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021B1 -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 Google Patents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021B1
KR102264021B1 KR1020190122204A KR20190122204A KR102264021B1 KR 102264021 B1 KR102264021 B1 KR 102264021B1 KR 1020190122204 A KR1020190122204 A KR 1020190122204A KR 20190122204 A KR20190122204 A KR 20190122204A KR 102264021 B1 KR102264021 B1 KR 10226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ller
hollow composite
fiber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682A (ko
Inventor
이윤정
강기혁
장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9012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0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단섬유 90~70중량% 및 섬도 0.5~1.4De' 및 섬유장 10~25mm로 구성된 마이크로 섬유 10~30중량%로 혼합된 볼형태로 뭉쳐져 있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Filling Material With Excellent Abundance And Warmth}
본 발명은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에스테계 중공복합사 및 마이크로 섬유를 혼합한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아웃도어 의류가 대중화되면서, 찬바람이 불면 체온 유지를 위하여 누구나 하나쯤 구스다운 혹은 덕다운 점퍼를 꺼내 입을 정도로 아웃도어 제품은 이미 우리 생활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있으며, 많은 언론 매체의 아웃도어 제품 바로 알기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극한의 환경을 대비한 고기능성 및 보온성의 고가 제품보다 일상생활에 적합한 기능의 아웃도어 제품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런 소비 추세에 발맞춰 최근 개발되고 있는 겨울용 아웃도어 제품의 경우, 얇고 가벼우면서도 보온경량방풍투습의 고기능성을 가지는 아웃도어 제품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며 그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최근 특징적인 점은 인공 충전재 사용이 크게증가할 것이라는 아웃도어나 캐주얼과 달리 코트 스타일의 다운 제품이 많은 남성복은 겉감에 울을 사용하고 덕(duck)이나 구스(goose)를 쓸 경우 충전재가 밖으로 빠져나오기 쉬워 인공 충전재가 선호되고 있고, 원가가 인상된 천연 충전재보다 단가도 크게 낮아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다만, 내피용 충전재로 사용하는 우모(羽毛, feather)의 보온성과 경량성 효과를 만족할 만할 대체재가 충분히 개발되지 않고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방한용 제품은 공기층에 의한 단열 보온방식으로, 피복을 구성하는 직물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이유가 되어 활동성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며, 내피용 충전재로 사용하는 우모(羽毛, feather)는 세탁시 뭉침현상과 삼출현상으로 보온력이 저하되고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 또한 오리나 거위를 산 상태에서 깃털을 뽑는 형태가 동물보호단체의 반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천연소재의 특성상 냄새발생이 우려되고 세탁 등 관리면에서 불편한 점이 많다.
이에,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소재보다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면서 가격 경쟁력을 지닌 범용적인 아웃도어 제품과 이를 위한 국내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3949호에는 합성섬유와 포유류의 털을 함께 사용하여 적층시킨 보온용 패딩에 대해 개시하였다. 상기 패딩은 합성섬유층과 포유류의 털 및 합성섬유를 섞은 층을 적층하여 만든 다층구조의 보온재를 만들어 뭉침현상이나 섬유삼출없이 적정한 두께를 지닌 형태적으로 안정한 보온재를 만들었으나, 종래의 패딩 제작 설비에 포유류의 털 공급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번거로우며, 상기 포유류의 털과 같은 우모를 합성섬유와 혼합하여 우모의 장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합성보온재보다 가격 경쟁력이 매우 낮아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4206호에는 향상된 중공율을 가짐으로써 보온성 및 경량성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C형 중공섬유를 만들었으나, 후처리과정, 제직과정을 거치게 되는 불편함과 이중 복합사의 고유점도(IV)차이에 의한 둥그렇게 감기는 컬(curl)성질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합성 충전재는 단섬유를 적층시켜 일정한 형태로 제조되어 패딩류 등의 의류에 사용할 경우 뭉침형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회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장기간 사용을 위하여 여러 번 세탁을 하여도 보온성이 유지되기 위해 형태유지 및 회복율이 우수한 보온성 충전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여러 번 세탁을 하여도 함기율이 우수할 수 있도록 볼형태로 뭉친 형태의 유지 및 회복율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와 마이크로 섬유를 혼합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사용되는 우모(羽毛, feather)의 단점을 보완하고 대체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단섬유 90~70중량% 및 섬도 0.5~1.4De' 및 섬유장 10~25mm로 구성된 마이크로 섬유 10~30중량%로 혼합된 볼형태로 뭉쳐져 있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공복합사의 단면은 환형모양이고 단면의 중앙에는 전체 면적 대비 5~30%의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는 고유점도가 0.45~0.65 dl/g이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는 고유점도가 1.00~1.05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단사섬도가 1.5~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와 마이크로 섬유를 혼합 이용한 볼 형태를 갖는 보온성 충전재는 이성분중공복합사를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과 여러 번 세탁에도 중공율과 권축현상에 의해 함기율이 높고 탄성력을 우수하여 보온효과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볼 형태를 갖는 보온성 충전재의 섬유의 단면으로, 결합된 두개의 원형노즐을 통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이성분 복합사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이성분 중공복합사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이성분 중공복합사 단면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이성분 중공복합사를 용융방사공정을 통해 압출하기 위한 방사구금의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중공복합사와 마이크로 섬유가 혼합된 보온성 충전재의 볼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볼 형태를 갖는 보온성 충전재의 섬유의 단면으로, 결합된 두개의 원형구금을 통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이성분 복합사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통상 열수축 성분이 다른 2종의 폴리머(Polymer)를 구금을 통해 토출하여 단면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접합된 바이 컨퍼넌트(Bi-Component) 구조의 원사를 말한다. 단면이 원형상태 두 개가 연결된 눈사람(snowman)형태를 갖으며 각각의 원형상태의 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가 주를 이룬다. 다만, 섬유단면에 공기를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보온성, 탄성력, 경량성등에서 문제가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인 보온성 충전재에 사용되는 섬유 중 하나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 이성분 중공복합사 단면도 및 개념도에 관한 도면이다.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가 볼형태로 뭉쳐서 충전재를 형성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110)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120)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이며 중앙에 빈공간의 중공(130)이 있는 이성분 중공복합사(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성분 중공복합사(100)는 파상 또는 나선상의 주름의 성질을 갖는 권축사의 특징이 있다.
상기 이성분 중공복합사(100) 중 한 성분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120)는 약어로 PTT라고 하며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일종으로 기존의 합성구조를 바꾸어 촉감을 나일론과 같거나 그보다 좋게 만든 것이며 친피부적 원사를 말한다. 잠재 권축사류에 해당되는 원사이며 나이론의 터치와 스판덱스와 같은 신축성의 특징이 있고 통기성이 우수한 섬유이다.
또 다른 성분인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110)는 약어로 PET라고 하며 합성 섬유로 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인 PET를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다음 권취하는 용융방사공정을 거쳐 사용한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으로 배열된 중공복합사의 단면은 환형모양인 것에 특징으로 하는 볼 형태를 갖는 보온성 충전재로서, 중앙에는 전체 면적 대비 5~30%의 면적으로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충전재인 섬유 단면을 나타낸 도 1과 비교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 단면은 중앙에 원형의 빈 공간의 중공(130)이 있어 함기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함기율이 높으면 보온성이 뛰어나다. 보온성 충전재는 열도도가 낮은 섬유를 함유할수록 보온성이 뛰어나며 공기는 열전도율이 가장 낮아 보온성이 매우 좋다. 또한, 섬유속의 빈 공간이 클수록 보온성 이외에 경량성이 뛰어나서 의류의 충전재로써 착용감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단섬유 이외에 섬도 0.5~1.4De' 및 섬유장 10~25mm로 구성된 마이크로 섬유로 구성된 마이크로 섬유를 혼합사용한다.
혼합비율은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단섬유 대 마이크로 섬유의 중량비는 90:10 ~ 70:30이다. 마이크로 섬유가 혼합됨에 따라 중공복합사 볼(Ball) 사이에 지지층이 되어, 필파워 즉,복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섬유는 섬유도 및 섬유장을 만족하면 섬유의 조성물에 제한은 없으나 중공복합사 단섬유와 동종의 폴리에스테르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충전재 섬유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이성분 중공복합사를 용융방사공정을 통해 압출하기 위한 방사구금의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이성분을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구금을 통해서 압출시켜 냉각고화시킨다. 이때 방사구금은 도 4처럼 환형모양이지만 제1방사구금, 제2방사구금 사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특성이 있다.
상기 제1방사구금(140) 및 제2방사구금(150) 각각의 상단(141)(151)에는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그리고 각각의 하단에는 (143)(153)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를 용출시키면 된다. 이 과정에서 고압으로 압출된 직후 부피가 팽창하여 떨어진 간격이 좁아지면서 결국 연결완성된 환형모양이 된다.
이때 떨어진 간격이 좁아지면서 연결된 환형모양이 되기 위해서는 연결부위에는 동일한 폴리머이어야 한다. 방사구금별로 별도의 폴리머를 용출시키는 경우 두 폴리머간의 계면분리가 발생할 수 있어 환형모양 연결이 어렵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후 냉각고화과정을 거쳐 미연신사가 된다. 이렇게 용융방사된 미연신사는 최종 섬유로서 가져야 할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배양화와 결정화를 섬유구조에 발현시키는 연신공정을 거쳐 최종 원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사구금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원하는 섬유도와 중공율을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처음부터 분리가 되지 않은 환형모양의 방사구금을 사용할 경우 고압 압출직후 부피가 내외부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복합사 내부 원이 줄어들어 원하는 중공율을 갖기 어려울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중공복합사와 마이크로 섬유가 혼합된 보온성 충전재의 볼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방사구금을 통해 얻은 이성분 중공복합사는 각각의 폴리머의 고유점도의 차이에 의해 압출 후 냉각고화된 이후 수축되는 정도가 차이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수축율의 차이에 따라 섬유가 둥글게 말리는 권축(crimp)이 발생된다. 상기 고유점도 차이가 많이 날수록 권축(crimp)율이 커져서 작은 사이즈의 볼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고유점도 차이를 많이 갖기 위해서는 2가지 성분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성분의 폴리머는 고유점도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가 0.45~0.65dl/g이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가 0.9~1.1 dl/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는 중량비가 4대6 ~ 6대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보온성 충전재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연신비가 2.1~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신이란 회전수가 느린 feed roller에서 회전수가 빠른 take-up roller로 권취시키면서 연신 되면서 분자가 재배열되는 것을 말한다.
고분자물질은 대체로 고체로 되어 있으나 그 역학적 성질은 고분자 사슬의 배향상태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무배향상태에 있는 고분자를 2차전이 온도 이상에서 어떤 방향으로 인장하면, 고분자사슬들은 그 인장방향으로 배향되고 그 역학적 성질이 변한다. 이와 같은 조작을 연신이라 하며 방사된 합성섬유 필라멘트(filament)는 아주 작은 힘으로도 늘어나기 쉬우며 늘어난 것은 장력을 제거하여도 되돌아 가지 않는다. 그것은 고분자들이 무정형상태로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자체만으로는 섬유로서의 실용성이 없지만 2차 전이온도 이상에서 인장하면 분자들이 섬유축방향으로 배향되면서 극히 탄성이 우수한 섬유가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단사섬도가 1.5~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100mm이며, 상기 단섬유를 이용한 볼 형태의 보온성 충전재는 필파워(fill power)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충전재에 사용되는 단섬유의 섬도에 따라 충전재의 함기율과 필파워에서 차이가 발생된다. 충전재를 구성하는 단섬유가 세섬도일 경우에는 함기율이 높아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세섬도의 섬유는 탄성이 약해 필파워가 저하될 수 있으며, 충전재를 구성하는 단섬유가 태섬도일 경우에는 탄성력이 우수하여 필파워를 높일 수 있으나, 함기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보온성 충전재는 2~5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단섬유를 사용하여 함기율과 필파워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섬유장이 너무 짧거나 길면 볼 형태의 충전재 형로서 형성이 어려울 수 있거나, 형태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단섬유의 섬유장은 3~10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온성 충전재는 볼 형태로 형성되어 함기율이 높고 탄성회복성이 우수하며, 필파워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설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1~6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가 고유점도(IV) 1.02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IV) 0.65인 이성분 폴리머를 중공 형태의 방사구금을 통해 복합방사하였다. 상기 폴리머의 중량비는 1 대 1이며 복합방사 후 연신비 2.2의 연신과정을 거쳐 섬도 3데니어를 갖는 복합섬유를 얻으며 이후 절단과정을 거쳐 32mm 섬유장의 단섬유를 얻는다. 이후 중공 복합사 단섬유 (90~70중량%)와 마이크로 섬유 (10~30중량%) 2 종류 (섬유장 22 / 12mm)를 각각 비율에 맞춰 혼합 후 볼 형태의 보온성 충전재를 만들어 필파워를 측정하고, 상기 충전재 31.5g을 30cm×30cm 파우치내 일정한 두께로 주입한 후 보온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2
중공복합사와 마이크로 섬유의 함량이 표 1과 같은 것 이외에 실시예와 동일하다.
비교예 3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가고유점도(IV) 1.02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IV) 0.65인 이성분 폴리머를 중공 형태의 방사구금을 통해 복합방사하였다. 상기 폴리머의 중량비는 1 대 1이며 복합방사 후 연신비 2.2의 연신과정을 거쳐 섬도 3데니어를 갖는 복합섬유를 얻으며 이후 절단과정을 거쳐 32mm 섬유장의 단섬유를 얻는다. 이후 중공 복합사 단섬유만으로 볼 형태의 보온성 충전재를 만들어 필파워를 측정하고, 상기 충전재 31.5g을 30cm×30cm 파우치내 일정한 두께로 주입한 후 보온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물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 필파워 (복원력) 평가
직경 241의 실린더에 1온스(28.4g)의 시료를 넣고 3온스의 무게로 3일간 압
축 후에 압축을 제거하였을 때, 회복되는 부피를 측정하며, 예를 들면 회복되는 부피가 300in3/oz인 경우에는 필파워 300임을 나타내며 시료 당 5회의 평가실험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 보온성 평가
KSK 0560 항온법을 기준으로 아래와 평가하였다
- 외기온도 : 20±2℃
- 발열체 온도 : 36±0.5℃
- 시험편 크기 : 45cm×45cm
Figure 112020114413112-pat00006
삭제
표1과 같이 중공복합사 단섬유에 마이크로 섬유가 혼합 충전재는 마이크로 섬유가 없는 비교예 3보다 필파워된 실시예 1~6인 마이크로 섬유 10~30% 혼합시 필파워 및 보온성 상승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섬유에 의해 동일 부피내 공극형성 많아지는 영향, 압력이 가해진 후 회복시 지지층 역활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예 2,3은 마이크로 섬유가 30% 초과하여 혼합된 경우로 비교예 3보다는 다소 우수하나 실시예에 비해 섬유간 엉킴 현상 발생으로 필파워 및 보온성 하락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섬유와 중공복합사 Ball 엉켜 동일 부피내 공극형성 부족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1~3인 마이크로 섬유의 섬유장이 22mm 대비 12mm 일때 필파워 및 보온성 상승 효과가 우수하며 이는12mm 섬유 혼합시 섬유장이 짧아 분산성이 향상되며, 혼합 후 섬유간 얽힘 현상이 적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이성분 중공복합사
11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120 :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130 : 중공(빈공간)
140 : 제1방사구금 141: 제1방사구금 상단
143 : 제1방사구금 하단 150: 제2방사구금
151: 제2방사구금 상단 153 : 제2방사구금 하단

Claims (4)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으로 구성된 연신비가 2.1~4.0 및 단사섬도가 1.5~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100mm인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단섬유 90~70중량% 및
    섬도 1.0 초과 1.4이하의 De' 및 섬유장 10~25mm로 구성된 마이크로 섬유 10~30중량%로 혼합된 볼형태로 뭉쳐져 있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복합사의 단면은 환형모양이고 단면의 중앙에는 전체 면적 대비 5~30%의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는 고유점도가 0.45~0.65 dl/g이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는 고유점도가 1.00~1.05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단섬유는 단사섬도가 1.5~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KR1020190122204A 2019-10-02 2019-10-02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KR10226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04A KR102264021B1 (ko) 2019-10-02 2019-10-02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04A KR102264021B1 (ko) 2019-10-02 2019-10-02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82A KR20210039682A (ko) 2021-04-12
KR102264021B1 true KR102264021B1 (ko) 2021-06-11

Family

ID=7543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204A KR102264021B1 (ko) 2019-10-02 2019-10-02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144B1 (ko) 2021-08-18 2022-07-28 주식회사 메사캠프 깃털을 이용한 보온충전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온충전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849B1 (ko) 1993-01-28 2000-04-01 미리암디메코너헤이 섬유 충진재 및 기타 형태물
KR101775144B1 (ko) 2016-04-07 2017-09-05 주식회사 휴비스 내세탁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849B1 (ko) 1993-01-28 2000-04-01 미리암디메코너헤이 섬유 충진재 및 기타 형태물
KR101775144B1 (ko) 2016-04-07 2017-09-05 주식회사 휴비스 내세탁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144B1 (ko) 2021-08-18 2022-07-28 주식회사 메사캠프 깃털을 이용한 보온충전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온충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82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5118B (zh) 一种并列复合纤维喷丝板、用其制备三维卷曲抗菌纤维的方法及应用
MXPA02008529A (es) Hilos de efecto bicompuestos y telas de los mismos.
JP6483846B2 (ja) 人工芝生及び製造方法
CN111394829B (zh) 一种偏芯中空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200141029A1 (en) Reduced density synthetic fiber utilizing hollow microcapsules
WO2018051983A1 (ja) 繊維詰め物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CN105839248A (zh) 一种异收缩超细复合加弹丝及其加工工艺
CN105862150A (zh) 一种超细型复合纤维及其加工工艺
CN105970355A (zh) 一种异收缩超细复合纤维及其加工工艺
KR102264021B1 (ko)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KR20180133377A (ko) 벌키사
CN1936123A (zh) Pa6/pu复合三维卷曲纤维及其制备方法
KR20190044795A (ko) 고기능성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
KR102324357B1 (ko) 벌키성을 가지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KR101775144B1 (ko) 내세탁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
KR101741799B1 (ko) 충전재용 볼화이버의 제조방법 및 그 볼화이버
KR102347840B1 (ko) 두 종류의 중공복합사를 포함한 벌키성을 가지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JP2006274453A (ja) 温度調節機能を持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7861A (ko) 하이브리드 얀, 하이브리드 얀의 제조 방법 및 하이브리드 얀으로 제조된 직물
KR20160119915A (ko) 폴리에스테르계 중공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보온성 충전재
JPH1181120A (ja) 繊維構造体
CN111155203A (zh) 一种涤锦复合超细纤维及其生产方法
KR102324358B1 (ko) 2 종류의 중공섬유가 포함된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CN109700087B (zh) 一种环保服装
KR20170040396A (ko) 반복압축회복율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볼파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