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96B1 - 분환원철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분환원철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96B1
KR102265696B1 KR1020190042583A KR20190042583A KR102265696B1 KR 102265696 B1 KR102265696 B1 KR 102265696B1 KR 1020190042583 A KR1020190042583 A KR 1020190042583A KR 20190042583 A KR20190042583 A KR 20190042583A KR 102265696 B1 KR102265696 B1 KR 10226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iner
reduced iron
insulating material
storage devic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116A (ko
Inventor
오명철
안규철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4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73Selection or treatment of the reduc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06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obtaining iron or steel in a 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2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in shaft furnaces
    • C21B13/023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in shaft furnaces wherein iron or steel is obtained in a molten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분환원철 저장장치는 본체와 분리형 인라이너 및 내화벽돌 영역을 포함한다. 본체는 상측부에 분환원철 주입관이 설치되고 하측부에 질소 주입노즐이 설치된 측벽과, 측벽과 연결된 상부 돔 및 바닥부로 구성되며, 단열재 및 단열재 외측의 보호 강판을 포함한다. 분리형 인라이너는, 분환원철 주입관이 설치된 측벽의 상측부에서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 인라이너와, 질소 주입노즐이 설치된 측벽의 하측부에서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 인라이너를 포함한다. 내화벽돌 영역은 측벽 중 상부 인라이너와 하부 인라이너 사이에서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환원철 저장장치 {STORAGE APPARATUS FOR HOT DIRECT REDUCED IRON}
본 발명은 유동 환원로(fluidized bed reactor)에서 생산된 고온의 분환원철(DRI, directed reduced iron)을 일시 저장하여 고온 압분철(HCI, hot compacted iron) 제조장치로 공급하는 분환원철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로법은 반응기 특성상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보유하면서 로내 통기성 확보를 위해 소정의 입도를 가진 원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특정 원료탄을 가공 처리한 코크스와, 철원을 일련의 괴상화 공정으로 처리한 소결광을 원료로 사용한다. 그런데 코크스와 소결광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공정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원료 및 환원제로서 일반탄을 직접 사용하고, 철원으로서 분광을 직접 사용하여 용철을 제조하는 파이넥스(FINEX) 공법(직접 제강법)이 개발되었다. 파이넥스 설비는 예열로와 예비 환원로 및 최종 환원로의 3단 구조로 이루어진 유동 환원로와, 최종 환원로와 연결된 분환원철 저장장치와, 프레스 롤로 구성된 고온 압분철 제조장치와, 내부에 석탄 충진층이 형성된 용융 가스화로로 구성된다.
상온의 분광은 3단의 유동 환원로를 순서대로 거치면서 고온의 환원가스와 접촉하여 승온 및 55% 이상의 환원이 이루어진 고온 환원철로 전환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환원철은 분환원철 저장장치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고온 압분철 제조장치로 공급되어 괴상화되고, 용융 가스화로에 장입되어 석탄 충진층 내에서 용융됨으로써 용선으로 전환되어 배출된다.
분환원철 저장장치는 최종 환원로에서 배출된 고온의 분환원철로부터 가스를 분리 제거하고, 고온 압분철 제조장치로 분환원철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분환원철 저장장치는 고온의 분환원철이 주기적으로 기체 수송(pneumatic conveying)되고, 분환원철의 흐름성을 좋게 하기 위해 상온의 질소가 주기적으로 투입되며, 다량의 분진이 누적될 수 있는 환경이다.
본 발명은 고온의 분환원철이 주기적으로 기체 수송되고, 상온의 질소가 주기적으로 투입되며, 다량의 분진이 누적될 수 있는 환경에서 내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환원철을 배출할 수 있는 분환원철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환원철 저장장치는 본체와 분리형 인라이너 및 내화벽돌 영역을 포함한다. 본체는 상측부에 분환원철 주입관이 설치되고 하측부에 질소 주입노즐이 설치된 측벽과, 측벽과 연결된 상부 돔 및 바닥부로 구성되며, 단열재 및 단열재 외측의 보호 강판을 포함한다. 분리형 인라이너는, 분환원철 주입관이 설치된 측벽의 상측부에서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 인라이너와, 질소 주입노즐이 설치된 측벽의 하측부에서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 인라이너를 포함한다. 내화벽돌 영역은 측벽 중 상부 인라이너와 하부 인라이너 사이에서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진다.
측벽은 상부 돔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와, 제1 수직부 아래의 콘부와, 콘부 아래의 제2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라이너는 제1 수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부 인라이너는 제2 수직부의 하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인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고, 외주면에 원주 방향과 나란한 복수의 원주형 리브와, 복수의 원주형 리브와 직교하는 복수의 수직형 리브로 구성된 일체형 보강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인라이너와 단열재 사이는 제1 섬유내화 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제2 수직부의 중간에 단열 캐스터블로 채워진 맨홀이 위치할 수 있고, 내화벽돌 영역은 콘부 전체와 제2 수직부 중 맨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내화벽돌 영역에서 단열재와 내화벽돌 사이에 복수의 단열벽돌이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인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고, 맨홀 주변과 틈새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인라이너의 상단에 밀봉부가 제공되어 하부 인라이너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틈새를 막을 수 있다.
밀봉부는 하부 인라이너의 외주면에 부착된 충진물 지지대와, 충진물 지지대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온용 충진재와, 맨홀 아래에 고정되며 고온용 충진재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온용 충진재는 세라믹 로프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인라이너의 둘레를 여러 번 감은 형태로 상기 충진물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는 고온용 충진재를 향해 뾰족한 돌기를 구비하여 고온용 충진재를 누를 수 있다. 하부 인라이너와 단열재 사이는 제2 섬유내화 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변화가 크고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영역에 한해 인라이너를 상하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한쪽 인라이너의 열변형이 다른쪽 인라이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인라이너와 하부 인라이너 사이를 고온에 강한 내화벽돌 영역으로 채워 폭열에 대비할 수 있으며, 고온용 충진재가 하부 인라이너의 상측 틈새를 막아 분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환원철 저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를 구비한 파이넥스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 중 상부 인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환원철 저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분환원철 저장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긴 내부 공간을 구비한 본체(10)와, 상부 인라이너(20)와 하부 인라이너(30)로 구성된 분리형 인라이너(40)와, 상부 인라이너(20)와 하부 인라이너(30) 사이에 위치하는 내화벽돌 영역(50)과, 본체(10)와 하부 인라이너(30)를 관통하는 질소 주입노즐(6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기본적으로 단열재(11)와, 단열재(11)의 외측에 밀착된 보호 강판(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재(11)는 단열보드와 단열 캐스터블(castab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에 따라 단열보드만 사용되거나, 단열 캐스터블만 사용되거나, 단열보드와 단열 캐스터블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단열 캐스터블은 부정형 내화재를 성형 후 경화시킨 단열재이다.
본체(10)는 형상에 따라 상부 돔(13)과 측벽(14) 및 바닥부(15)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돔(13)은 본체(10)의 지붕에 해당하며, 측벽(14)의 상단에 연결된다. 측벽(14)은 상부 돔(13)과 연결된 제1 수직부(141)와, 제1 수직부(141) 아래의 콘부(142)와, 콘부(142) 아래의 제2 수직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5)는 제2 수직부(143)의 하단에 연결된다.
제1 수직부(141)와 제2 수직부(143)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콘부(142)는 아래를 향할수록 폭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측벽(14)에서 수직 방향에 따른 길이는 콘부(142)와 제2 수직부(143) 및 제1 수직부(141)의 순서대로 클 수 있다.
본체(10)의 제1 수직부(141)에는 분환원철 주입관(71)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의 상부 돔(13)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관(72)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바닥부(15)에는 복수의 분환원철 배출관(73)이 수직 방향과 대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를 구비한 파이넥스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파이넥스 설비에서 유동 환원로는 예열로(81)와 예비 환원로(82) 및 최종 환원로(83)의 3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온의 분광은 3단의 유동 환원로를 순서대로 거치면서 고온의 환원가스와 접촉하여 55% 이상의 환원이 이루어진 고온 환원철이 된다.
최종 환원로(83)의 분환원철은 기송 배관(84)과 분환원철 주입관(71)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장입되어 저장된다. 분환원철과 함께 유입된 환원가스는 가스 배출관(72)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고, 가스가 제거된 분환원철은 제2 수직부(143)와 콘부(142)에 누적된다. 본체(10) 내부의 분환원철은 분환원철 배출관(73)을 통해 고온 압분철 제조장치(85)로 일정량씩 배출된다.
고온 압분철 제조장치(85)는 프레스 롤을 포함하며, 분환원철을 압축하여 환원철로 괴상화한다. 괴상화된 환원철은 내부에 석탄 충진층이 형성된 용융 가스화로(86)에 투입되고, 석탄 충진층 내에서 용융됨으로써 용선으로 전환되어 배출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분리형 인라이너(40)는 제1 수직부(141)에서 단열재(11)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 인라이너(20)와, 제2 수직부(143)의 하측부에서 단열재(11)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 인라이너(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인라이너(20)와 하부 인라이너(30) 사이에 내화벽돌 영역(50)이 위치하며, 질소 주입노즐(60)이 본체(10)의 측벽(14)과 하부 인라이너(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 중 상부 인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상부 인라이너(2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화벽돌 영역(50)의 상단에 안착된다. 분환원철 주입관(71)은 본체(10)의 제1 수직부(141)와 상부 인라이너(20)를 관통하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위치한다.
상부 인라이너(20)는 분환원철 주입관(71)을 통해 기체 수송으로 들어온 고온의 분환원철과 빠르게 충돌하는 부분이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폭열현상(spalling)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상부 인라이너(20)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되며, 바깥 원주면에 일체형 보강재(21)를 구비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일체형 보강재(21)는 상부 인라이너(2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원주형 리브(22)와, 복수의 원주형 리브(22)와 직교하는 복수의 수직형 리브(2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원주형 리브(22)는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복수의 수직형 리브(23)는 상부 인라이너(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상부 인라이너(20)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열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내화벽돌 영역(50)에 의해 하부 인라이너(30)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부 인라이너(20)의 열변형은 본체(10)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상부 인라이너(20)의 열변형은 상부 인라이너(20) 아래로 확대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수직부(141)의 단열재(11)와 상부 인라이너(20) 사이는 제1 섬유내화 단열재(24)로 채워질 수 있다. 제1 섬유내화 단열재(24)는 세라믹 섬유와 유리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불솜 형태의 섬유를 압축하여 천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섬유내화 단열재(24)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부 인라이너(20)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내화벽돌(51)로 이루어진 내화벽돌 영역(50)은 본체(10)의 콘부(142) 전체와 제2 수직부(143)의 상측 일부에 속할 수 있다. 내화벽돌 영역(50)은 가스와 분리된 분환원철이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분환원철 주입관(71)이 설치된 제1 수직부(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 변화가 적지만 꾸준히 고온이 유지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의 인라이너를 설치하는 대신 사전 건류가 완료된 블록 타입의 내화벽돌(51)을 설치함으로써 상부 인라이너(20)의 열변형이 아래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한다. 내화벽돌(51)은 일반 단열벽돌보다 강도가 높고 폭열 현상에 강한 특수 내화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내화벽돌 영역(50)에서 단열재(11)와 내화벽돌(51) 사이에 복수의 단열벽돌(52)이 위치할 수 있다. 단열벽돌(52)은 내화벽돌(51)보다 내열성이 다소 낮은 대신 내부에 더 많은 기공을 보유하여 더 가볍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단열벽돌(52)은 단열재(11)와 더불어 본체(10) 내부의 열이 보호 강판(12)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한다.
예를 들어, 내화벽돌(51)은 알루미늄산화물(Al2O3)과 지르코늄산화물(ZrO2) 및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고, 단열벽돌(52)은 알루미늄산화물(Al2O3)과 실리콘산화물(SiO2) 및 철산화물(Fe2O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분환원철 저장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면, 제2 수직부(143)의 중간에 맨홀(16)이 위치할 수 있고, 맨홀(16)은 단열 캐스터블로 채워질 수 있다. 하부 인라이너(30)는 맨홀(16) 아래로 제2 수직부(143)의 하측부에서 단열재(11)의 내측에 위치한다. 하부 인라이너(3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바닥부(15) 상측의 지지대(17) 위에 안착된다.
본체(10)에 저장된 분환원철은 유동성이 떨어지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질소 주입노즐(60)이 제2 수직부(143)와 하부 인라이너(30)를 관통하여 하부 인라이너(30) 내부로 확장 설치된다. 하부 인라이너(30)는 분환원철이 질소에 의해 버블링되는 제2 수직부(143)의 하측부에 제공된다.
분환원철에 주입되는 질소는 상온이지만 조업 중 본체(10) 내부의 온도는 대략 550℃ 내지 650℃ 수준으로 높다. 종래에는 측벽의 내부 전체에 인라이너를 설치하고, 질소 주입노즐을 수직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였으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질소 주입노즐이 분환원철의 유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가장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질소 주입노즐(60)은 내화벽돌 영역(50)에 설치되지 않고, 분환원철 배출관(73) 바로 위의 제2 수직부(143)에서 1단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인라이너(30)가 분환원철이 질소에 의해 버블링되는 제2 수직부(143)의 하측부에 제공되어 단열재(11)를 보호한다.
또한, 질소 주입노즐(60)은 하부 인라이너(30)의 내측으로 확장되어 질소가 분출되는 단부가 하부 인라이너(30)의 내주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따라서, 질소가 하부 인라이너(30)를 포함한 본체(10)의 내부 설비에 직접 접촉할 가능성을 줄여 분환원철 저장장치(1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하부 인라이너(30)는 조업 중 수직 방향으로 열팽창할 수 있다. 이러한 열팽창을 고려하여 하부 인라이너(30)의 상단과 맨홀(16) 주변 사이에 간격을 두면, 이 간격을 통해 분진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인라이너(30)의 열팽창을 흡수하면서 분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봉부(90)가 하부 인라이너(30)의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밀봉부(90)는 하부 인라이너(30)의 외주면에 부착된 충진물 지지대(91)와, 충진물 지지대(91)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온용 충진재(92)와, 맨홀(16) 아래에 고정되며 고온용 충진재(92)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부재(93)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물 지지대(91)는 상측이 개방된 니은(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 부재이며, 충진물 지지대(91)의 상단은 하부 인라이너(30)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고온용 충진재(92)는 고온에 강한 세라믹을 밧줄 형태로 길게 만든 세라믹 로프일 수 있고, 충진물 지지대(91) 내부에서 하부 인라이너(30)의 둘레를 여러 번 감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고온용 충진재(92)의 일부는 충진물 지지대(91) 위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재(93)는 맨홀(16) 주변의 단열재(11) 하단에 고정되며, 고온용 충진재(92)를 향해 뾰족한 돌기(931)를 가진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93)는 하부 인라이너(30) 및 충진물 지지대(91)와 거리를 두고 이들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으며, 돌기(931)를 이용하여 고온용 충진재(92)를 아래로 가압한다. 질소 주입노즐(60)은 충진물 지지대(91)보다 낮게 위치한다.
하부 인라이너(30)는 조업 중 수직 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가압부재(93)에 의해 눌린 고온용 충진재(92)가 맨홀(16) 주변의 단열재(11)와 하부 인라이너(30) 사이의 틈새를 항상 막고 있다. 따라서, 밀봉부(90)는 하부 인라이너(30)의 팽창과 수축을 허용하면서 분진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수직부(143)의 단열재(11)와 하부 인라이너(30) 사이는 제2 섬유내화 단열재(31)로 채워질 수 있다. 제2 섬유내화 단열재(31)는 세라믹 섬유와 유리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불솜 형태의 섬유를 압축하여 천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섬유내화 단열재(31)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하부 인라이너(30)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분환원철 저장장치(100)는 온도 변화가 크고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영역에 한해 인라이너(20, 30)를 상하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한쪽 인라이너의 열변형이 다른쪽 인라이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인라이너(20)와 하부 인라이너(30) 사이를 고온에 강한 내화벽돌 영역(50)으로 채워 폭열에 대비할 수 있으며, 고온용 충진재(92)가 하부 인라이너(30)의 상측 틈새를 막아 분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분환원철 저장장치 10: 본체
11: 단열재 12: 보호 강판
20: 상부 인라이너 21: 일체형 보강재
30: 하부 인라이너 40: 분리형 인라이너
50: 내화벽돌 영역 51: 내화벽돌
52: 단열벽돌 60: 질소 주입노즐
71: 분환원철 주입관 72: 가스 배출관
73: 분환원철 배출관 90: 밀봉부

Claims (10)

  1. 상측부에 분환원철 주입관이 설치되고 하측부에 질소 주입노즐이 설치된 측벽과, 측벽과 연결된 상부 돔 및 바닥부로 구성되며, 단열재 및 단열재 외측의 보호 강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분환원철 주입관이 설치된 상기 측벽의 상측부에서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 인라이너와, 상기 질소 주입노즐이 설치된 상기 측벽의 하측부에서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 인라이너를 포함하는 분리형 인라이너; 및
    상기 측벽 중 상기 상부 인라이너와 상기 하부 인라이너 사이에서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내화벽돌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원통형 부재이고, 외주면에 원주 방향과 나란한 복수의 원주형 리브와, 복수의 원주형 리브와 직교하는 복수의 수직형 리브로 구성된 일체형 보강재를 구비하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 돔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와, 제1 수직부 아래의 콘부와, 콘부 아래의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라이너는 상기 제1 수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인라이너는 상기 제2 수직부의 하측부에 위치하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라이너와 상기 단열재 사이는 제1 섬유내화 단열재로 채워지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부의 중간에 단열 캐스터블로 채워진 맨홀이 위치하고,
    상기 내화벽돌 영역은 상기 콘부 전체와 상기 제2 수직부 중 상기 맨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돌 영역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화벽돌 사이에 복수의 단열벽돌이 위치하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원통형 부재이고, 상기 맨홀 주변과 틈새를 두고 위치하며,
    상기 인라이너의 상단에 밀봉부가 제공되어 상기 하부 인라이너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상기 틈새를 막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부 인라이너의 외주면에 부착된 충진물 지지대와, 충진물 지지대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온용 충진재와, 상기 맨홀 아래에 고정되며 고온용 충진재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용 충진재는 세라믹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인라이너의 둘레를 여러 번 감은 형태로 상기 충진물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고온용 충진재를 향해 뾰족한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고온용 충진재를 누르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라이너와 상기 단열재 사이는 제2 섬유내화 단열재로 채워지는 분환원철 저장장치.
KR1020190042583A 2019-04-11 2019-04-11 분환원철 저장장치 KR10226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83A KR102265696B1 (ko) 2019-04-11 2019-04-11 분환원철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83A KR102265696B1 (ko) 2019-04-11 2019-04-11 분환원철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16A KR20200120116A (ko) 2020-10-21
KR102265696B1 true KR102265696B1 (ko) 2021-06-15

Family

ID=7303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83A KR102265696B1 (ko) 2019-04-11 2019-04-11 분환원철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002A (ko) 2022-08-29 2024-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환원철 저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309A (en) * 1986-03-17 1988-02-16 Hylsa,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ot direct reduced iron
JPH0860215A (ja) * 1994-08-17 1996-03-05 Kawasaki Heavy Ind Ltd 流動層炉とそれを用いる溶融還元装置
AT405521B (de) * 1996-05-17 1999-09-27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zum behandeln teilchenförmigen materials im wirbelschichtverfahren sowie gefäss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1036633B1 (ko) * 2003-12-16 2011-05-24 주식회사 포스코 유동환원설비의 분환원철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16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696B1 (ko) 분환원철 저장장치
CN101705102A (zh) 一种新结构的干熄炉
US8119059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lten irons
KR101699236B1 (ko) 용철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철 제조 방법
TW461920B (en) Method of producing reduced iron and production facilities therefor
EP3892744B1 (en) Sintered ore manufacturing method
TWI460276B (zh) 用於生產熔融金屬之還原及熔化爐以及用於生產熔融金屬之方法
JP6683212B2 (ja) フェロコークス製造用竪型乾留炉
KR100711765B1 (ko)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의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용철제조장치
KR20060006492A (ko)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의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용철제조장치
JP5181878B2 (ja) 溶銑製造方法
JP2019167599A (ja) 高炉羽口の耐火物構造
JP5966608B2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KR101699235B1 (ko) 용철 제조 방법
KR102255105B1 (ko) 환원로 분진 재활용장치
JP5131058B2 (ja) 鉄含有ダスト塊成化物および溶銑製造方法
JP5125819B2 (ja) 竪型溶解炉および溶銑製造方法
EP2006624B1 (en) Hearth structure of rotary hearth furnace
CN207391288U (zh) 轻烧氧化镁竖窑冷却拱装置
KR100395111B1 (ko)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KR200308386Y1 (ko) 파이넥스 유동로의 광석 흐름관 내화물 손상 방지장치
JP2024043832A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CN113330266A (zh) 用于容纳直接还原铁的容器
KR20030035491A (ko) 점화로의 소결원료 부착 방지장치
KR20210101292A (ko) 고로 내벽의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