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628B1 -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628B1
KR102266628B1 KR1020200158040A KR20200158040A KR102266628B1 KR 102266628 B1 KR102266628 B1 KR 102266628B1 KR 1020200158040 A KR1020200158040 A KR 1020200158040A KR 20200158040 A KR20200158040 A KR 20200158040A KR 102266628 B1 KR102266628 B1 KR 10226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information
measurement
vit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연
Original Assignee
(주)스토리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토리포유 filed Critical (주)스토리포유
Priority to KR102020015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는, 원격의 측정단말로부터 수목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측정정보관리부와, 상기 측정정보와 수목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분석하는 활력도분석부와, 상기 활력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목의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는 생장예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SERVER FOR DIAGNOSING OF TREES CHANGE OF CONDI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에 대한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활력도 및 생장예측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나무의 형성층은 유조직(parenchyma)으로,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잎으로 올려보내고, 잎에서 만들어진 성분을 뿌리까지 내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형성층 내 식물세포의 활력도 차이는 형성층의 전기전도도(전기저항)의 차이로 나타나기 때문에, 형성층과 나무의 건강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
해당 원리를 이용한 측정 기기가 처음 개발된 후, 수십 년에 걸쳐 다양한 학술 연구 자료에서 사용되고는 있지만, 형성층 전기저항은 수종 간, 측정 부위 또는 측정 환경 요인(온도, 습도, 광도 등)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측정되기 때문에, 형성층 전기저항이 식물의 수분 생리 및 활력도를 나타내주는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식물의 건강을 나타내는 간접적인 지표로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5077호(2019년 4월 3일 공개)는 수목 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수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목에 대해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수목과 관련된 센싱 값을 획득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고, 센싱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목의 상태를 판단하는 수목 관리 서버 및 수목 관리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목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센싱값에 의존하여 수목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으로 정확한 상태진단에 한계가 있으며, 수목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향후에 수목의 생장을 예측하여 관리방안을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목의 측정정보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활력도 진단이 가능한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간에 따른 수목의 활력도 변화정보를 기반으로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여 생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목에 대한 생장예측정보를 기반으로 전문 수목치료사를 매칭하여 현장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는, 원격의 측정단말로부터 수목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측정정보관리부와, 상기 측정정보와 수목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분석하는 활력도분석부와, 상기 활력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목의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는 생장예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정보관리부는 상기 측정정보가 전기저항도인 경우, 상기 측정단말의 측정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수목에 대한 수분함량과 상기 수목 주변의 토양에 대한 수분함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장예측부는 상기 수목에 대한 제1 시점의 활력도와 제2 시점의 활력도를 비교하여 활력도 변화율을 계산하여 상기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장예측정보가 기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수목에 대한 치료를 할 수 있는 수목치료사를 매칭하여 제공하는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은, 수목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단말과,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측정정보관리부와, 상기 측정정보와 수목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분석하는 활력도분석부와, 상기 활력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목의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는 생장예측부를 포함하는 진단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목의 측정정보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활력도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에 따른 수목의 활력도 변화정보를 기반으로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여 생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수목에 대한 생장예측정보를 기반으로 전문 수목치료사를 매칭하여 현장 치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 중 측정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측정정보의 종류가 가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 중 측정단말이 수목의 종류에 따라 전기프로브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에서 인증부가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에서 방제부가 드론을 이용하여 방제작업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써,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 중 측정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측정정보의 종류가 가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 중 측정단말이 수목의 종류에 따라 전기프로브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은 측정단말(10) 및 진단서버(100)를 포함한다.
측정단말(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측정기기를 의미한다. 측정단말(10)은 전기프로브(10-1)가 형성되어 수목(1)을 탐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정단말(10)은 전기신호를 수목(1)에 출력하여 전기저항도를 획득하고, 온도측정단말(10)를 통해 형성층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단말(10)은 GPS, 지자계측정단말(10)를 이용하여 수목(1)의 위치인 위도, 경도, 고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단말(10)은 온습도측정단말(10)를 포함하여 측정장소 주변의 기온 및 습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측정단말(10)은 조도측정단말(10)를 포함하여 조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측정단말(10)은 측정방향, 측정부위의 높이, 측정시간을 추가적인 측정정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측정단말(10)은 수목(1)의 토양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정단말(10)은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수목(1)을 측정하는 것인지, 토양을 측정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단말(10)이 지표면에 전기프로브(10-1)가 삽입되면 측정단말(10)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여 토양에 대한 정보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단말(10)은 그 측정 기울기에 따라 수목(1)과 토양을 자동으로 구분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진단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측정단말(10)은 피측정대상인 수목(1)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목(1)에 형성된 인식표를 인식하거나,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정단말(10)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을 이용하여 인식표를 문자인식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개별 수목(1)을 식별하여 측정정보를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함이다. 측정단말(1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통신, 4G, 5G와 같은 장거리통신을 통해 측정정보를 진단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측정단말(10)은 수목(1) 또는 토양에 일정시간 부착되어 측정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측정단말(10)은 통신단말(11)를 통해 진단서버(100)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단말(11)은 일정한 범위 내에 위치한 측정단말(1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진단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장시간에 걸쳐 수목(1) 및 주변 환경의 측정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또한, 측정단말(10)은 수목(1)의 종류를 구분하여 전기프로브(10-1)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단말(1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목(1)의 잎이나 꽃, 표피, 전체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촬영하면 해당 수목(1)의 영상을 분석하여 수종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단말(10)은 수종이 식별되면 그에 대응하여 전기프로브(10-1)가 교체되거나,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이는 수목(1)의 종류에 따른 표피의 두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탐침하기 위함이다. 측정단말(10)은 영상분석에 의한 수종정보와, 식별정보에서 확인된 수종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정보를 진단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서버(100)는 측정단말(10)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 진단서버(100)는 측정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를 수목(1)별로 관리한다. 진단서버(100)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표준수목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1)의 활력도를 분석한다. 이 경우, 진단서버(100)는 공공DB를 이용하여 표준수목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진단서버(100)는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수목(1)의 활력도를 매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진단서버(100)는 활력도를 이용하여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각 지역의 수목(1)에 대한 현재의 활력도와 생장예측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100)는 측정정보관리부(110), 활력도분석부(120) 및 생장예측부(130)를 포함한다.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원격의 측정단말(10)로부터 수목(1)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한다. 예를 들어, 생장정보로는 수목(1)의 전기저항도, 형성층온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정보는 측정장소 주변의 온도, 습도, 측정방향, 측정부위의 높이, 측정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정정보관리부(110)는 각 수목(1)에 대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시기별 측정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측정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수목(1)에 대해서는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측정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수목(1)의 측정정보 누락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측정정보가 전기저항도인 경우, 측정단말(10)의 측정시 기울기에 따라 수목(1)과 토양에 대한 수분함량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목(1)에 대한 전기저항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목(1)에 수평방향으로 전기프로브(10-1)를 탐침시키고, 토양에 대한 전기저항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수직방향으로 전기프로브(10-1)를 탐침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전기프로브(10-1)가 설치된 측정단말(10)의 기울기가 수목(1)과 토양을 측정할 때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울기 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저항도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목(1)과 주변의 토양에 대한 전기저항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이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측정단말(10)로부터 수목(1)의 종류에 따른 전기프로브(10-1)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기저항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의 (a)와 (b)는 서로 다른 수목(1)의 종류에 따라 전기프로브(10-1)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측정단말(10)로부터 수목(1)에 형성된 식별정보의 수종과 측정단말(10)이 식별한 수종이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수목(1)의 관리자에게 수목(1)에 대한 오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목(1)의 종류에 따른 정확한 전기저항도 정보를 획득하여 활력도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측정정보관리부(110)는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 제2 측정정보관리부(112) 및 측정정보거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는 수목(1)에 설치된 측정단말(10)로부터 수집된 제1 측정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관리한다.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는 복수의 측정단말(10)로부터 제1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측정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제1 측정정보를 원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제1 측정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제1 측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는 측정단말(10)의 종류, 설치장소 등에 따라 제1 측정정보를 분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같은 기종의 측정단말(10)이라도 A 지역에 설치된 것인지, B 지역에 설치된 것인지에 측정정보가 다를 수 있다.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는 측정단말의 기종, 설치장소에 따라 평균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측정정보관리부(111)는 특정 지역에서 획득한 제1 측정정보를 평균측정정보와 비교하여 기준편차 이상인 경우 해당 측정단말의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측정단말의 기능 이상으로 특이적인 제1 측정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이를 측정단말 관리자에게 알림하여 점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측정정보관리부(112)는 제1 측정정보를 가공한 제2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측정정보는 제1 측정정보를 단순히 복제한 데이터이거나, 제1 측정정보를 편집가공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권한이 단순 열람인 경우에는 제2 측정정보는 제1 측정정보의 복제본일 수 있다. 사용자 권한이 가공, 배포인 경우 제1 측정정보를 편집가공한 것이 제2 측정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측정정보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다양하게 편집가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정보관리부(112)는 제2 측정정보에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제2 측정정보를 생성한 사용자를 식별하여 제3자가 이를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측정정보는 사용자의 수정 권한에 따라 다양한 편집본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측정정보관리부(112)는 제2 측정정보의 승인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제2 측정정보와 결합하여 생성한다. 이 경우, 제3자가 제2 측정정보를 추가로 편집 가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측정정보관리부(112)는 제1 측정정보의 수정 허용범위를 초과하여 제2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제1 측정정보의 수정범위를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측정정보 중 핵심 데이터필드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승인을 하고,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불승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 가공한 제2 측정정보를 검증함으로써 유효한 제2 측정정보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정보거래부(113)는 제2 측정정보를 제3자의 요청에 의해 거래한다. 측정정보거래부(113)는 일종의 데이터 마켓과 같은 개념으로, 원시데이터인 제1 측정정보를 편집 가공한 제2 측정정보를 다양한 사용자가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1차 편집 가공된 제2 측정정보는 제3자에 의해 재가공 편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측정정보관리부(112)에서 승인이 이뤄지는 경우에만 측정정보거래부(113)에서 이를 노출시켜 거래가 가능하다. 측정정보거래부(113)는 제2 측정정보에 대한 결제모듈을 연결시켜 결제가 완료된 경우 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정정보거래부(113)는 사용자가 제1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단말(10)에 형성된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획득하면 그와 연관된 제2 측정정보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에 설치된 측정단말(10)을 보고 이를 검색하지 않고 쉽게 제2 측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바코드, 큐알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측정정보거래부(113)는 사용자 단말(20)로 제1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300)를 획득하여 전송한 경우, 사용자 단말(20)의 고유번호를 통해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여 거래를 승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의 이동통신번호 또는 단말기번호가 사용자 정보로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정보거래부(113)는 불법적인 매크로 프로그램이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300) 및 사용자 단말(20)의 고유번호를 인증한 경우에만 제2 측정정보의 거래를 승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측정정보거래부(113)는 제2 측정정보가 거래되는 경우 제2 측정정보의 생성자에게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활력도분석부(120)는 측정정보와 기 설정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수목(1)에 대한 활력도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표준수목정보는 공공DB 또는 자체DB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활력도분석부(120)는 측정정보에 대한 데이터정규화, 상관관계분석, 패턴분석, 통계학습 등을 통해 수목(1)의 활력도를 분석할 수 있다. 활력도분석부(120)는 측정된 수목(1)의 수종, 나이, 측정시 주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유사도가 높은 표준수목정보를 기반으로 수목(1)의 활력도를 분석한다.
또한, 활력도분석부(120)는 수목(1)의 활력도가 수목(1) 자체에 기인한 것인지, 주변의 환경인 토양, 대기, 일조량 등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활력도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력도분석부(120)는 수목(1)의 활력도가 낮더라도 수목(1)자체의 질병에 의한 것인지, 주변환경에 의한 것인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지를 구분할 수 있다. 활력도분석부(120)는 표준수목정보와 비교하여 환경정보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수목(1) 자체의 질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수목 활력도 외에 환경요인을 반영하여 활력도를 보정할 수 있다.
생장예측부(130)는 활력도를 이용하여 수목(1)의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장예측부(130)는 전자지도 상에 수목정보 및 생장예측정보를 매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생장예측부(130)는 수목(1)의 분석된 활력도 및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목(1)이 고사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장예측부(130)는 공공DB 또는 자체DB를 통해 누적된 수종별 활력도별 생장지속시기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장예측부(130)는 각 수목(1)의 생장예측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장예측부(130)는 수목(1)이 단시간에 고사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수목(1)의 교체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생장예측부(130)는 제1 시점의 활력도와 제2 시점의 활력도를 비교하여 활력도 변화율을 계산하고,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력도 변화율 대비 생장예측정보에 대한 특성표를 이용하여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시점의 활력도 측정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평균활력도 변화율을 적용하여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생장예측부(130)는 활력도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수목(1)의 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생장예측부(130)는 생장이 늦은 수목(1)의 경우에는 생장을 촉진시키거나, 생장이 빠른 수목(1)의 경우에는 생장을 늦출 수 있는 생장조절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장예측부(130)는 가지치기, 촉진제투입 등과 같은 생장조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목(1)의 관리자에게 생장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목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수목(1)의 생장속도를 조절하여 수목(1)의 교체시기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생장예측부(130)는 나무의사를 통해 추가검진을 의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장예측부(130)는 기 지정된 나무의사에게 생장예측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처방전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는 1차적으로 측정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고, 2차적으로 전문가인 나무의사에게 진단을 요청하여 수목(1)에 대한 정확한 치료처방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생장예측부(130)는 나무의사에게 원격으로 측정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나무의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측정단말(10)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생장예측부(130)는 수목(1)의 상태에 따라 측정정보의 제공주기를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목(1)의 활력도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무의사에게 측정정보를 제공하는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에서 나무의사가 관리가 필요한 수목(1)을 신속히 진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에서 인증부가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100)는 인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40)는 측정단말(10)로부터 수목(1)에 대한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이를 인식하여 해당 측정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인증한다. 이 경우, 측정단말(10)은 수목(1)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도록 카메라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부(140)는 측정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정보 중 식별코드가 인증된 경우에는 인증된 정보로 관리하고, 식별코드가 미인증된 경우에는 미인증된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직접 해당 수목(1)의 위치에 접근하여 측정한 것인지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측정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증부(14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20)이 인증되면 해당 수목(1)에 대한 활력도 및 생장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수목관리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현장을 지나면서 수목(1)의 관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의 이동통신번호 또는 고유의 식별번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이 기 설정된 사용자의 것인지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목관리자는 현장에 종이서류 등이 없이도 현장에서 관리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100)는 매칭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칭부(150)는 수목(1)과 수목치료사를 매칭한다. 매칭부(150)는 수목치료사의 회원정보를 관리한다. 매칭부(150)는 생장예측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생장예측정보 이하로 떨어지는 고사 위기에 있는 수목(1)에 대해 전문 수목치료사를 매칭한다. 다시 말해, 생장예측정보 상 치료가 필요한 수목(1)의 경우에는 해당 수목(1)과의 거리, 전문분야를 매칭하여 수목치료사를 추천할 수 있다. 매칭부(150)는 매칭된 수목치료사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 수목(1)에 치료를 하였는지 여부 및 치료 이후의 수목(1)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 경우, 매칭부(150)는 수목치료사가 매칭된 경우 해당 수목치료사의 단말로부터 수목(1)의 식별코드와 치료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용역 수행이 완료된 것으로 인증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정보는 치료대상 수목(1)에게 행하여진 치료사항을 약제명 및 투입량, 거름종류 및 공급량, 수분공급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부(150)는 수목치료사의 치료가 인증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생장예측정보를 분석하여 치료가 효과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에서 방제부가 드론을 이용하여 방제작업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100)는 방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제부(160)는 방제설비를 원격에서 자동으로 제어하여 병충해로 활력도가 떨어진 수목(1)에 대해 방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제부(160)는 전자지도 상에 수목(1)의 활력도를 매핑하고, 약품을 실장한 드론(30)을 해당 수목(1) 주변으로 비행시켜 방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제부(160)는 드론(30)에서 치료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깊은 산속이나, 섬과 같이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드론(30)을 이용하여 방제함으로써 수목(1)의 생장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방제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드론(30)을 비행시켜 방제함으로써 광범위한 구역의 수목(1)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측정단말
10-1 : 전기프로브
11 : 통신단말
20 : 사용자 단말
30 : 드론
100 :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110 : 측정정보관리부
111 : 제1 측정정보관리부
112 : 제2 측정정보관리부
113 : 데이터거래부
120 : 활력도분석부
130 : 생장예측부
140 : 인증부
150 : 매칭부
160 : 방제부
500 : 식별코드

Claims (5)

  1. 원격의 측정단말로부터 수목의 종류에 따라 전기프로브가 변경되어 상기 수목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되, 상기 수목에 형성된 식별정보의 수종과 상기 측정단말이 식별한 수종이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정보가 전기저항도인 경우 상기 측정단말의 측정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수목에 대한 수분함량과 상기 수목 주변의 토양에 대한 수분함량으로 구분하는 측정정보관리부;
    상기 측정정보와 수목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분석하는 활력도분석부; 및
    상기 활력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목의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활력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무의사에게 상기 생장예측정보를 제공하여 처방전을 획득하는 생장예측부; 및
    상기 생장예측정보가 기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수목에 대한 치료를 할 수 있는 수목치료사를 매칭하고, 상기 수목치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목의 식별코드와 치료정보가 입력되면 용역이 완료된 것으로 인증처리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정보관리부는,
    상기 수목에 설치된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수집된 제1 측정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관리하는 제1 측정정보관리부와, 사용자의 수정권한에 따라 상기 제1 측정정보를 편집가공한 제2 측정정보를 관리하는 제2 측정정보관리부와, 상기 제1 측정정보를 생성한 상기 측정단말에 형성된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획득하면 연관된 상기 제2 측정정보를 추천하는 측정정보거래부를 포함하는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예측부는,
    상기 수목에 대한 제1 시점의 활력도와 제2 시점의 활력도를 비교하여 활력도 변화율을 계산하여 상기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는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3. 수목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단말; 및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수목의 종류에 따라 전기프로브가 변경되어 상기 수목의 생장정보 및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되, 상기 수목에 형성된 식별정보의 수종과 상기 측정단말이 식별한 수종이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정보가 전기저항도인 경우 상기 측정단말의 측정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수목에 대한 수분함량과 상기 수목 주변의 토양에 대한 수분함량으로 구분하는 측정정보관리부와, 상기 측정정보와 수목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표준수목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분석하는 활력도분석부와, 상기 활력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목의 생장예측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활력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무의사에게 상기 생장예측정보를 제공하여 처방전을 획득하는 생장예측부와, 상기 생장예측정보가 기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수목에 대한 치료를 할 수 있는 수목치료사를 매칭하고, 상기 수목치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목의 식별코드와 치료정보가 입력되면 용역이 완료된 것으로 인증처리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정보관리부는 상기 수목에 설치된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수집된 제1 측정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관리하는 제1 측정정보관리부와, 사용자의 수정권한에 따라 상기 제1 측정정보를 편집가공한 제2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측정정보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제2 측정정보관리부와, 상기 제1 측정정보를 생성한 상기 측정단말에 형성된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획득하면 연관된 상기 제2 측정정보를 추천하는 측정정보거래부를 포함하는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를 포함하는 수목 활력도 진단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8040A 2020-11-23 2020-11-23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KR10226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40A KR102266628B1 (ko) 2020-11-23 2020-11-23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40A KR102266628B1 (ko) 2020-11-23 2020-11-23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628B1 true KR102266628B1 (ko) 2021-06-18

Family

ID=7662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40A KR102266628B1 (ko) 2020-11-23 2020-11-23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953B1 (ja) 2022-04-14 2022-07-29 株式会社アグリスマート 土壌管理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9549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樹木成長量の評価法
KR20120075683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98390B1 (ko) * 2016-05-11 2017-12-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수목활력도 측정용 수목진단장치 및 방법
KR101938629B1 (ko) * 2018-04-18 2019-01-15 조정윤 수목 관리 중개 서버 및 이에 의한 수목 관리 중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9549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樹木成長量の評価法
KR20120075683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98390B1 (ko) * 2016-05-11 2017-12-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수목활력도 측정용 수목진단장치 및 방법
KR101938629B1 (ko) * 2018-04-18 2019-01-15 조정윤 수목 관리 중개 서버 및 이에 의한 수목 관리 중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953B1 (ja) 2022-04-14 2022-07-29 株式会社アグリスマート 土壌管理システム
JP2023157044A (ja) * 2022-04-14 2023-10-26 株式会社アグリスマート 土壌管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586B2 (en) Game management system
CN108241905A (zh) 用于预测土壤和/或植物状况的方法
US7996173B2 (en)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to facilitate distributed evaluation of objects using electromagnetic energy
US20200349477A1 (en) Closed Loop Integrated Pest Management
US8963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instrumentation
US6360179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by agricultural field sensors
CN106991731A (zh) 集成设备维护的智能巡检方法及系统
KR20170101692A (ko)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분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2266628B1 (ko)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CN111783663A (zh) 一种用于人证核验设备性能检测的算法测评系统及检测方法
CN111433592A (zh) 辨别方法、学习方法、辨别装置以及计算机程序
CN113886712A (zh) 基于erp的人工智能汽车维修推荐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3361880A (zh) 一种建筑工程造价评估管理系统
KR20210126953A (ko) 영상데이터를 활용한 비 접촉 돼지 체중/체형 측정기 및 방법
CN115759868A (zh) 一种森林巡检人员管理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2964376A (zh) 一种智慧测温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Baghzouz et al. Evaluating temporal variability in the spectral reflectance response of annual ryegrass to changes in nitrogen applications and leaching fractions
CN112017779A (zh) 一种基于体检数据分析人体健康预警系统
CN111798202A (zh) 一种智慧工地人员管理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6629676A (zh) 城市室外热舒适度的预测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JP6798337B2 (ja) 植物判別装置、植物判別方法及び植物判別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17992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소상공인 상권분석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220146214A (ko) 인공지능 기반으로 나무 이미지를 분석하여 나무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EP3720731B1 (en) Equipment for measuring the human alcohol intoxication level to prevent falsification of measurement and results and method for measuring
JP4160433B2 (ja) 指紋による個人認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