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044B1 -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044B1
KR102264044B1 KR1020210004282A KR20210004282A KR102264044B1 KR 102264044 B1 KR102264044 B1 KR 102264044B1 KR 1020210004282 A KR1020210004282 A KR 1020210004282A KR 20210004282 A KR20210004282 A KR 20210004282A KR 102264044 B1 KR102264044 B1 KR 10226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isaster
information
emergenc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성
이해성
윤정원
Original Assignee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Abstract

본 발명은, 재실자들의 대피 상황까지도 동적으로 파악하여,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한쪽으로 몰리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분산 대피까지 고려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A controlling method of system for broadcasting emergency circumstances}
본 발명은 평소에는 전관방송용 스피커로 사용되다가 비상상황에서는 비상상황에 따른 대피 방송을 행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나아가, 비상상황을 센싱하여 적극적으로 이를 중앙 제어장치로 통보하고 중앙 제어장치로부터의 재난방송을 전파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까지도 제공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재난방송용 스피커는, 평소에는 예를들어 전관방송용 스피커로 동작하다가 지진이나 해일 또는 화재 발생과 같은 재난 발생시에는 정해진 프로그램이나 중앙 제어장치에 따라 재난 방송을 행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좀더 진보된 재난 대응 시스템에서는, 재난 대피 방송과 함께 피난 경로를 시각적으로 안내해 주기도 하는바, 스피커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을 채용하는 특허 제1261448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의 경우,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1)과,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10)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5)과, 상기 제어유닛(5)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재감지유닛(1)은 화재감지기, 화재탐지 카메라 또는 화재수신반 등의 감시 장치가 될 수 있는바, 풍향계(8) 및 가스 인식 센서(9)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방향지시유닛(1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1)와, 상기 발광신호에 따라 공간의 이동 경로에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발광부(12)와, 상기 발광부(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실내의 조명등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전원부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의 노출면에 제공되는 태양전지(17)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12)는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종래기술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공간 내의 사람들을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최단의 경로를 통하여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어느 정도의 장점은 있으나,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방송 스피커와 같은 경보장치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인 방향지시유닛(10)을 사용하게 되며, 더욱이 화재 감지 유닛(1)과도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에 관한 대한민국 특허 제1583586호가 개시되어 있는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제2 종래기술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피난경로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와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100)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란,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서 소지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가능하고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외부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일컫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랩탑 PC 등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서 휴대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방향정보, 거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된 비콘(300)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위치정보를 생성해 내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관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위치정보와 가장 가까운 출구(400)까지의 피난경로를 연산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제서버는 내부 데이터베이스 내에 건물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을 것을 전제로 하며, 상기 건물정보에는 건물도면, 건물내 설치된 비콘(300)의 각 단말기별 식별정보 및 상기 비콘(300)의 설치위치, 출구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에 피난경로 안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 하여금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사용자단말기(100)의 단말기정보, 사용자정보 등을 입력 받아 관제서버 내 등록 후 회원관리 또는 실종자 위치파악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비콘(30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건물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출구(4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물 평면도인바, 비콘(300)은 건물 내부의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영역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는 벽면, 천장, 바닥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비콘(300)은 사용자단말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할 것을 요하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등 사용자단말기(10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을 것을 요한다.
한편, 상기 설치된 비콘(300)은 각 장치마다 단말기 일련번호와 같은 식별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관제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와 비콘(30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저장해 둔다.
다른 한편, 관제서버는 건물 내에 존재하는 출구(400)들에 대하여도 상기 비콘(300)과 같은 방식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며, 각 출구(400)마다의 위치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둔다.
이상과 같은 건물 내부의 설치환경에 있어, 관제서버가 사용자단말기(100)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S110)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단말기(100)는 현재의 건물내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전달함으로써 각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릴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와 관제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관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에 피난경로 안내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S110 단계 이후 상기 관제서버는 건물 내의 출구(400)를 탐색(S130)한다. 즉, 관제서버는 데이터베이스 내 기 저장된 건물정보를 참조하여 건물내 출구(400)를 탐색한다.
이후 상기 관제서버는 탐색된 출구(400)들에 대하여 이동경로, 이동거리 등 피난경로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출구(400)를 특정한다. (S150) 구체적으로 상기 관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각 출구(400)까지의 이동거리, 즉 건물내 이동가능영역 상에서의 출구(400)까지의 거리를 연산하며 각 출구(400)까지의 거리를 비교한 후 가장 가까운 출구(400)(도 3의 3번 출구)를 특정한다. 이동가능영역이란, 관제서버가 내부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건물정보, 예를 들어 건물의 평면도 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영역을 미리 설정해 둔 것을 일컫는 것으로, 관제서버는 이렇듯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을 사전에 구별해 둠으로써 애초에 사용자가 존재할 수 없는 곳에서의 피난경로 연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제서버는 가장 가까운 출구뿐만 아니라 특정 순위까지의 출구 또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출구에 대하여도 탐색하여 복수개 출구까지의 이동거리에 대해서도 연산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150 단계까지의 연산과정 후, 관제서버는 최종적으로 특정된 출구(400)까지의 피난경로를 사용자단말기(100)로 제공(S170)한다. 이때 관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즉, 관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로 연산에 따라 특정된 출구, 출구까지의 이동경로, 이동거리 등 탈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자단말기(100) 내 저장된 건물도면 이미지를 활용하여 상기 수신한 탈출정보를 적용시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제서버가 탈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단말기(100) 상에 출력할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이를 직접 사용자단말기(100) 측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단말기(100)가 건물 내에서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관제서버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단말기(100) 내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용자단말기(100)는 내부적으로 구비된 각종 센서를 통하여 복수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것이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단말기(100)가 위치정보를 생성할 때에 둘 이상의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방향정보, 거리정보 또는 비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는 내부적으로 구비된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00)의 이동에 따른 방향정보, 거리정보를 획득(S310)할 수 있다. 지자기센서란 지구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센서로, 지자기의 방향을 직접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며, 가속도센서는 이동하는 사용자단말기(100)의 가속도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사용자단말기(100)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이동을 할 때에 발생하는 변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해 낼 수 있는 센서를 일컫는다.
사용자단말기(100)가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단말기(100)는 건물 내부에 입장하였음을 인지함과 동시에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초기화시켜 각 센서들의 기준점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는 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비콘(300)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하여 비콘정보 내 포함된 초기화명령어를 인지함으로써 초기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100)는 초기화 단계에서 생성된 기준점을 기초로 사용자단말기(100)가 이동한 방향 및 거리 정보를 각 센서들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단말기(10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비콘(300)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하였듯, 건물 내부에는 사용자단말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비콘(300)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0)가 상기 비콘(300) 주변을 통과할 때 상기 비콘(300)은 사용자단말기(100)로 비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 비콘정보에는 예를 들어, 비콘(300)마다 부여된 일련번호, 좌표 형식으로 표현된 비콘(300)의 설치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100)는 건물 내부에서 이동시 복수개의 비콘(300)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S320)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는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각 비콘(300)과의 네트워크 채널 수신감도, 즉 신호세기를 감지하고 이 중 신호가 가장 강한 비콘(300)을 특정(S330)하여 특정된 비콘(300)으로부터 수신된 비콘정보만을 위치정보 생성에 참조(S340)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앞서 감지한 신호세기를 기초로 비콘(300)과 사용자단말기(100) 사이의 거리를 인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100)는 비콘(300)과의 데이터 송수신 시 신호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렇게 감지된 신호세기는 비콘(300)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세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바, 사용자단말기(100)는 비콘(300)과의 네트워크 채널 수신감도, 즉 신호세기를 거리정보로 변환시켜 두 장치 간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단말기(100)가 복수의 비콘(300)과 네트워크 채널을 생성하여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보듯 각 비콘(300)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사용자단말기(100)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크기로 감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비콘(300)으로부터는 -94dB의 신호세기, B비콘(300)으로부터는 -32dB의 신호세기, C비콘(300)으로부터는 -12dB의 신호세기로 각 비콘정보들이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가장 신호세기가 강한 C비콘(300)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정보, 또는 상기 비콘정보에 포함된 설치위치를 참조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단말기(100)는 앞서 상술한 세 가지의 정보, 즉 방향정보, 거리정보 및 비콘정보를 모두 참조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해 낼 수도 있다. 즉, 사용자단말기(100)는 방향정보, 거리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를 생성하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비콘정보에 포함된 설치위치를 더 참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00)는 방향정보, 거리정보 및 비콘정보를 활용하여 건물 내부에서의 현재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S350)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련의 과정에 따라 생성된 위치정보는 관제서버로 전송(S360)되어,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피난경로 제공 서비스에 활용된다.
확실히,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제1 종래기술에 비해 비콘 정보를 활용하여 한층 진보된 피난경로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연기나 화염에 의해 피난로가 폐쇄된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 이상의 제2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의 명칭이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인 대한민국 특허 제2124097호가 개발되었는바, 이를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3 종래기술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100)은 사물인터넷(IoT) 센서(110),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 및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포함하고,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100)은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화재 발생시 내부에 다수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센서(110)에서 감지된 연기나 화염에 따라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가 연기확산과 피난로를 실시간 예측하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가 재실자에게 피난로를 안내함으로써 신속한 피난을 통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때, 다양한 사물인터넷 센서(110)를 통해 신속 정확하게 연기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고,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화재 발생시 빌딩정보모델(BIM) 정보와 연계하여 가까운 미래에 폐쇄될 후속 폐쇄 피난로를 결정한 후,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가 시간 경과에 따른 실시간 피난로를 결정하여 상기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대피시간과 함께 최적 피난로를 재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100)은 사물인터넷(IoT) 센서(110),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 재실자 스마트폰(140) 및 피난로 표시부(150)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 및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는 통제실 단말로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는 재실자 위치 파악부(131), 대피시간 산출부(132), 피난로 결정부(133) 및 피난로 제공부(134)를 포함한다.
사물인터넷(IoT) 센서(110)는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을 신속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며,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감지 데이터를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로 전송한다.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100)에서 사물인터넷(IoT) 센서(110)는, 후술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 전원공급장치 및 IoT 네트워크 통신장치로 구성되며, 각각의 사물인터넷(IoT) 센서(110a~110n)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각 층(200-1~200-n)에 구획별로 다수개 설치된다.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상기 다수의 사물인터넷 센서(110)로부터 연기 및 화염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집 분석하고, 이때, 빌딩정보모델(BIM) 정보와 연계하여 가까운 미래에 폐쇄될 피난로 정보를 획득하여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예측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후속 폐쇄 피난로를 실시간 결정한다.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는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이용해 재실자의 위치를 개별 파악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 후속 폐쇄될 피난로를 고려하여 실시간 피난로를 결정하고 대피시간을 산출한 후,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최적의 피난로를 재실자 각각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는 차량 경로안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적용하여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재실자에게 피난로를 실시간 안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가 전송한 재난 안내 문자메시지의 링크를 통하여 피난로 안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같이 피난로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의 재실자 위치 파악부(131)는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이용해 재실자의 위치를 개별 파악하며, 이때, 정밀한 재실자 위치 추적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WPS(WiFi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의 대피시간 산출부(132)는 실시간으로 파악된 재실자 위치에서, 피난구까지 대피하는데 걸리는 총 대피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의 피난로 결정부(133)는 상기 대피시간과 가까운 미래에 폐쇄될 피난로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피난로를 결정한다.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의 피난로 제공부(134)는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최적의 피난로를 재실자 각각에게 제공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재실자 스마트폰(140)은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 내의 재실자 위치를 전송한 후, 상기 재실자 스마트폰(140)에 구비된 차량 경로안내 내비게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로부터 피난로 안내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피난로를 재실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유도등, 유도표지, 피난유도선, 방송, 디스플레이 등 모든 수단이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피난로 표시부(150)는 결정된 피난로를 안내하며, 피난구와 통로의 유도등 및 유도 표지 및 피난 유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1), 데이터베이스(122), 폐쇄 피난로 설정부(123), BIM 정보 추출부(124),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 예측부(125), 시나리오-기반 확산결과 데이터 추출부(126) 및 후속 폐쇄 피난로 결정부(127)를 포함한다.
먼저,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빠른 해석이 가능한 1차원 네트워크 모델 등을 이용하여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1차 예측하고, FDS(Fire Dynamics Simulator) 모델 또는 Zone 모델 등을 이용한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2차 결정함으로써 후속 폐쇄 피난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다수의 사물인터넷 센서(110)로부터 연기 및 화염 감지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연기와 화염에 의하여 피난로가 폐쇄된 상황을 고려하여 후속 폐쇄 피난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1)는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센서(110)로부터 연기 및 화염 감지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처리한다.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데이터베이스(122)는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BIM 정보 및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폐쇄 피난로 설정부(123)는 화재 발생시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BIM 정보와 연계하여 폐쇄 피난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폐쇄 피난로 설정부(123)는 상기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1)에 의해 특정 연기 농도 또는 특정 온도 이상으로 결정된 구획을 폐쇄 피난로라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BIM 정보 추출부(124)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BIM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BIM 정보 추출부(124)는 화재가 발생한 상기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해당 층에 대한 BIM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한다.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 예측부(125)는 화재 발생시 시간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BIM 정보와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1차 예측하고, 또한,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가까운 미래의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2차 예측한다.
이때, 상기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 예측부(125)는 1차원 네트워크 모델 등을 이용한 빠른 해석을 수행한다. 여기서, 1차원 네트워크 모델이란 전기회로와 같이 단순한 방법으로 열과 연기의 이동을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계산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 예측부(125)는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확산경로를 2차 예측한다.
또한, 상기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 예측부(125)는 공학적인 계산 결과로 얻은 가까운 미래의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2차 예측함으로써 최적의 확산경로를 예측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유사한 화재사고 사례를 참조하여 예측할 수도 있다.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시나리오-기반 확산결과 데이터 추출부(126)는 FDS 모델 또는, Zone 모델 등을 이용하여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계산한 결과가 아니고, 재난 발생 이전에 확보된 데이터로서, 건축물 BIM 정보 및 화재위험도 평가결과 등 빅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의 후속 폐쇄 피난로 결정부(127)는 가까운 미래에 시간 경과에 따라 폐쇄될 후속 폐쇄 피난로를 실시간 결정한다. 이때, 상기 후속 폐쇄 피난로 결정부(12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1)에 의해 특정 연기 농도 혹은 온도 이상인 구획을 후속 폐쇄 피난로로 간주한다.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1)에 의해 특정 연기 농도 혹은 온도 이상인 구획을 후속 폐쇄 피난로로 간주한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센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센서(110a~110n)는, IoT 네트워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IoT 통신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각 층(200-1~200-n)에 구획별로 각각 다수개 설치되며, 또한, 초고층 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에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로 전송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 센서(110)는, 예를 들면, 상기 사물인터넷(IoT) 센서(110)는 연기 감지기(111), 압력계(112), 온도센서(113) 및 피난구 개폐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사물인터넷(IoT) 센서(110)는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에 방화문(210)이 설치된 경우, 상기 방화문(2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은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을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결정된 피난로가 재실자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의 경우, 사물인터넷 센서(110) 중 연기 감지기, 압력계 또는 온도계에 의해 연기 또는 화염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또한, 피난구 개폐센서(114)에 의해 피난구의 개폐가 감지되며,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에서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 확산방향을 나타내며, 이때, 사물인터넷 센서(110)의 일부는 연기 및 화염을 감지하게 되며, 연기 및 화염 확산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여 피난로 폐쇄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에서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 확산방향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폐쇄될 후속 피난로를 결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최종적인 피난로를 결정하여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재실자에게 안내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방화문(210)에 의해 피난로가 폐쇄될 수도 있으며, 재실자의 현위치를 고려하여 피난로를 실시간 예측하여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르면, 초고층건물이나 대형복합시설의 화재 발생시 내부에 다수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센서(110)에서 감지된 연기나 화염에 따라 연기확산과 피난로를 실시간 예측하여 재실자에게 피난로를 안내함으로써, 신속한 피난을 통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방법은,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화재 발생시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방법으로서, 먼저,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에 구획별 설치된 다수의 사물인터넷 센서(110)가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한다(S110). 이때, 상기 사물인터넷(IoT) 센서(110)는 연기 감지기(111), 압력계(112), 온도센서(113) 및 피난구 개폐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가 상기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에 대한 빌딩정보모델(BIM)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센서(11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BIM 정보와 연계된 폐쇄 피난로를 설정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가 상기 BIM 정보와 연계하여 1차원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1차 예측한다(S130). 여기서,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빠른 해석이 가능한 1차원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1차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가 화재 시나리오-기반 확산결과 데이터를 추출 및 비교하여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2차 예측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가 상기 2차 예측된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에 따른 후속 폐쇄 피난로를 결정한다(S150). 여기서, 상기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120)는 FDS 모델이나 Zone 모델을 이용한 화재 시나리오에 기반한 확산 결과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연기 및 화염 확산경로를 2차 결정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최적의 피난로를 실시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가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 내의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재실자 위치를 파악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가 실시간으로 파악된 재실자 위치에서, 피난구까지 대피하는데 걸리는 총 대피시간을 산출하여 최적 피난로를 결정한다(S170).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가 상기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최적의 피난로를 재실자 각각에게 제공한다(S180).
여기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는, 상기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이용해 재실자의 위치를 개별 파악하는 재실자 위치 파악부(131); 실시간으로 파악된 재실자 위치에서, 피난구까지 대피하는데 걸리는 총 대피시간을 산출하는 대피시간 산출부(132); 상기 대피시간과 가까운 미래에 폐쇄될 피난로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피난로를 결정하는 피난로 결정부(133); 및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최적의 피난로를 재실자 각각에게 제공하는 피난로 제공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실자 위치 파악부(131)는 GPS, WPS 또는 GNSS를 이용하여 재실자 위치를 정밀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는 차량 경로안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적용하여 상기 재실자 스마트폰(140)을 통해 재실자에게 피난로를 실시간 안내하되, 전송한 재난 안내 문자메시지의 링크를 통하여 피난로 안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피난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피난로 안내부(130)에서 결정된 실시간 피난로를 상기 초고층건물 또는 대형복합시설(200)의 구획별 재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피난로 표시부(150)를 통해 실시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피난로 표시부(150)는 피난구와 통로의 유도등 및 유도 표지 및 피난 유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르면, 초고층건물이나 대형복합시설의 화재 발생시 내부에 다수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센서에서 감지된 연기나 화염에 따른 연기확산과 피난로를 실시간 예측하여 재실자 스마트폰 각각을 통해 피난로를 실시간 안내할 수 있고, 또한, 실시간 재실자 위치에 따라 대피시간을 결정하고, 실시간 폐쇄 피난로에 따른 최적 피난로를 결정하여 피난로를 안내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사물인터넷 센서를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연기와 화염의 분포를 감지 및 예측하고 최적 피난로를 재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화염 및 연기확산 경로의 예측을 통하여 화재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소방활동에도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제3 종래기술 역시, 스마트폰과 같은 별도의 단말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누구에게나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며, 단말기 소지자에 대해서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실효성이 있겠으나, 특히 지하실이나 야간에 재난을 당했을 시에 화재 등으로 인하여 소등이 될 경우, 깜깜한 상태에서 현재 위치나 방향을 전혀 모르는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아무리 정확한 피난 경로를 제공하더라도 정확하고 즉각적인 대피에 도움을 주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제1 종래기술 내지 제3 종래기술 공히, 스마트폰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피난로를 안내한다 하더라도, 피난로 표시부가 각종 센서 및 비상방송 스피커와 각각 별도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경우,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실제 건물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종래기술들은 각 개인들에게 객관적인 최적 피난로를 제공한다는 점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어, 재실자들이 한쪽으로 몰리는 동적 상황에 대해서까지는 고려하고 있지 못하는바, 이에 대해서도 대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제1261448호 (명칭: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1583586호 (명칭: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 대한민국 특허 제2124097호 (명칭: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이상의 제1 내지 제3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난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비상방송용 스피커가 동시에 장착되면서, 표시부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재난 상황 및 특히 재실자들을 계수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일체로 장착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별도의 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말장치 자체만으로 이상의 재난 상황 및 재실자 계수가 가능하면서, 정확하고 즉각적인 대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재실자들의 대피 상황까지도 동적으로 파악하여,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한쪽으로 몰리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분산 대피까지 고려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은,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으로서, (a) 서버(100)가 단말장치(200)들과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단계(S101); (b) 상기 (a) 단계 이후, 외부로부터 재난정보 수신단말기(300)를 통해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d) 상기 (b) 단계 이후,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8); (e)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09); (h)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건물내의 모든 센서들을 스캔하는 단계(S117); (k) 상기 (h) 단계 이후,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단계가 '경계' 이하로 격하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9); (m)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격하된 경우, 재난상태표시를 '경계'로 표기하고 상기 (a) 단계부터 재실행하는 단계(S119); 및 (n) 상기 (d) 단계에서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e) 단계에서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및 상기 (k) 단계에서 건물내 화재진압도 안 되고 재난단계가 격하되지도 않은 경우, 중의 적어도 어느 한 가지 경우에는 비상방송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면서, 지진이나 외부 화재 및 해일 발생과 같은 경우에는 외부 서버로부터 건물외 재난 발생 데이터를 재난정보수신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재난 방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100)는, 재난 발생 인지 후,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 및 안전관리자 단말(800) 중의 어느 하나로,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를 문자 전송하고, 이에 응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나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재난 정보 및 각 층별 및 실별 재실 인원 정보, 선물 도면, 스피커 선택 버튼 등의 재난 정보를 발송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나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스피커선택 데이터 및 비상 음성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에서도 재난 방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n) 단계는, (n1) 각 단말장치(200)와 연결된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센서(900)를 구동하고(S120), (n2) 건물내 사각지대의 재실인원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면서 재실자의 이동에 따른 변동 인원을 체크하기 위해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센서(900)를 통해 건물내 재실인원을 평시보다 더 정확히 파악하고(S122), (n3) 재난정보 및 표시정보 데이터를 재실자들의 인원 및 위치에 매칭시켜 각 단말장치의 스피커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70)로 전송하여(S123), 비상방송이 이루어지면서 피난경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p)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화재데이터 수신 여부를 재확인하고(S106), 단말장치들(200)과 함께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및 (q) 상기 (p)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처음 단계로 리턴하고,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n)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핀딘하는 단계(S10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p) 단계로 진행하고,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 경우에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f)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현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 통보하는 단계(S110); (g) 상기 (f) 단계 이후,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단계 격상 여부를 확인하여(S111), 재난단계가 격상된 경우에는 상기 (n) 단계로 진행하고, 재난 단계가 격상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h)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j) 상기 (h) 단계 이후, 상황종료 시까지 건물내 재실 인원현황 및 표시정보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S11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n) 단계는, (n4)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는 방송장비 제어 권한 및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부여되도록 하는 단계(S124)와, (n5) 안전관리자 단말의 로그인에 응하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통보하는 단계(S125)와, (n6) 상기 (n4) 단계 및 상기 (n5) 단계 직후나 그와 동시에, 건물내 재실인원 데이터를 119 센터와 같은 담당 상황실 구조센터(700)로 통보하며(S126), 상기 (j)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은, 상기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 비콘 센싱 방식을 통한 재실 인원 파악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100)가,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1);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402); 상기 S402 단계 이후, 각 층의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Observer 위치에 있는 곳의 인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403); 상기 S4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한 Observer들의 해당 RSSI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4); 상기 S404 단계 이후, 각 Observer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며, 다중 Observer 들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감지되는 Observer의 구역에 해당하는 위치로 재실자의 위치를 적용하게 되는 단계(S405); 상기 S405 단계 이후, 다른 층 Observer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6); 상기 S4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UUID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해당 Observer의 고유 MAC Address를 검색한 뒤 예외처리를 하는 단계(S410); 상기 S410 단계 이후, 해당 층에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감지하여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7); 상기 S4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감지된 같은 층의 2대 이상 Observer들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Observer들과 주변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408); 상기 S408 단계 이후, 해당 Advertiser 모드의 비콘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409);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420); 상기 S4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2); 및 상기 S42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증가시키고(S423), 그렇지 않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4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은, 상기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 비콘 센싱 방식을 통한 재실 인원 파악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100)가,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700); 상기 S700 단계 이후,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1);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겹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703); 상기 S700 단계 이후,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5); 상기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중복되는 경우에는 중복감지 필터링을 행하고 나서 재실 인원 수를 반영하는 단계(S706); 상기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중복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S706 단계 이후, 곧바로 mmWave 센서들 간 영역 밖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는 재실자 인원을 확인하는 단계(S707); 상기 S700 단계 이후, 해당 mmWave 센서를 벗어난 재실자 인원이 주변 mmWave 센서에 감지가 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8);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각지대에 재실자 인원의 존재를 확인하고, 해당 영역 mmWave 센서에 감지된 인원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의 감지를 벗어나고 다른 영역에 감지가 되었을 경우, 그 인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해당 영역과 이동한 영역의 인원을 증감하여 인원수에 반영하도록 하는 단계(S709); 상기 S709 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에는 곧바로, 해당 영역별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과 출구쪽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710); 상기 S710 단계 이후, 해당 영역 내의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그룹에 대해 인원이 증감된 것이므로,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11);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비상시 건물내 재실자들의 보다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각 층의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을 통해, 출입구를 통해 건물내 입장한 고객의 인원까지도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720); 및 상기 S7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건물내 활동 인원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따르면, 각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에 피난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비상방송용 스피커가 동시에 장착되면서, 표시부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므로, 평시에는 통상적인 전관방송 스피커로 사용되다가, 비상상황 시에는 표시부가 전개되면서 시청각적으로 대피 방송 및 대피로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비상 대비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각종 센서까지도 일체로 장착가능하므로 더욱 효율성을 꾀할 수 있고, 별도의 통신용 단말기 없이도 본 발명의 단말장치 자체만으로 이상의 재난 상황 및 재실자 계수가 가능하면서 정확하고 즉각적인 대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재실자들의 대피 상황까지도 동적으로 파악하여,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한쪽으로 몰리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분산 대피까지 고려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 및 효과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제1 종래기술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방향 지시 유닛의 구성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피난경로가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로 피난경로가 제공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비콘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센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결정된 피난로가 재실자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 센싱 상태의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출입 상황 센싱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전체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 모식도.
도 21은 도 13에서 재난 발생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로 송신될 문자 메시지의 일예.
도 2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시작 화면의 일예.
도 23은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메인 화면의 일예.
도 24는 도 13에서 서버의 전체 제어방법에 대한 메인 플로우챠트.
도 25는 도 24에서 비콘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26 내지 도 28은, 도 25에서 건물내 단말장치 센서부의 비콘 센싱 데이터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26은 범용 단말장치 내장 센서들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27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센서의 플로우챠트이며, 도 28은 온도 센싱 데이터의 처리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도 29는 도 24에서 mmWave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30 및 도 31은, 도 29에서 평상시 건물내 단말장치 센서부의 mmWave 센싱 데이터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30은 범용 단말장치 내장 센서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31는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센서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의 비상방송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출원인은 동일자로, 발명의 명칭이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인 특허출원을 행하였는바, 상기 선출원의 명세서는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도 그대로 인용된다. 우선, 상기 선출원의 명세서에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
우선,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 (이하, '단말장치'라고 약칭함) 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 센싱 상태의 모식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 모식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출입 상황 센싱 모식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전체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 모식도이다.
대피상황 정보 전송 및 방송 시스템은, 건물내 화재나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시에 각 층별 및 각 실별로 재실 유무 및 재실 인원을 파악하고 재실자들의 이동상태 정보와 대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황실이나 구조센터로 전송하고 해당 지역 스피커로 상황실이나 원격 네크워크를 통해 비상 대피 음성방송 및/또는 대피 경로 안내를 하여, 대피 및 인명구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위한 컨트롤러인 서버(100)와,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로 이루어지며, 단말장치(200)는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100)는 단말장치(200)로 평소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특히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바, 이에 응하여 단말장치(200)는 대피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서 TTS (Text to Speech)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비상 대피 방송을 행하게 된다.
당연히, 상기 서버(100)는, 스피커 선로가 정상시에는 라인 오디오 믹서(500) 및 오디오 앰프(600)를 통해 스피커 선택기(220) 및 라인 체커(23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2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바, 이 오디오 신호는 서버(100)로부터 오디오 믹서(5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별도의 음성방송 메인컨트롤러(400)를 통해, 별도의 스마트폰이나 리모콘 등의 네트워크 입력장치를 통해 관리자 모드로 입력될 수도 있다.
라인 체커는 스피커 전로의 단선 여부나 쇼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체크데이터를 음성방송 메인컨트롤러(40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되는바, 이에 상기 서버(100)는 스피커선로 문제 발생시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고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 방식으로 단말장치(200)로 대피안내 정보를 직접 전송한다.
한편,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재난 대비 방송을 할 수도 있으나, 지진이나 외부 화재 및 해일 발생과 같은 경우에는 재난 관리청 서버(미 도시됨)로부터 건물외 재난 발생 데이터를 재난정보수신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재난 방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서버(100)는, 재난 발생 인지 후,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 및/또는 안전관리자 단말(800)로,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를 문자 전송하는바, 이에 응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 및/또는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재난 정보 및 각 층별 및 실별 재실 인원 정보, 선물 도면, 스피커 선택 버튼 등의 재난 정보를 발송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 및/또는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스피커선택 데이터 및 비상 음성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에서도 재난 방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단말장치(200)는, 일차로 각종 센서를 통해 재실 인원 및 재난 발생 여부를 센싱하여 이를 스피커 라인 혹은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 방식으로 상기 서버(100)로 보고하는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BLE 검색 센서(293), 온도 센서(292), mmWave 센서(291) 등의 내장 센서는 물론, 출입문 통과시 인원을 카운팅하는 TOF (Time of Flight) 센서(900)와 같은 외장 센서를 통해서도 실내외 출입 인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령, TOF 센서(900)는, 교실이나 사무실과 같은 특정 실 기준, 2개의 출입문을 보유시, mmWave 센서의 검색 범위 안에 2개의 출입문이 벗어나 있을 경우, 1개의 출입문을 mmWave 센서(291)로 검색하고, 다른 출입문은 TOF 센서(900)로 진출입 인원을 센싱하여 그 데이터를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 아울러, 원격지 대피 유도 음성 방송을 스피커부(210)로, 그리고 대피 경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70)로 출력한다.
계속해서, 상기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미관상 그 본체가 천정에 매립되어 있는 음성방송 스피커부(210)는 일부만 밖으로 노출되고 천정 마감판재로 가려지게 되는바,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270)가 천정 마감재를 대신하고 있다가, 비상상황 대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70) (더 정확하게는 양면 LED 전광판이나 LCD 패널) 가 서보 모터(272)에 의해 힌지축(271)을 중심으로 펼쳐지면서 대피로 표시 및 대피 방향 표시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평소에는 전관방송용 스피커만으로 사용되다가, 비상 시에는 스피커부에 의한 비상 방송과 함께, 대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당연히, 비상 시가 아니더라도 특별히 건물 관리자에 의해 정보 표시를 위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재난 발생시에는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70)가 열리도록 하며, 관리자 등에 의해 문자방송 시에는 수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스템 전체의 오디오 앰프(600)와 별도로, 각 단말장치(200)에도 앰프모듈(250)을 내장할 수 있는바, 스피커 선로가 정상일 경우에는, 이를 통해 서버(100)와 오디오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또한, 통신모듈(240)은, 각종 센서 정보를 이더넷이나 PoE(Power over Ethernet) 방식으로 상기 서버(1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 표시 데이터나 외부 TTS 음성방송 정보를 서버와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역시,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발생 시에는 이더넷과 같은 유선라인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WIFI나 RF와 같은 무선 통신방식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290)은 BLE 검색 센서(293), 온도 센서(292), mmWave 센서(291)를 포함하는 내장 센서부이고, (260)은 서브스피커 연결포트이며, (280)은 내장되는 보조 배터리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비콘태그를 보유한 출입자들은, 층별 진입구간 및 통로에 주로 설치된 센서부(290)의 BLE 검색 센서(293)에 의해 출입자의 BLE 카드의 Mac 어드레스 및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BLE 카드 미소지자에 대해서는 mmWave 센서(291)를 통해 실시간 이동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와 재실 여부를 판단하고, 아울러 온도 센서(292)를 통해 설치 지역의 온도상태를 확인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실의 서버(10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는 서버에 대한 입력센서의 역할도 하지만, 출력장치로서의 역할도 겸하는바, 재난 발생시 아날로그 및 네트워크 스트림을 통한 대피음성방송과 재난 정보를 단말장치(200)에 장착된 스피커부(210)를 통해 음성정보로 출력하면서, 디스플레이부(일례로, LED 전광판)(270)를 개폐하면서 이를 통해 문자정보로 출력하게 된다.
도 15는 양면 LED 전광판에 문자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는바, 도 15의 (a)는 좌측에 비상구가 있을 경우, 비상구의 위치를 좌측 화살표(←)로 표현하고 있으며(도 15의 (c) 참조), 반면, 도 15의 (b)는 우측에 비상구가 있을 경우, 비상구의 위치를 좌측 화살표(→)로 표현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5의 (d)에서와 문자 스트림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이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0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1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각 정해진 구역 내의 재실자 인원을 파악하게 된다(S10). 일례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BLE 검색 센서(293)에 의해 출입자의 BLE 비콘 카드(10)의 Mac 어드레스 및 RSSI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BLE 카드 미소지자에 대해서는 mmWave 센서(291)를 통해 재실 인원을 카운팅하며, 실시간 이동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와 재실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200')는 센서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천정 매립형 PA 스피커인바, 건물 외부와 같이 센서가 필요없는 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반형을 설치해도 된다.
이후, 화재나 지진과 같은 재난 데이터를 외부에서 서버(100)를 통해 수신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여(S11), 재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서버(100)로 해당 구역의 인원정보를 송신하고(S3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온도 센서(292)를 통해 해당 설치 지역의 온도상태를 확인하여 주변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S12).
역시 S12 단계의 판단 결과, 주변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내부적인 재난(화재)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서버(100)로 해당 구역의 화재 발생 및 인원정보를 송신하고(S2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0)로부터 표시데이터를 수신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여(S14),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음으로 리턴하여 반복 수행하고,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스피커 및/또는 전광판으로 표시하고 처음으로 리턴한다(S15).
바람직하게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S12 단계에서 주변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곧바로 S14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일례로 빛이 통과하는 정도를 감지하는 방식과 같이, 공기중 연기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여(S13), 공기중 연기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S16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S12 단계에서 주변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고 동시에 상기 S13 단계에서 공기중 연기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비로소 상기 S15 단계로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서버(100)로 해당 구역의 화재 발생 및 인원정보를 송신하고 난 후, 단말장치(200)는, 해당 구역 내에 재실 인원이 존재하는가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S21), 해당 구역 내에 재실 인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내부 화재 안내 방송을 하면서 전광판에 화재 안내 문자 표시를 하게 된다(S22, S23). 반면, 상기 S2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구역 내에 재실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내부 화재 안내 방송을 넘어서, 실제로 내부 화재가 발생하였으므로 어느 방향으로 대피하라는 대피 방송을 하면서 전광판에 화재 대피 방향까지 문자 표시를 하여야 하는바(S24, S25), 이 경우에는 화재 발생 위치, 출입구 방향 및 재실 인원까지 고려하여 전광판의 전후면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대피로를 표시해 주도록 한다.
다른 한편,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서버(100)로 인원정보를 송신하고 난 후, 단말장치(200)는, 역시 해당 구역 내에 재실 인원이 존재하는가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S31), 해당 구역 내에 재실 인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외부 재난 안내 방송을 하면서 전광판에 재난 안내 문자 표시를 하게 되고(S32, S33), 반면, 상기 S3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구역 내에 재실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외부 재난 안내 방송을 넘어서, 실제로 외부 화재나 해일 또는 지진 등의 외부 재난이 발생하였으므로 어느 방향으로 대피하라는 대피 방송을 하면서 전광판에 대피 방향까지 문자 표시를 하여야 하는바(S34, S35), 역시 이 경우에는 외부 재난 발생 위치, 내부 건물 붕괴 위치, 출입문 폐쇄 여부, 출입구 방향 및 재실 인원까지 고려하여 전광판의 전후면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대피로를 표시해 주도록 한다.
참고로, 도 18에서는, 2 이상의 단말장치들이 재실자들의 이동 상태 및 이동 방향을 센싱하고 판단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바, 일례로 제1 단말장치(200a)에서 재실자 2인(1, 2)이 mmWave 센서에서 감지되면, 제1 단말장치(200a)에서 재실자의 이동방향을 계속 추적하면서 그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 가능한 인접하는 제2 단말장치(200b)와 인원정보 및 방향정보를 공유하다가, 이후 제2 단말장치(200b)에서 재실자(2)가 센싱되고 제1 단말장치(200a)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영역을 벗어나, 재실자(2)가 제2 단말장치(200b)의 센싱범위로 위치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계속해서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도 19는 상기 단말장치들(200a, 200b, 200c) 및 TOF 센서(900)에 의한 재실자(2)의 출입 상황을 센싱하는 모식도인바, 2번 재실자(2)는 제1 단말장치(200a)의 감지 구역에서 제2 단말장치(200b)의 감지 구역으로 이동하였으나, 1번 재실자(1)의 경우, 제1 단말장치(200a)의 감지 구역에서 사라지면서 제1 단말장치(200a)와 제3 단말장치(200c) 간의 출입문에 설치된 TOF 센서(900)에 의해 감지되었다면, 각 단말장치들 및 TOF 센서는 이 데이터를 서버에도 전송하지만, 상호 공유함으로써 1번 재실자(1)가 제1 실에서 제2 실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20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전체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의 모식도인바, 각 단말장치들(200a, 200b, 200c, 200d, 200e, 200f)의 BLE 검색 센서(293), 온도 센서(292) 및 mmWave 센서(291)에 의해, "1층 좌측 복도에 재실자가 2명, 1층 우측 복도에 재실자가 2명, 2층 좌측 복도에 재실자가 2명, 2층 우측 복도에 재실자가 4명, 3층 좌측 복도에 재실자가 2명, 3층 우측 복도에 재실자가 1명" 으로 감지되었으며, 3층 우측 복도 구석의 단말장치(200f)의 온도 센서(292)에서 기준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2층에서는 각 계단으로 분산시켜 대피하도록 유도하면 되지만, 3층에서는 좌측으로 대피하도록 대피 방송 및 대피로를 표시하여 주도록 하며, 1층 좌측의 재실자에게는 잠시 대기로 안내방송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이제, 본 발명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32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도 13에서 재난 발생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로 송신될 문자 메시지의 일예이고, 도 2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시작 화면의 일예이며, 도 23은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메인 화면의 일예이다.
도 24는 도 13에서 서버의 전체 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인바, 도 24에서 비콘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는 도 25에, 그리고 mmWave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는 도 2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5는 도 24에서 비콘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6 내지 도 28은, 도 25에서 건물내 단말장치 센서부의 비콘 센싱 데이터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26은 범용 단말장치 내장 센서들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27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센서의 플로우챠트이며, 도 28은 온도 센싱 데이터의 처리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역시, 도 29는 도 24에서 mmWave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30 및 도 31은, 도 29에서 평상시 건물내 단말장치 센서부의 mmWave 센싱 데이터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30은 범용 단말장치 내장 센서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31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센서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의 비상방송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의 상기 서버(100)의 전체 동작을 도 2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평상시 구동일 때, 재난단계 상태표시를 가장 낮은 재난단계인 '관심'으로 초기화하며(S100), 이후 상기 단말장치(200)들과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한다(S101).
이후, 재난데이터 수신확인 및 화재데이터 수신확인 루틴을 수행하고(S102, S103), 외부로부터, 즉, 재난관리청 서버와 연결된 재난정보 수신단말기(300)로부터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화재데이터 수신 여부를 재확인하고(S106), 단말장치들(200)과 함께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여(S107), 상기 S1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처음 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 S10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체크하여(S10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106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1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 경우에는, 다시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체크하여(S108),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S109).
그리하여, 상기 S1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 통보한다(S110). 재난단계 및 건물내 인원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통보(S110)하고 안전관리자 단말의 건물내 재난단계를 격상할 권한을 부여하여 해당 격상할지는, 각 건물의 내부규정에 따른다.
이후, 안전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단계 격상 여부를 확인하여(S111), 그렇지 않은 경우, 건물내의 모든 센서들을 스캔한 후(S117), 상황종료 시까지 건물내 재실 인원현황 및 표시정보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한다(S118).
이후,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단계가 '경계' 이하로 격하되었는가? 여부를 체크하여, 그러한 경우, 재난상태표시를 '경계'로 표기한 후(S119), 상기 S101 단계부터 재실행 한다.
즉, 재난단계상태표시가 '관심' 또는 '경계'일 경우, 건물내 출입구 주변 센서들(일례로 TOF 센서(900)들)이 Advertiser 모드의 비콘들을 스캔하여(S101) 평시상태를 유지한다.
평시상태일 경우 Observer들은 (S300)과 같은 준비단계를 실행하며 화재 상황 시와 다른 세팅이 될 수 있다.
일례로, 'Observer'는 비콘 스캐너를 말하고, 'Advertiser 모드'는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비콘을 말한다.
다른 한편, i) 상기 S107 및 S109 단계에서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ii) 상기 S108 단계에서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iii) 상기 S111 단계에서 안전관리자 단말이 재난단계를 격상한 경우, 또는 iv) 상기 S119 단계에서 건물내 화재진압도 안 되고 재난단계가 격하되지도 않은 경우에는, 비상방송 루틴(S120~S126)을 수행하여야 하다.
상기 비상방송 루틴(S120~S126)을 설명하면, 먼저 각 단말장치(200)와 연결된 TOF 센서(900)를 구동하고(S120), 건물내 사각지대의 재실인원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면서 재실자의 이동에 따른 변동 인원을 체크하기 위해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TOF 센서(900)를 통해 건물내 재실인원을 평시보다 더 정확히 파악하고(S122), 재난정보 및 표시정보 데이터를 재실자들의 인원 및 위치에 매칭시켜 각 단말장치의 스피커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70)로 전송하여(S123), 비상방송이 이루어지면서 피난경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는 방송장비 제어 권한 및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부여되도록 하면서(S124), 안전관리자 단말의 로그인에 응하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통보한다(S125).
상기 S124 및 S125 단계 직후나 그와 동시에, 건물내 재실인원 데이터를 119 센터와 같은 담당 상황실 구조센터(700)로 통보하며(S126), 상기 S118 단계로 진행한다.
(I) 비콘 센서를 통한 건물내 재실 인원 파악 프로세스
이제, 상기 서버(100)가 상기 단말장치(200)들과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프로세스(S101, S122)에 있어서, 범용 단말장치(200) 중의 BLE 비콘 센서(293)를 통한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프로세스(G→H1) 및 TOF 센서(900)와 같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 중의 비콘 센서를 통한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프로세스(G→H2)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먼저,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의 고객 UUID 값을 서버(100)에 등록한다(S400).
이후,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체크하는바(S401),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일단 도 26의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된다(S402). 이에 대해서는, 도 26 및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S402 단계 이후, 각 층의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Observer 위치에 있는 곳의 인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체크하게 되며(S403),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한 Observer들의 해당 RSSI 데이터를 수신하여(S404), 각 Observer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며(S405), 다중 Observer 들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감지되는 Observer의 구역에 해당하는 위치로 재실자의 위치를 적용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Observer는, 단말장치(200) 내의 센서들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장치 외부에 연결된 센서(900), 혹은 기존의 비콘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만, 이후 다른 층 Observer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체크하며(S406), UUID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해당 Observer의 고유 MAC Address를 검색한 뒤 예외처리를 하며(S410), 해당 층에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감지하여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체크하게 되며(S407), 그리하여 해당 구역 내의 재실자 인원 분포를 파악한다.
다시, 감지된 같은 층의 2대 이상 Observer들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Observer들과 주변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한다(S408).
이후, 해당 Advertiser 모드의 비콘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그룹에 대해 인원이 증감된 것이므로,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한다(S409). 이후, 상기 도 24의 S101로 진행하도록 한다(G→H1).
한편,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비상시 건물내 재실자들의 보다 정확한 인원 파악(도 24의 S122)을 위해 각 층의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도 20의 200d)을 통해, 출입구를 통해 건물내 입장한 고객의 인원까지도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된다(S420). 역시 이에 대해서는,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S4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는가? 여부를 체크하여(S422), 수신되었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증가시키고(S423), 그렇지 않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감소시키고(S424) 난 후, 상기 도 24의 S122로 진행하도록 한다(G→H2).
(I-1)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의 평시 비콘 동작 서브프로세스(A1→B1)
이제, 상기 도 25의 상기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200)의 평시 비콘 동작(S402)(A1→B1)을 도 26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도 25의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의 비상시 비콘 동작(S420)(A2→B2)을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먼저, 먼저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200)는, 평시 운영일 때(재난단계 '관심','경계'일 경우)에는, Observer들을 세팅하고(S200), 도 28의 내부온도 센싱 동작(S201)을 수행한 후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Observer들을 스케닝하는 단계(S202)를 수행하는바, 이는 일례로 비콘 센서들을 체크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후, BLE 검색 센서(293)들의 iBLE Advertising 패킷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203), 감지되지 않으면 이전 단계(S201)로 리턴하고, 감지된 경우에는 비콘 UUID 유효값을 확인하고(S204), RSSI 출력값을 수신하며, RSSI 데이터를 필터링한 후(S206), RSSI 거리계산 및 필터값, UUID 값, 및 온도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고(S207), 상기 도 25의 S403으로 진행하도록 한다(A1→B1).
계속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내부 온도 센싱 서브루틴을 설명하면, 온도센서(292)를 초기화하고(S211), 각 단말장치의 내부 온도센서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체크한 후(S212), 50도 미만(S213)일 경우에는 녹색 LED로 표시하고(S217), 50도 이상 60도 미만(S214)일 경우에는 황색 LED로 표시하며(S218), 60도 이상(S215)일 경우에는 적색 LED로 표시한다(S219). 이후, 온도데이터를 저장하고(S216), 상기 도 26의 S202 단계로 진행한다(E→F).
(I-2)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비상시 비콘 동작 서브프로세스(A2→B2)
한편, 상기 도 25의 상기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의 "비상시" 비콘 동작(S420)(A2→B2)을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는, 비상시 운영일 때(재난단계 '심각','화재발생'일 경우)에는, Observer들을 세팅하고(S300), 전술한 바와 같은 도 28의 내부온도 센싱 동작을 수행한 후(S301), Observer들을 스케닝하는 단계(S302)를 수행하는바, 이는 일례로 비콘 센서들을 체크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후, BLE 검색 센서(293)들의 iBLE Advertising 패킷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303), 감지되지 않으면 이전 단계(S301)로 리턴하고, 감지된 경우에는 비콘 UUID 유효값을 확인하고(S304), UUID 값 및 온도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고(S305), 상기 도 25의 S422로 진행하도록 한다(A2→B2).
즉, 건물 입구 주변 표시장치의 Observer들은 Advertiser 모드의 비콘들을 스캔하며(S302) 주변에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汎用固有識別子) 정보를 가진 Advertiser 모드의 비콘이 감지(S303)가 되면, 해당 비콘의 UUID 값이 유효한 값인지 확인한 뒤(S304), 서버에 등록한다.
(II) mmWave 센서를 통한 건물내 재실 인원 파악 프로세스
이제, 상기 서버(100)가 상기 단말장치(200)들과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프로세스(S101, S122)에 있어서, 상기 범용 단말장치(200) 중의 mmWave 센서(291)를 통한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프로세스(K→L1) 및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 중의 mmWave 센서를 통한 비상시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프로세스(K→L2)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참고로, mmWave 센싱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BLE 카드 미소지자에 대해서는 비콘 센싱에 의해 간단히 가능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출입증을 부착하지 않은 재실자에 대해서도 비상시에는 정확한 인원 파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29에서 보듯이, 먼저 서버(100)는, 일단 도 30의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된다(S700). 이에 대해서는,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후,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체크하는바(S701),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각 층의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영역에 있는 곳의 인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겹치는지를 확인하고(S703),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705), 중복되는 경우에는 중복감지 필터링을 행하고 나서(S706) 재실 인원수를 반영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mmWave 센서들 간 영역 밖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는 재실자 인원을 확인한다(S707).
이후, 해당 mmWave 센서를 벗어난 재실자 인원이 주변 mmWave 센서에 감지가 되는가? 여부를 체크하며(S708),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각지대에 재실자 인원의 존재를 확인하고, 해당 영역 mmWave 센서에 감지된 인원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의 감지를 벗어나고 다른 영역에 감지가 되었을 경우, 그 인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해당 영역과 이동한 영역의 인원을 증감하여 인원수에 반영한다(S709).
상기 S709 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에는 곧바로, 해당 영역별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과 출구쪽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한다(S710).
이후, 해당 영역 내의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그룹에 대해 인원이 증감된 것이므로,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한다(S711). 이후, 상기 도 24의 S101로 진행하도록 한다(K→L1).
한편,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비상시 건물내 재실자들의 보다 정확한 인원 파악(도 24의 S122)을 위해 각 층의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도 20의 200d)을 통해, 출입구를 통해 건물내 입장한 고객의 인원까지도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된다(S720). 역시 이에 대해서는, 도 3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S7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건물내 활동 인원수 데이터를 갱신하고(S721) 난 후, 상기 도 24의 S122로 진행하도록 한다(K→L2).
(II-1)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의 평시 mmWave 센싱 동작 서브프로세스(I1→J1)
이제, 상기 도 29의 상기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200)의 평시 mmWave 센싱 동작(S700)(I1→J1)을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도 29의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의 비상시 mmWave 센싱 동작(S420)(I2→J2)을 도 3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먼저, 먼저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200)는, 평시 운영일 때(재난단계 '관심','경계'일 경우)에는, 범용 단말장치(200)의 mmWave 센서들(291)은 미리 설정된 해당 영역을 스캔하여(S500), 해당 영역에서의 재실자들의 움직임을 검출한다(S501).
이후, 해당 영역 내 재실자 인원수를 카운팅하고(S502), 그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그 인원들이 해당 영역 안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며(S503), 그러한 경우에는 해당 영역 내 재실자 인원수를 증가시킨다(S504).
이후, 다시 그 인원들이 해당 영역 밖으로 진출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며(S505), 그러한 경우에는 해당 영역 내 재실자 인원수를 감소시킨다(S506).
반면, 상기 S503 단계 및 S505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 내의 인원수를 그대로 유지시킨다(S507).
상기 S506 단계 및 S507 단계 이후, 해당 영역 내의 해당 재실자 인원들의 움직임이 있는가? 여부를 실시간으로 다시 체크하여(S508),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마지막 위치를 표시하여 재실자 인원수를 유지하고(S509), 그러한(YES) 경우에는 위치를 표시하여 재실자 인원수를 유지하며(S510), 이후 도 29의 S701 단계로 진행한다.
(II-2)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비상시 mmWave 센싱 동작 서브프로세스(I2→J2)
한편, 상기 도 29의 상기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의 "비상시" mmWave 센싱 동작(S720)(I2→J2)을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는, 비상시 운영일 때(재난단계 '심각','화재발생'일 경우)에는,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의 mmWave 센서들(291)은 미리 설정된 출입구 주변 영역을 스캔하여(S600), 해당 출입구 주변에서의 재실자들의 움직임을 검출한다(S601).
이후, 해당 출입구 주변에서 움직임이 두 명 이상 있을 경우 해당 인원수만큼 증감하고 활동 인원수를 카운팅(증감)하고(S602), 그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그 인원들이 출입구쪽 방향에서 해당 영역 안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며(S603), 그러한 경우에는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추가한다(S604).
이후, 다시 그 인원들이 출입구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 밖으로 진출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며(S605), 그러한 경우에는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감소시킨다(S606).
반면, 상기 S603 단계 및 S605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그대로 유지시킨다(S607).
상기 S606 단계 및 S607 단계 이후, 해당 영역 내의 해당 재실자 인원들의 움직임이 있는가? 여부를 실시간으로 다시 체크하여(S608),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마지막 위치를 표시하여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유지하고(S609), 그러한(YES) 경우에는 위치를 표시하여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유지하며(S610), 상기 도 29의 S721로 진행하도록 한다. 즉, 내부 영역별 mmWave 센서들은 인원수 계산을 하나 인원수 데이터는 전송하지 않는다.
(III) 기타 센싱 및 안전관리자 단말
참고로,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200d)에 연결된 TOF 센서는 해당 영역을 스캔하여, 영역에서의/영역으로의 움직임의 방향을 검출하여 영역내 인원의 움직임 방향을 추적하여 그 인원들의 밖으로 나가는지/들어오는지 확인하여 인원수에 반영한다.
각 Observer, mmWave 센서, TOF 센서들의 인원수를 모두 반영하여 건물내 인원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영역별 단말장치들은 출구 쪽 방향에 있는 단말장치들과 그룹화를 하고, 인원들의 데이터를 갱신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재난정보 및 표시정보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전송하고,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아이디, 패스워드를 부여하여, 각 인원 현황, 해당 건물명, 각 단말장치의 주변 온도, 외부접속용 웹페이지접속 URL과 패스워드 내용의 문자가 각각 안전관리자 단말(800) 및 119 구조센터(700)로 전송된다.
아울러,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표시단계가 '경계' 미만으로 격하되었을 경우에는, 재난표시단계를 '관심'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32를 주로 참조하고 도 21 내지 도 23을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800) 및 구조센터(700)의 비상방송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버(100)는, 건물내 인원현황 및 표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건물의 날짜, 시간, 재난종류, 비상방송 접속 URL, 접속비밀번호를, 안전관리자 단말(800) 및 담당 119센터(700)로 전송하며(S800),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800) 및 담당 119 센터(700)는, 해당 URL을 클릭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S800), 메인화면으로 접속한다.
해당 메인화면에서는, 건물 구역내 실시간 인원 현황 및 현재 상황이 출력되는바, 해당 층, 구역을 선택하여 구역별 음성방송 및 문자방송 화면을 출력하여, 각각 대피로를 문자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면서, 재난방송을 음성으로 스피커부를 통해 하도록,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802).
이후,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 단계가 '경계'미만으로 격하되었는가? 여부를 체크하여(S804), 그렇지 않으면 상기 S802 단계로 리턴하고,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표시단계가 '경계'미만으로 격하되었을 경우에는, 상황종료 정보를 수신을 한 뒤, 해당 URL 접속 권한을 해제한다.
도 21은 도 13에서 재난 발생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로 송신될 문자 메시지의 일예이고, 도 2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시작 화면의 일예이며, 도 23은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메인 화면의 일예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해당 구역 내의 재실자 인원을 체크함으로써, 재실자들의 대피 상황까지도 동적으로 파악하여,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한쪽으로 몰리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분산 대피까지 고려한 비상상황 대피 방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 2 : 재실자
10 : BLE 비콘 카드
100 : 서버 200 :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
200' : 종래의 천정매립형 스피커 200" : 변형예의 단말장치
210 : 스피커부 220 : 스피커 선택기
230 : 라인 체커 240 : 통신모듈
250 : 앰프모듈 260 : 서브스피커 연결포트
270 : 디스플레이부 271 : 힌지
272 : 서보모터 280 : 보조 배터리
290 : 센서부 291 : mmWave 센서
292 : 온도 센서 293 : BLE 검색 센서
300 : 재난정보 수신단말기 400 : 음성방송 메인컨트롤러
500 : 오디오믹서 500' : 오디오 우선순위 전환기
600 : 오디오 앰프 700 : 상황실 구조센터
800 : 안전관리자 단말 900 : TOF 센서

Claims (10)

  1.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으로서,
    (a) 서버(100)가 단말장치(200)들과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단계(S101);
    (b) 상기 (a) 단계 이후, 외부로부터 재난정보 수신단말기(300)를 통해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d) 상기 (b) 단계 이후,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8);
    (e)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09);
    (h)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건물내의 모든 센서들을 스캔하는 단계(S117);
    (k) 상기 (h) 단계 이후,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단계가 '경계' 이하로 격하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9);
    (m)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격하된 경우, 재난상태표시를 '경계'로 표기하고 상기 (a) 단계부터 재실행하는 단계(S119); 및
    (n) 상기 (d) 단계에서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e) 단계에서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및 상기 (k) 단계에서 건물내 화재진압도 안 되고 재난단계가 격하되지도 않은 경우, 중의 적어도 어느 한 가지 경우에는 비상방송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면서, 지진이나 외부 화재 및 해일 발생과 같은 경우에는 외부 서버로부터 건물외 재난 발생 데이터를 재난정보수신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재난 방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재난 발생 인지 후,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 및 안전관리자 단말(800) 중의 어느 하나로,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를 문자 전송하고, 이에 응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나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재난 정보 및 각 층별 및 실별 재실 인원 정보, 선물 도면, 스피커 선택 버튼 등의 재난 정보를 발송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나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스피커선택 데이터 및 비상 음성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에서도 재난 방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 단계는,
    (n1) 각 단말장치(200)와 연결된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센서(900)를 구동하고(S120),
    (n2) 건물내 사각지대의 재실인원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면서 재실자의 이동에 따른 변동 인원을 체크하기 위해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센서(900)를 통해 건물내 재실인원을 평시보다 더 정확히 파악하고(S122),
    (n3) 재난정보 및 표시정보 데이터를 재실자들의 인원 및 위치에 매칭시켜 각 단말장치의 스피커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70)로 전송하여(S123), 비상방송이 이루어지면서 피난경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p)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화재데이터 수신 여부를 재확인하고(S106), 단말장치들(200)과 함께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및
    (q) 상기 (p)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처음 단계로 리턴하고,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n)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p) 단계로 진행하고,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 경우에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f)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현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 통보하는 단계(S110);
    (g) 상기 (f) 단계 이후,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단계 격상 여부를 확인하여(S111), 재난단계가 격상된 경우에는 상기 (n) 단계로 진행하고, 재난 단계가 격상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h)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j) 상기 (h) 단계 이후, 상황종료 시까지 건물내 재실 인원현황 및 표시정보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S11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n) 단계는,
    (n4)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는 방송장비 제어 권한 및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부여되도록 하는 단계(S124)와,
    (n5) 안전관리자 단말의 로그인에 응하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통보하는 단계(S125)와,
    (n6) 상기 (n4) 단계 및 상기 (n5) 단계 직후나 그와 동시에, 건물내 재실인원 데이터를 119 센터와 같은 담당 상황실 구조센터(700)로 통보하며(S126), 상기 (j)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9.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 비콘 센싱 방식을 통한 재실 인원 파악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100)가,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1);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402);
    상기 S402 단계 이후, 각 층의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Observer 위치에 있는 곳의 인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403);
    상기 S4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한 Observer들의 해당 RSSI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4);
    상기 S404 단계 이후, 각 Observer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며, 다중 Observer 들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감지되는 Observer의 구역에 해당하는 위치로 재실자의 위치를 적용하게 되는 단계(S405);
    상기 S405 단계 이후, 다른 층 Observer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6);
    상기 S4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UUID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해당 Observer의 고유 MAC Address를 검색한 뒤 예외처리를 하는 단계(S410);
    상기 S410 단계 이후, 해당 층에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감지하여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7);
    상기 S4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감지된 같은 층의 2대 이상 Observer들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Observer들과 주변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408);
    상기 S408 단계 이후, 해당 Advertiser 모드의 비콘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409);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420);
    상기 S4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2); 및
    상기 S42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증가시키고(S423), 그렇지 않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4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10.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 mmWave 센싱 방식을 통한 재실 인원 파악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100)가,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700);
    상기 S700 단계 이후,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1);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겹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703);
    상기 S700 단계 이후,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5);
    상기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중복되는 경우에는 중복감지 필터링을 행하고 나서 재실 인원 수를 반영하는 단계(S706);
    상기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중복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S706 단계 이후, 곧바로 mmWave 센서들 간 영역 밖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는 재실자 인원을 확인하는 단계(S707);
    상기 S700 단계 이후, 해당 mmWave 센서를 벗어난 재실자 인원이 주변 mmWave 센서에 감지가 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8);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각지대에 재실자 인원의 존재를 확인하고, 해당 영역 mmWave 센서에 감지된 인원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의 감지를 벗어나고 다른 영역에 감지가 되었을 경우, 그 인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해당 영역과 이동한 영역의 인원을 증감하여 인원수에 반영하도록 하는 단계(S709);
    상기 S709 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에는 곧바로, 해당 영역별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과 출구쪽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710);
    상기 S710 단계 이후, 해당 영역 내의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그룹에 대해 인원이 증감된 것이므로,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11);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비상시 건물내 재실자들의 보다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각 층의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을 통해, 출입구를 통해 건물내 입장한 고객의 인원까지도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720); 및
    상기 S7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건물내 활동 인원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20210004282A 2021-01-12 2021-01-12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226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82A KR102264044B1 (ko) 2021-01-12 2021-01-12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82A KR102264044B1 (ko) 2021-01-12 2021-01-12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044B1 true KR102264044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82A KR102264044B1 (ko) 2021-01-12 2021-01-12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3467A (zh) * 2023-07-20 2023-08-22 杭州工信光电子有限公司 一种结合人工智能技术的应急广播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376A (ko) * 2009-04-15 2010-10-25 박창길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KR20120029141A (ko) *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콜온 지역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261448B1 (ko) 2011-06-28 2013-05-10 (주)주영일렉트로닉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75222Y1 (ko) * 2014-06-26 2014-11-20 주식회사 쓰리하이엘렉트로닉스 비상 대피 유도 장치
KR101583586B1 (ko) 2014-06-10 2016-01-08 최장식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
KR20180096308A (ko) * 2017-02-21 2018-08-29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비상시 안전 유도 표시 방법
KR102124097B1 (ko) 2018-12-26 2020-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376A (ko) * 2009-04-15 2010-10-25 박창길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KR20120029141A (ko) *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콜온 지역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261448B1 (ko) 2011-06-28 2013-05-10 (주)주영일렉트로닉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3586B1 (ko) 2014-06-10 2016-01-08 최장식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
KR200475222Y1 (ko) * 2014-06-26 2014-11-20 주식회사 쓰리하이엘렉트로닉스 비상 대피 유도 장치
KR20180096308A (ko) * 2017-02-21 2018-08-29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비상시 안전 유도 표시 방법
KR102124097B1 (ko) 2018-12-26 2020-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3467A (zh) * 2023-07-20 2023-08-22 杭州工信光电子有限公司 一种结合人工智能技术的应急广播系统
CN116633467B (zh) * 2023-07-20 2023-10-10 杭州工信光电子有限公司 一种结合人工智能技术的应急广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79B1 (ko)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KR102124097B1 (ko)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6873256B2 (en) Intelligent building alarm
CN107851349B (zh) 具有电梯系统的建筑物中需要疏散的楼层的顺序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US20180308326A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230074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uilding evacuation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102019438B1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US9513131B2 (en) Use of the occupancy rate of areas or buildings to simulate the flow of persons
KR20180058348A (ko)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재/부재 검출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JP6067197B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5569B1 (ko)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9322A (ko)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664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616B1 (ko) 지능형 화재인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803808A1 (en) A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KR20190099992A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CN112817261A (zh) 隧道内多元联动的人员疏散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102264044B1 (ko)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