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111B1 -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 Google Patents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111B1
KR100395111B1 KR10-2000-0081392A KR20000081392A KR100395111B1 KR 100395111 B1 KR100395111 B1 KR 100395111B1 KR 20000081392 A KR20000081392 A KR 20000081392A KR 100395111 B1 KR100395111 B1 KR 10039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furnace wall
blast furnace
repai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801A (ko
Inventor
최을용
김학형
우재태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8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1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36Repairing linings by projecting or spraying refractory materials on the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로내의 장입물 표면에 쌓인 노벽보수재에 그 사용량에 따라 다층상으로 통기 개선재를 장입시킴으로서, 고로의 재조업시 가스흐름을 고로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키어 조업도 상승을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로 노벽 보수전에 레벨이 저감된 장입물(110)층상에 차단재(140)를 장입시키고, 상기 차단재 (140)상에 낙하된 노벽 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에 따라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통기개선재(170)를 층상 장입시키어 노벽 보수후 고로의 재송풍시 조업 상승도 및 통기성을 조기에 확보하도록 하는 구성되는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METHOD FOR IMPROVING PERMEABILITY IN BLAST FURNACE AFTER REPAIR OF THE FURNACE WALL}
본 발명은 고로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고로의 노벽 보수작업시 발생하는 노벽에 미부착 노벽보수재층의 재송풍(再送風) 조업시 고로내의 원할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고로 노벽의 손상된 부위에 노벽보수재를 분사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부착 노벽보수재에 의한 고로 재송풍시의 통기성 저하를 방지토록 한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서는 일반적인 고로조업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00) 상부로 부터 레벨 측정기(112)로서 레벨이 측정되고 선회슈트(114)를 통하여 장입물(110) 즉, 철광석 및 코크스를 고로(100)내에 장입하고, 노 하부에 설치되는 풍구(120)를 통하여 송풍구(122)로서 고온의 열풍(124)을 노내에 불어 넣어서 환원용융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용선(130)을 생산하여 출선구(132)를 통하여 생산하게 되고, 이런 과정 중에 고로(100)에 장입되는 코크스 및 철광석이 노 하부에서 연소 및 환원용융에 따라 고로(100) 하부로 강하되는데, 이때 노체 철피(102)의 내측 내화연와(104)와 마찰되면서 상기 내화연와 (104)는 손상된다.
그리고, 고로(100) 하부에서 코크스 연소 및 철광석의 용융환원 과정 중에 발생된 가스(G)가 고로 상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상승하면서도 상기 노체의 내화연와(104) 표면과 접촉하는 때에 발생되는 화학적 침식반응에 의해 상기 노체 내부의 내화연와(104)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이와 같은 고로(100)는 높은 압력조건 하에서 노하부로 부터 노상부까지 노내 온도분포가 2200℃ 에서부터 400℃ 까지 고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온에도 견딜수 있도록 고로 노체구조를 특수하게 제작해야 될 필요가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체 외측에 철판으로 구성되는 철피(102)를 세우고 난 뒤에 그 안쪽으로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내화연와(104)을 축조하게 되는데, 이런 내화연와(104) 자체만으로는 고로(100)내의 고온에 충분히 대응할수 없기 때문에 내화연와(104)들 사이에 상기 내화연와(104)를 냉각시킬수 있는 냉각장치인 냉각반(미도시)을 설치하여 내화연와(104)의 냉각능력을 향상시키고, 내화연와 (104)의 손상을 감소시켜서 수명연장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고로(100) 노체에 설치된 상기와 같은 내화연와(104)의 마모손실량 증대에 의한 잔존량 감소는 노내 고온의 가스 및 장입물에 의한 열 부하가 상승되어 노체 냉각반등 냉각장치에 의해 노체가 냉각됨에도 불구하고 노체 철피 표면에 열 스폿(Hot Spot) 및 철피크랙(Crack)을 유발시켜서 고로(100)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고로(100)의 조업대기중 상기 고로(10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노체 내부에 설치되는 내화연와(104)의 손상부위를 복구하는 것이 고로 보수시의 필수적인 작업인데, 이를 위하여 고로(100) 노벽에 노벽보수재(150)를 분사시키는 고로노체의 내화연와(104) 보수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고로노체의 내화연와(104) 보수작업은 고로(100)내에 채워져 있는 장입물(110)을 내화연와(104)의 보수부위를 고려하여 일정 레벨까지 저하시키는 감척작업과, 고로(100)내에 장입물(110)이 저하된 내화연와(104)의 표면을 청소하는 크리닝(Cleaning) 작업, 손상된 내화연와(104) 표면에 분사방식으로 노벽보수재를 분사 접착시키는 작업, 그리고 마지막으로 노벽보수 완료후 고로 조업을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는 조업도 상승작업등으로 나누어 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노벽보수후, 조업도 상승작업이란 고로조업을 노벽보수작업 실시전의 정상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취해지는 일련의 작업을 말하며, 고로 정상조업도 달성기간 단축은 고로 노벽수리 기간중 생산량 감소를 최소화하는 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즉, 노벽보수후 조업도 상승을 위한 통상적인 조업방법은 건장입 실시(Dry charging)하고, 출선구(132) 상부의 풍구(120)를 제외한 다른 풍구(120)의 밀폐작업과 송풍구(122)에 의한 재송풍을 실시하며, 고로(100)내 코크스와 철광석의 추가 장입에 의한 장입물(110)의 레벨을 상승시키고, 고로(100) 풍구(120) 주변에서 송풍에너지를 고려한 단계적인 폐쇄 풍구(120)의 개공을 실시하고, 고로(100)내의 노열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분탄 취입량을 증대시기며, 고로(100)내의 저온 용융물 즉, 용선(130)과 슬래그의 배출작업 등으로 이어 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조업도 상승을 위한 작업중 첫번째의 건장입(Dry charging) 실시전에는, 고로(100) 내부에 남아있는 장입물(110)을 보온하고, 가스 및 분진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장입된 차단재(140)(sealing)와 노벽 보수시 노벽에 분사된 노벽보수재(150)가 노벽면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차단재(140)의 상부로 떨어지는 노벽보수재(150)층을 조기에 파괴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차단재(140)와 노벽보수재(150)층의 조기 파괴작업은 상기에서 설명한 노벽보수후, 정상조업을 수행하는데 그 시간단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노벽보수작업은 고로내에 투입되는 보수장비 즉, 보수재 분사노즐(160)로서 노벽 보수용 내화물인 노벽보수재 (150)를 분사하여 노벽 즉, 내화연와(104)를 보수하는데, 상기 노즐(160)은 조작반이 연결된 탱크(164)에서의 관(166)을 통하여 노벽보수재(150)를 공급한다.
한편, 이와 같은 차단재(140)와 그 상부로 낙하된 노벽보수재(150)층을 제거하는 종래의 작업은, 고로(100)내에 장비(미도시)를 투입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방법은 고온의 고로(100)내에 장비를 진입시키기 위하여 노하부의 내화연와(104)를 일부 제거해야하는 막대한 공사비용이 필요하고, 동시에 고로(100)를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고로(100)의 휴지 시간이 길어짐으로서 고로 생산량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벽보수를 위한 차단재(140)를 장입한후에는 장입물(110)층에 통기개선재(170)를 단층으로 투입하여, 노벽보수후에의 재송풍시 통기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노벽의 작은 부분이 손상되었을 경우, 소량의 노벽보수재(150)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다소의 효과가 있으나, 고로(100)의 사용기간이 길고 고출선비의 조업을 지속하는 고로(100)의 경우에는 노벽보수시 대략 50톤이상의 많은 노벽보수재(150)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만큼 낙하되는 노벽보수재(150)의 양이 많아서 상기와 같은 단층으로 통기개선재(170)를 사용하여서는 거의 효과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두 기술 모두 많은량의 노벽보수를 실시하는 경우에 또는, 노벽보수후 대략 10시간 이내에 고로(100)의 정상적인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업도 조기상승을 도모하는 데에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로내의 장입물층 표면에 쌓인 노벽보수재층에 그 사용량에 따라 다층상으로 통기 개선재를 장입시킴으로서, 고로의 재조업시 가스흐름을 고로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키어 조업도 상승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고로조업시 노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노벽 보수시의 노내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종래 노벽 보수후의 통기개선재가 단층으로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구간 층상형으로 통기 개선재를 투입하는 고로 통기성향상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한 노벽 보수후 재송풍시의 통기 저항지수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고로 104.... 내화연와
110... 장입물 120.... 풍구
130.... 용선 140.... 차단재
150.... 노벽 보수재 160.... 보수재 분사노즐
170.... 통기 개선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노정으로 부터 소결광과 코크스를 교대로 고로내에 장입하고, 풍구로부터 고온의 열풍과 미분탄을 취입하는 고로의 노벽인 내화연와를 보수하기 위하여 노벽보수재를 노벽에 분사시키는 고로노벽 보수작업에 있어서,고로노벽 보수전에 레벨이 저감된 장입물층상에 차단재를 장입시키고, 상기 차단재상에 낙하된 노벽보수재의 전체 사용량에 따라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통기 개선재를 층상 장입시키어 노벽 보수후 고로의 재송풍시 조업 상승도 및 통기성을 조기에 확보하도록 구성된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구간 층상형으로 통기 개선재를 투입하는 고로 통기성향상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한 노벽 보수후 재송풍시의 통기 저항지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이하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로 노벽인 내화연와(104)에 노벽보수재(150)를 분사하는 경우 내화연와(104)에 부착되지 않고 고로(100)내의 장입된 장입물(110)층의 상부로 낙하되는 노벽 보수재 (150)층 사이에 층상형태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하여, 노벽보수를 완료한 후의 고로(100)의 재송풍시, 노내 가스(G)가 고로 상부방향으로 고로내에서 보다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는 통로를 마련함으로서, 고로(100)의 가스류 흐름을 균일하게 하여 정상적인 고로의 재송풍 조업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하된 노벽 보수재(150)를 쉽게 파괴하기 위하여 노벽보수전에노내에 드럼통과 같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통기개선재(170)를 투입하는데, 노벽보수작업후 상기 노내에 장입물(110)을 장입할 때 장입물(110)의 충격에 의해 통기성개선재가 쉽게 찌그러지면서 낙하된 노벽 보수재(150)층이 파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출선 조업을 지속하는 고로(100)와 사용기간이 10년 이상되는 오래된 고로(100)는 대략 50톤이상의 많은 노벽보수재(150)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로(100)의 노벽 즉, 내화연와(104)부분을 보수하는 경우에는 내화연와(104)에 미부착되어 낙하되는 노벽 보수재(150)의 양이 많아서 상기와 같은 통기개선재(170)의 투입은 거의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노벽보수후, 장입물(110)층 표면으로 낙하되는 노벽보수재(150)의 양에 따라서 내부공간이 빈 주철성분의 통기 개선재(170)를 사용하고, 특히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서 구간별로 상기 통기 개선재(170)를 층상형태로 장입하여 노벽보수가 완료된 후, 고로(100)의 재송풍시 통기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고로(100)내의 장입물(110)층에 상승되는 가스 열차단용의 차단재(140)를 장입하고, 그 다음 상기 차단재(140) 표면으로 낙하하는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철성분으로 내부에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통 또는 원통형중의 하나로 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킨다.
이때, 상기 통기 개선재(170)가 사각통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변의 길이가 300mm - 1000mm 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통기 개선재(170)가 원통일경우는직경이 300mm - 1000mm으로 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킨다.
이때, 상기의 사각통 또는 원통 통기 개선재(170)의 길이 및 직경이 300mm이하이면, 그 크기가 너무작아 고로에 통기성을 향상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반대로 1000mm 보다 크면, 개선재(170)의 제작 및 취급상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300-1000mm 정도가 통기성 확보 및 취급상에서 적당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노벽 보수재의 사용량에 상관없이 통기 개선재(170)를 단층으로 장입시키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크기의 통기 개선재(170)를 사용하되, 상기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 각각 다 층상형태로 상기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하는 것이다.
보통, 고로(100)의 노벽 보수시에는 대략 100,000~200,000kg 정도의 노벽 보수재(15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체 노벽보수재(150)의 사용량중 대략 15%정도가 고로(100)내의 장입물(110)층 표면으로 낙하되게 된다.
즉, 최저 100,000kg 정도의 노벽 보수재(150)를 사용하여도 15,000kg 이라는 막대한 양의 장입물(110)층 표면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기존에 차단재(140)위에 단층의 통기 개선재(170)를 투입해서는 재송풍시 고로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은 180은 통기 개선재와는 다른 노벽 보수후 장입되는 공간채움물이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이 40,000kg 이하일 경우에는 통상적인 단층의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물(110)층위의 차단재(140)에 장입시키고,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이 41,000-80,000kg 일경우에는 2단층의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며,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이 81,000-120,000kg 일경우에는 3단층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며,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이 121,000-160,000kg 일경우에는 4단층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며, 마지막으로 200,000kg 이상일 경우에는 5단층으로 통기 개선재를 투입하여야만, 노벽 보수후, 고로의 재송풍시 원할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서 노벽보수중에 통기 개선재(170)를 다층으로 층상 장입함으로서, 노벽 보수재(150)가 경화되어 단단하게 굳어져도 층상별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기 때문에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 즉, 40,000kg 이하일경우에는 단층의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고, 41,000- 80,000kg 일경우에는 2단층 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며, 81,000-120,000kg 일경우에는 3단층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며, 121,000-160,000kg 일경우에는 4단층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고, 마지막으로 200,000kg 이상일 경우에는 5단층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는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로(100)의 구조상 낙하되는 노벽보수재(150)중 1/3 정도는 노벽인 내화연와(104)에 인접하여 낙하되게 되므로, 40,000kg 이하의 보수재(150)를 사용할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정도 낙하되는 노벽보수재(150)의 양을 감안하면 대략 6,000kg 정도가 낙하되게 되므로 낙하된 노벽 보수재(150)의 양이 6,000kg일경우에, 고로노벽 1/3 영역을 전부 덮어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 40,000kg 을 기준으로 하여, 40,000kg 증대시마다 1단층씩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켜야 효율적인 통기성 개선을 이룰수 있으며, 만약 가스차단용 차단재(140)의 장입후 최초 단일층만 통기 개선재 (170)를 장입시키는 종래에 방법에 의하면 노멱보수량이 410,000kg 이상에서는 그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서 단층에서 부터 5단층으로 구분하여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킨다.
결국,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100,000-200,000kg 정도의 노벽 보수재(15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차단재(140) 위에만 단층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는 경우에는 노벽 보수후, 고로(100)의 재송풍이 실시되면 노내 가스(G)가 낙하된 노벽 보수재(150)층의 밑부분만 통과하고 그 위로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수평 또는 아래방향으로 가스(G)가 흐르면서 오히려 노체의 열부하만 가중시켜 고로의 노벽 보수 효과가 전혀 없으며, 특히 고로의 정상 조업이 어려워 고로의 생산량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노황이 악화되는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13년된 고로(100)의 노벽보수시 130,000kg의 노벽 보수재(150)를 사용한후, 본 발명에 따라 통기 개선재(170)를 3단층으로 층상 장입시킨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벽 보수후 고로 재송풍시, 종래의 단층 통기 개선재(170)를 사용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3단층의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키는 경우에, 실제 고로 조업시 정상적인 통기성 저항지수인 3.0 이하로의 도달시간이 본 발명에서는 대략 7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반하여, 종래에는 상당힌 시간이 소요되어도 3.0 에 도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와 같이 노벽 보수재(150)의 사용량에 따라 단층-5층간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장입시킴으로서, 노벽 보수후의 고로 재송풍시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에 의하면, 노벽 보수중 장입물층 표면위로 낙하되는 노벽 보수재에 노벽보수재의 사용량에 따라 다층간의 통기 개선재를 장입시킴으로서, 고로의 재송풍시 보다 양호한 통기성을 조기에 제공하게 되어 고로 조업시의 가스류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조업도 상승을 극히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노정(116)으로 부터 소결광과 코크스를 교대로 고로내에 장입하고, 풍구(120)로부터 고온의 열풍과 미분탄을 취입하는 고로(100)의 노벽인 내화연와(104)를 보수하기 위하여 노벽보수재(150)를 노벽에 분사시키는 고로노벽 보수작업에 있어서,
    고로노벽 보수전에 레벨이 저감된 장입물(110)층상에 차단재(140)를 장입시키고, 상기 차단재(140)상에 낙하된 노벽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에 따라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통기 개선재(170)를 층상 장입시키어 노벽 보수후 고로의 재송풍시 조업 상승도 및 통기성을 조기에 확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선재(170)는 길이와 직경이 300mm - 1000mm으로 된 사각통 또는 원통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선재(170)는 노벽 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이 40,000kg 이하일 때에는 단층으로 장입시키고, 노벽 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이 40,000 - 80,000kg 일때에는 2단층으로 장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선재(170)는 노벽 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이 810,000 - 120,000kg 일때에는 3단층으로 장입시키고, 상기 통기 개선재(170)는 노벽 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이 1210,000 - 1600,000kg 일때에는 4단층으로 장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선재(170)는 노벽 보수재(150)의 전체 사용량이 200,000 kg 이상일 때에는 5단층으로 장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KR10-2000-0081392A 2000-12-23 2000-12-23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KR10039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92A KR100395111B1 (ko) 2000-12-23 2000-12-23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92A KR100395111B1 (ko) 2000-12-23 2000-12-23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801A KR20020051801A (ko) 2002-06-29
KR100395111B1 true KR100395111B1 (ko) 2003-08-21

Family

ID=276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392A KR100395111B1 (ko) 2000-12-23 2000-12-23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217A (ja) * 1996-07-25 1998-02-17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内壁吹付け補修後の炉内通気性改善方法
KR20000014413A (ko) * 1998-08-14 2000-03-15 이구택 고로노벽 보수작업에 있어서 조업도 상승방법
JP2000273510A (ja) * 1999-03-19 2000-10-0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内壁補修時における高炉操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217A (ja) * 1996-07-25 1998-02-17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内壁吹付け補修後の炉内通気性改善方法
KR20000014413A (ko) * 1998-08-14 2000-03-15 이구택 고로노벽 보수작업에 있어서 조업도 상승방법
JP2000273510A (ja) * 1999-03-19 2000-10-0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内壁補修時における高炉操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801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35073B (zh) 一种替代喷涂料和耐火砖的高炉内衬整体浇注施工方法
JP5659690B2 (ja) 焼結鉱冷却装置
CN109306387B (zh) 一种高炉冷却壁烧损后炉皮保护修复方法
CN111719029B (zh) 高炉炉缸用冷却壁受损和炭砖浸水或脆断后的修复方法
KR100395111B1 (ko) 노벽보수에 따른 고로 통기성 향상방법
KR101385416B1 (ko) 코크스로의 보수 방법
CN111893231A (zh) 一种高炉炉缸及其炉缸浇注长寿提升方法
CN101693931A (zh) 一种高炉风口部位的冷却装置
KR100797360B1 (ko) 정상조업온도의 조기확보를 위한 고로조업방법
KR101520825B1 (ko) 코크스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스 유도 방법
CN112871909A (zh) 欧冶炉还原炉排空方法
KR100825637B1 (ko) 고로의 노말기형 냉각반
KR100938485B1 (ko) 풍구 손상 방지 기술을 이용한 용선 제조 방법
KR100370567B1 (ko) 고로 노벽 보수작업후 풍량 조기 확보방법 및 그장치
JP3562346B2 (ja) コークス炉の炉壁補修方法
HOSSAIN et al. BF Stove 1 External Combustion Chamber Hot Major Repair by Ceramic Welding at Tata Steel Kalinganagar (TSK)
CN220583101U (zh) 一种球团环冷机台车栏板内衬预制砖可调固定装置
KR20010056828A (ko) 고로 노벽보수시 로내 장입물의 밀봉방법
KR20040031301A (ko) 고로 노벽 보수방법
KR100903640B1 (ko) 고로의 리바운드로스층 제거방법 및 리바운드로스층 제거용실링재
JP2000309813A (ja) 高炉炉体のクーリングステーブ取付け工法
KR101105910B1 (ko) 스토퍼
KR100460661B1 (ko) 고로가스 집진라인의 디가싱타워 수위조절장치
KR100851952B1 (ko) 용광로 노벽 보수시 난환원성 물질 조기배출방법
KR101008367B1 (ko) 임시 탕도 내의 용융물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