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073A -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073A
KR20140105073A KR1020130018587A KR20130018587A KR20140105073A KR 20140105073 A KR20140105073 A KR 20140105073A KR 1020130018587 A KR1020130018587 A KR 1020130018587A KR 20130018587 A KR20130018587 A KR 20130018587A KR 20140105073 A KR20140105073 A KR 2014010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mart device
life
response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웅 filed Critical 최재웅
Priority to KR102013001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5073A/ko
Publication of KR2014010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한 질문 메시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상기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생기록 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생기록 앱과 연동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과거를 제 3자가 기억하게 하는 착각을 유발하여 상대적 박탈감을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감수성을 유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USER REMEMBER METHOD AND SYSTEM USING A LIFE-LOG}
개시된 기술은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하루에도 수억 건의 정보가 SNS와 같은 미디어 매체를 통하여 범람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각계각층의 사용자들은 오프라인으로 모임을 갖는 대신 이러한 SNS를 통하여 자신의 정보를 타인에게 공개하고, 타인의 공개된 정보를 열람하고 있다. 즉, 오프라인으로 모임을 갖는 것에 따르는 시간적, 공간적 불편함을 SNS를 통하여 해결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SNS의 순기능에 따른 장점과는 대비되어 최근에는 FOMO라는 사회적 병리현상이 생겨났다. FOMO는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로, 고립된 상황 속에서 느끼는 공포, 우울감 내지는 불안감을 의미한다. 장기간 SNS를 이용하게 되면 타인과 직접 만나는 것이 아닌, 온라인 상에서 서로의 공개된 정보만으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의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립된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소외감이나 우울증에 빠질 위험이 SNS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하여 높다는 것이다.
또한, 실제로 대부분의 SNS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보를 다소 가공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항상 밝은 인상을 주거나 행복해 보이는 내용을 공개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된 정보를 접하게 되는 다른 SNS 사용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타인의 행복한 모습과 자신의 모습을 비교하여 타인의 삶을 동경하게 되거나 자신의 삶을 비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FOMO에 따른 소외감이나 우울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SNS의 역기능적인 측면 때문에 다시 과거로 회귀하여 일기장이나 타임캡슐과 같은 과거에 자신이 작성한 글이나 게시한 사진들을 나중에 자신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요즘과 같은 시대에 노트나 다이어리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수시로 내용을 기입하는 것 또한 번거롭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개시된 기술에서는 종래의 SNS가 갖는 단점을 개선하고 일기나 타임캡슐과 같은 아날로그가 갖는 감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작성한 글 또는 사진을 일정기간 이후에 열람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63965호 (발명의 명칭 : 웹 서비스 기반의 라이프로그 운용 방법 및 시스템)가 있다.
개시된 기술은 인생기록 앱에서 생성하는 질문에 대해 응답을 작성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작성한 응답을 일정기간 이후에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는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한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작성한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인생기록 앱이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암호화하여 인생기록 앱과 연동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저장하고,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제공하고,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수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되, 인생기록 앱은,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생성하는 질문 메시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암호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은 불확실한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과거 사용자가 기록한 글이나 작성한 게시물의 히스토리를 통하여 사용자 스스로 삶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아, 연애 또는 프로젝트와 같이 긴 시간이 소요되는 일에 대한 그간의 과정을 파노라마처럼 되새길 수 있어서 사용자의 감수성을 자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 글이나 게시물들을 토대로 앨범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자아를 찾고, 추억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생기록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마치 타인이 자신을 기억해주는 느낌을 제공하여 상대적인 박탈감이나 소외감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인생기록 앱이 포함하는 질문 생성 엔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는 단계(110),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한 질문 메시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120),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상기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130), 상기 인생기록 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생기록 앱과 연동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14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응답을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150)를 포함한다.
110 단계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인생기록(Life-Log) 앱을 화면에 표시한다. 인생기록 앱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는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 앱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는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화면에 인생기록 앱을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입력수단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한편, 110 단계에서 화면에 표시하는 인생기록 앱은 특정 개인이나 또는 두명 이상의 사람들의 생활을 기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단순히 기억에 의존하여 과거에 자신이 했던 일을 기억하거나, 다이어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수기로 기록하였으나, 이는 다소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다.
한편, 이러한 인생기록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도록 제작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물론, 일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겠으나,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최적화되어 동작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 단계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이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인생기록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질문 생성 엔진을 탑재한다. 여기에서 질문 생성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연령 및 기념일을 포함한다.
또한, 12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연령이나 기념일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장소나 지역에 따른 정보들을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20 단계에서 질문 생성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연령, 기념일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장소 및 날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한편, 120 단계에서 인생기록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GPS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역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지역정보가 수신되면 그에 따른 질문 메시지를 질문 생성 엔진을 통하여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인생기록 앱은 GPS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지역정보에 따라 '누구와 이곳에 왔습니까' 라는 질문 메시지를 질문 생성 엔진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120 단계에서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질문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질문 메시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분이나 생각을 문장으로 작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질문 생성 엔진은 탑재된 알고리즘 또는 질문 메시지 생성 프로세스에 따라서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여기에 추가로 이전에 사용자가 입력한 응답이 있다면, 해당 응답에 어휘분석(Lexical), 구문분석(Syntactic) 및 의미분석(Semantic)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석한 패턴에 따라 앞서 생성한 질문 메시지와 서로 다른 질문 메시지를 더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응답이 주로 날씨에 대한 내용이라면 질문 생성 엔진은 어휘분석(Lexical), 구문분석(Syntactic) 및 의미분석(Semantic)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날씨와 관련된 질문을 더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120 단계에서는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생성한 질문 메시지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에 대해서는 이하의 130 단계를 통하여 후술한다.
130 단계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다. 인생기록 앱은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응답은 텍스트, 음성,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형태의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터페이스는 텍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인터페이스,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 인터페이스 및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를 작성하도록 하는 작성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녹음하도록 하는 녹음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130 단계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은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응답을 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응답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질문 메시지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세요?' 라는 물음이라면,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점심 뭐먹지' 라는 문장과 함께 식당 메뉴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2개의 응답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의 응답은 해킹과 같은 허가되지 않은 접근이나 사용자 본인이 아닌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인생기록 앱에서 암호화 처리한다.
140 단계에서는 인생기록 앱이 수신한 응답을 암호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AES 128 또는 256과 같은 표준 암호화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표준 암호화 처리 방식을 이용하면,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140 단계에서는 인생기록 앱이 암호화한 사용자의 응답을 인생기록 앱에 연동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암호화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응답을 저장하는 DB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50 단계에서는 클라우드 서버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한다. 그리고 응답을 전송한 스마트 디바이스나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응답을 전송한다.
여기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차례로 누적하여 저장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나중에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파노라마처럼 순서대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한 시간을 해당 응답에 대한 태그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SNS와는 다르게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인증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먼저 응답을 전송한 스마트 디바이스나 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서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1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응답을 저장한 수신자와 동일한 것으로 판별하면, 저장된 응답을 복호화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한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먼저 수신한 인증 정보를 토대로 하여 암호화된 응답을 복호화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1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웹 사이트로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소정의 로그인 프로세스나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를 판별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저장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저장된 응답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150 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들을 전자책(E-Book)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에 앨범과 같이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부터 가장 최근까지 저장된 복수개의 응답을 순서대로 정리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보내온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살아온 삶을 파노라마처럼 되새길 수 있어서 사용자의 감수성을 자극하거나 추억을 되새기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은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상기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210) 및 상기 인생기록 앱에서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220)를 포함한다.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입력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인생기록(Life-Log) 앱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화면에 인생기록 앱을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입력수단은 스마트 디바이스(210)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태블릿 PC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개시된 기술의 기술적 특징을 이루기 위하여 인생기록(Life-Log) 앱을 화면에 표시한다. 인생기록 앱은 특정 개인이나 두명 이상의 사람들의 생활을 기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단순히 기억에 의존하여 과거에 자신이 했던 일을 기억하거나, 다이어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수기로 기록하였으나, 이는 다소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다.
한편, 이러한 인생기록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도록 제작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물론, 일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또는 기타 다른 모바일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겠으나,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평소에 소지하고 다니기 쉬운 스마트 디바이스에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이 생성한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인생기록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질문 생성 엔진을 탑재한다. 여기에서 질문 생성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21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10) 사용자의 연령 및 기념일을 포함한다.
또한, 질문 생성 엔진은 사용자의 연령이나 기념일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210)가 위치한 장소나 지역에 따른 정보들을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질문 생성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210) 사용자의 연령, 기념일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210)가 위치한 장소 및 날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한편, 인생기록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210)에 통상적으로 탑재된 GPS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21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 또는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질문 생성 엔진을 이용하여 이러한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질문 메시지를 더 생성한다. 즉, 질문 생성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 기념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장소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예컨대, 질문 생성 엔진이 생성한 질문 메시지는 '생일 선물로 무엇을 받고 싶습니까?' 또는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210)에서 동작하는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질문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질문 메시지는 스마트 디바이스(210)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분이나 생각을 문장으로 작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질문 생성 엔진은 '지금 무엇을 보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생성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질문 생성 엔진은 탑재된 알고리즘 또는 질문 메시지 생성 프로세스에 따라서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여기에 추가로 이전에 사용자가 입력한 응답이 있다면, 해당 응답에 어휘분석(Lexical), 구문분석(Syntactic) 및 의미분석(Semantic)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석한 패턴에 따라 앞서 생성한 질문 메시지와 서로 다른 질문 메시지를 더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사용자로부터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이 생성한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인생기록 앱은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응답은 텍스트, 음성,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형태의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터페이스는 텍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인터페이스,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 인터페이스 및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를 작성하도록 하는 작성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녹음하도록 하는 녹음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은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응답을 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응답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질문 메시지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세요?' 라는 물음이라면,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사용자는 '점심 뭐먹지' 라는 문장과 함께 식당 메뉴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2개의 응답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의 응답은 스마트 디바이스(210)에서 동작하는 인생기록 앱이 수신한다. 그리고 인생기록 앱은 수신한 사용자의 응답을 클라우드 서버(220)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AES 128 또는 256과 같은 표준 암호화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표준 암호화 처리 방식을 이용하면,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클라우드 서버(220)는 인생기록 앱과 연동하여 인생기록 앱으로부터 암호화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220)는 수신한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한다. 여기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응답을 저장하는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220)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차례로 누적하여 저장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나중에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파노라마처럼 순서대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220)는 스마트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한 시간을 해당 응답에 대한 태그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SNS와는 다르게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220)가 저장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인증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먼저 응답을 전송한 스마트 디바이스(210)나 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서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220)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응답을 저장한 수신자와 동일한 것으로 판별하면, 저장된 응답을 복호화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한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먼저 수신한 인증 정보를 토대로 하여 암호화된 응답을 복호화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220)는 앞서의 스마트 디바이스(210) 뿐만 아니라,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웹 사이트로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소정의 로그인 프로세스나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를 판별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저장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저장된 응답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22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들을 전자책(E-Book)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에 앨범과 같이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부터 가장 최근까지 저장된 복수개의 응답을 순서대로 정리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보내온 스마트 디바이스(21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과거에 사용자가 기록한 글이나 작성한 게시물의 히스토리를 저장된 시간대로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 스스로 삶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자신의 과거를 마치 타인이 기억하는 듯한 느낌을 주게되므로 상대적 박탈감이나 소외감으로 인한 병리현상인 FOMO(Fear of missing out)를 예방하는 효과 또한 제공한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를 스마트폰에 구현한 사례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생기록 앱으로부터 질문 메시지를 받는다.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카메라로 무언가를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질문 메시지를 받을 수도 있고, 문장을 작성하는 메시지를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질문에 맞는 응답을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인생기록 앱은 입력받은 사용자의 응답을 연동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일정기간 이후에 자신이 저장한 응답 내용을 PC를 통하여 조회한다. 물론 PC가 아닌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저장한 응답을 조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종래의 SNS처럼 외부에 자신의 사생활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앨범이나 일기가 갖는 감수성을 유발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인생기록 앱이 포함하는 질문 생성 엔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생기록 앱에 포함된 질문 생성 엔진은 내부적으로 구현된 세부 엔진들을 이용하여 암호화 엔진을 거쳐서 복호화된 유저의 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유저 데이터 분석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을 유저의 데이터로 입력하여 어휘분석(Lexical), 구문분석(Syntactic) 및 의미분석(Semantic)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유저의 데이터로 입력된 유저의 응답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 데이터 관리 모듈을 통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다시 암호화하여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유저 패턴 분석 엔진에서는 분석한 유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저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질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메시지 관리 모듈에서 생성된 질문 메시지들을 관리한다. 그리고 동적 메시지 생성 엔진은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앱으로 질문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기에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서버를 거쳐서 질문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를 통한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라이프로그 앱 표시 120 : 질문 메시지 생성
130 : 응답 수신 140 : 암호화 및 서버 전송
150 : 복호화 및 스마트 디바이스 전송
210 : 스마트 디바이스 22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6)

  1.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한 질문 메시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상기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생기록 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생기록 앱과 연동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생기록 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 엔진은,
    상기 사용자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 기념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장소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 엔진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에 어휘분석(Lexical), 구문분석(Syntactic) 및 의미분석(Semantic)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패턴에 따라 상기 질문 메시지와 서로 다른 질문 메시지를 더 생성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인증 정보를 웹 사이트에서 전송받고, 상기 웹 사이트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생기록 앱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GPS 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지역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상기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텍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인터페이스, 상기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간 동안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을 전자책(E-Book)의 형태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9.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인생기록(Life-Log) 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상기 인생기록 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생기록 앱은, 상기 인생기록 앱의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생성하는 질문 메시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암호화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생기록 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 엔진은,
    상기 사용자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 기념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장소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 엔진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에 어휘분석(Lexical), 구문분석(Syntactic) 및 의미분석(Semantic)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패턴에 따라 상기 질문 메시지와 서로 다른 질문 메시지를 더 생성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인증 정보를 웹 사이트에서 전송받고, 상기 웹 사이트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생기록 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GPS 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지역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질문 생성 엔진에서 상기 질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텍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인터페이스, 상기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간 동안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을 전자책(E-Book)의 형태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시스템.
KR1020130018587A 2013-02-21 2013-02-21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5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587A KR20140105073A (ko) 2013-02-21 2013-02-21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587A KR20140105073A (ko) 2013-02-21 2013-02-21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073A true KR20140105073A (ko) 2014-09-01

Family

ID=5175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587A KR20140105073A (ko) 2013-02-21 2013-02-21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50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57B1 (ko) 2021-02-04 2021-06-18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WO2023106621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4002128A (ja) * 2022-06-23 2024-01-11 株式会社せんぼんのっく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57B1 (ko) 2021-02-04 2021-06-18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방역천 제조방법, 방역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역천, 방역천으로 제조되는 방역수단
WO2023106621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4002128A (ja) * 2022-06-23 2024-01-11 株式会社せんぼんのっく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33B1 (ko) 인증 및/또는 패스워드 식별을 위한 동적 데이터 구조 생성 방법
Davies et al. Security and privacy implications of pervasive memory augmentation
Nakamura The action of looking at a mobile phone display as nonverbal behavior/communication: A theoretical perspective
Gamble et al. Ethical practice in telepsychology
McGillivray Digital cultures, acceleration and mega sporting event narratives
US10467387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 media file by automatically applying security features to select portions of media file content
US11061744B2 (en) Direct input from a remote device
Gasser et al. Don't panic: making progress on the" Going Dark" debate
Shilton et al. Participatory privacy in urban sensing
Novak et al. The stealthy protester: Risk and the female body in online social movements
JP4824112B2 (ja) サーバ装置及びその情報提供方法
CN102891749A (zh) 数据加密的方法及其通信终端
CN110140336A (zh) 相继密码技术
Wilkinson Hold the phone! Culturally credible research ‘with’young people
Paterson et al. The world through Glass: developing novel methods with wearable computing for urban videographic research
KR20140105073A (ko) 인생기록 앱을 이용한 사용자 기억 방법 및 시스템
Massimi et al. Understanding recording technologies in everyday life
Naveed et al. ” Ask this from the person who has private stuff”: Privacy Perceptions, Behaviours and Beliefs Beyond WEIRD
US77155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ding a data group
US10560479B2 (en) Communication with component-based privacy
Hughes et al. The going out in Sydney app: evaluating the utility of a smartphone app for monitoring real-world illicit drug use and police encounters among festival and club goers
CN11484485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98828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nd confidential data management and sharing services
US20150293678A1 (en) Story board system and method
Hourcade et al. Electronic privacy and surveil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