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111B1 - 모형자 - Google Patents

모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111B1
KR102265111B1 KR1020190155388A KR20190155388A KR102265111B1 KR 102265111 B1 KR102265111 B1 KR 102265111B1 KR 1020190155388 A KR1020190155388 A KR 1020190155388A KR 20190155388 A KR20190155388 A KR 20190155388A KR 102265111 B1 KR102265111 B1 KR 10226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plate
rotation
rotat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312A (ko
Inventor
박선주
Original Assignee
박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주 filed Critical 박선주
Priority to KR102019015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1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05Straightedges combined with other draw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20Curve rulers or templet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간부가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은 회전하면서 서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형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형자 {RULER FOR FORMING FIGURES}
본 발명은 모형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판을 이용하여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완성할 수 있는 모형자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크기의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도형을 그리고자 할 때에는 각도기와 컴퍼스 및 자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그리게 되는데, 이 때문에 사용자는 각도기와 컴퍼스 및 자 등을 따로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26693호의 원 그리기 도구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테두리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원판을 구비하고, 이 원판을 회전시켜 가면서 원하는 각도와 지름의 호 등을 그릴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 특허 문헌의 원 그리기 도구는 테두리부를 이용하여 직선을 그린 다음, 도구를 전체적으로 이동하여 앞서 그린 직선의 위치에 원점을 맞춘 후, 원이나 호를 이어 그려야 하고, 이 때문에 원이나 호를 그리기 위해 매번 도구를 움직여 가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먼저 그린 직선과 원이나 호의 중심점을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못하면 원이나 호가 잘 못 그려지기 때문에 원이나 호를 정확한 위치에 그리기 쉽지 않던 문제도 있다. 나아가, 오직 원 모양만 다양한 크기로 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른 도형은 그릴 수 없는 불편함도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26693호 (2000.11.2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판을 이용하여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완성할 수 있는 모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간부가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은 회전하면서 서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형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에 의한 도형의 조합은 상기 베이스판의 공간부 상측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길이 방향 측단부에 눈금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길이 방향 측단부에 눈금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은 회전 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서로 높이 단차를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회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압이 걸린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은 예압이 걸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소정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각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판을 이용하여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용이하게 완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층이 사용하게 되면 도형의 모양과 크기를 이해시킴과 동시에 두뇌개발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노인 층이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맞춤으로써 치매예방 효과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형자(1000)는 베이스판(100), 제1 회전판(200) 및 제2 회전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형자(1000) 공간부(110)가 형성된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210)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310)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판(3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은 회전하면서 서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f)을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베이스판(100)은 바닥에 밀착되는 부분이며,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제1 회전판(200)과 제2 회전판(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회전판(200)과 상기 제2 회전판(300)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는 적용 가능하다.
베이스판(100)의 중앙부에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공간부(110)가 마련된다.
제1 회전판(200)에 관통 형성된 도형의 일부(210)와 제2 회전판(300)에 관통 형성된 도형의 일부(310)의 조합에 의해 완성된 도형(f)은 상기 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회전판(200) 및 제2 회전판(300)에 의한 도형의 조합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공간부(110) 상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베이스판(100)의 하면에 종이 등을 마련한 다음, 완성된 도형을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110)를 통해 작도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판(100)은 길이 방향 측단부에 눈금자(120)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금자(120)가 상기 베이스판(100)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조합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회전판(20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측에 제1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회전판(20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210)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회전판(200)에는 원형의 일부, 삼각형의 일부, 사각형의 일부, 기타 다각형의 일부 등 다양한 형태의 도형의 일부(210)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판(30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타측에 제2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회전판(30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도형의 일부(310)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회전판(300)에는 원형의 일부, 삼각형의 일부, 사각형의 일부, 기타 다각형의 일부 등 다양한 형태의 도형의 일부(310)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의 각각의 변에는 하나의 도형의 일부가 회전판의 중심 방향을 향해 크기별로 배열 및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2 회전판(200, 300)의 하나의 변에는 특정 도형의 일부가 회전판의 중심 방향을 향해 크기별로 배열 및 관통 형성되어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2 회전판(200, 300)의 면적 활용이 용이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제1, 2 회전판(200, 300)에 보다 다양한 도형 및 크기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은 회전 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서로 높이 단차를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회전판(200)과 제2 회전판(300)은 베이스판(100) 상에서 각각 회전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완성된 도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판(200)과 상기 제2 회전판(300)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면 서로 회전하면서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 작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판(200)과 제2 회전판(300)이 상기 베이스판(100) 상에 서로 높이 단차를 형성하면서 장착되면, 즉, 상기 제1 회전판(200)과 상기 제2 회전판(300)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하면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회전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형자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형자(1000)는 일단이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100)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탄성부재(400)는 서로 다른 회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압이 걸린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회전판(200)에 상기 탄성부재(40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상기 제1 회전판(200)의 회전축(220)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돌출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0)에는 상기 제2 회전판(3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예압이 걸려 있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회전판(200)은 상기 제2회전판(200)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형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상기 제1 회전판(200)에 예압이 걸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을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판(300)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후 용이하게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2 회전판(300)에 상기 탄성부재(400)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은 예압이 걸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베이스판(100)에 형성된 가이드홈(130)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소정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판(200) 및 상기 제2 회전판(30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30)이 상기 회전축의 양측을 지지해줌에 따라 회전 동작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모형자(1000)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도형을 용이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층이 사용하게 되면 도형의 모양과 크기를 이해시킴과 동시에 두뇌개발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노인 층이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맞춤으로써 치매예방 효과도 갖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모형자
100 베이스판
110 공간부
120 눈금자
130 가이드홈
200 제1 회전판
210 도형의 일부
220 제1 회전축
300 제2 회전판
310 도형의 일부
320 제2 회전축
400 탄성부재

Claims (7)

  1. 공간부가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형의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형의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은 회전하면서 서로 도형을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에 의한 도형의 조합은 상기 베이스판의 공간부 상측에서 이루어지는 모형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길이 방향 측단부에 눈금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의 각각의 변에는 하나의 도형의 일부가 회전판의 중심 방향을 향해 크기별로 배열 및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은 회전 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서로 높이 단차를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
  6.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회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압이 걸린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은 예압이 걸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소정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자.
KR1020190155388A 2019-11-28 2019-11-28 모형자 KR10226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8A KR102265111B1 (ko) 2019-11-28 2019-11-28 모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8A KR102265111B1 (ko) 2019-11-28 2019-11-28 모형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12A KR20210066312A (ko) 2021-06-07
KR102265111B1 true KR102265111B1 (ko) 2021-06-15

Family

ID=7637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88A KR102265111B1 (ko) 2019-11-28 2019-11-28 모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55B1 (ko) 2007-10-23 2008-07-07 오혜인 정다각형을 작도할 수 있는 다기능자
CN207403444U (zh) 2017-04-25 2018-05-25 鹤壁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应用数学教学用组合绘图尺
CN207466185U (zh) 2017-06-16 2018-06-08 泉州市明盛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圆形量角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7A (ja) * 1996-06-17 1998-01-06 Shinji Kato フラットコンパス
JP2000326693A (ja) 1999-05-24 2000-11-28 Yoshitaka Yamauchi 円描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55B1 (ko) 2007-10-23 2008-07-07 오혜인 정다각형을 작도할 수 있는 다기능자
CN207403444U (zh) 2017-04-25 2018-05-25 鹤壁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应用数学教学用组合绘图尺
CN207466185U (zh) 2017-06-16 2018-06-08 泉州市明盛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圆形量角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12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0199B2 (ja) 角度定規を具備した製図用直尺定規
JP5063102B2 (ja) 裁断装置
CN109210072A (zh) 沿引导槽运动的球状接头单元
KR102265111B1 (ko) 모형자
US4791733A (en) Student's multi-function protractor
US20060286909A1 (en) Grinding wheel structure
CN108128061B (zh) 一种多功能圆规
US6553676B1 (en) Protractor
US5174036A (en) Multi-functional ruler
JP7209341B2 (ja) 折畳定規
KR20150025477A (ko) 다각형 제도기
KR100242871B1 (ko) 제도용 만능자
JP2000326693A (ja) 円描具
WO2020029108A1 (zh) 一种儿童画图工具
TWM580193U (zh) Animation machine
JPH0449716Y2 (ko)
JP2008507427A (ja) 簡易化座標穴機構を有する幾何学的道具
TWI522249B (zh) Can draw multi-angle mathematical curve of the circular scale
US1012340A (en) Draftsman's triangle.
KR101212957B1 (ko) 쿠션 패드 일체형 책상
KR102606881B1 (ko) 제도용 자
KR200171922Y1 (ko) 다기능 자
KR200197870Y1 (ko) 다기능 직선자
JP3866260B2 (ja) 円を描く定規
CN208133902U (zh) 一种经济管理专用组合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