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831B1 -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831B1
KR102263831B1 KR1020190146249A KR20190146249A KR102263831B1 KR 102263831 B1 KR102263831 B1 KR 102263831B1 KR 1020190146249 A KR1020190146249 A KR 1020190146249A KR 20190146249 A KR20190146249 A KR 20190146249A KR 102263831 B1 KR102263831 B1 KR 10226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air
nozzle unit
air purifier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598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19014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8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2Induction nozzles without swir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노피가 마련된 유모차에 장착되어 정화된 공기를 유모차의 내부에 공급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유모차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와, 상기 유모차의 캐노피 내측면에 마련되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노즐유닛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정화된 공기를 상기 노즐유닛에 전달하는 전달호스로 이루어져, 야외의 공기를 필터링 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제거시킨 정화된 청정공기를 캐노피가 설치된 유모차의 내부(시트공간)에 제공함으로써, 유모차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탑승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 Air Purifier for Stroller }
본 발명은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의 공기를 필터링 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제거시킨 정화된 청정공기를 캐노피가 설치된 유모차의 내부에 제공함으로써, 유모차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탑승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와 함께 외츨시에는 유아를 태우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야외에서는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눈과 피부는 햇빛에 직접 노출되게 되고 특히 산업화의 영향으로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자외선양의 증가는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는 유아의 눈과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유아의 눈과 피부를 강렬한 햇빛에서 보호하도록, 유모차 상부의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캐노피 또는 차양캐노피가 유모차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특히, 날씨가 화창할수록 유아를 유모차에 태워 외출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화창한 날씨일수록 유해한 자외선의 조사량도 많아져서 더욱 주의가 요망되는데, 피부 보호 체계가 완벽하지 못한 유아를 위해 많은 유모차가 캐리어 전면까지 자외선 차단을 위한 캐노피(Canopy)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이 캐노피가 설치된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들을 위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유모차에 유아를 태우고 거리를 거닐 때에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풍겨나오는 분진이나 냄새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날아다니는 이물질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흡기관이 완벽하지 않은 유아에게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에도 유아의 건강에 치명적인 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중에 함유된 세균이나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된 청정공기를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55637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의 공기를 필터링 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제거시킨 정화된 청정공기를 캐노피가 설치된 유모차의 내부(시트공간)에 제공함으로써, 유모차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탑승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된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캐노피가 마련된 유모차에 장착되어 정화된 공기를 유모차의 내부(시트공간)에 공급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유모차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와, 상기 유모차의 캐노피 내측면에 마련되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노즐유닛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정화된 공기를 상기 노즐유닛에 전달하는 전달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은 외면에 곡선의 배출슬릿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전달호스가 연결되도록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슬릿으로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방사상으로 가이드패널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에는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저면패널에 배출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노피의 내측면에는 상기 노즐유닛의 배출슬릿과 마주보도록 안내패널이 더 설치되어, 상기 배출슬릿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의 저면패널에는 관통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패널에는 상기 관통연결구와 연통되게 안착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에는 상기 노즐유닛의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자바라신장관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자바라신장관의 하단부에는 분사공들이 형성된 마감커버가 고정되고, 상기 마감커버의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탄성링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는 야외의 공기를 필터링 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제거시킨 정화된 청정공기를 캐노피가 설치된 유모차의 내부(시트공간)에 제공함으로써, 유모차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탑승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의 노즐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장착용 공기청정기라 명명함)는 캐노피(100)가 마련된 유모차에 장착되어 대기중 미세먼지 및 오염성분이 시트공간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정화된 공기를 유모차의 내부(시트공간)에 공급하는 장착용 공기청정기(10)로서, 상기 장착용 공기청정기(10)는 공기청정기(20)와 노즐유닛(30)과 전달호스(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청정기(20)는 상기 유모차에 나사체결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캐노피(100)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청정기(20)는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팬이 마련되고 상기 구동 팬의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필터가 마련된다.
상기 공기청정기(20)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먼지를 필터링 함과 아울러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통상의 공기청정기(20)이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패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닛(30)은 상기 유모차의 캐노피(100) 내측면에 마련되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노즐유닛(30)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원형의 하우징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유닛(30)은 외면에 곡선의 배출슬릿(3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전달호스(40)가 연결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슬릿(31)으로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방사상으로 가이드패널(33)들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배출슬릿(31)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패널(33)에 정화된 공기가 안내되고, 상기 배출슬릿(31)을 통해서 유모차의 캐노피 내면을 따라 전면 방사의 형태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어, 캐노피의 끝단부에서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패널(33)은 상기 노즐유닛(3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기 노즐유닛(30)의 내면에 접착 또는 융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노즐유닛(30)에는 상면패널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상부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기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 상기 전달호스(40)의 타단을 끼워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노즐유닛(30)의 관통공에 공급하여 상기 배출슬릿(31) 및 후술될 배출공(341)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유닛(30)에는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저면패널(34)에 배출공(341)들이 더 형성된다.
즉, 노즐유닛(30)이 상기 배출슬릿(31)을 통해 캐노피의 내면을 따라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이 공기가 캐노피의 끝단부, 즉 사용자의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공(341)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하부로 배출되어 시트공간에 청정공기를 충진시킴으로써, 유아에게 직접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유모차 커버 없이도 개방된 공간에서 공기청정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닛(30)은 상기 유모차의 캐노피(100) 상의 타공을 형성하고, 타공된 부분에 설치된 마감재에 끼워 고정시키거나, 캐노피(100)에 나사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캐노피(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노즐유닛(30)의 배출슬릿(31)과 마주보도록 안내패널(35)이 더 설치되어, 상기 배출슬릿(31)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패널(35)은 상기 노즐유닛(30)의 배출슬릿(31)과 마주보도록 상기 캐노피(100)의 내측상면에 일단이 접착 또는 마그네틱 커플링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안내패널(35)은 상기 노즐유닛(30)과 연결샤프트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상기 노즐유닛(30)의 외면에 고정관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정관에 신장관을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끼운 후 상기 신장관의 단부에 상기 안내패널(35)을 나사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유모차 또는 캐노피(100)의 크기에 맞게 상기 안내패널(35)과 상기 노즐유닛(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패널(35)의 상기 배출슬릿(31)과 마주보는 면에는 곡선의 안내면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배출슬릿(31)을 통해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가 곡선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정한 에어커튼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호스(40)는 상기 공기청정기(20)의 정화된 공기를 상기 노즐유닛(3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달호스(40)는 일단이 상기 공기청정기(20)의 배출구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기(20)의 정화된 공기를 상기 노즐유닛(3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노즐유닛(30)의 저면패널(34)에는 관통연결구(36)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패널(34)에는 상기 관통연결구(36)와 연통되게 안착관(37)이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37)에는 상기 노즐유닛(30)의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자바라신장관(371)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연결고정되며, 상기 자바라신장관(371)의 하단부에는 분사공(372a)들이 형성된 마감커버(372)가 부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마감커버(372)의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관(37)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탄성링(372b)이 더 체결되어, 상기 마감커버(372)를 잡아당겨 상기 안착관(37)에서 분리한 후 지속적으로 잡아당겨 상기 자바라신장관(371)이 신장되면서 상기 마감커버(372)가 사용자의 입부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근접된 상태에서 정화된 공기를 공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커버(372)에는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고 당기거나 상기 안착관(37)에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연장로프의 상단부를 묶음 고정하고 상기 연장로프의 하단부에 당김고리를 묶음고정하여 사용자가 유모차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당김고리를 잡아당겨 상기 마감커버(372)를 상기 안착관(37)에서 인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하다.
상기 마감커버(372)는 상기 탄성링(372b)에 의해 상기 안착관(37)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마감커버(372)는 상기 자바라신장관(371)의 하단부를 폐쇄하며 고정되고, 상기 자바라관에서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분사공(372a)을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커버(372)의 내측면과 상기 노즐유닛(30)의 내측 상면을 당김코일스프링으로 연결함으로써, 당겨 인출된 상기 마감커버가 상기 담김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코일스프링은 상기 마감커버(372)의 내측면과 상기 노즐유닛(30)의 내측 상면에 융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장착용 공기청정기
20 : 공기청정기
30 : 노즐유닛
31 : 배출슬릿
32 : 유입공
33 : 가이드패널
34 : 저면패널
341 : 배출공
35 : 안내패널
36 : 관통연결구
37 : 안착관
371 : 자바라신장관
372 : 마감커버
372a : 분사공
372b : 탄성링
40 : 전달호스
100 : 캐노피

Claims (5)

  1. 캐노피가 마련된 유모차에 장착되어 정화된 공기를 유모차의 내부에 공급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유모차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
    상기 유모차의 캐노피 내측면에 마련되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노즐유닛;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정화된 공기를 상기 노즐유닛에 전달하는 전달호스;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부면 정 중앙 위치에 전달호스가 연통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노즐유닛의 측면 중 유모차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를 유모차의 전방을 향해 분출하는 배출슬릿;
    노즐유닛의 내부에 장착되고, 노즐유닛 내부로 유입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슬릿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유입공으로부터 배출슬릿 방향으로 방사상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 패널; 및
    노즐유닛의 저면패널에 형성되고, 노즐유닛 내부로 유입된 정화된 공기를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내측면에는 상기 노즐유닛의 배출슬릿과 마주보도록 안내패널이 더 설치되어, 상기 배출슬릿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의 저면패널에는 관통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패널에는 상기 관통연결구와 연통되게 안착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에는 상기 노즐유닛의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자바라신장관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자바라신장관의 하단부에는 분사공들이 형성된 마감커버가 고정되고,
    상기 마감커버의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탄성링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KR1020190146249A 2019-11-14 2019-11-14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KR10226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49A KR102263831B1 (ko) 2019-11-14 2019-11-14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49A KR102263831B1 (ko) 2019-11-14 2019-11-14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598A KR20210058598A (ko) 2021-05-24
KR102263831B1 true KR102263831B1 (ko) 2021-06-11

Family

ID=7615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249A KR102263831B1 (ko) 2019-11-14 2019-11-14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97035A1 (en) * 2014-09-30 2017-10-19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ust collection assembly,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1997631B1 (ko) * 2018-02-19 2019-07-08 주식회사 피코피코 유모차용 공기 정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375B1 (ko) 2015-07-13 2015-10-01 주식회사 쁘레베베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97035A1 (en) * 2014-09-30 2017-10-19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ust collection assembly,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1997631B1 (ko) * 2018-02-19 2019-07-08 주식회사 피코피코 유모차용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598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0996B2 (ja) 空気清浄装置
KR101509060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정화기
CN204077307U (zh) 包含空气净化装置的汽车座椅靠背
CN111684210B (zh) 用于通风进气口的空气处理装置
KR101556375B1 (ko)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2046253B1 (ko)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KR102263831B1 (ko)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WO20212246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деления частиц от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2419424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20110136394A (ko) 유모차용 공기정화장치
EP3651864B1 (en) Portable air treatment device
KR20190028895A (ko) 햇빛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20180110738A (ko)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중 복합오염물질 처리용 집진장치
US20210315739A1 (en) Fog-reducing apparatus for eye protection equipment
CN205323041U (zh) 一种自行车专用头盔式防霾器
KR101618591B1 (ko) 베르누이 원리를 응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KR19990008416A (ko) 공기정화기
KR102304116B1 (ko) 정류장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TWM614198U (zh) 管狀過濾器及用於過濾受污染的環境空氣之系統
KR102139306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어셈블리
CN206214968U (zh) 一种空气过滤设备
DE202006017471U1 (de) Reinigungs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Zuluft in einem Belüftungssystem für einen Kraftfahrzeug-Insassenraum
CN215455620U (zh) 口罩
KR102664875B1 (ko) 미세먼지 저감장치
CN215461515U (zh) 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