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216B1 - 이어 팁 - Google Patents

이어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216B1
KR102264216B1 KR1020200086350A KR20200086350A KR102264216B1 KR 102264216 B1 KR102264216 B1 KR 102264216B1 KR 1020200086350 A KR1020200086350 A KR 1020200086350A KR 20200086350 A KR20200086350 A KR 20200086350A KR 102264216 B1 KR102264216 B1 KR 10226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aft
ear tip
sound wave
coupling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Priority to KR102020008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필터부재 및 이를 지지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이어 팁을 개시한다. 이어 팁은 하단부와 상단부를 구비하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음파를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며 균일한 내측면을 구비하는 중공축, 중공축을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와 접촉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외형을 구성하는 접촉 인터페이스, 음파로와 연통하는 단일한 개구를 구비하고 중공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상단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및 개구를 덮도록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음파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중공축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 팁{Ear tip for an ear phone}
본 발명은 이어 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에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와 이를 이어 팁의 내부에 결합하는 결합 링을 구비하는 이어 팁에 관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음원을 청취하거나 고음질의 음원을 청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헤드폰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외부에서 주위의 방해를 받지 않고 개인적으로 음악이나 강의 등을 청취할 기회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기능성의 헤드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어폰은 음향을 출력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귓구멍 피부와 접촉하는 이어 팁으로 구성된다. 본체는 딱딱한 플라스틱(hard polymer)이나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며 단부에는 이어 팁과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홈과 걸림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어 팁은 본체의 홈 및 걸림턱과 결합하여 본체에서 출력된 음향을 귀속으로 전달하고 귓구멍 내부의 피부에 밀착되어 귓구멍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킴으로써 음질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어 팁은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와 상기 음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음파로를 둘러싸고 피부와 밀착되는 연질 외피를 구비하는 시트 타입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트 타입의 종래 이어 팁은 음파로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회수가 증가할수록 귀지와 같은 귀속 이물질이나 생활 속의 다양한 미세물질이 음파로를 통하여 유입되어 외피와 음파로의 경계영역에서 외피의 내측면에 축적되거나 음파로의 내측부에 결합되는 이어폰 본체의 상면에 퇴적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이어 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좁은 설치공간을 갖는 이어 팁의 내부에 필터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이어 팁의 상단부에 결합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이물질 방지용 필터부재를 고정하는 이어 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이어 팁은 하단부와 상단부를 구비하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로 음파를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며 균일한 내측면을 구비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을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와 접촉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외형을 구성하는 접촉 인터페이스(contact interface), 상기 음파로와 연통하는 단일한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상단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상기 음파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음파로 및 상기 개구를 경유한 상기 음파가 통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공축의 상면과 평행하게 상기 필터부재를 위치시키는 평탄한 상면, 상기 개구를 한정하도록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고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는 하면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는 상기 중공축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내측면은 동일한 표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는 상기 중공축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축에 매립되는 매립부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단부에 상기 제1 측면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음파로를 향하여 노출되는 노출면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매립부는 전면에서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고 상기 노출면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매립부와 상기 돌출부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매립부는 전면에서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고 상기 노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과 상기 노출면을 연결하는 베이스 단차면을 구비하여 상기 매립부는 상기 돌출부보다 큰 매립두께를 갖는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면에 상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함몰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수용부의 상면과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공축의 외부에서 상기 하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상기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공축을 둘러싸는 외피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추가 음파로 및 외부와 연통하는 최종 음파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외피의 외측면을 덮는 형상부재(body shap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공축의 외측면과 직접 접촉하여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 환경에 따라 형상을 조절하는 탄성을 구비하는 벌크(bulk)형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부재(400) 및 상기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중공축(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가 배치되어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중공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필터부재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고 이어폰과 같은 음원소스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400)의 상부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필터부(420)를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한다. 이에 따라, 이어 팁(500)과 음원소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부(420)의 상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 인터페이스(200)를 단일한 외피(210)뿐만 아니라 외피(210)와 형상부재(220)의 이중막 구조물로 구성하거나 단일한 벌크형 실린더 몸체(260)로 구성하여 중공축(100)에 대한 결합부재(300) 및 필터부재(4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 팁을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변형 이어 팁의 중공축과 제1 변형 결합부재 사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매립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매립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이어 팁에 구비된 제3 변형 결합부재(30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 팁을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0)은 하단부(SB)와 상단부(ST)를 구비하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하단부(SB)로부터 상기 상단부(ST)로 음파를 전달하는 음파로(SP)를 제공하며 균일한 내측면(132)을 구비하는 중공축(100), 상기 중공축(100)을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와 접촉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외형을 구성하는 접촉 인터페이스(contact interface, 200), 상기 음파로(SP)와 연통하는 단일한 개구(O)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상단부(ST)에 고정되는 결합부재(300), 및 상기 개구(O)를 덮도록 상기 결합부재(300)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상기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음파로(SP) 및 상기 개구(O)를 경유한 상기 음파가 통과하는 필터부재(40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중공축(100)은 이어폰과 같은 음원소스에 연결되어 음원소스로부터 전송된 음향을 사용자의 귀속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공축(100)은 외부의 음원소스를 상기 중공축(100)의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110), 상기 음원소스와 중공축(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20) 및 상기 걸림턱(120)과 일체로 연결되는 몸체(130)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120)에 고정된 음원소스로부터 전달된 음향은 몸체(130)에 의해 둘러싸인 음파로(SP)를 따라 사용자의 귀속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부(110) 및 걸림턱(120)은 몸체(130)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경사면을 갖는 원추형상으로 배치되어 이어폰과 같은 외부 음원소스를 중공축(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음원소스는 외력에 의해 가이드부(110)를 따라 미끄러져 상기 걸림턱(120)에 안착된다. 걸림턱(120)은 상기 몸체(130)의 실린더 내측면(132)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상기 음파로(SP)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중공축(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음원소스는 상기 걸림턱(120)에 걸려서 걸림턱에 의한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중공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축(100)과 음원소스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130)는 균일하고 매끈하게 형성된 내측면(132)과 상기 내측면(132)에 대칭인 외측면(134)을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제공되어 음원소스로부터 전송된 음파를 균일하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30)는 내측면(132)와 외측면(134) 사이의 두께를 갖게 된다. 음파는 상기 내측면(132)을 따라 균일한 반사와 굴절을 통하여 상단부(ST)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면(132)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물을 구비하는 몸체(130)와 비교하여 상기 음파로(SP)를 따라 전송되는 음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중공축(100)은 음파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공축(100)은 약 50° 내지 60°의 경도를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음향소스와의 용이한 결합 및 안정적적인 고정을 위해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110)와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걸림턱(120)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음향소스의 형태와 구성에 따라 다양한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이 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걸림턱(120)과 인접한 중공축(100)의 하단부(SB)에 음원소스가 고정되고 상기 하단부(SB)와 대향하는 중공축(100)의 상단부(ST)를 통하여 음파는 귀속으로 전송된다. 즉, 음파로(SP)는 하단부(SB)와 상단부(ST)를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파는 음파로(SP)내에서 하단부(SB)로부터 상단부(ST)를 향하여 전파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중공축(100)을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와 접촉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이어 팁(500)의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200)는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피부와 접촉하므로 평균적인 귓구멍의 형상에 부합할 수 있는 외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중공축(100)의 외부에서 상기 하단부(SB)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상기 상단부(ST)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축(100)과의 사이에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공축(100)을 둘러싸는 외피(2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피(210)는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서는 접촉되고 하단부(SB)에서는 개방되는 도가니 형상을 갖는다.
상기 외피(210)는 사용자의 착용 안정감을 높이고 귀속 이물감을 낮추기 위해 부드러운 실리콘 겔이나 고무로 구성되며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약 10° 내지 40°의 경도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외피(210)는 충분한 연성을 갖는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중공축(100)은 외피(210)보다 더 큰 경도를 갖도록 구성하여 중공축(100)은 원활한 음향의 반사를 보장하고 외피(210)는 사용자의 귀속에서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외피(210)는 상단(ST)과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는 연결부(212) 및 상기 중공축(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둘러싸서 상기 중공축(100)과의 사이에 이격공간(S)을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시트부(214)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212)는 하부에 위치하는 차단필터(400)의 상면을 덮어 결합부재(300)에 대한 차단필터(400)의 접착력을 강화하고 몸체(130)의 상면과 상단(ST) 측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중공축(100)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12)는 몸체(130)의 중심축을 따라 차단필터(4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면(212a)과 상기 수직면(212a)으로부터 차단필터(400)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수평면(21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면(212a)은 수직방향을 따라 몸체(130)의 내측면과 일렬로 배치되어 차단필터(300)의 상부에 상기 음파로(SP)와 연통하고 상기 수직면(212a)에 의해 둘러싸인 추가 음파로(ASP)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추가 음파로(ASP)의 내부에는 별도의 구조물이 추가로 배치되지 않고 필터부재(400)와 연결부(212)의 수직면(212b)에 의해 한정되어 외부와 직접 연통된다. 따라서, 이어 팁(500)의 사용상태에서는 추가 음파로(ASP)는 사용자의 내이공간과 직접 연통하고 미사용 상태에서는 주위환경과 직접 연통된다. 이에 따라, 이어 팁(500)의 사용상태에서 발생한 이물질은 직접 필터부재(400)의 상면에 집적되고 미사용 상태에서는 직접 외부환경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파로(SP)와 추가 음파로(ASP)는 모두 실린더 형상을 구비하여 단면 원은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게 된다. 상기 수평면(212b)은 외피(210)를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이 주입되는 실리콘 주입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부(212)의 상면은 수평면(212b)으로 구성된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어 팁(500)의 구성에 따라 라운드 형상이나 상기 추가 음파로(ASP)를 향하여 돌출한 돌출 링 형상과 같이 이어 팁(500)의 특성과 제조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시트부(214)는 연결부(2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에 밀착되어 귀속과 외부를 분리한다. 시트부(214)의 하단은 상기 중공축(100)의 하단(SB)보다 더 낮거나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음파로(SP)와 연통하는 단일한 개구(O)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100)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어 상기 상단부(ST)에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재(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상단부(ST)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공축(100)의 횡단면과 평행하게 상기 필터부재(400)를 위치시키는 평탄한 상면(320), 상기 개구(O)를 한정하도록 상기 개구(O)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면(320)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1 측면(310), 상기 제1 측면(310)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상면(32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고 상기 중공축(100)과 면접촉하는 제2 측면(330) 및 상기 제1 측면(310) 및 상기 제2 측면(330)과 연결되고 상기 중공축(100)과 면접촉하는 하면(340)을 구비하는 입체 구조물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300)는 중공축(100)과 동일한 중심축 상에 상기 개구(O)의 중심이 위치하는 디스크 링 또는 중공 디스크(hollow disk)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중공축(100)과 동일한 중심축을 따라 위치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100) 상에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상기 결합부재(3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면(340) 및 제2 측면(330)의 전면에서 중공축(100)과 면접촉하여 결합부재(300)를 고정하고 제1 측면(310)은 음파로(SP)와 연통하는 개구(O)를 한정한다. 상기 필터부재(400)는 상면(3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면(320) 상에 위치하는 필터부재(400)를 중공축(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스테이지로 제공된다. 특히, 상기 결합부재의 폭(w)을 음파로(SP)보다 같거나 크게 조절함으로써 필터부재(400)의 결합 스테이지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400)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필터부재(400)와 중공축(1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다양한 재질이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300)는 실리콘(silicone), 탄성부재(elastomer), 플라스틱 및 탄성 금속부재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중공축(100)의 두께인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과 소정의 두께(t)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30)의 내경(Dx)과 동일한 직경(Dr)을 갖는 개구(O)를 구비하는 디스크 링(disk ring)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제1 측면(310)과 상기 내측면(132)이 동일한 표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중공축(100)에 매립되어 상기 하면(340)과 제2 측면(330)은 전면에 걸쳐 몸체(130)와 면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하면(340)과 제2 측면(330)에서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부재(300)는 몸체(130)에 고정되고 상기 음파로(SP)는 결합부재(300)의 두께(t)만큼 연장된다.
이때, 상기 상면(320)은 추가 음파로(ASP)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재(400)가 위치한다. 상술한 외피(210)의 연결부(212)는 필터부재(400)의 상면에 배치되어 필터부재(400) 및 몸체(130)와 동시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400)는 연결부(212), 제2 측면(330) 및 하면(340)을 통하여 몸체(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폭(w2)이 상기 제1 폭(w1)보다 작은 경우를 예시적으로 개시하고 있지만, 제2 폭(w2)은 상기 제1 폭(w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130)의 상단부(ST)는 상기 결합부재(300)에 의해 대체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중공축(100)과 단일한 성형가공에 의해 중공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00)는 중공축(100)과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합부재(300)는 중공축(100)과 별개의 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중공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300)는 필터부재(400)가 결합된 결합 구조물의 형태로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00)는 결합공정의 특성이나 결합부재(300)와 필터부재(400)의 결합특성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중공축(100)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하는 디스크 링이나 중공 디스크와 같이 연속적인 상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공축(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는 다수의 부채살(grate)로 구성되어 불연속적인 상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재(400)는 상기 개구(O)를 덮도록 상기 결합부재(300)의 지지면(320) 상에 결합되어 이물질(F)이 상기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부재(400)는 이물질(F)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관통 홀(PH)을 구비하여 상기 음파로(SP) 및 상기 개구(O)를 경유한 음파는 필터부재(F)를 통과하여 귀속으로 전파된다.
필터부재(400)에 의해 음파로(SP)는 귀속의 내부 환경으로부터 분리되어 귀지와 같은 귀속의 이물질이나 땀과 같은 수분이 음파로(SP)를 통하여 음원소스인 이어폰의 상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필터(400)는 결합부재(300)의 지지면(320)에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이물질(F)이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420)를 구비한다. 따라서, 고정부(410)에 의해 결합부재(300)에 고정되고, 필터부(420)는 중공축(100)의 내부공간인 음파로(SP)와 결합부재(300)의 개구(O)를 덮어 이물질(F)이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면, 고정부(410)는 지지면(320)에 접착되고 외피(210)의 연결부(212)에 의해 커버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410)는 결합부재(300)의 지지면(320)과 외피(210)의 연결부(212) 사이에 위치하여 필터부재(400)와 결합부재(300) 및 중공축(100)은 충분한 강도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420)는 연결부(210)에 의해 한정되는 추가 음파로(ASP)의 바닥면을 구성하여 추가 음파로(ASP)에서 음파로(SP)로 공급되는 이물질(F)은 차단하고 음파로(SP)에서 추가 음파로(ASP)로 전달되는 음파는 전달하도록 필터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음파는 음파로(SP)와 추가 음파로(ASP)를 통하여 음원 소스로부터 귀속으로 전달된다.
특히, 필터부(420)의 상부에는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외부환경으로 직접 노출되도록 개방시켜 필터부(4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간단하게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추가 음파로(ASP)는 이어 팁(500)의 사용상태에서는 사용자의 귀속으로 직접 노출되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환경으로 직접 노출시킴으로서 이어 팁(500)과 음원소스(이어폰)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필터부(420)의 상면에 적층되는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음파로(ASP)를 구성하는 연결부(210)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음파의 전송품질을 높일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필터부재(400)는 결합부재(300)에 충분하게 접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중공축(100)은 실린더 형상의 음파로(SP)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필터(300)는 음파로(SP)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원형 부재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과 같은 다양한 부재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필터부재(400)는 음파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 홀(PH)을 구비하는 다공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PH)은 필터부재(400)의 전면을 통하여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음파로(SP)를 덮는 필터부(420)에만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 홀(PH)은 약 0.1mm 내지 약 0.25mm의 직경을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 홀(PH)의 직경은 귀지와 같이 주로 귀속 내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물질(F)들의 평균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필터부재(400)는 상기 결합부재(300)에 접착된 그물(mesh) 형상을 갖는 망사 구조물 및 다수의 공극을 구비하는 다공성 벌크 구조물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망사 구조물은 연성 페브릭(fabric) 및 철사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어 팁(500)에 의하면,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부재(400) 및 상기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중공축(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가 배치되어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중공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필터부재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고 이어폰과 같은 음원소스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어 팁의 사용회수가 증가할수록 귀지나 땀과 같은 수분이 이어폰으로 유입되어 이어폰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필터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음파로(SP)로 공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 불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400)의 상부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필터부(420)를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한다. 이에 따라, 이어 팁(500)과 음원소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부(420)의 상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필터부재(400) 및 중공축(100)과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변형 이어 팁의 중공축과 제1 변형 결합부재 사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1)은 돌출부(P)를 구비하는 제1 변형 결합부재(301)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5 내지 도 6b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1)은 몸체(130)의 내경(Dx)보다 작은 직경(Dr')을 구비하고 음파로(SP)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P)를 구비하는 제1 변형 결합부재(301)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변형 결합부재(301)는 상기 몸체(130)에 매립되는 매립부(B) 및 상기 매립부(B)로부터 상기 음파로(SP)로로 돌출하는 돌출부(P)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측면(310)은 돌출부(P)의 단부에 위치하며 돌출부(P)의 하면은 음파로(SP)로 노출되어 노출면(344)으로 제공된다. 상기 매립부(B)는 전면(whole surface)에서 상기 몸체(130)와 면접촉하고 상기 노출면(344)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결합면(342)을 구비한다.
상기 매립부(B)와 돌출부(P)의 상면은 필터부재(400)를 배치하기 위한 평탄면으로 제공되므로 서로 균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결합면(342)과 노출면(344)에 의해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변형 결합부재(301)는 균일한 두께(t)를 갖고 상기 하면(340)은 결합면(342)과 노출면(344)으로 구성된다.
제1 변형 결합부재(301)는 음파로(SP)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O)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400)는 상기 개구(O)를 덮도록 배치되므로 필터부재(400)를 통과하는 음파의 유동면적은 음파로(SP)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P)의 상면이 매립부(B)의 상면과 함께 필터부재(400)를 지지하기 위한 평탄면으로 제공되므로 필터부재(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출 폭(w3)은 상기 음파로(SP)를 통과하는 음파의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제2 폭(w2)의 약 1/10 내지 1/20의 범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2)은 상기 결합면(342)과 노출면(344) 사이에 단차면(315)을 구비하도록 매립부(B)가 두껍게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이어 팁(5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서, 도 5 내지 도 6b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2)은 상기 결합면(342)이 노출면(344)보다 단차높이(h)만큼 낮게 위치하여 단차면(315)을 구비하는 제2 변형 결합부재(30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변형 결합부재(302)는 돌출부(344)의 두께(t)보다 단차높이(h)만큼 큰 매립두께(tb)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면(342)이 노출면(344)의 하부에 위치하고 결합면(342)과 노출면(344) 사이에 베이스 단차면(315)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단차면(315)은 상기 내측면(132)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매립부(B)는 상기 음파로(SP)를 둘러싸는 링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음파로(SP)의 상부는 매립부(342)에 의해 한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측면(330)도 베이스 단차면(315)의 형상에 대응하여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측면(330)과 몸체(130) 사이의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제2 변형 결합부재(302)와 몸체(130) 사이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몸체(130)에 대하여 제2 변형 결합 링(302)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단차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립부(B)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단차(S)를 배치하여 매립부(B)의 매립높이(h)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몸체(130)와의 결합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매립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상기 매립부(B)는 상기 베이스 단차면(315) 및 상기 제2 측면(330)의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단계적으로 하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단차(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립부(B)는 상기 베이스 단차면(315)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측면(330)을 향하여 리세스된 결합 단차(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립부(B)는 제1 변형 매립부(B1)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매립부(B)의 하부에서 베이스 단차면(315)으로부터 제1 높이(h1) 및 소정의 단차 폭을 갖도록 제거하여 결합 단차면(316) 및 단차 결합면(346)을 갖는 결합 단차(S)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30)는 상기 결합 단차(S)를 구성하는 리세스를 매립하는 몸체 돌기(BP)를 구성하여 결합단차(S)와 결합한다. 상기 몸체 돌기(BP)는 결합단차(S)의 개수만큼 배치되어 각 결합단차(S)에서 상기 결합 단차면(316) 및 단차 결합면(346)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변형 매립부(B1)는 각 결합단차(S)에서 상기 몸체(130)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제2 변형 결합부재(30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일한 결합단차(S)를 구비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몸체(130)와의 결합력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개수의 결합단차(S)를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달리, 상기 결합단차(S)는 상기 제2 측면(33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립부(B)는 상기 제2 측면(33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단차면(315)를 향하여 우하향하도록 단계적으로 리세스된 결합 단차(S1, S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립부(B)는 제2 변형 매립부(B2)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매립부(B)의 제2 측면(330)으로부터 베이스 단차면(315)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및 단차 폭을 갖도록 제거하여 각각 결합 단차면과 단차 결합면을 갖는 제1 및 제2 결합 단차(S1, S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결합단차(S1)는 제1 높이(h1)를 갖고 제1 결합 단차면(332) 및 제1 단차 결합면(345)을 구비하고 제2 결합단차(S2)는 제2 높이(h2)를 갖고 제2 결합 단차면(334) 및 제2 단차 결합면(347)을 구비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30)는 제1 및 제2 결합 단차(S1, S2)를 구성하는 리세스를 매립하는 제1 및 제2 몸체 돌기(BP1, BP2)를 구성하여 각 결합단차(S1, S2)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2 변형 매립부(B2)는 제1 및 제2 결합단차(S1, S2)에서 상기 몸체(130)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제2 변형 결합부재(30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변형 이어 팁(502)이 음원소스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속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중공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사용 외력이 제2 변형 결합부재(302)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단차(S)는 몸체(13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사용외력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켜 제2 결합부재(302)와 몸체(13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매립부(B)는 상기 베이스 단차면(315) 및 제2 측면(330)을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면(340)이 상면(320) 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는 쐐기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매립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매립부(B)는 상기 제2 측면(330) 및 베이스 단차면(315)을 각각 좌하향 및 우하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한 제1 및 제2 경사면(330s, 315s)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립부(B)는 하방으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역원뿔대 형상을 갖는 제3 변형 매립부(B3)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3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330s, 315s)은 중공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30)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고 제2 변형 결합부재(302)에 작용하는 사용외력에 대한 쐐기작용으로 몸체(130)와 제2 변형 결합부재(302)가 사용 중에 분리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경사면(330s, 315s)을 구비하는 제3 변형 매립부(B3)를 개시하고 있지만, 제1 및 제2 경사면(330s, 315s) 중의 어느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P)와 베이스 단차면(315)을 구비하는 제2 변형 결합부재(302)의 측부에 경사면을 배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돌출부(P)를 구비하는 제1 변형 결합부재(301) 및 디스크 링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300)의 측부에도 경사면을 배치하여 몸체(130)와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이어 팁에 구비된 제3 변형 결합부재(30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2b는 도 1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3)은 상기 필터부재(400)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필터 수용부(324)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11 내지 12b에서, 도 2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3)은 상기 상면(320)의 일부가 함몰되어 필터부재(400)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360)를 구비하는 제3 변형 결합부재(30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측면(330)과 일정하게 이격된 수용영역을 제1 측면(310)과 인접한 상면(320)으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 제거하여 잔류두께(tr)를 갖는 바닥부(362)와 상기 바닥부(362)를 한정하도록 잔류두께(tr)보다 큰 링 두께(t)와 벽체 폭(wb)을 갖는 벽체부(364)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벽체부(364)는 소정의 벽체 폭(wb)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362)는 제2 폭(w2)과 벽체 폭(wb)의 차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400)는 제2 폭(w2)과 벽체 폭(wb)의 차이와 개구의 직경(Dr)의 합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디스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재(400)의 고정부(410)는 바닥부(362)에 수용되고 바람직하게는 필터부재(400)의 상면은 벽체부(364)의 상면보다 낮거나 같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류두께(tr)는 수용되는 필터부재(4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필터부재(400)의 두께가 링 두께(t)와 잔류두께(tr)의 차이보다 작거나 같게 되도록 성형과정에서 잔류두께(tr)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400)는 필터 수용부(360)의 바닥부(362)와 벽체부(364)에 의해 고정되어 중공축(10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벽체부(364)의 상면과 필터부재(400)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외피(210)는 몸체(130), 벽체부(364) 및 필터부재(400)와 동시에 접착하도록 배치되어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필터 수용부(360)에 고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부(362)에는 필터부재(40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3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70)는 바닥부(362)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바닥부(362)에 결합되는 필터부재(400)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돌기(370)는 필터부재(400)의 관통 홀(PH)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재(400)는 필터 수용부(36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제3 변형 결합부재(303)로부터 필터부재(400)가 분리되는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재(300)에 필터 수용부(360)를 배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변형 결합부재(301, 302)에 상기 필터 수용부(360)를 더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필터부재(4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결합부재(300) 및 변형 결합부재(301 내지 303)에 결합되고 상면에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200)에 접착되어 중공축(1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외피(210)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부재(400)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이물감을 제거하고 음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면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4)은 상기 외피(210)를 덮는 형상부재(2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13에서, 도 2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4)은 상기 외피(210)의 외측면을 덮는 형상부재(body shaper, 2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형상부재(22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외피(210)의 외측면을 덮도록 접착되고 상기 외피(210)보다 크거나 같은 궤조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어 외측면의 경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200)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고 부드러운 외피(210)와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고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부재(22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210)의 수평면(212) 상에 일정한 두께로 배치된 형상부재(220)는 상기 추가 음파로(ASP)를 한정하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배치되어 추가 음파로(ASP) 및 외부와 연통하는 최종 음파로(FSP)를 구성한다. 따라서, 음파로(SP)를 사용자의 귀속으로 충분히 연장하여 전송되는 음파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형상부재(220)는 상기 외피(210)와 유사한 궤조경도를 갖는 물질로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여 이어 팁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귀속형상에 따라 충분히 형상을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형상부재(220)는 다공성 물질이나 충분한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귀속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형상부재(220)는 실리콘 폼, 우레탄 폼 및 실리콘 고무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부재(220)에 의해 필터부재(400)를 결합부재(300)으로 더욱압착함으로써 필터부재(400)와 결합부재(300)를 상기 몸체(130)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상부재(220)의 적층구조를 제어하여 상기 최종 음파로(FSP)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종 음파로(FSP)는 단면원의 직경이 상기 음파의 진행경로를 따라 일정하게 구성되는 실린더 형상 이나 상기 필터부재(400)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 원의 직경이 증가하는 역원뿔대(reversely truncated cone)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500)의 접촉 인터페이스(200)의 구성을 외피(210)와 형상부재(220)의 이중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개시하고 있지만, 다른 변형 이어 팁(501, 502 및 503)에 대해서도 접촉 인터페이스(200)를 외피(210)와 형상부재(220)의 이중막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어 팁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5)은 접촉 인터페이스를 단일한 벌크형 몸체로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14에서, 도 2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5)은 상기 중공축(100)의 외측면(134)과 직접 접촉하여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 환경에 따라 형상을 조절하는 탄성을 구비하는 벌크(bulk)형 몸체(260)로 구성되는 접촉 인터페이스(20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어 팁(505)은 중공축(100)을 둘러싸는 단일한 폼 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260)는 중심부에 상기 중공축(100)이 매립되는 단일한 중공 실린더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는 일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외부환경에 노출되고 음원이 연결되는 타단까지 연장하는 다공성 성형체(porous mold body)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성형체는 상기 중공축(100)과의 결합성이 우수하고 사용자 피부와의 접착성 및 외부 흡음성이 우수한 유기 폴리머인 실리콘(silicone)이나 우레탄(urethane) 계열의 물질이나 실리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벌크형 몸체(260)는 상기 중공축(1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귓속 피부와 접촉되어 사용자의 귀속과 외부를 단절하도록 피부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귀속에서 착용감을 높이고 외부에서 전달된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이어폰에서 전달되는 음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벌크형 몸체(260)는 다공성 실리콘 폼(silicone foam)을 포함하고 약 5° 내지 약 20°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도록 구성되어,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중공축(100)과의 접착성을 높이고 외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폼의 물성에 의해 상기 몸체(260)는 충분한 복원력과 유연성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이어 팁(505) 전체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되돌아 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귀속 형상을 따라 변형되어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도 충분한 접착성과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260)는 단일한 성형가공을 통해 중공축(100)의 외측면(134) 전면을 따라 접착되므로 몸체(130)와 필터부재(400) 및 결합부재(300)를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어 팁에 의하면, 중공축(100)의 상단부(ST)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부재(400) 및 상기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중공축(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가 배치되어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필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중공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필터부재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음파로(SP)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고 이어폰과 같은 음원소스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어 팁의 사용회수가 증가할수록 귀지나 땀과 같은 수분이 이어폰으로 유입되어 이어폰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필터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음파로(SP)로 공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 불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400)의 상부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필터부(420)를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한다. 이에 따라, 이어 팁(500)과 음원소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부(420)의 상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 인터페이스(200)를 단일한 외피(210)뿐만 아니라 외피(210)와 형상부재(220)의 이중막 구조물로 구성하거나 단일한 벌크형 실린더 몸체(260)로 구성하여 중공축(100)에 대한 결합부재(300) 및 필터부재(4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중공축 200: 접촉 인터페이스
300: 결합부재 400: 필터부재
500: 이어 팁

Claims (20)

  1. 하단부와 상단부를 구비하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로 음파를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며 균일한 내측면을 구비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을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와 접촉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외형을 구성하는 접촉 인터페이스(contact interface);
    상기 음파로와 연통하는 단일한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상단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상기 음파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음파로 및 상기 개구를 경유한 상기 음파가 통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이어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공축의 상면과 평행하게 상기 필터부재를 위치시키는 평탄한 상면, 상기 개구를 한정하도록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고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이어 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중공축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내측면은 동일한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이어 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면에 상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함몰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수용부의 바닥부와 벽체부에 고정되는 이어 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는 이어 팁.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중공축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축에 매립되는 매립부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단부에 상기 제1 측면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음파로를 향하여 노출되는 노출면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이어 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전면에서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고 상기 노출면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매립부와 상기 돌출부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이어 팁.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전면에서 상기 중공축과 면접촉하고 상기 노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과 상기 노출면을 연결하는 베이스 단차면을 구비하여 상기 매립부는 상기 돌출부보다 큰 매립두께를 갖는 이어 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베이스 단차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계적으로 리세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단차를 더 구비하는 이어 팁.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차면은 상기 제2 측면을 향하여 좌하향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면이 상기 상면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는 쐐기형상을 갖는 이어 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중공축의 내측면을 향하여 우하향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면이 상기 상면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는 쐐기형상을 갖는 이어 팁.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면에 상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함몰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수용부의 상면과 측면에 고정되는 이어 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는 이어 팁.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축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하는 디스크 링을 포함하는 이어 팁.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공축의 외부에서 상기 하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상기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공축을 둘러싸는 외피를 포함하는 이어 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필터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상기 음파를 사용자의 내이로 전달하는 추가 음파로를 제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중공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이어 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추가 음파로 및 외부와 연통하는 최종 음파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외피의 외측면을 덮는 형상부재(body shaper)를 더 구비하는 이어 팁.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부재는 실리콘 폼(silicone foam), 우레탄 폼(urethane foam) 및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어 팁.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공축의 외측면과 직접 접촉하여 둘러싸고 사용자의 귀속 환경에 따라 형상을 조절하는 탄성을 구비하는 벌크(bulk)형 몸체를 포함하는 이어 팁.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실리콘 폼(silicone foam), 우레탄 폼(urethane foam) 및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어 팁.
KR1020200086350A 2020-07-13 2020-07-13 이어 팁 KR10226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50A KR102264216B1 (ko) 2020-07-13 2020-07-13 이어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50A KR102264216B1 (ko) 2020-07-13 2020-07-13 이어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216B1 true KR102264216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350A KR102264216B1 (ko) 2020-07-13 2020-07-13 이어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2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8803A (ja) * 2011-02-28 2012-09-13 Jvc Kenwood Corp イヤホン
KR20160028298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의 제조방법
KR102065551B1 (ko) * 2018-09-05 2020-01-13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8803A (ja) * 2011-02-28 2012-09-13 Jvc Kenwood Corp イヤホン
KR20160028298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의 제조방법
KR102065551B1 (ko) * 2018-09-05 2020-01-13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205B2 (en) Eartips for in-ear listening devices
AU2007326143B2 (en) Face plate, vibration speaker hav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JP4839016B2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CN111164987B (zh) 复合耳垫
US9462366B2 (en) Earpieces having flexible flaps
WO2018058879A1 (zh) 一种耳机
US20200221201A1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KR102065551B1 (ko)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99670B2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EP3101909B1 (en) Ear pad and headphone
KR102292926B1 (ko) 이어폰용 가변 이어팁
CN102119535A (zh) 耳机装置及耳机装置主体
KR200204510Y1 (ko) 이어폰 커버
KR102545214B1 (ko) 이어폰용 이어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US20110249855A1 (en) Earphone
KR102264216B1 (ko) 이어 팁
KR102384246B1 (ko)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CN114071288B (zh) 具有调压腔室的耳塞及该耳塞的成型方法
KR102288814B1 (ko) 이어 팁
CN201528411U (zh) 耳罩式耳机的结构
CN209572157U (zh) 头戴耳机声学测试装置
CN214756836U (zh) 耳机防垢组件、耳机及耳机组件
JP7427171B1 (ja) オープン型イヤホン
JP7253600B2 (ja) 骨伝導スピーカーのためのシステム
JP7448270B1 (ja) ワックスガードを含む二重構造tpeイヤー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