압박하는 제3 외피천 결합단계(S323);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결정이 부착되어 높은 살균능력을 가지는 방역천을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결정이 부착된 내피천 표면에 외피천이 결합되므로, 염화나트륨결정이 외부로 노출되며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에 전자기파를 인가하여 수분을 제거하므로, 건조과정에서 염화나트륨이 탈착되어 방역천의 살균능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살균용액 제조 시 교반장치와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임과 동시에 물이 일정한 유동을 가지게 하므로, 살균용액의 염도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용액을 순환시킬 시 살균용액의 염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상태로 보정하므로, 살균용액의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방염천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인 방염천 제조방법을 구체화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방염천 제조방법을 구체화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인 방염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방염천 제조방법을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천을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살균용액에 침지시키는 함침단계(S100); 상기 함침단계(S100)에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건조시켜 수분이 제거된 내피천을 제조하는 건조단계(S200); 상기 건조단계(S200)를 거쳐 제작된 내피천에 외피천을 결합하는 천 결합단계(S300);를 포함한다.
종래의 방역천은 단순히 얇은 섬유사를 조밀하게 배치하여, 섬유사 사이의 틈을 최소화 함으로써, 섬유사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바이러스 및 세균의 침투를 최소화 하였다.
그러나, 바이러스 및 세균의 경우 매우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단순히 섬유사 사이의 틈을 최소화 하는 것만으로는 바이러스 및 세균의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세균이 방역천 표면에 부착된 형태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역천 자체가 살균능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염화나트륨(NaCl)의 경우 살균능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가지므로, 위의 함침단계(S100) 및 건조단계(S200)를 통해 염화나트륨 입자가 부착되어 살균능력을 가지는 내피천(100)을 만들고, 천 결합단계(S300)에서 내피천(100)의 표면에 외피천(200)을 결합하여 염화나트륨 입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준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S100)는 천을 살균용액을 통해 이동시키는 제1 이송단계(S110); 상기 제1 이송단계(S110)를 통해 이송되는 천을 압박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스퀴즈단계(S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단계(S110)는 이송롤러를 이용하여 천을 이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단계(S120)는 압박롤러를 이용하여 천을 압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단계(S120)는 천이 살균용액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의 (a) 참조하면, 제1 이송단계(S110)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천(A)은 침지조(B)에 수용된 살균용액(C)을 통과하며, 스퀴즈단계(S120)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압박롤러(D)가 침지조(B) 내부에서 이송되는 천(A)을 압박하여 천(A)에 부착되어 있는 기포를 제거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천(A)에 공기입자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 살균용액이 천에 잘 스며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천(A)이 살균용액(C)을 통과하는 중 천(A)을 압박하여, 공기입자가 제거된 위치로 살균용액이 스며들며 천(A)이 살균용액에 보다 완벽하게 함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살균용액은 물에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염수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염화나트륨입자가 천에 보다 잘 부착될 수 있게 보조하는 점착물질, 염화나트륨입자의 살균능력을 극대화 하는 다양한 살균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S200)는 가열수단을 거쳐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이송하는 제2 이송단계(S210); 가열수단으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의 수분을 증발시켜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을 만드는 증발단계(S220);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단계(S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증발단계(S220)는 전자기파를 인가하여 살균용액을 가열하는 제1 가열단계(S221);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단계(S221)에서 살균용액에 인가되는 전자기파는 1mm 내지 1m의 파장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단계(S221)에서 살균용액에 인가되는 전자기파는 1~300GHZ 진동수를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증발단계(S220)는 열풍을 인가하여 살균용액을 가열하는 제2 가열단계(S222);를 포함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함침단계(S100)에서 살균용액을 흡수한 천(A)은, 상기 제2 이송단계(S210)에서 가열수단(D)을 통과하며, 증발단계(S220)에서 가열수단(D)에 의해 가열되어 염화나트륨(E)이 부착된 내피천(10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증발단계(S220)에서 증발된 수분은 상기 수분 배출단계(S230)에서 가열수단(D) 상에 형성된 배출수단(F)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증발단계(S220)는 천(A)에 전자기파를 인가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제1 가열단계(S221)와, 천(A)에 열풍을 인가하여 살균용액을 가열하는 제2 가열단계(S2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풍으로 천(A)의 수분을 증발시킬 경우 열풍에 의해 천(A)이 흔들리며 천(A)에 부착된 염화나트륨 입자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파를 인가파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가열수단(D)은 전자기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입구통로(D1)와 출구통로(D2)가 형성되는 유입부와 배출부가 장치의 평균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유입유입부와 배출부 상에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차단립(D-3)이 형성되어, 입구통로(D1)와 출구통로(D2)를 통한 전자기파의 누출의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천 결합단계(S300)는 외피천을 내피천의 두께방향 양측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단계(S310); 외피천에 압력을 인가하여 외피천과 내피천을 결합하는 외피천 결합단계(S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 결합단계(S320)는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외피천을 타격하는 제1 외피천 결합단계(S321);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 결합단계(S320)는 초음파로 외피천을 타격하는 제2 외피천 결합단계(S322);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 결합단계(S320)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로 외피천을 압박하는 제3 외피천 결합단계(S323);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피천(100)의 결합은 포지셔닝단계(S310)에서 외피천(200)을 내피천(100)의 두께방향 양측에 위치시키고, 외피천 결합단계(S320)에서 외피천을 타격하여 내피천(100)의 두께방향 양측면에 외피천(200)이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포지셔닝단계(S310)에서 외피천(200)과 내피천(100)은 롤러에 의해 함께 이송되며, 외피천 결합단계(S320)에서 외피천을 타격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니들(F1)을 왕복운동 시키는 니들링장치(F)를 이용하여 외피천을 타격하는 방법과, 초음파 발생장치(G)를 이용하여 외피천에 충격을 인가하는 방법,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로 외피천을 압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외피천에 충격을 인가하는 방법의 경우 내피천(100)에 충격이 전해지며 내피천(100)에 부착된 염화나트륨 입자가 탈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돌기가 형성된 롤러로 외피천을 압박하는 방식이 보다 권장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살균용액을 제조하는 살균용액 제조단계(S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설계된 양의 염화나트륨과 물을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S410); 상기 원료 준비단계(S410)에서 준비된 염화나트륨을 물에 투입하는 염화나트륨 투입단계(S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액 제조단계(S400)는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물과 염화나트륨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액 제조단계(S400)는 물을 가열하여 물의 용해능력을 향상시키는 가열단계(S440);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액 제조단계(S400)는 물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450);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투입단계(S450)의 첨가제는 점착제와 살균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살균용액 제조는 원료 준비단계(S410)에서 물, 염화나트륨이 준비되고, 염화나트륨 투입단계(S420)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염화나트륨이 투입되며, 혼합단계(S430)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장치(H)가 작동하여 물을 회전시켜 물과 염화나트륨이 보다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가열단계(S440)에서 가열장치(I)가 물을 가열하여 물의 염화나트륨 용해능력을 높인다.
상세히 설명하면, 천(A)의 살균능력은 천(A)에 부착되는 염화나트륨 입자의 양이 많아질수록 높아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혼합단계(S430)와 가열단계(S440)를 통해 물에 보다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이 용해되어 보다 높은 염도를 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준비된 물에는 첨가제 투입단계(S450)를 통해 염화나트륨 입자가 내피천(100)을 구성하는 섬유사에 보다 쉽게 부착될 수 있게 보조하는 점착제, 살균능력을 높여주는 살균물질이 추가적으로 투입될 수도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방역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살균용액의 상태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설정상태 유지단계(S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설정상태 유지단계(S500)는 침지조에 수용된 살균용액을 순환시키는 순환단계(S510), 순환되는 살균용액의 온도 및 염도를 설계된 상태로 만들어주는 보정단계(S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S520)는 순환하는 살균용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정보를 획득하는 제1 정보 획득단계(S521), 측정된 온도와 설계된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차를 산출하는 온도차 산출단계(S522), 살균용액을 가열하여 살균용액의 온도를 설계된 온도로 보정하는 온도 보정단계(S523);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S520)는 순환하는 살균용액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정보를 획득하는 제2 정보 획득단계(S524), 측정된 염도를 설계된 염도와 비교하여 염도차를 산출하는 염도차 산출단계(S525), 염화나트륨을 추가 투입하여 살균용액의 염도를 설계된 염도로 보정하는 염도 보정단계(S526);를 포함한다.
내피천(100)에 일정한 양의 염화나트륨 입자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살균용액(C)의 염도 및 온도가 균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단계(S510)를 통해 침지조(B)에 보관된 살균용액을 순환시키고, 보정단계(S520)에서 순환되는 살균용액의 염도 및 온도를 설계된 수치로 보정하여, 침지조(B) 상의 살균용액(C)이 항상 일정한 염도 및 온도를 유지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온도의 보정은 제1 정보 획득단계(S521)에서 온도 측정센서(J)를 이용하여 순환조(K) 상의 살균용액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차 산출단계(S522)에서 제어장치(Z)가 설정된 온도와 측정되는 온도의 차이를 산출한 후, 온도 보정단계(S523)에서 가열장치(L)를 이용하여 살균용액을 가열하여 온도차이를 보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염도의 보정은 제2 정보 획득단계(S524)에서 염도 측정센서(M)를 이용하여 순환조(K) 상의 살균용액 염도를 측정하고, 염도차 산출단계(S525)에서 제어장치(Z)가 설정된 염도와 측정되는 염도의 차이를 산출한 후, 염도 보정단계(S526)에서 정밀 투입장치(N)를 이용하여 살균용액(C)에 염도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염화나트륨을 추가 투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7-1) 실시예 1-1 내지 6-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역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에 관한 것이며, 중앙에 위치되되며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100); 상기 내피천(100)의 두께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외피천(200); 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인 방역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내피천(100)이 외피천(200)보다 두꺼운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인 방역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내피천(100)을 구성하는 섬유사의 직경이 외피천(200)을 구성하는 섬유사의 직경보다 긴 것;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방역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1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천(200) 사이에 내피천(100)이 위치된 형태로, 외피천(200)이 내피천(100)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내피천(100)에 부착된 염화나트륨입자가 탈착되는 문제와,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그리고, 오염지역에서 부착될 수 있는 세균 및 바이러스 또한 염화나트륨에 의해 사멸되므로, 높은 살균능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내피천(100)에 보다 많은 염화나트륨 입자가 부착될수록 방역천(1000)의 살균능력이 높아지므로, 내피천(100)은 외피천(200)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내피천(100)을 구성하는 섬유사의 직경이 외피천(200)을 구성하는 섬유사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내피천(100)에 보다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8-1) 실시예 7-1의 방역천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역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인 방역천 제조방법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방역수단은 방역마스크, 방역덧신, 방역파우치, 방역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방역천은 살균능력을 가지므로 방역 시 착용되는 다양한 방역수단 제작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마스크, 덧신, 파우치, 의복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00 : 내피천 200 : 외피천
S100 : 함침단계 S110 : 제1 이송단계
S120 : 스퀴즈단계
S200 : 건조단계 S210 : 제2 이송단계
S220 : 증발단계 S221 : 제1 가열단계
S222 : 제2 가열단계 S230 : 수분 배출단계
S300 : 천 결합단계 S310 : 포지셔닝단계
S320 : 외피천 결합단계 S321 : 제1 외피천 결합단계
S322 : 제2 외피천 결합단계 S323 : 제3 외피천 결합단계
S400 : 살균용액 제조단계 S410 : 원료 준비단계
S420 : 염화나트륨 투입단계 S430 : 혼합단계
S440 : 가열단계
S500 : 설정상태 유지단계 S510 : 순환단계
S520 : 보정단계 S521 : 제1 정보 획득단계
S522 : 온도차 산출단계 S523 : 온도 보정단계
S524 : 제2 정보 획득단계 S525 : 염도차 산출단계
S526 : 염도 보정단계

Claims (9)

  1. 살균능력을 가지는 방역천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을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살균용액에 침지시키는 함침단계(S100);
    상기 함침단계(S100)에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건조시켜 수분이 제거된 내피천을 제조하는 건조단계(S200);
    상기 건조단계(S200)를 거쳐 제작된 내피천에 외피천을 결합하는 천 결합단계(S300);
    상기 건조단계(S200)는 가열수단을 거쳐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을 이송하는 제2 이송단계(S210), 가열수단으로 살균용액이 함침된 천의 수분을 증발시켜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을 만드는 증발단계(S220),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단계(S230);
    상기 천 결합단계(S300)는 외피천을 내피천의 두께방향 양측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단계(S310); 외피천에 압력을 인가하여 외피천과 내피천을 결합하는 외피천 결합단계(S320);
    상기 증발단계(S220)는 전자기파를 인가하여 살균용액을 가열하는 제1 가열단계(S221);
    상기 외피천 결합단계(S320)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로 외피천을 압박하는 제3 외피천 결합단계(S323); 를 포함하는 방역천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S100)는 천을 살균용액을 통해 이동시키는 제1 이송단계(S110);
    상기 제1 이송단계(S110)를 통해 이송되는 천을 압박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스퀴즈단계(S120);를 포함하는 방역천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살균용액을 제조하는 살균용액 제조단계(S400);를 포함하는 방역천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침지조에 수용된 살균용액을 순환시키는 순환단계(S510) 및 순환되는 살균용액의 온도 및 염도를 설계된 상태로 만들어주는 보정단계(S520)로 구성되는 설정상태 유지단계(S500); 를 포함하는 방역천 제조방법.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6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역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역천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되되며 염화나트륨입자가 부착된 내피천(100);
    상기 내피천(100)의 두께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외피천(200);을 포함하는 방역천.
  8. 청구항 7의 방역천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역수단.
  9. 삭제
KR1020210016171A 2021-02-04 2021-02-04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KR10226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71A KR102266657B1 (ko) 2021-02-04 2021-02-04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71A KR102266657B1 (ko) 2021-02-04 2021-02-04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657B1 true KR102266657B1 (ko) 2021-06-18

Family

ID=7662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171A KR102266657B1 (ko) 2021-02-04 2021-02-04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4894A (zh) * 2022-11-01 2023-01-31 江西镁淇实业有限公司 一种纺织类加工用纺织纱消毒烘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523A (ja) * 2009-09-15 2011-03-3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マスク用除菌/殺菌組成物
KR20140105073A (ko) 2013-02-21 2014-09-01 최재웅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8878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이온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농도 측정 방법
KR20200090057A (ko) 2019-01-18 2020-07-28 김영길 방역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523A (ja) * 2009-09-15 2011-03-3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マスク用除菌/殺菌組成物
KR20140105073A (ko) 2013-02-21 2014-09-01 최재웅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8878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이온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농도 측정 방법
KR20200090057A (ko) 2019-01-18 2020-07-28 김영길 방역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4894A (zh) * 2022-11-01 2023-01-31 江西镁淇实业有限公司 一种纺织类加工用纺织纱消毒烘干装置
CN115654894B (zh) * 2022-11-01 2024-05-17 江西镁淇实业有限公司 一种纺织类加工用纺织纱消毒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873B2 (en) Absorbent garments
US10888470B2 (en) Absorbent reusable clothing and undergarments
US20080028494A1 (en) Odor absorbing system and method
CN108135760A (zh) 可生物降解的吸收性物品
JPH10513072A (ja) 吸収性パンツ製品
KR102266657B1 (ko)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KR102234501B1 (ko) 재사용 가능한 항균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92049A1 (en) Launderable, absorbent, leakproof bras
WO2012038098A1 (en) Reusable, washable, multi-layered liquid absorbent textile product
CN105876935B (zh) 手术室用防辐射抑菌杀毒防护服及其制造方法
KR102259685B1 (ko) 마스크의 제조방법
JP7383701B2 (ja) 衣服
JP7474550B2 (ja) マスク
JP2008272375A (ja) 衛生用マスク
CN109222279A (zh) 一种医用口罩及其制作方法
JP534343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211048414U (zh) 一种杀菌清洁型内裤
CN214414115U (zh) 一种透气内裤
KR20110088280A (ko) 통기성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KR101115262B1 (ko) 남성용 팬티
CN211560348U (zh) 一种无纺布手术铺单
CN215551524U (zh) 一种抗菌双面穿着材料
CN213404941U (zh) 重复使用并具有吸湿排汗灭菌除臭功能的口罩垫片及口罩
CN106072922A (zh) 一种带隔离条的透气防渗液防护手术衣
CN214854433U (zh) 一种防水透气排湿运动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