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40B1 -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40B1
KR102263640B1 KR1020190104227A KR20190104227A KR102263640B1 KR 102263640 B1 KR102263640 B1 KR 102263640B1 KR 1020190104227 A KR1020190104227 A KR 1020190104227A KR 20190104227 A KR20190104227 A KR 20190104227A KR 102263640 B1 KR102263640 B1 KR 10226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ard
unit
vehicle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735A (ko
Inventor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조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규 filed Critical 조민규
Priority to KR102019010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차량의 도어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차량 종류에 관계없이 차량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차량의 도어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차량 종류에 관계없이 차량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도어가드는 사용자가 차량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미리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 스크래치는 차량의 문이 열리면서 도어의 가장자리 부분이 물체와 접촉하면서 차량에 발생하는 스크래치이다.
현재 판매 및 사용되고 있는 제품은 스펀지를 차량 도어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흠집이 날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붙이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펀지형 도어가드는 외관상에 보기 좋지 않고 주행 중일 때 공기 저항(공력)에 영향을 주며, 세차할 때 불편하고 쉽게 떼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어 가장자리 따라 전체를 몰딩하지 않으면 특정 부분은 보호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스펀지형 도어가드를 탈착하면 접착제 등의 잔여물이 남아서 완전한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량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판넬을 뚫어서 소비자가 아닌 차량 회사에서 차량 생산 시, 자체적으로 장착하는 도어가드에 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도어판넬을 뚫어서 설치하는 도어가드의 경우, 잔고장 발생 시 수리 등의 유지보수가 어렵고, 도어판넬 자체를 가공하기 때문에 도어의 강성이 저하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로부터 탑승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4273호에는 차량용 도어 가드에 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도 여전히 차량의 도어판넬 내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여, 차량 도어의 강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가드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4273호 (2016.02.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예방하기 위한 전자식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전자식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전자식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를 감지하고, 도어의 개폐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시점(동력발생부의 작동시작시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듈 및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의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다각형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화부재에 의하여 완화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드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부 및 암부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암부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하여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암부에 상기 가드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보호범위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항에 의한 전자식 도어가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하는 기준점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점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에 제1값을 입력하는 최저값 입력단계,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에 제2값을 입력하는 최고값 입력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1값과 상기 제2값의 차이값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에 해당하는 제3값을 계산하는 계산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3값을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기준점으로 재설정하는 강제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작지점을 선택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점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어서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작지점을 선택적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자체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애프터마켓으로 구매하여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판넬을 가공하지 않아 도어 자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판넬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고장 발생 시 도어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종류마다 도어의 개폐가능 범위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시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차량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과 제어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드부의 길이가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작동시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토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차량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과 제어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드부의 길이가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작동시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차량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00) 및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의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듈(100)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몸체부(부호 미부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하는 암부(130) 및 상기 암부(1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드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제1몸체부(110) 및 상기 제1몸체부(110)와 분리결합이 가능한 제2몸체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몸체부(110)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홈(111), 상기 수용홈(1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112), 상기 제1몸체부(1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113), 상기 결합돌부(113)를 관통하여 구멍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4), 상기 고정홈(114)에 삽입되는 고정핀(115),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탈착부(116) 및 상기 수용홈(111)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는 연결홈(117)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몸체부(110)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1)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몸체부(110)의 중심부에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1)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1)의 기저부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1110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수용홈(111)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의 심미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반구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수용홈(1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1)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1몸체부(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수용홈(1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1)의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는, 중심부가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12)를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113)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가장자리 4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13)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14)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돌부(113)의 측면을 관통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15)은, 볼트, 나사 등과 같이 상기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탈착부(116)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양측이 함몰되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수용홈(111)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의 중심부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 양측이 함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중심부가 돌출되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117)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홈(111)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 마련된다. 즉, 상기 연결홈(117)은, 상기 탈착부(116)와 대향되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117)은, 상기 수용홈(1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121), 상기 결합돌부(121)를 관통하여 구멍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22) 및 상기 결합돌부(121)에 인접하여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기 수용홈(111)을 차폐하는 커버의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접하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타면의 중심부가 상기 제2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반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면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120)의 가장자리 4지점에 결합돌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120)의 결합돌부(121)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결합돌부(113)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2몸체부(120)가 상기 제1몸체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110)의 결합돌부(113)가 상기 제2몸체부(12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사각형상의 결합홈(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121)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123)의 외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121)에도 상기 고정홈(114)와 동일한 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핀(115)은,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14,122)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본드, 실리콘, 열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한 융착방법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암부(130)는, 상기 암부(13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134),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부(132), 상기 축부(132)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다각형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완화부재(133) 및 상기 암부(130)의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31)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축부(132)는, 상기 수용홈(1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130)는, 상기 축부(132)의 양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 마련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암부(130)가 상기 축부(132)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암부(1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부(132)는, 상기 축부(132)의 중심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일부분이 끊어져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축부(132)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11’자 형태로 상기 암부(130)가 마련되고, 상기 ‘11자’ 형태로 마련된 암부(130)의 사이에 상기 축부(132)가 상기 암부(130)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며, 상기 암부(131)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부(132)는, 상기 암부(130)로부터 일부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암부(131)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부(13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축부(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12)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모터, 펌프,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완화부재(133)는, 상기 암부(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된 상기 축부(132)에 결합된다. 상기 완화부재(133)는 일예로 양단부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중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축부(132)가 상기 동력발생부(1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화부재(133)에 의하여 회전이 완화되어, 상기 동력발생부(134)가 순간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축부(132)에 회전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화부재(133)는 상기 축부(132)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드부(140)가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싸기 위해 인출해야하는 각도가 다르고,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제어모듈(200)에 의해 기설정된 동력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발생부(134)가 여전히 동력을 발생시킬 경우, 추가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완화부재(133)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140)가 인출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입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 상기 동력발생부(134)에서 발생시키는 잔류 동력에 의하여 상기 가드부(14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가드부(140)를 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2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작동한 후에는, 상기 가드부(140)를 인입시키는 타방향으로만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31)은, 상기 암부(130)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장 마련된다. 즉, 상기 끼움홈(131)은, 대략 ‘T’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드부(140)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부재(141) 및 상기 완충부재(141)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끼움홈(131)에 결합되는 끼움돌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141)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41)는, ‘ㅅ’자, ‘ㄱ’자, 갈고리 형상과 같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41)는, 도어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내측면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밀착하여 결속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부(142)는, 상기 완충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완충부재(141)의 일측으로부터 ‘T’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돌부(142)는, 상기 끼움홈(1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13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끼움홈(131) 및 끼움돌부(142)를 ‘T’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끼움홈(131) 및 끼움돌부(14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력을 사용한 결합방식 등과 같이 상기 암부(130) 및 가드부(140)의 결합을 유지하고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가드부(140)는, 상기 완충부재(141)의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암부에 상기 가드부(14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보호범위가 변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에 부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부(210), 상기 커버부(210)의 타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탈착부(220), 상기 커버부(21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230), 상기 커버부(210)의 내부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240), 상기 배터리(230)와 상기 센서부(240)로부터 각각 연장 마련되는 케이블(250) 및 상기 구동모듈(100)을 포함하여 상술한 구성들의 작동, 즉,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커버부(210) 내부의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측커버(211) 및 하측커버(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하측커버(212)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홈(213)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측커버(211) 및 하측커버(212)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213)은, 상기 하측커버(212)의 길이방향을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단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부(2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에 형성된 상기 탈착부(11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하측커버(212)의 하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측커버(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측커버(212)의 하면은 중심부가 돌출되어 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 하측커버(212) 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홈(213)이 형성된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230)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등과 같이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배터리(23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측커버(212)의 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240)는, 홀센서, 로터리 엔코더, 포텐셔미터, 마그네틱 엔코더, 리니어 엔코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광센서, 각도센서, 레이저센서, 압력센서, 거리감지센서, 휨센서 및 가속도센서 등과 같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50)은, 상기 배터리(230)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260)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듈(100)과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선(252) 및 상기 센서부(240)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듈(100)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텐션의 변화나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2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51)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 또는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통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도어의 개폐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속도에 따라 상기 센서부(240)와 상기 케이블(250)에 의하여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사용자가 상기 가드부(140)의 인출 또는 인입 작동시점, 즉,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 즉, 초기값을 재설정하는 재설정스위치 및 사용자가 상기 가드부(14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에 기설정된 값으로 상기 동력발생부(134)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조정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배터리(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30)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전원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충전부는 USB 2.0, 3.0, A타입, B타입 및 C타입 등과 같이 상기 배터리(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230)의 급속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차량의 휴즈 박스 또는 시거잭 등을 통하여 차량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블루투스, Wi-fi 등을 사용하여 차량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태양광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구동모듈(100)과 상기 제어모듈(20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및 Wi-fi 등과 같은 통신모듈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가 차량과 연결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가 상기 결합돌부(113, 121), 결합홈(123), 고정홈(114, 122), 및 고정핀(115)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하는 면에 각각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끼움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배터리(230)의 충전상태와 잔량표시, 상기 구동모듈(100) 및 제어모듈(200)의 정상작동 상태유무, 오류발생 여부, 작동상태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기설정된 패턴의 소리나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듈(100)과 상기 제어모듈(200)은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탈착부(116, 220)에 접착제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 즉, 차량의 A필러 측에 부착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무재질로 패킹되어 있는 틈에 상기 케이블(25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구동모듈(100)을 부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자체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애프터마켓으로 구매하여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판넬을 가공하지 않아 도어 자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판넬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고장 발생 시 도어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도난의 위험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하는 기준점설정단계(S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기준점설정단계(S1)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에 제1값을 입력하는 최저값 입력단계(S100), 상기 제어모듈(200)에 상기 제1값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제1확인단계(S110),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재입력알림단계(S120),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정상알림단계(S130),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에 제2값을 입력하는 최고값 입력단계(S140), 상기 제어모듈(200)에 상기 제2값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제2확인단계(S15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제1값과 상기 제2값의 차이값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에 해당하는 제3값을 계산하는 계산단계(S16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제3값을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기준점으로 재설정하는 강제설정단계(S170) 및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설정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완료알림단계(S18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기준점설정방법의 바람직한 작동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준점설정단계(S1)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저값 입력단계(S100)가 실행된 후, 상기 제1확인단계(S11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확인단계(S110)에서 상기 제1값이 저장이 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이 실행되고, 상기 제1값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확인단계(S110)에 의하여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가 실행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최저값 입력단계(S100)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 실행 후, 상기 최고값 입력단계(S140)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확인단계(S150)가 실행된다. 상기 제2확인단계(S150)에서 상기 제2값이 저장이 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가 실행되고, 상기 제2값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확인단계(S150)에 의하여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가 실행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최고값 입력단계(S140)를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확인단계(S150)에 의하여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가 실행되었을 경우, 상기 계산단계(S16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강제설정단계(S170)가 실행되고, 상기 완료알림단계(S180)가 실행되어, 상기 기준점설정방법(S1)은 종료된다. 또한, 상기 최고값 입력단계(S140)는, 상기 최저값 입력단계(S110) 실행 후, 기설정된 시간 후에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는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는 가동범위에 상관없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240)에 기설정된 값이 측정될 경우,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생산자에 의하여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이 기설정된 수치로 설정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통상적인 차량 도어의 경우, 상기 도어가 최대로 개폐될 수 있는 범위는 도어가 닫혀있을 때를 기준으로, 90° 이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센서부(240)에 측정되는 값을 0으로 가정하고, 상기 도어가 최대로 열려있을 때 상기 센서부(240)에 측정되는 값을 90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도어의 개폐 정도에 관계없이, 생산자가 상기 센서부(240)에 0 내지 90 사이의 선택된 값을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을 임의의 값으로 기설정할 경우, 차량의 종류별로 상기 도어의 개폐범위가 다르므로, 상기 도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여,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생산자가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토대로,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어서 상기 센서부(240)에 측정되는 값을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시작지점으로 선택적으로 지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종류마다 도어의 개폐가능 범위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시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스크래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의 오류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보정하는 오류보정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류보정단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오류보정단계(S2)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을 경우, 이를 보정하여 상기 가드부(140)를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센서부(240)에 의하여 상기 가드부(140)의 인출 또는 인입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오류보정단계(S2)는,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는 오류확인단계(S20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개폐 판단단계(S210), 상기 제어모듈(200)이 재부팅되는 재부팅단계(S211), 상기 재부팅단계(S211) 실행 후,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재판단하는 개폐 재판단단계(S220), 상기 제어모듈(200)이 기설정 횟수만큼 재부팅되는 재부팅단계(S221), 상기 재부팅단계(S221) 실행 후,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를 재판단하는 개폐 재판단단계(S230),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3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알림단계(S231), 상기 개폐 판단단계(S21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면,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지 판단하는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 상기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에서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판단하는 인입 판단단계(S250),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정상알림단계(S251),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동력발생부(134)를 작동시키는 구동단계(S252), 상기 구동단계(S252) 실행 후,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재판단하는 인입 재판단단계(S260),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어모듈(200)이 기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동력발생부(134)를 작동시키는 재구동단계(S261), 상기 재구동단계(S261) 실행 후,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재판단하는 인입 재판단단계(S270), 상기 도어가 열려 있는지 판단하는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있지 않을 경우, 즉,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상 신호를 출력하거나, 아무 알림도 알리지 않는 정상작동단계(S281) 및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알림단계(S282)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오류보정단계의 바람직한 작동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오류보정단계(S2)는, 상기 오류확인단계(S200)에 의해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판단단계(S210)가 실행되고, 상기 개폐 판단단계(S21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재부팅단계(S211)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20)가 실행된다.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2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재부팅단계(S221)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30)가 실행되고,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30)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고장알림단계(S231)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20, S23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있거나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지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재부팅단계(S211)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판단단계(S240)에서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정상알림단계(S251)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구동단계(S252)가 실행된다. 이후,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가 실행되며,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정상알림단계(S251)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재구동단계(S261)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70)가 실행되며,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7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정상알림단계(S251)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7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있지 않을 경우, 즉,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경우, 상기 정상작동단계(S281)가 실행되며,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상기 고장알림단계(S282)가 실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자식 도어가드의 오류 발생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오류를 보정하여 수리비용을 절감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오류보정단계(S2)가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역으로 상기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드부(140)의 인출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오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보정할 수 있는 실시간보정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실시간보정단계(S3)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으로 실행되는 시작단계(S30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센서부(240)에서 측정되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정상작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310), 상기 센서부(240)에서 측정된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데이터의 오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오류검출단계(S320), 직전 단계에 저장된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정상작동 데이터를 기초로, 오류가 있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을 보정 후, 보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정단계(S330) 및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보정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는 오류재검출단계(S3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실시간으로 상기 가드부(140)의 작동오류를 판단하고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60)의 과부하 문제를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구동모듈
110 : 제1몸체부
111 : 수용홈
112 : 가이드부
113, 121 : 결합돌부
114, 122 : 고정홈
115 : 고정핀
116, 220 : 탈착부
117, 213 : 연결홈
120 : 제2몸체부
123 : 결합홈
130 : 암부
131 : 끼움홈
132 : 축부
133 : 완화부재
134 : 동력발생부
140 : 가드부
141 : 완충부재
142 : 끼움돌부
200 : 제어모듈
210 : 커버부
211 : 상측커버
212 : 하측커버
220 : 탈착부
230 : 배터리
240 : 센서부
250 : 케이블
251 : 와이어
252 : 전선
260 : 제어부

Claims (6)

  1. 차량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듈; 및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의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부;를 포함하여,
    상기 축부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다각형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화부재에 의하여 완화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부 및 암부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암부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하여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암부에 상기 가드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보호범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6. 삭제
KR1020190104227A 2019-08-26 2019-08-26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KR10226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27A KR102263640B1 (ko) 2019-08-26 2019-08-26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27A KR102263640B1 (ko) 2019-08-26 2019-08-26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735A KR20210024735A (ko) 2021-03-08
KR102263640B1 true KR102263640B1 (ko) 2021-06-09

Family

ID=7518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227A KR102263640B1 (ko) 2019-08-26 2019-08-26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51B1 (ko) * 2013-12-23 2015-06-11 김의석 차량 도어 충격흡수장치
KR101618052B1 (ko) * 2015-08-19 2016-05-09 주식회사 서연탑메탈 건설중장비 작업용 차량의 도어 개폐 제어용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80A (ja) * 1993-12-22 1995-07-11 Toyoda Gosei Co Ltd 可動ドアプロテクタ
KR101594273B1 (ko) 2015-01-20 2016-02-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도어 가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51B1 (ko) * 2013-12-23 2015-06-11 김의석 차량 도어 충격흡수장치
KR101618052B1 (ko) * 2015-08-19 2016-05-09 주식회사 서연탑메탈 건설중장비 작업용 차량의 도어 개폐 제어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735A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3184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tool, and battery connection device
US7673701B2 (en) Power tool having control means for monitoring screw tightening operations
US10868433B2 (en)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storage device of console for vehicle
US8670898B2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vehicular tire pressure device thereof
US20080173139A1 (en) Power tool
KR102263640B1 (ko)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JP2007283455A (ja) ねじ締め本数管理方法、およびねじ締め本数管理装置
CN112654760B (zh) 门的控制系统、门把手装置、门的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JP2019507700A (ja) 外力により非接触式で調節可能な閉鎖フラップを含む調節機構
ITMI981300A1 (it) Apparecchio per la protezione di un occupente di un veicolo
KR102520962B1 (ko)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모듈
US11437680B2 (en) Battery holding device for preventing erroneous charging
KR20110071980A (ko) 전동 지게차 및 그 제어 방법
JP4967966B2 (ja) 充電口構造
TWM527394U (zh) 自供電胎壓偵測器
JP4307476B2 (ja) 記憶装置
KR100737957B1 (ko) 레이저 포인터 기능이 구비된 충전식 자동차 키 및 그자동차 키의 전원 제어방법
KR20190053385A (ko)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JP2015118062A (ja) 電池種類判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池駆動型の電子機器
EP3176904B1 (en) Battery attachment apparatuses
JP578466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107511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フロントパネルの駆動方法
JP6318541B2 (ja) 充電口構造
CN217154288U (zh) 吸油烟机翻板结构及吸油烟机
US20080020677A1 (en) Sanding machine having malfunction indic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