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323B1 -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323B1
KR101078323B1 KR1020100062923A KR20100062923A KR101078323B1 KR 101078323 B1 KR101078323 B1 KR 101078323B1 KR 1020100062923 A KR1020100062923 A KR 1020100062923A KR 20100062923 A KR20100062923 A KR 20100062923A KR 101078323 B1 KR101078323 B1 KR 101078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text data
data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449A (ko
Inventor
박세환
서희
김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데이터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로 입력되는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터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좌표 확인부와, 터치 입력 모드 수행 중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좌표 확인부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 후,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가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문자 입력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경박,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선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통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메뉴를 선택받거나 문자를 직접 씀으로써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부에 출력된 키보드 형태의 입력 화면을 터치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의 입력 화면은 쿼티(QWERTY) 기반의 입력 화면으로 모음과 자음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입력 화면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시 포인팅 조절이 힘들어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의 기구적 특성에 따라 상기 키보드 형태의 입력 화면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문자 데이터 입력에 필요한 포인팅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빠른 문자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시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데이터 입력시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모음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데이터 입력시 조합 가능한 모음 문자들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 장치는 문자 데이터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로 입력되는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터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좌표 확인부와, 터치 입력 모드 수행 중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좌표 확인부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 후,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가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 방법은 터치 입력 모드 수행 중 터치를 감지할 경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위치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는 과정과,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가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보다 문자 입력 포인팅 과정을 줄이므로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한글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영어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한글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영어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한 문자 데이터의 입력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정의한 조합 문자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초기에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모음)들로 획 추가 버튼(·)을 포함하거나, 상기 문자 데이터와의 연속 입력 빈도가 높은 문자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할 수 있는 소형 단말기를 모두 통칭하는 용어로, 무선통신단말기, PDA(Personal Data Assistant),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 기기,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으며, 이하 무선통신단말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좌표 확인부(102), 터치 센서(104), 메모리부(106), 입력부(108), 표시부(110) 및 통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입력 모드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좌표 확인부(102)에 의해 획득된 상기 터치를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감지한 방향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예 ; 모음, 모음 + 자음)를 확인하여 초기에 출력한 문자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와 상기 문자 데이터와 조합 가능한 조합 문자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초기에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모음)들로 획 추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터치 이동 순서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상기 문자 데이터와 조합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좌표 확인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터치 센서(104)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터치 입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106)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상기 좌표 확인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예 ; 터치 입력 모드 실행 요청)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조합된 문자를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112)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좌표 확인부(102)의 역할은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은 터치 센서(104)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신속한 문자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 모드에서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3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먼저 201단계에서 터치 입력 모드를 수행한 후, 2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입력 모드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를 말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좌표 확인부(102)는 미리 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를 감지한 위치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10)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이동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센서(104)의 터치를 유지하면서 터치한 지점의 위치를 변경한 상황을 말한다.
만일,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좌표 확인부(102)는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한 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최초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좌표와 마지막 지점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예 ; 상, 하, 좌, 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모음 문자를 확인한 후, 21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유지 종료를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모음 문자는 복합 모음(예 ;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등)을 제외한 단일 모음 문자(예 ; ㅏ, ㅓ, ㅗ, ㅜ)를 말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ㅗ" 라는 모음 문자를, 하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ㅜ" 라는 모음 문자를, 좌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ㅓ"라는 모음 문자를, 우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ㅏ" 라는 모음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먼저 "ㅎ" 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터치(301)한 후, 우측 방향으로 터치 이동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라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b)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호"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먼저 "ㅎ" 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터치한 후, 상측 방향으로 터치 이동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호"라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3(c), 도 3(d)와 같은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단일 모음 문자(예 ; ㅏ, ㅓ, ㅗ, ㅜ)의 조합뿐만 아니라 반복 터치 이동과 특정 키의 입력을 통하여 겹 모음(예 ; ㅕ, ㅑ, ㅛ, ㅠ)의 조합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모음(예 ;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등)의 조합은 상기 터치 입력 모드에서 제공하는 키 입력 버튼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터치 유지 종료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터치 유지 종료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15단계에서 확인한 모음 문자와 기 선택받은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자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5는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문자 데이터를 조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먼저 401단계에서 터치 입력 모드를 수행한 후, 4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입력 모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 입력(501)시 조합이 가능한 모음들(예 ; "ㅡ", "ㅣ")과 획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를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주변에 출력(503)하고, 상기 출력된 조합 문자를 포인팅하여 빠른 문자 데이터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 모드(예 ; 삼성 전자의 "천지인" 문자 입력 방식)를 말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4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좌표 확인부(102)는 미리 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를 감지한 위치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문자 데이터와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이동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센서(104)의 터치를 유지하면서 터치한 지점의 위치를 변경한 상황을 말한다.
만일,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4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좌표 확인부(102)는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한 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최초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좌표와 마지막 지점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예 ; 상, 하, 좌, 우)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모음 문자를 확인한 후, 41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유지 종료를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모음 문자는 문자 데이터 입력시 조합이 가능한 모음들(예 ; "ㅡ", "ㅣ")과 획 추가 버튼(·)을 조합한 문자를 말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조합이 가능한 모음과 상기 획 추가 버튼을 조합하여 "ㅗ", "ㅜ", "ㅢ", "ㅏ", "ㅓ"와 같은 문자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먼저 "ㅎ" 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터치한 문자 데이터와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ㅎ"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시점으로 하여 "ㅣ", "·"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경유하는 터치 이동을 감지(505)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5(c)와 같은 "하"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5(d)는 "희"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는 먼저 "ㅎ" 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터치한 문자 데이터와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ㅡ"라는 문자 데이터를 시점으로 "ㅣ"라는 문자 데이터를 경유하는 터치 이동을 수행(1시방향으로 이동)(507)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 이동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희"라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가 먼저 "ㅎ" 이라는 문자 데이터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터치한 문자 데이터와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라는 획 추가 버튼을 시점으로 "ㅡ"라는 문자 데이터를 경유하는 터치 이동을 수행(509)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 이동의 방향을 감지하여 "호"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이동의 방향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5(f)와 같이 "후"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터치 유지 종료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4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터치 유지 종료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15단계에서 확인한 모음 문자와 기 선택받은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터치 입력 모드에서 기 입력된 초성 문자 데이터가 존재한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6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603단계로 진행하여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좌표 확인부(102)는 미리 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를 감지한 위치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확인한 후, 60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 또는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은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의 입력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10)의 입력창에 출력하도록 하는 요청이며, 상기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은 상기 기 입력중인 문자 데이터와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가 입력 창에 출력하도록 하는 요청을 말한다.
상기 가 입력 창은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시 오탈자의 확인을 위하여 기 입력 데이터와의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창으로 본 발명에서는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요청은 특정 키의 입력 또는 터치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터치 지점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지점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만일, 상기 607단계에서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기 입력 문자 데이터와 조합하여 가 입력 창에 출력한 후, 상기 607단계의 과정을 재 수행한다.
한편, 상기 607단계에서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기 입력 문자 데이터와 조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터치 입력 모드의 종료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6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 모드의 종료를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한글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터치 입력 모드에서 기 입력 문자 데이터가 존재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ㄱ"이라는 기 입력 문자를 입력받은 화면을 나타낸다.
이후, 도 7(b)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ㅣ"이라는 문자 데이터의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 또는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은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의 입력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10)의 입력창에 출력하도록 하는 요청이며, 상기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은 상기 기 입력중인 문자 데이터와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가 입력 창에 출력하도록 하는 요청을 말한다.
상기 가 입력 창은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시 오탈자의 확인을 위하여 기 입력 데이터와의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창으로 본 발명에서는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요청은 특정 키의 입력 또는 터치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터치 지점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지점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만일, 상기 도 7(b)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하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감지할 경우)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7(c)와 같이 가 입력창에 상기 기 입력 문자인 "ㄱ"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문자 데이터인 "ㅣ"을 조합하여 "기"라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가 입력창에 출력(703)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도 7(c)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도 7(d)와 같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라는 획 추가 문자 데이터의 터치를 감지(705)한 후, 하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7(e)와 같이 가 입력창에 상기 기 입력 문자인 "기"와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획 추가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가"라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가 입력 창에 출력(707)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할 경우, 도 7(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에 상기 조합한 "가"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711)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영어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터치 입력 모드에서 기 입력 문자 데이터가 존재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hello"라는 문자 데이터 가운데 "hell"이라는 기 입력 문자를 입력받은 화면을 나타낸다.
이후, 도 8(b)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o"이라는 문자 데이터의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 또는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 및, 상기 입력 문자 조합 요청은 상기 도 7의 설명과 동일하다.
만일, 상기 도 8(b)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하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입력 문자 조합 요청을 감지할 경우)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8(c)와 같이 가 입력창에 상기 기 입력 문자인 "hell" 가운데 미리 정한 갯 수의 문자 데이터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문자 데이터인 "o"와 조합한 "llo"라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가 입력창에 출력(801)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입력 문자 데이터 출력 요청)할 경우,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에 상기 조합한 "hello"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805)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터치 입력 모드에서 기 입력된 초성 문자 데이터가 존재한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먼저 9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903단계로 진행하여 좌표 확인부(102)로 하여금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좌표 확인부(102)는 미리 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를 감지한 위치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좌표 확인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확인한 후, 907단계로 진행하여 조합 문자 데이터 요청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 요청은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와 조합이 가능한 기 설정 문자 데이터를 말한다.
만일, 상기 요청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917단계로 진행하여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에 출력하도록 처리한 후, 915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후, 9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이동을 감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9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 입력 문자 데이터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915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터치 입력 모드의 종료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9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 모드의 종료를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한글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터치 입력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의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이다.
여기에서, 상기 확장 문자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문자 데이터와 조합이 가능한 기 설정 문자 데이터로 상기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ㄱ"이라는 문자 데이터의 조합 문자 데이터는 "ㅏ", "ㅓ", "ㅗ", "ㅜ"(1001)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0(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우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1003)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10(c)와 같이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인 "ㄱ"과 상기 우측 방향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인 "ㅏ"를 조합한 "가"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1005)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한 영어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터치 입력 모드에서 기 입력 문자 데이터가 존재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station"라는 문자 데이터 가운데 "sta"이라는 기 입력 문자를 입력받은 화면을 나타낸다.
이후, 도 11(b)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t"이라는 문자 데이터의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t"라는 문자 데이터의 조합 문자 데이터인 "ting", "ty", "tion", "ties"을 출력(1105)한다.
상기 도 11(c)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하측 방향의 터치 이동을 감지(1107)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11(e)와 같이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인 "sta"과 상기 하측 방향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인 "tion"를 조합한 "station"라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1109)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입력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터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 데이터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로 입력되는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터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좌표 확인부와,
    터치 입력 모드 수행 중 터치를 감지할 경우, 상기 좌표 확인부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 후,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가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출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입력창에 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는,
    기 입력된 문자 데이터와 연속하여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조합한 문자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력 창은,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탈자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창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문자 데이터가 기 선택된 문자 데이터와 조합 가능할 경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입력 화면을 가입력 창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입력 화면을 가입력 창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입력 화면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된 문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및 상기 문자 데이터와 조합 가능한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후, 터치 이동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도록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는,
    초기에 입력받은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ㅡ", "ㅣ")들로 획 추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와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의 조합은,
    다수개의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문자 데이터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기 입력받은 입력 문자 데이터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를 합한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 입력 모드 수행 중 터치를 감지할 경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위치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는 과정과,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가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 방법은,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가 입력창에 출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를 입력창에 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문자 데이터는,
    기 입력된 문자 데이터와 연속하여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조합한 문자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력 창은,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탈자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창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문자 데이터가 기 선택된 문자 데이터와 조합 가능할 경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입력 화면을 가입력 창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위치의 입력 화면을 가입력 창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입력 화면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된 문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및 상기 문자 데이터와 조합 가능한 조합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 후, 터치 이동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는,
    초기에 입력받은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ㅡ", "ㅣ")들로 획 추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삭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와 상기 조합 문자 데이터의 조합은,
    다수개의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문자 데이터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기 입력받은 입력 문자 데이터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조합 문자 데이터를 합한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62923A 2010-06-30 2010-06-30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7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23A KR101078323B1 (ko) 2010-06-30 2010-06-30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23A KR101078323B1 (ko) 2010-06-30 2010-06-30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168A Division KR100999884B1 (ko) 2007-06-25 2007-06-25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49A KR20100086449A (ko) 2010-07-30
KR101078323B1 true KR101078323B1 (ko) 2011-10-31

Family

ID=4264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923A KR101078323B1 (ko) 2010-06-30 2010-06-30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49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726B1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1802929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JP6068797B2 (ja) 携帯用端末機の出力画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20062599A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12088A (ko) 터치 스크린 기기들용 스크롤링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17512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254719A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0001409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EP3059668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election of information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KR102466990B1 (ko)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09998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83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311586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0011627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897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7775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7003759B (zh) 一种选择文本的方法
US20170060375A1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122175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