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683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683A
KR20120075683A KR1020100137448A KR20100137448A KR20120075683A KR 20120075683 A KR20120075683 A KR 20120075683A KR 1020100137448 A KR1020100137448 A KR 1020100137448A KR 20100137448 A KR20100137448 A KR 20100137448A KR 20120075683 A KR20120075683 A KR 2012007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gnification
output screen
scree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962B1 (ko
Inventor
우현철
허문기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62B1/ko
Priority to EP11193370.1A priority patent/EP2472382A3/en
Priority to EP20150043.6A priority patent/EP3654157A1/en
Priority to US13/335,687 priority patent/US9229631B2/en
Priority to JP2011281311A priority patent/JP6068797B2/ja
Priority to CN201810397304.4A priority patent/CN108563394B/zh
Priority to CN201110435619.1A priority patent/CN102681757B/zh
Publication of KR2012007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683A/ko
Priority to US14/953,251 priority patent/US1050338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62B1/ko
Priority to US16/708,144 priority patent/US109490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링크 항목 선택율을 높이기 위하여 현 출력 배율에 따라 링크 항목의 출력 배율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배율이 조절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 지점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배율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배율 확인부 및, 상기 배율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배율에 따라 출력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링크 항목 선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 출력 배율에 따라 링크 항목의 출력 배율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송메시지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을 입력수단으로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즉,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멀티 터치를 이용한 화면 확대 및 축소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멀티 터치를 이용한 방식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두 손가락이 터치한 두 지점을 인식하고, 두 터치 지점의 거리 변화에 따라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멀티 터치 방식은 화면을 터치한 두 손가락의 거리 변화에 따라 화면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하기 때문에, 원하는 레벨까지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화면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한 후 상기 손가락을 때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해야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멀티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화면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확대/축소를 위한 동작과 동시에 화면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와 같은 멀티 터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면 확대 및 축소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배율 조절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에 포함된 링크 항목의 선택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링크 항목을 확대 출력하여 링크 항목을 선택받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출력 배율에 따른 링크 항목의 확대 출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는 배율이 조절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 지점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배율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배율 확인부 및, 상기 배율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배율에 따라 출력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은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 여부 및 출력 배율을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된 출력 배율에 따라 출력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배율이 조절된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림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고, 화면 출력 배율에 따른 링크 항목을 확대 출력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 조절 성능을 향상시키고 링크 항목의 선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기울림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기울기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링크 선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준점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줌 게이지를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을 확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을 축소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링크 항목 선택을 감지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주변에 존재하는 링크 항목을 확대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링크 항목의 상세한 내용을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기울림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배율 확인부(102), 메모리부(104), 입력부(106), 표시부(108) 및 통신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림을 이용한 출력 화면 확대/축소를 이용하여 기존의 멀티 터치 기반 핑거 터치를 이용한 출력 화면 확대/축소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측정된 기울기의 정도가 출력 화면 확대를 위한 기울기인지 또는 상기 출력 화면 축소를 위한 기울기 인지를 확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 배율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기울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배율을 나타내는 줌 게이지를 출력함으로써 변경되는 화면 배율을 표시하고, 상기 출력 화면의 배율이 결정되면 상기 출력된 줌 게이지를 사라지도록 처리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줌 게이지가 사라지기 전에 나타내는 화면 배율이 출력 화면의 배율로 설정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배율 확인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율 확인부(102)는 상기 판단한 기울기를 통해 출력 화면의 배율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04)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배율 확인부(10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수발신메시지, 메타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배율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06)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06)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화면 배율이 조정된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8)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기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율 확인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율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먼저 201단계에서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브라우져, 전자책 뷰어, 이미지 뷰어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출력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기준점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점은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기준점(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출력 화면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한 방향으로 단말기를 기울려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기울려지는 정도 및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기울기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져, 전자책 뷰어, 이미지, 전자 신문 뷰어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지점을 말하는 기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3단계에서 기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03단계에서 기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출력 화면에 줌 게이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줌 게이지는 상기 출력 화면의 배율을 나타내는 게이지로 상기 줌 게이지가 올라갈수록 높은 배율로 출력되고, 상기 줌 게이지가 낮아질 수록 낮은 출력 화면이 낮은 배율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줌 게이지를 직접 조절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한다. 이는 사용자의 기울기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의 배율이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출력 화면의 배율 조절을 위한 기울기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7단계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확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기울림을 확인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9단계에서 출력 화면을 확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기울림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측정된 기울기에 따른 확대 비율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배율로 기준점 주변을 확대하도록 처리한 후, 315단계로 진행하여 확대 배율에 따라 기 출력된 줌 게이지를 변경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변경된 줌 게이지를 이용하여 현재 확대된 배율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309단계에서 출력 화면을 축소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기울림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측정된 기울기에 따른 축소 비율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배율로 기준점 주변을 축소하도록 처리한 후, 321단계로 진행하여 축소 배율에 따라 기 출력된 줌 게이지를 변경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변경된 줌 게이지를 이용하여 현재 축소된 배율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줌 게이지의 수치(배율)는 단말기의 기울기가 고정될 때까지 기울기 변화에 따라 변경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기울기에 대한 확대 및 축소 비율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동작 상태 X축 기울기 변화 수행동작 Y축 기울기 변화 수행동작
가로모드
+(증가) 줌인 +(증가) 동작 안함
-(감소) 줌아웃 -(감소) 동작 안함
세로모드
+(증가) 동작 안함 +(증가) 줌인
-(감소) 동작 안함 -(감소) 줌아웃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변경하도록 하는 기울기 정보를 구분한다. 즉, 가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X축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파악한 후,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고,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Y축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파악한 후,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 변화가 증가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 자신 쪽으로 기울인 것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대/또는 축소 배율에 따라 줌 게이지를 변경한 휴대용 단말기는 32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에 대한 기울기 변화 측정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출력 화면의 배율이 적당하다고 판단하여 단말기의 기울림 과정을 종료하였는지 확인(단말기의 기울기를 고정시켰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323단계에서 단말기에 대한 기울기 변화 측정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기울기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7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23단계에서 단말기에 대한 기울기 측정이 종료(기울기를 고정시킨 경우)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줌 게이지의 출력을 중단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울기에 따른 배율 조절 과정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기울기가 측정되지 않은 경우, 기 출력된 줌 게이지를 사라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배율을 출력 화면의 배율로 사용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링크 선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선택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에 포함된 링크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과정을 말한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1단계에서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져, 전자책 뷰어, 이미지 뷰어, 전자 신문 뷰어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링크 항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403단계는 상기 출력된 화면에 포함된 링크를 선택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403단계에서 링크 항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4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403단계에서 링크 항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 주변에 다수의 링크 항목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한정된 크기에 포함된 링크 항목을 부정확하게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링크 항목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405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하나의 링크 항목만 존재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링크 항목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링크 항목에 대한 동작으로 해당 링크와 연결된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405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다수의 링크 항목이 존재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줌 화면 상태에서 링크 항목을 선택받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407단계는 상기 405단계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한정된 크기에 포함된 링크 항목을 부정확하게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407단계에서 줌 화면 상태가 아닌 상황에서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를 미리 정한 배율로 확대함으로써 기 출력된 링크 항목이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링크 항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재감지한 후, 상기 4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재선택된 링크 항목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확대된 링크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재감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407단계에서 줌 화면 상태에서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임계치 이상의 줌 상태에서 링크 항목을 선택하는 상황인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최소 줌 배율부터 최대 줌 배율 사이를 다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일정 단계 이상의 줌 화면 상태를 기준으로 부정확하게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표 2>와 같이 줌 배율을 구분하여 링크 항목에 대한 선택의 정확성을 파악할 수 있다.
배율 단계 비교
0.4~1.0 1단계 비정상 선택 가능
1.0~2.0 2단계 비정상 선택 가능
2.0~3.0 3단계 정상 선택 가능
3.0~4.0 4단계 정상 선택 가능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최소 0.4의 배율부터 최대 4.0의 배율까지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것으로, 3단계 이상의 배율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링크 항목 선택이 정확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409단계에서 부정확하게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함을 확인한 경우(일정 단계 미만의 줌 화면 상태에서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를 미리 정한 배율로 확대함으로써 기 출력된 링크 항목이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처리한 후, 415단계로 진행하여 링크 항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재감지한다.
한편, 상기 409단계에서 부정확하게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일정 단계 이상의 줌 화면 상태에서 링크 항목을 선택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링크 항목 선택이 정확하다고 판단하여 411단계로 진행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링크 항목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준점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는 인터넷 브라우져, 전자책 뷰어, 이미지 뷰어, 전자 신문 뷰어와 같이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출력(501)한다. 이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배율 조절 지점에 해당하는 기준점을 설정(503)하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줌 게이지를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5(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기준점이 설정될 경우, 확대/축소 배율을 나타내는 줌 게이지를 출력(505)한다. 이때, 상기 줌 게이지는 사용자에 의한 출력 화면 배율 조절에 따라 게이지의 배율도 함께 조절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게이지를 직접 조절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을 확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림을 통해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가로 모드 상태임에 따라 X축의 센싱 정보의 변경을 확인하여 출력 화면을 확대할 것인지 또는 축소할 것인지를 파악한다.
즉, 사용자가 가로 모드의 휴대용 단말기 상측을 자신쪽으로 당길 경우, X축 센싱 정보가 변경됨을 확인할 것이고,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출력 화면을 확대(507)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도 5(a)에서 출력된 내용보다 적은 항목의 내용이 출력되지만 상기 기준점 주변의 내용은 센싱 정보의 변화 정도 다시 말해서 기울림 정도에 따라 크게 확대 출력되고, 확대 배율에 따라 기 출력된 줌 게이지의 상태를 변경(509)한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을 축소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림을 통해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가로 모드 상태임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X축의 센싱 정보 변화를 확인하여 출력 화면을 확대할 것인지 또는 축소할 것인지를 파악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세로 모드 상태일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Y축의 센싱 정보 변화를 확인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로 모드의 휴대용 단말기 상측을 자신 반대쪽으로 밀어낼 경우, X축 센싱 정보가 변경됨을 확인할 것이고,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출력 화면을 축소(511)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도 5(a)에서 출력된 내용보다 많은 항목의 내용이 출력되지만 상기 기준점 주변의 내용은 센싱 정보의 변화 정도 다시 말해서 기울림 정도에 따라 축소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출력 화면을 축소시킨 후, 축소 배율에 따라 기 출력된 줌 게이지의 상태를 변경(513)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변경되는 줌 게이지는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가 측정되지 않을 경우, 사라지게 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줌 게이지가 사라지기 전의 배율을 출력 화면의 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링크 항목의 선택을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링크 항목 선택을 감지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터넷 브라우져, 전자책 뷰어, 이미지 뷰어, 전자 신문 뷰어와 같이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내용을 출력한다. 만일, 상기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신문 뷰어일 경우, 다수의 링크 항목을 출력(600)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세한 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된 링크 항목 가운데 관심있는 뉴스에 대한 링크 항목을 선택(601)할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주변에 존재하는 링크 항목을 확대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도 6(a)와 같이 한정된 출력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로부터 링크 항목을 선택받을 경우, 링크 항목의 간격이 좁아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링크 항목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고 주변에 있는 다른 링크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와 같이 부정확한 링크 항목 선택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첫째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링크 항목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출력 화면이 확대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두번째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이 확대되었으나 링크 항목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링크 항목 주변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범위의 영역을 확대 출력(603)하여 사용자에 의한 링크 항목 선택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링크 항목 가운데 일부 항목만 확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링크 항목의 상세한 내용을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6(b)와 같은 동작을 통해 링크 항목 선택 과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 6(b)와 같이 확대된 링크 항목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항목을 재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링크 항목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한 도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링크 항목의 제목(605)과 상기 제목과 관련된 기사(607)를 함께 출력한 것을 나타낸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링크 항목을 잘못 선택한 경우, 취소 과정을 수행한 후 다시 정상적인 링크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편리하게 링크 항목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배율 확인부 104: 메모리부

Claims (20)

  1. 배율이 조절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 지점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배율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배율 확인부 및,
    상기 배율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배율에 따라 출력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출력 화면의 현재 배율을 나타내는 줌 게이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배율로 출력 화면을 제어한 후, 상기 줌 게이지의 상태를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확인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측정을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확인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변경하도록 하는 기울기 정보를 구분하되,
    가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X축 센싱 정보,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Y축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파악하거나, 가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Y축 센싱 정보,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X축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파악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확인부는,
    다수의 링크 항목을 포함하는 출력 화면에서 링크 항목 선택을 감지할 경우, 링크 항목 주변 화면의 배율을 확대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확인부는,
    상기 출력 화면의 배율에 따라 선택된 링크 항목 주변 화면을 확대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확인부는,
    상기 출력 화면이 일정 배율이상 확대되지 않은 경우, 선택된 링크 화면 주변 화면을 확대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9. 출력 화면 가운데 확대 또는 축소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의 배율을 조절 여부 및 출력 배율을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된 출력 배율에 따라 출력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배율이 조절된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출력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출력 화면의 현재 배율을 나타내는 줌 게이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배율로 출력 화면을 제어한 후, 상기 줌 게이지의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은,
    센싱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배율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출력 화면의 배율을 변경하도록 하는 기울기 정보를 구분하되,
    가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X축 센싱 정보,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Y축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파악하거나, 가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Y축 센싱 정보,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X축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파악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은,
    다수의 링크 항목을 포함하는 출력 화면에서 링크 항목 선택을 감지할 경우, 링크 항목 주변 화면의 배율을 확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항목 주변 화면의 배율을 확대시키는 과정은,
    상기 출력 화면의 배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배율에 따라 선택된 링크 항목 주변 화면을 확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항목 주변 화면의 배율을 확대시키는 과정은,
    상기 출력 화면이 일정 배율이상 확대되지 않은 경우, 선택된 링크 화면 주변 화면을 확대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가 없을 경우, 출력된 줌 게이지를 사라지도록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줌 게이지가 사라지기 전 유지한 상태의 배율을 출력 화면의 배율로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장치.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가 없을 경우, 출력된 줌 게이지를 사라지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줌 게이지가 사라지기 전 유지한 상태의 배율을 출력 화면의 배율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KR1020100137448A 2010-12-29 2010-12-29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3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48A KR101830962B1 (ko) 2010-12-29 2010-12-29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0150043.6A EP3654157A1 (en) 2010-12-29 2011-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EP11193370.1A EP2472382A3 (en) 2010-12-29 2011-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JP2011281311A JP6068797B2 (ja) 2010-12-29 2011-12-22 携帯用端末機の出力画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13/335,687 US9229631B2 (en) 2010-12-29 2011-12-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CN201810397304.4A CN108563394B (zh) 2010-12-29 2011-12-22 用于控制便携式终端中的屏幕显示的设备和方法
CN201110435619.1A CN102681757B (zh) 2010-12-29 2011-12-22 用于控制便携式终端中的屏幕显示的设备和方法
US14/953,251 US10503380B2 (en) 2010-12-29 2015-11-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US16/708,144 US10949072B2 (en) 2010-12-29 2019-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48A KR101830962B1 (ko) 2010-12-29 2010-12-29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683A true KR20120075683A (ko) 2012-07-09
KR101830962B1 KR101830962B1 (ko) 2018-02-22

Family

ID=4544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448A KR101830962B1 (ko) 2010-12-29 2010-12-29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229631B2 (ko)
EP (2) EP2472382A3 (ko)
JP (1) JP6068797B2 (ko)
KR (1) KR101830962B1 (ko)
CN (2) CN1085633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28B1 (ko) * 2020-11-23 2021-06-18 (주)스토리포유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962B1 (ko) 2010-12-29 201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61377B1 (ko) * 2012-03-09 201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WO2013169262A1 (en) * 2012-05-11 2013-11-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Input error remediation
KR101976177B1 (ko) * 2012-07-09 201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40325345A1 (en) * 2013-04-26 2014-10-30 Amazon Technologies, Inc. Consistent Scaling of Web-Based Content Across Devices Having Different Screen Metrics
WO2017183652A1 (ja) * 2016-04-19 2017-10-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967390B2 (en) * 2016-08-30 2018-05-08 Google Llc Device-orientation controlled settings
JP6991754B2 (ja) * 2017-07-03 2022-01-13 株式会社ミツトヨ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463323B (zh) * 2017-07-24 2018-03-30 上海壹账通金融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的图片操作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9071486A1 (zh) * 2017-10-11 2019-04-18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屏幕控制方法及屏幕控制系统
DE102018100196A1 (de) * 2018-01-05 2019-07-11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nsch-Maschinen-Schnittstelle sowie Mensch-Maschinen-Schnittstel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1856B1 (en) *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US6201554B1 (en) * 1999-01-12 2001-03-13 Ericsson Inc. Device control apparatus for hand-held data processing device
FI20001506A (fi) * 1999-10-12 2001-04-13 J P Metsaevainio Design Oy Kädessäpidettävän laitteen toimintamenetelmä
JP4158304B2 (ja) 2000-01-27 2008-10-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JP4144555B2 (ja) * 2003-06-09 2008-09-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007682A1 (ja) 2005-07-08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US7889185B2 (en) * 2007-01-05 2011-02-15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hyperlinks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KR100922493B1 (ko) 2007-06-27 2009-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줌을 이용한 브라우저 탐색 방법 및 장치
JP5361159B2 (ja) * 2007-09-06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809531A (zh) * 2007-10-02 2010-08-18 株式会社爱可信 终端装置、链接选择方法以及显示程序
TWM341898U (en) * 2008-02-04 2008-10-01 Aiptek Int Inc Image processing device
EP2133563A1 (en) 2008-06-09 2009-12-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 nacelle-inclination
JP4720879B2 (ja) 2008-08-29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RU2495477C2 (ru) * 2008-09-10 2013-10-10 ОПЕРА СОФТВЭА ЭйСиЭ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бора объекта на экране дисплея
US8558803B2 (en) 2008-11-28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8291348B2 (en) * 2008-12-31 2012-10-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display regions responsive to non-discrete directional input actions and intelligent content analysis
US8587617B2 (en) 2009-02-04 2013-11-19 Raythe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zooming
JP2010257037A (ja) 2009-04-22 2010-11-1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30962B1 (ko) 2010-12-29 201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28B1 (ko) * 2020-11-23 2021-06-18 (주)스토리포유 수목 활력도 진단서버 및 그 진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49072B2 (en) 2021-03-16
US9229631B2 (en) 2016-01-05
JP2012141976A (ja) 2012-07-26
CN108563394B (zh) 2022-11-18
US20120169775A1 (en) 2012-07-05
CN102681757B (zh) 2018-05-29
EP3654157A1 (en) 2020-05-20
CN108563394A (zh) 2018-09-21
CN102681757A (zh) 2012-09-19
EP2472382A2 (en) 2012-07-04
US10503380B2 (en) 2019-12-10
EP2472382A3 (en) 2015-10-28
US20160077729A1 (en) 2016-03-17
US20200117351A1 (en) 2020-04-16
JP6068797B2 (ja) 2017-01-25
KR101830962B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6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85071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표시 방법
US96652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lection operation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662726B1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KR101794000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KR101567785B1 (ko) 휴대단말에서 줌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5143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데이터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KR101370173B1 (ko) 입출력 제어장치 및 입출력 제어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1017512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1665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110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9570045B2 (en)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40038830A (ko) 단말의 줌 레벨 조절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60077551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apparatus
KR101343409B1 (ko) 터치 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확대/축소하는 방법
KR1015043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 크기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39696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동작 제어 방법
KR10230354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2394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7775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783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8476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