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375B1 -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375B1
KR101556375B1 KR1020150099285A KR20150099285A KR101556375B1 KR 101556375 B1 KR101556375 B1 KR 101556375B1 KR 1020150099285 A KR1020150099285 A KR 1020150099285A KR 20150099285 A KR20150099285 A KR 20150099285A KR 101556375 B1 KR101556375 B1 KR 10155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unit
cover body
filter cas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쁘레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to KR102015009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01D46/00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magne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의 좌석부를 덮어 씌우는 커버체(예를 들어 보낭커버)에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차단하는 필터유닛을 설치하여 유아를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유모차의 상부에서부터 좌석부 하측까지 덮으며, 일측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의 통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커버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여과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Apparatus for Blocking Fine Dust into 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좌석부를 덮어 씌우는 커버체(예를 들어 보낭커버)에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차단하는 필터유닛을 설치하여 유아를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오염 정도가 심한 도시 생활에서 쾌적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 청정기와 같은 공기 정화시설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부유물질인 먼지 등을 필터를 통해 포집해 제거하여 정화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 장시간 체류할 때에는 새로운 공기 유입 부족으로 인하여 공기 중의 산소가 부족해지는 대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생활 환경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날씨가 화창할수록 유아를 유모차에 태워 외출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화창한 날씨일수록 유해한 자외선의 조사량도 많아져서 더욱 주의가 요망되는데, 피부 보호 체계가 완벽하지 못한 유아를 위해 많은 유모차가 캐리어 전면까지 자외선 차단을 위한 캐노피(Canopy)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이다.
이와 같이 캐노피가 설치된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들을 위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유모차의 캐노피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산소를 제한할 경우 유아의 호흡 대사에 따라 산소 감소 및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인하여 공기의 질이 안 좋아지게 된다.
또한, 호흡기관이 약한 유아에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에도 유아의 건강에 치명적인 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51585호에 유아가 탑승하는 유모차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호흡 대사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다른 유해 가스 및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공기 정화 및 산소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 정화 및 산소 발생 기능을 갖는 유모차는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송출하고, 송출된 공기를 여과하여 유모차에 산소를 공급하는데, 펌프가 유아가 몸을 움직일 때에만 작동을 하게 되므로 유아가 잠들거나 움직이지 않는 경우, 유아의 체중이 작아서 움직임이 있더라도 미세한 힘만 가해지는 경우에는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전혀 공기 정화 및 산소 발생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서 실효성이 없다.
또한 기존의 공기 정화 및 산소 발생 기능을 갖는 대부분의 유모차는 전동식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키고, 송풍된 공기를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유모차의 좌석 쪽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모터와 팬, 배터리 등의 구동장치로 인하여 부피와 무게가 대폭 증가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1585호(2010.12.17.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476837호(2015.04.0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모차의 좌석부를 덮어 씌우는 커버체에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차단하는 필터유닛을 설치하여 유아를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유닛을 커버체에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필터유닛을 커버체에 장착하여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유모차의 상부에서부터 좌석부 하측까지 덮으며, 일측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의 통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커버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여과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 성분이 1차 필터부와 2차 필터부와 3차 필터부로 구성된 필터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미세먼지가 거의 완전하게 걸러져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만 유아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유닛에 자외선램프를 탑재할 경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세균과 바이러스까지도 완전히 살균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면역력이 약한 유아를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유닛에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여 필터의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게 되면, 필터유닛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여과 성능이 저하되면 이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필터유닛의 교체나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정된 여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장치에 구성된 필터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터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장치에 구성된 필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유모차(1)의 상부에서부터 좌석부 하측까지 덮으며, 일측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구(13)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10)와,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커버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여과하는 1개 이상의 필터유닛(2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체(10)는 직물이나 유연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모차(1) 상단의 캐노피(2)에서부터 유아가 앉아 있는 좌석부(3)의 하측까지 연장되면서 좌석부(3)를 완전히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체(10)의 전방면에는 좌석부(3)에 착석한 유아를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수지 재질의 윈도우(11)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체(10)의 하단부에는 미세먼지가 좌석부(3)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체(10) 하단부를 좌석부(3)의 하부면에 밀착시키는 고무줄이나 끈 등의 실링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체(10)는 유모차(1) 상부에 구성된 캐노피(2)에 연결되어 캐노피(2)와 함께 접히거나 펴지면서 유모차(1)를 덮거나, 혹은 유모차(1)와는 개별체로 되어 유모차(1)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자가 유모차(1)의 수납 공간에 수납하거나 휴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이와 다르게 유모차의 캐노피(2) 자체를 커버체(10)로 하여 캐노피(2)의 하단이 좌석부(3) 아래쪽까지 연장되면서 유모차를 덮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는 유아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커버체(10)의 일측부 또는 커버체(10)의 윈도우(11)의 한 쪽 모서리 부분 등에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필터유닛(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필터유닛(20)을 분리하였을 때 상기 통기구(13)를 통해 벌레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내는 망사체(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13)의 외측부에는 상기 필터유닛(20)을 용이하게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링 형태의 결합부(12)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12)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필터유닛(20)이 나선 결합되는 제1나사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유닛(20)은 미세먼지와 유독가스를 걸러내는 복수의 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유닛(20)은,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케이스(21)와, 상기 필터케이스(21) 내부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1차 필터부(22), 2차 필터부(23), 3차 필터부(2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케이스(21)는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케이스(21)의 후단부에는 상기 커버체(10)의 결합부(12)에 형성된 제1나사산부(121)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케이스(21) 후단부의 제2나사산부(214)를 커버체(10)의 결합부(12)의 제1나사산부(121)에 맞추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나사산부(121)와 제2나사산부(214)에 의해 필터케이스(21)가 결합부(1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1)는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1차 필터부(22)가 설치된 제1필터케이스(21), 2차 필터부(23)가 설치된 제2필터케이스(21), 3차 필터부(24)가 설치된 제3필터케이스(21)의 3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는 상호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는 각각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형성된 결합홈(215)과 결합돌기(216) 간의 억지끼움식 결합에 의해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가 상기 제1나사산부(121)와 제2나사산부(214) 간의 나선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면,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 각각을 따로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차 필터부(22)는 필터케이스(21) 내부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입자의 먼지를 비롯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작용을 한다. 상기 1차 필터부(22)는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링(221)과, 상기 각각의 고정링(221)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링 융모(222)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링(221)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링 형태의 부재로 되어, 필터유닛(20)의 전방부에 동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링(221) 사이의 틈새는 공기와 이물질이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링(221)들은 연결리브(22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필터링 융모(222)는 50~400㎛ 굵기를 갖는 매우 가느다란 섬유로 만들어지며, 상기 고정링(221)의 외면에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고정링(22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작용을 한다. 상기 필터링 융모(222)의 굵기가 50㎛ 보다 작을 경우 제작이 어려워 제작비가 지나치게 상승하게 되고, 필터링 융모(222)의 굵기가 400㎛ 를 초과하게 되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상기 필터링 융모(222)는 미세먼지 점착 성능이 우수한 활성탄소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융모(222)가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고, 걸러진 미세먼지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터링 융모(222)의 표면에는 이물질을 점착하는 셀룰로오스와 같은 점성 재료가 코팅되거나, 필터링 융모(222) 자체가 셀룰로오스와 같은 점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1차 필터부(22)를 통과할 때 후방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여과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1차 필터부(22)의 고정링(221)의 두께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1차 필터부(22)의 고정링(221)의 두께가 후방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면 고정링(221) 사이의 틈새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어 필터링 융모(222)에 의해 미세먼지까지 걸러지게 된다.
상기 2차 필터부(23)는 상기 1차 필터부(2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1차 필터부(22)를 통과한 공기에서 금속 성분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자성체로 된 필터메쉬(231)와, 상기 필터메쉬(231)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어 필터메쉬(231)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232)과, 상기 필터메쉬(231) 사이에 분포되어 유독성분을 정화하는 활성탄(233)을 구비한다. 상기 2차 필터부(23)의 전방면과 후방면은 활성탄(23)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공기는 통과시키고 활성탄(23)은 통과시키지 않는 얇은 다공성 박막(23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2차 필터부(23)는 상기 필터메쉬(231)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자석(232)에 의해 자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메쉬(231)의 체 눈 내부 공간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필터메쉬(23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서 철가루 등의 자성체 금속 성분이 필터메쉬(231)에 들러붙어 걸러지며, 자석에 붙지 않는 유독성분은 활성탄(233)에 의해 정화된다.
상기 2차 필터부(23)는 필터메쉬(231) 사이에 활성탄(233)이 수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필터유닛(20)의 전체 크기를 줄이면서 미세먼지 포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3차 필터부(24)는 상기 2차 필터부(23)의 후방에 배치되며, 주름진 형태를 갖는 여과지(241)를 갖도록 되어 2차 필터부(23)를 통과한 공기에서 최종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3차 필터부(24)의 여과지(241)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필터 또는 활성탄 종이필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보호자가 유아를 유모차의 좌석부(3)에 착석한 상태에서 유모차 상부의 캐노피(2)에서부터 좌석부(3) 하측까지 커버체(10)를 연장하여 좌석부(3)를 덮은 다음, 커버체(10) 하단부의 실링수단을 이용하여 커버체(10)의 하단부를 좌석부(3)의 하부면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커버체(10)에 의해 유아가 착석한 좌석부(3) 내측 공간이 외부와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가 필터유닛(20)을 커버체(10)의 통기구(13)에 형성된 결합부(12)에 결합시킨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필터유닛(20)의 필터케이스(21) 후단부에 구성된 제2나사산부(214)가 결합부(12)의 제1나사산부(121)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필터유닛(20)이 결합부(1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필터유닛(20)이 결합부(12)에 결합되면, 필터유닛(20)에 구성된 1차 필터부(22)와 2차 필터부(23)와 3차 필터부(24)에 의해 미세먼지와 유해성분이 걸러져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만 좌석부(3) 내측으로 유입되어 유아에게 공급된다.
상기 1차 필터부(22)에서는 각각의 고정링(221)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다수의 필터링 융모(222)에 걸리면서 걸러지게 된다. 상기 필터링 융모(222)의 표면은 점성 재료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1차 필터부(22)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는 필터링 융모(222)에 점착된다.
상기 1차 필터부(22)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먼지와 유해성분은 2차 필터부(23)에서 걸러지게 되는데, 이 때 유해 중금속 등의 자성체 금속 성분은 자성을 띠고 있는 필터메쉬(231)에 들러 붙어 걸러지고, 비자성체의 유해성분은 활성탄(233)에 의해 흡착되어 걸러진다.
상기 2차 필터부(23)를 통과한 공기는 3차 필터부(24)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잔류하는 초미세먼지와 유해가스가 여과지(241)에 의해 완전히 걸러지게 되어 좌석부(3) 내부로는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만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유닛(20)을 커버체(10)의 통기구(13) 외측에 구비된 결합부(12)에 장착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걸러내는 작용을 수행하다가 필터유닛(20)에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어 여과 성능이 저하되면 필터유닛(20)을 상기 결합부(12)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물이나 압축공기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필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필터유닛(20)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필터유닛(20)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1차 필터부(22)와 2차 필터부(23) 사이에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자외선램프(25)와, 공기 유량을 측정하여 필터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7)와, 상기 자외선램프(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등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25)는 상기 1차 필터부(22)를 통과한 공기 중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작용을 함과 더불어 상기 1차 필터부(22)와 2차 필터부(23)에 흡착된 이물질에서 증식하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2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261)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자외선램프(25)로 인가하는 컨트롤러(262)와, 전선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의 인근에 설치되는 컨넥터(263)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일측에 상기 자외선램프(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케이스(21)가 커버체(10)에 결합될 때 상기 컨넥터(263)에 접속되는 단자부(2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261)와 컨트롤러(262)는 유모차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262)에는 상기 자외선램프(2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노브(knob)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27)는 상기 컨넥터(263)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2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262)로 송출한다. 상기 컨트롤러(262)는 센서(27)에 의해 감지된 공기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컨트롤러(262)에 구비되는 LED 표시부 또는 음성출력장치, LCD 등의 영상표시장치 등을 통해 필터 막힘 신호를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필터 교체나 세척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램프(25) 및 센서(27)는 1차 필터부(22)와 2차 필터부(23) 사이에 구성되었지만, 이와 다르게 2차 필터부(23)와 3차 필터부(24) 사이, 또는 3차 필터부(24)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커버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 성분이 1차 필터부(22)와 2차 필터부(23)와 3차 필터부(24)로 구성된 필터유닛(20)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미세먼지가 거의 완전하게 걸러져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만 유아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유닛(20)에 자외선램프(25)를 탑재할 경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세균과 바이러스까지도 완전히 살균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면역력이 약한 유아를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유닛(20)에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여 필터의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7)를 설치하게 되면, 필터유닛(20)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여과 성능이 저하되면 이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필터유닛(20)의 교체나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정된 여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유모차 2 : 캐노피
3 : 좌석부 10 : 커버체
11 : 윈도우 12 : 결합부
13 : 통기구 14 : 망사체
20 : 필터유닛 21 : 필터케이스
22 : 1차 필터부 221 : 고정링
222 : 필터링 융모 23 : 2차 필터부
231 : 필터메쉬 232 : 자석
233 : 활성탄 24 : 3차 필터부
241 : 여과지 25 : 자외선 램프
261 : 배터리 262 : 컨트롤러
263 : 컨넥터 264 : 단자부
27 : 센서

Claims (8)

  1. 유모차의 상부에서부터 좌석부 하측까지 덮으며, 일측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구(13)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10)와;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커버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유독성분을 여과하는 필터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20)은,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통형상의 필터케이스(21)와;
    상기 필터케이스(21)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링(221)과, 상기 각각의 고정링(221)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링 융모(222)를 구비한 1차 필터부(22);를 구비하며,
    상기 1차 필터부(22)의 필터링 융모(222)는 50~400㎛ 굵기를 갖는 섬유로 만들어지며, 표면에 이물질을 점착하는 점성 재료가 코팅되거나, 자체가 점착력을 갖는 점성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20)은,
    상기 필터케이스(21) 내부에서 상기 1차 필터부(22)의 후방에 1차 배치되며, 상기 1차 필터부(22)를 통과한 공기에서 금속 성분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자성체로 된 필터메쉬(231)와, 상기 필터메쉬(231)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어 필터메쉬(231)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232)과, 상기 필터메쉬(231) 사이에 분포되어 유독성분을 정화하는 활성탄(233)을 구비한 2차 필터부(23)와;
    상기 2차 필터부(23)의 후방에 배치되며, 주름진 형태를 갖는 여과지(241)를 구비하여 2차 필터부(23)를 통과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3차 필터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부(22)의 고정링(221)의 두께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부(22)와 2차 필터부(23) 사이에 설치되어 필터케이스(21)의 내측으로 자외선(UV)을 방출하는 자외선램프(25)와;
    상기 자외선램프(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유모차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자외선램프(25)로 인가하는 컨트롤러와, 전선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의 인근에 설치되는 컨넥터(263)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일측에 상기 자외선램프(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케이스(21)가 커버체(10)에 결합될 때 상기 컨넥터(263)에 접속되는 단자부(26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의 통기구(13)에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내는 망사체(14)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구(13)의 외측부에 상기 필터케이스(21)가 나선 결합되도록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결합부(12)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케이스(21)의 후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부(121)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부(2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에 설치되어 필터케이스(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지하여 필터의 막힘을 감지하는 센서(27)와,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 부분에 상기 센서(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센서(27)에 의해 감지된 공기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필터 막힘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는 상기 1차 필터부(22)가 설치된 제1필터케이스(21)와, 상기 2차 필터부(23)가 설치된 제2필터케이스(21), 상기 3차 필터부(24)가 설치된 제3필터케이스(21)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필터케이스(21)와 제2필터케이스(21) 및 제3필터케이스(21)는 상호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20150099285A 2015-07-13 2015-07-13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1556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285A KR101556375B1 (ko) 2015-07-13 2015-07-13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285A KR101556375B1 (ko) 2015-07-13 2015-07-13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375B1 true KR101556375B1 (ko) 2015-10-01

Family

ID=5433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285A KR101556375B1 (ko) 2015-07-13 2015-07-13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3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10B1 (ko) * 2015-10-22 2017-03-16 김의웅 유모차용 덮개의 환기장치
US20190232994A1 (en) * 2018-01-26 2019-08-01 Efrain Vazquez Stroller cover
KR102018625B1 (ko) 2018-08-24 2019-09-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된 스마트 유모차
KR102239405B1 (ko) 2019-10-31 2021-04-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능 및 보조동력을 구비한 친환경 유모차
KR20210041938A (ko)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KR20210058598A (ko) 2019-11-14 2021-05-24 김성환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209A2 (en) 2006-07-16 2008-01-24 Yigal Ben Yitzchak Protective enclos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209A2 (en) 2006-07-16 2008-01-24 Yigal Ben Yitzchak Protective enclosu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10B1 (ko) * 2015-10-22 2017-03-16 김의웅 유모차용 덮개의 환기장치
WO2017069352A1 (ko) * 2015-10-22 2017-04-27 김의웅 유모차용 덮개의 환기장치
CN106945710A (zh) * 2015-10-22 2017-07-14 金义雄 用于婴儿车罩的通风装置
US20190232994A1 (en) * 2018-01-26 2019-08-01 Efrain Vazquez Stroller cover
US10384706B1 (en) * 2018-01-26 2019-08-20 Efrain Vazquez Stroller cover
KR102018625B1 (ko) 2018-08-24 2019-09-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된 스마트 유모차
KR20210041938A (ko)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KR102239405B1 (ko) 2019-10-31 2021-04-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능 및 보조동력을 구비한 친환경 유모차
KR20210058598A (ko) 2019-11-14 2021-05-24 김성환 유모차 장착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375B1 (ko) 유모차의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1868164B1 (ko) 공기 여과 장치
KR102096044B1 (ko) 공기청정기
CN203852751U (zh) 一种便携式空气净化器
KR102231447B1 (ko) 필터 다단 적층형 공기청정기
KR102178638B1 (ko)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GB2570640A (en) A fan assembly
CN213577960U (zh) 可杀菌的空气净化器
US20190093908A1 (en) Ceiling mounted air purifier
CN108853824A (zh) 一种空气净化呼吸器进气方法及运用该方法的呼吸器
JP3157326U (ja) ポータブル空気浄化器
DE102016121821A1 (de) Tragbares individuelles Luftreinigungssystem
JP2005061700A (ja) 空気清浄機
CN107249677A (zh) 过滤器以及具有过滤器的呼吸设备
KR20090113697A (ko) 공기 청정기
KR20200129206A (ko) 공기청정기가 부착된 운반 캐리어
CN209204902U (zh) 实验室用空气过滤器
CN2643897Y (zh) 携带式消毒灭菌空气净化器
KR20090094527A (ko) 유해가스및 먼지 차단장치가 있는 웰빙 크린유모차
CN212348080U (zh) 净化组件及气体净化装置
JP2007160027A (ja) 空気清浄装置
CN205655404U (zh) 一种洁净空气的室内空气净化装置
TWM491486U (zh) 能清洗式的微米陶瓷濾清防塵口罩
KR102422310B1 (ko) 공기청정기
CN214891656U (zh) 一种负压隔离病房用通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